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읽기장애아 중재방법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전병운(全炳雲),권회연(權會娟)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0 아시아교육연구 Vol.11 No.2

        본 연구는 국내에서 1997년부터 2009년까지 발표된 읽기장애아의 중재방법과 관련한 실험연구들을 분석하여 대상자 특성 및 측정도구와 훈련과제를 포함한 연구방법, 적용된 중재방법의 효과성과 적용범위를 고찰하여 향후 읽기장애 연구의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분석대상으로 선정된 논문은 국내에서 학진 등재지와 후보지에 게재된 논문으로 총 47편이었다. 연구결과, 초등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19편으로 가장 많았고, 대상자의 읽기 단계는 단어재인단계에 있는 아동을 대상으로 한 논문이 17편(34%), 유창성단계 11편(22%), 의미파악을 위한 이해활동 단계가 14편(28%)이었으며, 대상자의 읽기 수준이 제시되지 않은 논문도 8편(16%)이었다. 대상자 선별기준은 교사의뢰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17편으로 가장 많았고, 지능검사는 전체 지능지수를 사용하였으며, 85이상을 기준으로 삼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중재방법 중 실험환경이나 실험상황을 기술하지 않은 논문이 각각 19편, 14편이었으며, 개별교수 상황에서 중재를 한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기간은 21-25회기가 가장 많았으며, 측정도구는 선행연구에서 사용한 검사도구를 사용한 논문이 32편이었다. 훈련과제는 21편의 논문에서 이야기체를 사용하고 있었다. 따라서 읽기발달단계나 읽기 기술을 평가하고, 읽기 기술의 진전도를 수시 점검할 도구의 사용이 아직 미약하고, 중재상황에 대한 충분한 기술이 이루어지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중재방법의 동향에서는 읽기장애아동 교수에 있어서 접근방법, 교수방법, 종속변인 등에 따라 구분하여 결과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동향에 대한 논의와 후속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siderate research"s results and method including children" characters with reading disabilities, instrument, reading task, the effect and application of reading instruction according to analyzing experimental studies on reading instruction for korean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published at domestic research from 1997 to 2009. It make the recent tendency and future direction of research far more improved. On this study the total 47 studies were analysis according to experimental subjects, research instrument, intervention, research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umber of studies for subjects at 3 grade on elementary school was the largest as 19 studies. And at the reading developmental stage, the number of studies for subjects on level of word-recognition were 17 studies, and on level of reading fluency were included 11, and reading comprehension were included 14. But the level of reading developmental level were not descript on 8 studies. The procedure of selection subjects initiated with refer of teacher at 17 studies, identified as above IQ 85. The place, setting of research were not descript on 19, 14 studies. And the individualized teaching was the most type at the type of instruction, duration of research was the largest as 21-25 section. The number of studies utilizing the instruments that were used at preceding studies were 32, narrative at reading task were the most. So the information about children" characters with reading disabilities was short absolutely to be evidence-based practice, the instrument that examined degree of improvement would be needed. And the trend that of intervention focused on issues about reading instrument were presented. Finally, the strategies for reading instruction were described according to approaches, teaching methods, dependent varies by reading sub-skills. Discussion on the trend of reading instruction and future researches were presented.

