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가의 교육팽창 수준이 가정배경에 따른 교육포부 격차에 미치는 영향: PISA 2018을 활용한 국제비교 연구

        전하람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23 한국교육문제연구 Vol.41 No.3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ddress whether a country's level of educational expansion significantly accounts for the aspiration gap based on family background. To achieve this objective, I conducted a multileve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assess the impact of individual- and country-level independent variables on the likelihood of students planning to pursue college education, representing high levels of educational aspirations. Educational expansion signifies increased access to formal schooling for all individuals and is operationalized here as the average number of years of schooling among adults in a given country. The results, based on an analysis of 231,001 15-year-old students across 28 countries using 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PISA) 2018 data, are as follows: (1) Even after controlling for other variables, it was observed that parental education levels and parental occupational prestige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likelihood of students having plans to attend college. (2) Surprisingly, the educational expansion index did not show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educational aspirations. (3) However, in societies where educational expansion is relatively widespread, the gap in educational aspirations based on parental socioeconomic status widens. This phenomenon is attributed to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level of educational aspirations among students from relatively disadvantaged family backgrounds. Based on these findings, we have included discussions and recommendations aimed at mitigating educational inequality within the context of Korea, where the diffusion, expansion, and gener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have made significant progress.

      • KCI등재

        교사의 다문화가정 학생 지도 인식 영향요인 분석: 교사효능감 이론 틀의 적용

        전하람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8 敎員敎育 Vol.34 No.2

        Since multicultural education has become one of the main issues in Korean education policy, teacher quality regarding multicultural education has also been emphasized in order to improve teaching competencies for advising multicultural students. In a related manner, this study's aim was to clarify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teachers' positive recognition of advising multicultural students through employing a theoretical framework of teacher efficacy. By utilizing the 2016 Attitude Survey of a Multicultural Society, a multilevel modeling analysis was employed to explore the thoughts of 3,970 teachers from 179 schools. First, the mastery experiences of teaching multicultural students significantly affected the teachers' positive recognition of advising multicultural students, whereas teacher education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opportunities related to multicultural education were not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positive vicarious experiences from the teachers' colleagues regarding a multicultural society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a teacher's recognition of being able to appropriately advise multicultural students. Finally, the school environment related to multicultural education did not have a meaningful impact on determining the teachers' recognition of advising multicultural students. Policy implications are then discussed based upon the research findings. 다문화교육이 정책적으로 강조되면서 교사의 다문화교육 역량을 어떻게 신장시킬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다. 관련 논의 중 본 연구는 교사들이 다문화가정 학생을 어려움 없이 지도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긍정적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 교사효능감의 이론 틀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특히 교사효능감을 형성하는 주요 요인 중 교사의 성취 및 대리 경험, 학교 환경 등을 고려하여 다문화가정 학생 지도에 대한 교사의 긍정적 인식이 어떤 요인들에 의해 제고될 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2016 다문화사회 관련 의식조사 중 교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179개교의 3,970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다층모형을 통해 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교사의 성취 경험이라고 할 수 있는 다문화가정 학생 담임 경험은 정적인 효과가 있었지만 다문화교육 관련 강의 수강이나 현직연수 프로그램 이수는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교사의 대리 경험으로서 가정한 동료 교사들의 다문화사회에 대한 긍정적 인식 수준은 정적인 효과가 있었으며 학교 간 효과의 차이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한편 학교의 다문화교육 관련 정책 수행과 학교 문화는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 관련 교사교육과 학교 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이 교육기회 확대에 미치는 영향