      • KCI등재후보

        발달장애 영?유아를 위한 활동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전병운,홍은숙,김영희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05 유아특수교육연구 Vol.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ctivity-based intervention programs for infants and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is is a comprehensive curriculum-based program, which is characterized by linking assesment, educational goals and objectives, intervention programs, and evaluation. In order to develop these comprehensive programs, several steps were taken. First of all, long-term goals and short-term objectives were developed and validated on which the intervention programs were based. Second, preliminary activity-based intervention programs that were directly related to the goals and objectives were developed and validated. Third, these intervention programs were examined by contents validity and field-based tests by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the field. Finally, the final programs were completed. The final programs are as follows. First, 375 long-term goals and 981 short-term objectives were developed according to 5 developmental domains and 14 sub-domains, including Cognitive, Social and Emotional, Motor, Adaptive, and Communication. Second, the total number of 443 intervention programs were developed; 72 for 0 year, 73 for 1 year, 70 for 2 years, 81 for 3 years, 67 for 4 years, 80 for 5 years. The primary purpose of this programs is to assist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professionals in planning the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s for infants and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e inclusive environments. It is expected that this program can be a great resource for developing and implementing the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 in the field.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 영유아의 교육을 위해 활동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는 교육과정 중심의 프로그램으로서 진단, 교육목표 개발 및 평가와 연계되는 특징을 지닌다. 이를 위하여 우선 활동프로그램 개발에 기초가 되는 장단기목표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작업을 하였으며, 여기서 개발된 단기목표들을 중심으로 활동프로그램의 시안을 개발하였다. 그 후 내용타당화와 현장타당화 검증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활동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0세~5세 영유아교육을 위하여 인지, 사회정서, 운동, 적응, 의사소통의 5개 영역과 14개 하위영역에서 총 375개의 장기목표와 981개의 단기목표를 개발하였다. 둘째, 활동프로그램은 0세 72개, 1세 73개, 2세 70개, 3세 81개, 4세 67개, 5세 80개로 총 443개를 개발하였다. 이 활동프로그램은 궁극적으로 통합 환경에 있는 발달장애 영유아들의 개별화교육계획을 위해 개발되었기 때문에, 향후 현장에 있는 유아특수교사 및 교육 전문가들이 발달장애 영유아들을 위한 교수계획을 세우고 이를 시행하는데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발달장애아동을 위한 웹기반 진단·평가 연계 중재프로그램 전문가 시스템 효과 검증

        전병운,김영희 한국특수교육학회 2007 특수교육학연구 Vol.42 No.1

        Effect of Web-Based Expert System in Assessment, Programming, Evaluation for Children Developmental Disability 본 연구는 발달장애아동을 위해 개발한 웹기반 진단·평가 연계 중재프로그램 전문가 시스템이 사용자 측면에서 접근의 용이성, 사용자 중심의 인터페이스, 연결체계의 효율성 등을 고려하여 구현되었는지를 알아보고 궁극적으로 현장에서 활용가치가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 경기, 충청, 대전 지역 소재 유아 및 초등 특수교육기관 교사 39명을 대상으로 웹기반 전문가 시스템에 관한 효과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컨텐츠 영역은 5점 만점에 평균 3.52, 기술적 영역은 3.79, 활용적 영역은 3.54로 나타났으며, 전체 평균은 3.68로 본 웹기반 전문가 시스템이 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또한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통해서 검토된 교사들의 의견을 토대로 시스템을 수정·보완함으로써 사용자들의 수준과 요구를 반영한 최상의 시스템을 구현하였다.<주제어> 발달장애아동, 진단·평가 연계 중재프로그램, 웹기반 전문가 시스템

      • KCI등재

        2011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국어교과서 어휘 특성 분석

        전병운,권회연,송재옥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16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9 No.3