        전하람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0 교육과학연구 Vol.51 No.2

        Using the Korea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KELS) 2013,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afterschool program on expansion of educational opportunities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As more and more people think of educational success as the key to attain social status in adulthood, educational competition has become more increased so that shadow education as an effective strategy to obtain superior position to others in competition has been spread out to students and parents particularly in Korea. In this context, afterschool program policy was introduced to reduce the extereme demand on shadow education. However, this study focus on the effect of afterschool program on expansion of educational opportunities as the original goal of afterschool program through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whether a student participated in organized educational activities after school hours in the last year and what type of educational activities he or she participated in the year after. Employing the propensity score matching method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is study found that non-participants in the last year were more likely to choose to enter the non-participant group or the participant group only in afterschool program rather than to enter the participant group only in shadow education. Furthremore, the participant group only in afterschool program had different features from the participant group only in shadow education in family background. The theore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were addressed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본 연구는 중학교 2학년 시기 방과후 교육활동 참여 형태를 미참여,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참여, 방과후학교 프로그램과 사교육 동시 참여, 사교육 참여로 나누고 참여 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특히 중학교 1학년 시기 방과후 교육활동 참여 여부의 영향에 주목하여 연구모형을 구성하였다. 방과후 교육활동으로서 사교육은 교육을 통한 사회적 지위의 획득이 하나의 사회규범으로 자리 잡은 현대 사회에서 교육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한 전략으로 인식된다. 반면 방과후학교 정책은 공교육 제도 하에서 방과후 교육활동을 지원하는 공공형 교육서비스로서 취약계층을 포함한 모든 학생들의 추가적인 교육 기회에 대한 수요를 충족해주고자 도입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에 방과후 교육활동에 참여하지 않았던 학생들이 사교육보다는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을 통해 추가적인 교육 기회를 획득하고 있는지 분석을 실시하였다. 한국교육종단연구 2013 자료의 중학교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경향점수 매칭 방법을 실시하여 이전 방과후 교육활동 참여여부 변수에 내재된 선택편의를 통제한 후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중학교 1학년 시기에 방과후 교육활동에 참여하지 않았던 학생들은 사교육에 참여하기보다 2학년 때도 미참여 상태로 남아있거나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될 가능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이 사교육과 달리 방과후 교육활동에 대한 참여기회를 보편적으로 확대할 수 있다는 가설을 뒷받침해주고 있다. 한편, 방과후 교육활동 참여유형에 따른 가정배경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방과후학교 프로그램과 사교육 서비스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가정배경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했다. 이를 통해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이 사교육 서비스를 대신하는 대체재보다는 모두에게 동등한 학업경쟁의 기회를 제공하는 차원에서 공교육의 보완재로서 역할하고 있음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기숙사 거주가 초기 대학몰입에 미치는 영향: 학교 구성원과의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전하람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7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5 No.4

        This research examined the impact of on-campus residence on institutional commitment among college freshmen. In addition, interactions with faculty and peers were considered as mediators to explain the impact of on-campus residence. Using the 7th wave of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KELS) 2005 administered by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KEDI), the analysis employed a step-wise ordinary least squared regression model. College students who lived in dorm rooms on campus showed a higher level of institutional commitment than students who lived off campus or commuted from parents’ home to school. Student-peer interactions related to community building significantly mediated the association between on-campus residence and institutional commitment, whereas student-faculty interactions modestly mediated between the two. However, student-peer interactions related to academic activities did not play a significant role as a mediator. The research findings suggest that the dormitory acceptance rate should be increased; at the same time, educationally purposeful programs should be connected with dormitory operations. In addition, housing welfare issues among college students who lived off campus may be associated with their relatively low level of institutional commitment despite their high proximity to campus.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연구 7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대학교 1학년 신입생의 기숙사 거주가 대학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현재 다니고 있는 대학교에 대한 소속감과 만족도를 포함한 소속 대학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종합적으로 보여주는 개념인 대학몰입은 대학생의 거주형태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숙사에 거주하는 학생들은 자취 및 하숙을 하는 학생들과 부모의 집에서 거주하며 통학하는 학생들보다 높은 수준의 대학몰입도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학교 구성원 간의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공동체 형성 관련 학생 간 상호작용은 기숙사 거주 효과를 유의미하게 매개하고 있는 반면, 교수-학생 간 상호작용은 제한적인 매개를 보여주었고 학업 관련 학생 간 상호작용은 거주형태와 대학몰입 간의 관계를 거의 설명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한국 대학에서 기숙사 수용률 증대의 타당성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는 동시에, 기숙사 거주를 통한 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해 다양한 교육 목적 프로그램을 연계할 필요성이 있음을 논의하였다. 또한 자취 및 하숙을 하는 학생들의 주거복지 문제와 대학몰입 간의 연관성에 대한 논의를 추가하였다.

      • KCI등재

        고등학생의 교육포부 결정요인 분석: 의미 있는 타인의 영향을 중심으로

        전하람,김경근 한국교육사회학회 2006 교육사회학연구 Vol.16 No.4

        본 연구에서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한국교육고용패널(KEEP) 자료를 사용하여 고등학생의 교 육포부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대졸을 기준으로 하여 다항로짓 모형을 추정한 결과, 전문대졸 이 하의 교육포부를 갖는 데는 자신의 학업성취, 거주지, 사교육비, 어머니의 지원, 친구의 학업성취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대학원졸 이상의 학력을 추구하는 학 생의 교육포부는 자신의 학업성취, 자아정체감, 사교육비, 가계소득, 의미 있는 교사의 존재에 의해 결정적으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남학생과 여학생의 교육포부는 서로 상당히 다른 요인들의 지배를 받고 있었다. 특히 교육포부에 영향을 미치는 의미 있는 타인의 존재가 성별에 따 라 달랐다. 그리하여 대졸 희망자와 대비하여 전문대졸 이하의 교육포부를 가진 남학생에게는 친구 의 낮은 학업성취가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동일한 교육포부의 여학생에게는 어머니의 미 흡한 지원이 교육포부를 낮추는 데 핵심적인 작용을 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대학원졸 이상의 고 학력을 추구하는 데는 가정의 경제력이 남학생보다는 여학생에게 훨씬 더 중요한 제약요인이 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Using a sample from the Korean Education Employment Panel(KEEP),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influence of significant others on educational aspir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As a result of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ith a group of students that have aspirations to graduate from university as the reference category, their own academic achievement, place of residence,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s, support of mother, and friends' academic achievement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for students when deciding a target educational level of junior college or less. In contrast, their own academic achievement, ego-identity, family income,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s, and existence of meaningful teacher were found to be deciding factors for students who aspire for a master's degree and other subsequent degrees. Meanwhil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s students in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ir educational aspirations. In particular, the person who influenced their educational aspirations was different between the genders. When compared to students who aspired to attend university, male students whose target education level was junior college or less were influenced by low academic achievement of their friends. For female students, however, insufficient support from their mother was the major factor that led them to lower their educational aspirations. Finally, this analysis showed that the economic status of the family is a much greater restricting factor for females than males when it comes to aspiring for a master's degree and beyond.

      • KCI등재

        청소년의 자녀 필요성 인식과 학력주의 사회관과의 관계 분석

        전하람,황영식 안암교육학회 2022 한국교육학연구 Vol.28 No.3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2019 청년사회경제실태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학력주의 사회관이 청소년의 자녀 필요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이 우리 사회가 학력주의 사회라는 데 동의할수록 미래에 자녀를 가져야 한다고 인식하는 경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력주의 사회관과 자녀 필요성 인식 간의 관계가 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본 결과, 여학생의 경우에만 학력주의 사회관이 자녀 필요성 인식과 정적인 관계를 유의미하게 보였다. 반면, 남학생은 가정의 소득수준에 따라 자녀 필요성 인식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청소년에게 자녀 필요성 인식은 학력주의 사회에서의 교육 경쟁에 대한 인식을 수반한다는 점, 그리고 부모되기에 있어 성별에 따라 다른 우선순위를 보인다는 점을 논의하고 관련된 제언을 더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association between the perspectives of credential society and adolescents' perception of the need of children using the data from 2019 Youth Social Economy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The results derived from ordere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more adolescents in middle and high schools agree that our society is an credential society, the stronger the tendency to perceive that they should have children in their future.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whether the association between the perspectives of credential society and the perception of the need of children differs between male and female adolescents, the association was significant only among female students. On the other hand, male student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ption of children's needs according to their family income level rather than their educational perspectives.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discussed and related suggestions were added that the perception of the need of children for Korean adolescents entails the perception of educational competition featured in credential society.

      • KCI등재

        중・고등학생의 학업성취가 사교육 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분석: 강화적 전략과 보완적 전략의 공존