        The purpose of conducting this study is to survey the vocabulary in Korean textbook from 1st to 4th grade according to revised basic curriculum 2011 for special education. This study has been analyzed according to the total number of different words, part of speech, grade of vocabulary, syllable of word and the domain of the meaning for the purpose of presenting the high priority vocabulary for the students with the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number of directive vocabulary surveyed is 394 in Korean textbook for 1st and 2nd grade and 458 for 3rd and 4th grade. The numbers of subject contents vocabulary surveyed is 748 in Korean textbook for 1st and 2nd grade, and 1,012 in Korean textbook for 3rd and 4th grade. The total number of directive vocabulary and subject contents vocabulary is 1,739 different words in Korean textbook from 1st to 4th grade, and in analysis of the part of speech, noun accounts for 63.4%, then verb for 18.3%, and then adjective for 10.2%, adverbs 6.7% in order. In analysis on grade of vocabulary, vocabulary of elementary level accounts for 51.4%, intermediate level for 19.2% and advanced level for 3.9% in 1st-2nd grade, and vocabulary of elementary level accounts for 48.8%, intermediate level for 20.3% and advanced level for 5.4% in 3rd-4th grade.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syllabic vocabulary of practical vocabulary, dissyllable words were observed with the highest frequency in the text books of both groups; 1st-2nd grade and 3rd-4th grade and next trisyllable words, quadrisyllable words, one syllable words in order. Lastly,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subject contents vocabulary provided in Korean textbook through the domain of the meaning, ‘concept’(19.7%) category included the biggest number of words among fourteen categories, and ‘a human being’ (18.7%) category secondly, ‘animals and plants’(7.4%) next, the eating habits’(7.4%), and ‘house life’(6.1%) in order. Based on these results and discussions, we suggest implications to choose vocabulary for Korean textbooks within basic curriculum and to develop data and for follow-up researches. 본 연구는 2011 개정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초등 국어교과서에 제시된 어휘의 총수와 품사 형태, 어휘의 등급과 음절수 및 의미 영역을 분석하여, 발달장애 학생 교육에서 우선시되어야 할 어휘를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2011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국어과 초등 교과서 1-2학년군 (가)·(나), 3-4학년군 (가)·(나) 4권을 대상으로 제시된 어휘를 지시문 어휘와 교과 내용 어휘로 구분하여 품사, 의미 영역, 어휘 난이도에 따른 등급과 음절수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지시문 어휘의 경우, 1-2학년군은 394개, 3-4학년군 458개였으며, 교과 내용 어휘는 1-2학년군 748개, 3-4학년군 1,012개로 나타났다. 교과서에 제시된 지시문 어휘와 교과 내용 어휘의 수를 합한 어휘의 총수는 모두 1,739개였으며, 품사별로는 명사 63.4%, 동사 18.3%, 부사 10.2%, 형용사 6.7%의 순으로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어휘의 난이도를 알아보기 위한 등급별 어휘의 비율을 살펴본 결과, 1-2학년군 어휘에서는 초급이 51.4%로 가장 많았으며, 중급 19.2%, 고급 3.9%, 미분류 25.5%였다. 3-4학년군 어휘에서도 초급이 48.8%로 가장 많았고, 중급 20.3%, 고급 5.4%, 미분류 25.5%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음절수에 따른 분석을 살펴보면, 1-2학년군, 3-4학년군 모두 2음절어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3음절어, 4음절어, 1음절어 순으로 많았다. 마지막으로 교과 내용 어휘를 의미 영역별 분석을 통해 살펴 본 결과, 총 14개의 대 범주 중 가장 많은 어휘를 포함하는 것은 개념(19.7%)이었고, 다음으로 인간(18.7%), 사회생활(10.8%), 삶(10.5%), 교육(10.1%), 동식물 (7.4%), 식생활(7.4%), 주생활(6.1%)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기본교육과정 국어교과서 어휘 선정과 자료 개발을 위한 제안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후보
      • SCOPUS

        정신지체학생의 화행규칙수행에 관한 연구

        전병운(Jeon, Byung-Un),조유진(Cho, Yu-Jin)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1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6 No.1