        전하람,심재휘 한국교육개발원 2018 한국교육 Vol.45 No.3

        Purpose: This study purports to examine the causal effect of academic achievement on participation in shadow education and to look into the complicated nature of Korean shadow education intertwined with enrichment and remedial strategies. Methodology: Using the 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PISA) 2012 and the first to sixth waves of 7th-graders cohort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we examined the effect of academic achievement on the amount of hours students participated in shadow education. First, we compared the association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and participating hours in shadow education across countries. Next, an Ordinary Least Squares (OLS) regression analysis and a Difference Generalized Method of Moments (DGMM) analysis were conducted to estimate the difference in participating hours in shadow education by academic achievement at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ways, respectively. Findings: In the comparative analysis using the PISA 2012, a very limited number of countries including Korea showed a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and participating hours in shadow education. The OLS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KCYPS also confirmed that positive association with significant effects of family income, the number of siblings and urbanicity on participating in shadow education. The DGMM showed the longitudinal impact of prior academic achievement on participating hours in shadow education. In addition, the longitudinal effect was only significant in the group of low-achieving students. Value: Findings support that shadow education is predominantly used as an enrichment strategy to keep competitiveness for the college entrance and social success. However, shadow education is also widespread among low achievers. Furthermore, we add theore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on the coexistence of two strategies in participating in shadow education. 본 연구는 PISA 2012 데이터와 한국아동청소년패널 중1 코호트의 1~6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청소년의 학업성취가 사교육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PISA 2012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업성취와 사교육 참여 시간 간의 관계에 대한 국제비교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한국아동청소년패널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업성취에 따른 사교육 참여 시간의 학생 간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OLS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사교육 참여의 지속성과 사교육 참여 시간에 대한 학업성취의 종단적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DGMM 분석을 실시하였다. PISA 2012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한국을 포함한 일부 국가에서만 사교육 참여 시간과 학업성취의 관계가 정적으로 나타났으며, 그중 한국은 양자 간의 관계가 가장 강한 국가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국아동청소년패널 데이터를 OLS 분석한 결과에서는 학업성취가 높을수록, 가구소득이 많을수록, 형제자매수가 적을수록, 거주지 규모가 클수록 사교육 참여 시간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DGMM 분석 결과는 사교육 참여의 지속성과 학업성취가 사교육 참여에 미치는 정적인 효과를 종단적으로 보여주었다. 한편 집단별 분석 결과 학업성취 ‘하’ 집단에서만 사교육 참여 시간에 대한 학업성취의 종단적 효과가 유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사회에서는 여전히 강화적 전략으로서의 사교육 참여 행태가 더 우세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는 동시에 사교육 참여가 저성취 집단에서도 부족한 학업성취를 보완하기 위한 전략의 형태로 나타난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구체적으로 학업성취에 따른 집단 구분을 통해 성적 상위집단에서는 사교육 참여가 포화 상태에 이르러 이전 학업성취가 이후 사교육 참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성적 하위집단에서는 이전 학업성취 향상도에 따라 부족한 학업을 보완하기 위해 사교육에 참여할 가능성이 높아지는 상이한 양상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와 함께 학생의 학업성취에 따라 사교육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달리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어머니의 취업여부와 직업지위가 자녀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교육적 관여 및 지원의 매개효과와 상호작용 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전하람,임혜정 한국교육사회학회 2016 교육사회학연구 Vol.26 No.3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maternal employment on academic achievement in English and Mathematics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taking a careful consideration of occupational prestige of employed mothers, and the mediation and interaction by parental involvement and family expenditure on shadow education. Using the sampled 3,639 middle school students from the 1st wave of 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 2012 (GEPS 201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family socioeconomic status, parental involvement and expenditure on shadow educ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by maternal employment and occupational prestige. Working mothers with high occupational prestige offset the negative effect of the lack of parental involvement in school activities through higher family socioeconomic status, compared to full-time housewife mothers. On the contrary, working mothers with low occupational prestige and their children suffered both from lower family socioeconomic status and less amount of the time and effort in parental involvement. Furthermore, the effect of their educational involvement and support on academic achievement was partially undermined by employment in less-prestigious jobs. Perhaps, they had difficulty in joining parents’ social network as a social capital for better education. The interaction effects were highly likely to exacerbate educational reproduction and prevent intergenerational social mobility among the less privileged. 본 연구는 어머니의 취업이 중학생 자녀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이 직업지위에 따라 차등적으로 나타나는지 살펴보고, 교육적 관여 및 지원의 매개효과 및 상호작용을 추가로 분석하여 사회계층에 따른 교육불평등의 재생산 과정을 이해하고 학부모 지원 관련 정책의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경기교육종단연구 2012(GEPS 2012) 1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중학교 1학년 학생 3,639명을 분석한 결과, 어머니의 취업여부와 직업지위에 따라 가정배경, 교육적 관여 및 지원, 자녀의 학업성취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높은 직업지위를 가진 어머니들은 비취업 어머니들과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았고 이는 자녀의 교육에 유리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가정배경을 통제한 후에는 높은 직업지위에도 불구하고 교육적 관여와 지원의 부족으로 인한 어머니 취업의 부적 효과가 드러났다. 한편, 낮은 직업지위의 직종에 취업한 어머니의 자녀는 사회경제적 자원의 부족과 교육적 관여 및 지원의 상대적 결핍으로 인해 가장 저조한 학업성취도를 보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낮은 직업지위 어머니 집단에서는 교육적 관여 및 지원의 학업성취 상승효과가 유의미하게 줄어들었다. 이는 직업지위가 부모의 교육적 관여 및 지원의 질적 차이를 불러일으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

        Teflon-FEP 와 PET Film 의 감마선 조사에 따른 물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