        본 연구는 정신지체 학생의 화행규칙수행 정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Lucas(1980)가 개발한 화행수행 점검목록을 사용하여 학생들이 각 화행을 어느 정도 수행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그 구성규칙의 수행이 정신지체 학생의 정신지체 정도, 평균발화길이(MLU)에 따라 달라지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정신지체학생은 8가지 화행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절반정도가 구성규칙을 수행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상대방과 원활한 의사소통을 하게 하려면 하위 구성 규칙 준수에 대한 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전체적으로 정신지체 학생들은 소극적인 의사소통 형태를 나타내고 있었으며, 진지하고 논리적으로 조리있게 대화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정신지체 학생들은 정신지체정도와 평균발화길이의 정도에 따라 대부분의 화행 구성규칙 수행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 e of the pr es ent s tudy was to inves tigate the degr ees of obs ervance of the per formance rules of speech acts on the bas is of the 8 speech - acts that Sear le showed and to inves tigate the differ ences in the per formance rules of speech acts and mean length of utter ance to find out the pr oblem ar eas of communication in childr en with mental r etar dation . For ty childr en with mental r etar dation wer e tes ted in light of the degr ees of the per formance of speech acts compos ed of 37 inventor ies , s ocial matur ity s cales , and MLU. They wer e divided into two groups , the high - level gr oup and the low- level gr oup . The r es ults of the s tudy could be s ummar ized as follows : (1) Among the cons titutive rules of speech acts , ins is tence and information demand showed the highes t r ates of obs ervance and rule or der , the lowes trate , (2) Among the 8 speech acts s tudied the two gr oups showed differ ences in s even of the speech acts , ins is tence being an excepption , (3) A meaningful differ ence is found in MLU between the two gr oups . The obs ervance of the cons titutive rules incr eas ed in par allel with the incr eas e in MLU, (4) Accor ding to the total r es ults of corr elation among the obs ervances of cons titutive rules of speech acts , Social Quotient (SQ) and MLU ar e found to be meaningfully corr elated. But MLU has a high corr elation as .67(p <.0 1) and SQ has a r elatively low corr elation as .32(p <.05). The highes t corr elation by the degr ees of mental r etar dation is shown in a cons titutive rule of object demand, and the highes t corr elation by aver age sentence length is shown in a cons titutive rule of "rule order."

      • KCI등재
      • KCI등재

        중등특수교사 양성 과정에서 교과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전병운 한국특수교육학회 2011 특수교육학연구 Vol.4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oblems of subject instruction training for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Korea and to find ways for improvement. For the purpose, the problems of subject instruction at the teachers’ colleges were first examined in terms of its academic nature and the teachers training. In addition, the influence of these problems on the curriculum operation for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was examined. Moreover, future directions of subject instruction training for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special education. As a result, the biggest problem with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got standard curriculum training was acquisition of area of specialization in the other departments. Also, the content of the commissioned education was far from the curriculum content that can be applied in their field. Furthermore, the teachers were placed in the field without considering their area of specialization. To solve these problems, the operating system for acquisition of area of specialization should be improved and an alternative qualification process for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should be provided as soon as possible. Additionally, relevant laws and guidelines should be amended in order to improve eligibility criteria for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이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 중등특수교사 양성과 관련한 교과교육의 문제점을 알아보고 그에 대한 개선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우선 교과교육의 학문적 성격 탐색과 교사 양성의 관점에서 사범대학 교과교육의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점이 중등 특수교사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운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특수교육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중등특수 교과교육의 나아갈 방향에 대해 고찰하여 보았다. 그 결과, 중등특수교사 자격을 위한 표시과목을 타 학과에 위탁교육 하고 있는 현실이 가장 큰 문제이며, 위탁교육 내용이 실제 특수교육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교과 내용과 거리가 있으며, 교육 현장에서는 중등의 표시 과목을 무시하고 교사를 배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표시과목 운영 체제의 개선이 요망되고, 중등특수교사 자격 종별에 대한 대안 마련이 시급함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중등특수교사 자격 기준 개선을 위한 관련 법령 및 지침에 대한 개정이 필요함을 제기하였다.