        김성훈,김영진,이명자,전하,이병용 한국의학물리학회 1998 의학물리 Vol.9 No.1

        일렉트릿 (electret) 의 특성을 갖고 있는 Teflon-FEP 와 PET 필름의 유전체 양변에 크롬을 증착시켜 전극을 만들고 코발트-60 감마선을 찍어 이 두 유전체의 물리적 특성변화를 조사하였다. 선량률 25.0 cGy/min에서 방사선 조사하기 시작하여 2초이내에서 전류가 급격히 증가해 최대값에 이른후, 60초 이후에선 거의 안정값에 이르는 특성을 보였다. 방사선 조사동안 Teflon의 경우 유전 상수는 2.15에서 18.0으로, 전기전도도는 1$\times$$10^{-17}$ 에서 1.57$\times$$10^{-13}$ $\Omega$$^{-l}$ $cm^{-1}$ /으로 증가했고, PET는 유전상수는 3에서 18.3으로, 전기전도도는 $10^{-17}$ 에서 1.65$\times$$10^{-13}$ $\Omega$$^{-1}$$cm^{-1}$ /값으로 변하였다. 분당선량률을 변화시켰을때 (4.0 cGy/min, 8.5 cGy/min, 15.6 cGy/min, 19.3 cGy/min) 정상상태 방사선 유도전류(Ic), 유전율($\varepsilon$), 전기전도도 ($\sigma$) 가 선량률에 따라 증가함을 보였다. 정상상태방사선유도전류(Ic)값은 12시간내에선 1%내의 재현성을 보였고, 1주일간에선 3%내에서 일치하였다. 전하 및 전류값이 측정간격 (방사선 조사후 다음 조사때까지의 시간)에 의존성을 보였으며, 측정간격이 작을수록 초기측정값과 후측정값의 차가 크며, 최소 20분이상 간격을 둘 때 후측정값이 초기측정값과 같아졌다. 25.0 cGy/min. 선량률에서 유전체가 20분동안 전하를 유지하는 일펙트릿 성질을 갖고 있음을 보였다. 위 실험결과들은 2차전자에 의한 자유전자와 정공의 발생 및 이로 인한 내부편극과 전도도의 변화, 재결합등으로 인한 전자평형상태에 의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방사선조사직후 시료에 열을 가한 후 다시 조사하면 측정값이 상승하는 현상을 보였다. 이는 열을 가함으로 내부편극이 감소되었고 이로인해 다음 방사선 조사시 전하운반자(charge carriers)의 숫자를 높이는데 기여했음을 알 수 있다. 인가전압 및 흡수선량에 따른 선형성 및 재현성과 다른 전리함에 비해 적은 부피로 큰 전하량을 측정하는 것은 미세전류검출기로서의 사용가능성과 검출기의 부피를 크게 줄일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Circular metal electrodes were vacuum-deposited with chromium on the both sides of Teflon-FEP and PET film characteristic of electret and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two polymers were observed during an irradiation by gamma-ray from $\^$60/Co. With the onset of irradiation of output 25.0 cGy/min the induced current increased rapidly for 2 sec, reached a maximum, and subsequently decreased. A steady-state induced current was reached about in 60 second. The dielectric constant and conductivity of Teflon-FEP were changed from 2.15 to 18.0 and from l${\times}$l0$\^$-17/ to 1.57${\times}$10$\^$-13/ $\Omega$-$\^$-1/cm$\^$-1/, respectively. For PET the dielectric constant was changed from 3 to 18.3 and the conductivity from 10$\^$-17/ to 1.65${\times}$10$\^$-13/ $\Omega$-$\^$-1/cm$\^$-1/. The increase of the radiation-induced steady state current I$\^$c/, permittivity $\varepsilon$ and conductivity $\sigma$ with output(4.0 cGy/min, 8.5 cGy/min, 15.6 cGy/min, 19.3 cGy/min) was observed. A series of independent measurements were also performed to evaluate reproducibility and revealed less than 1% deviation in a day and 3% deviation in a long term. Charge and current showed the dependence on the interval between measurements, the smaller the interval was, the bigger the difference between initial reading and next reading was. At least in 20 minutes of next reading reached an initial value. It may indicate that the polymers were exhibiting an electret state for a while. These results can be explained by the internal polarization associated with the production of electron-hole pairs by secondary electrons, the change of conductivity and the equilibrium due to recombination etc. Heating to the sample made the reading value increase in a short time, it may be interpreted that the internal polarization was released due to heating and it contributed the number of charge carriers to increase when the samples was again irradiated. The linearity and reproducibility of the samples with the applied voltage and absorbed dose and a large amount of charge measured per unit volume compared with the other chambers give the feasibility of a radiation detector and make it possible to reduce the volume of a detect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