      • KCI등재

        정신지체 특수학교의 보완,대체의사소통 체계 활용 실태와 교사 인식

        전병운 ( Byung Un Jeon ),이지선 ( Ji Sun Lee ),김갑상 ( Gap Sang Kim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4 지적장애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정신지체 학교의 보완·대체의사소통(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활용 실태와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총 5개의 정신지체 특수학교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여 회수된 조사지 중 총 170개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활용 실태에서는 첫째, 보완·대체의사소통 체계를 활용하고 있지 않으나 필요한 학생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각 학급에 구비되어 있는 AAC도구 그림카드와 사진이 가장 많았으며 구비되어 있는 도구 중 활용 방법에 대한 지식 부족으로 미 사용한 경우도 있었다. 셋째, 보완·대체의사소통 체계에 대한 교육을 받은 사람이 활용한 경험도 많았고, 그림이나 사진을 가장 많이 활용하였다. 넷째, 제작해본 AAC 도구는 사진/그림 카드와 의사소통 판이었다. 다섯째, 학교관리자들은 관심이 적은 편이었으며 학교 별도의 지침이나 안내, 예산편성은 거의 없었다. 교사 인식에서는 첫째, 보완·대체의사소통 체계가 의사소통에 도움이 되며 사회성 향상과 의사소통빈도 횟수의 증가를 기대하였다. 둘째, 보완·대체 의사소통 지도의 체계적 도입이 시급하며 이를 위해 행·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셋째, 보완·대체의사소통체계에 대한 교육 받을 것을 희망하였으며 사례나 전략에 대한 정기적 연수(교육)의 실시와 보완·대체의사소통 도구 활용을 학생들에게 가르치는 방법에 대한 내용을 필요로 하였다. 넷째, 보완·대체의사소통 대화 상대자 교육이 매학기 1회 이루어져야 한다고 나타났다. 다섯째, 보완·대체의사소통 체계 활용의 가장 큰 방해 요인으로 교사의 지식과 경험 부족이라 하였다. Under the goal of investigating the current utilizations and perceptions of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among teachers at special schools for the mentally disabled,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at a total of five special schools for the mentally disabled and analyzed a total of 170 questionnaires collected. As for the findings regarding the utilizations of AAC, first, there were many students that needed an AAC system even though such a system was not in use. Second, picture cards and photographs were the AAC tools most frequently equipped at each classroom. Some AAC tools were not even used due to lack of knowledge about the ways they were used. Third, those who received education about an AAC system also had many experiences with it. and pictures and photographs were most utilized. Fourth, the teachers made such AAC tools as photograph/picture cards and communication boards first hand. Fifth, school administrators showed a little interest in AAC with schools providing additional guidelines or guidance about it. As for the teachers`` perceptions of AAC, first, they believed that an AAC system was helpful with communication and expected it to improve sociality and increase communication frequency. Second, they felt a need to systematically introduce AAC instructions and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s for it. Third, they hoped to receive education on AAC systems and exhibited the biggest need for regular in-service training (education) on cases and strategies and the methods to teach students how to make use of AAC tools. Fourth, they maintained that education on AAC partners should be provided once a semester. Fifth, they cited the teachers`` lack of knowledge and experience as the greatest obstacle to the utilization of an AAC system. Based on those findings, the study discussed whether the utilization of an AAC system had improved for students at special schools for the mentally disabled and what the future tasks and directions were.

      • KCI등재

        호흡 및 구강운동훈련이 경직형 뇌성마비아동의 자음정확도와 발성 호기 시간에 미치는 효과

        전병운,서정은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07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49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 more qualitative, intelligently speech therapy, improving the vowel prolongation, the percentage of correct consonants, for spastic cerebral palsy children through respiration and oral motor training. To solve these problem was used AB design about 3 objects with spastic cerebral palsy children at preschool age. The aspiration and oral motor discipline have been divided 6 stage with the facilitation technique on phonological processing including consonants, vowel. As a result of the review, the conclusion were as follows : the percentage of correct consonants at the articulation method, place was increased by aspiration and oral motor discipline. And the vocalization prolongation was increased by aspiration and oral motor discipline. At a result, these investigation was viewed that cerebral palsy children through aspiration and oral motor discipline may be helped. Moreover at the more early age the intervention may be conducted. 본 연구의 목적은 학령기 전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을 대상으로 호흡 및 구강운동 훈련을 통해 자음정확도를 향상시켜 음운 오류율을 감소시키고 발성 호기 시간을 연장하여 보다 명료한 언어를 구사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하는 것으로 3명의 대상아동들에 대하여 AB설계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호흡 및 구강훈련이 조음위치와 조음방법을 통해 본 자음정확도에 긍정적 결과를 보여 주었으며, 발성을 위한 호기 시간도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뇌성마비 아동에 대한 언어중재에서 비정상적인 호흡 패턴을 바꿔주고, 조음기관의 촉각적 예민성을 줄여줄 수 있는 구강운동훈련과 같은 중재가 반드시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