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WOT분석을 이용한 중국 관광객의 한국 유치를 위한 전략제안과 유통업의 역할

        全冬梅(전동매) 한국유통학회 2006 한국유통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 No.-

        중국 경제의 눈부신 성장에 따라 아웃바운드 관광도 세계적으로 가장 빠른 속도로 성장하였다. 성장잠재력이 무궁한 중국 아웃바운드 관광시장을 앞두고 세계 각국의 경쟁이 점점 치열해지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중국 아웃바운드 관광시장에 대한 이해와 효과적인 관광객 유치전략 개발이 한국 관광업체에게 아주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먼저 중국 아웃바운드 관광시장과 중국인 방한 실태 고찰을 통해서 인구, 정치, 경제, 문화, 소비자, 경쟁자 등 환경요소를 조사하였다. 그 다음에 SWOT분석을 통해서 한국 관광업체에게 주어지는 기회와 위협, 한국 관광업체에서 가지고 있는 감점과 약점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SWOT분석 결과에 따라 중국 관광객 유치를 위한 마케팅 전략을 제시하고, 마케팅 전략에 있어서 유통업의 역할을 제시하였다. The competition between many countries for Chinese outbound tourism which have developed at the most fastest speed and has enormous potential in coming years is bitter. So it’s important to understand Chinese outbound tourism market and develop strategy to attract Chinese tourists for Korean tourism industry to compete with rival countries. Therefore, this study first researched the environment factors such as population, politics. economy, culture, consumer and competition by reviewing Chinese outbound tourism market and the actual conditions of Chinese tourists to Korea. Then looked out opportunities, threats, strengths and weaknesses by SWOT analysis. Finally suggested marketing strategy for attracting more Chinese tourists according to SWOT analysis and discussed the role of distributio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임금근로 장애인의 직무만족도 변화궤적 연구

        전동일,서정민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2 장애와 고용 Vol.2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the vertical effect of wages, work-site accommodation and ages on the employees with disabilities of job satisfaction trajectory. To the end, the trajectories of change in the employees with disabilities was explained through a latent growth model based on disabilities panel surveys using 3year data and the effects of wages, work-site accommodation and ages on the trajectories of change of the employees with disabilities of job satisfaction was reviewed. The imputation of results were as follow. First, Job satisfaction has been changed over years and difference between individuals in the employees with disabilities of job satisfaction were statically significant. Predicting factors for the employees with disabilities of job satisfaction were reviewed and the results indicated that wages and work-site accommodation significantly affected both initial level of the employees with disabilities of job satisfaction and change rate. On the other hand, it was indicated ages significantly affected initial level of the employees with disabilities of job satisfaction but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change rate of the employees with disabilities of job satisfaction. It is suggested that the effect wages, work-site accommodation are relatively more important to the employees with disabilities of job satisfaction than ages. 임금근로 장애인의 연차별 직무만족 변화 양상을 살펴보고, 직무만족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임금과 배려 그리고 연령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잠재변화모형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직무만족도의 변화궤적을 살펴보기 위해 무조건 모델과 선형 모델을 비교하여 선형모델을 선택하여 분석한 결과, 임금근로 장애인의 직무만족도 수준의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간의 차이가 있었으나, 직무만족도는 모두 증가하되 격차는 시간에 따라 간격이 좁혀졌다. 둘째, 임금의 초기치와 변화율, 배려의 초기치와 변화율, 연령의 초기가 직무만족도 변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금과 배려가 높을수록 직무만족도는 증가하고, 변화율은 완만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 효과는 초기의 직무만족도 수준은 차이가 있었으나, 시간에 따른 직무만족도의 변화를 가져오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임금근로 장애인에게 단순한 일자리의 제공으로 주어지는 임금 보다는 전문 직종에 종사할 수 있도록 지원하거나 임금 보존 정책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발달장애인 부모의 대리 의사표시의 정합도와 편향에 관한 연구

        전동일,전지혜 중소기업융합학회 2019 융합정보논문지 Vol.9 No.5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인 부모가 발달장애인의 의사를 잘 대리하는지를 분석하는데 있다. 분석 자료는 2014년 장애인실태조사 원자료를 활용하였다. 발달장애인 본인이 응답한 내용과 발달장애인을 대신하여 부모가 응답대리한 항목 의 값의 일치도를 통해 부모 대리응답자의 의사표시의 정합성과 편향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부모 대리응답자는 발달장애인에 대해 삶의 만족도와 같은 실태에 대해 잘 응답대리하고 있으나 비용 항목은 심하게 과대 계상하는 긍정편향 을, 차별 인식은 부정 편향 대리가 나타났다. 둘째, 자립과 관련되어 다수의 발달장애인 부모 대리응답자는 발달장애인 본인과 의사표시 정합성이 높았다. 다만, 약 5~10% 정도의 부모 대리응답자가 발달장애인과 의견과 달리 시설 형태의 비일반주택을 선호하여 자립정책을 왜곡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향후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하는 욕구 및 자립의향 연구조사시 가능한 당사자의 응답을 받을 수 있어야 함을 제안하였고, 대리응답의 정합도 연구가 다차원 적으로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ether par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 well represented by the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alysis data is based on the data from the Survey on Disability Survey in 2014. We analyzed the consistency and biases of the parent's proxy respondents' opinions by the degree of agreement between the contents of the perso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 value of items that the parents answered on behalf of the development disabled. First, the parents' proxy respondents responded well to the actual situation such as life satisfaction for the developmental disabled, while the parental proxy respondents showed the positive bias to overestimate the cost items and the negative bias to recognize the discrimination. Second, in relation to independent living, the majority of the parents of the developmental disabled respondents had a high agreement with the developmental disabled person. However, about 5 ~ 10% of the parents' proxy respondents seem to have a tendency to distort the independent living policy by preferring non-standard housing types, unlike thos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ased on this, it was proposed that the respondents should be able to receive the answers of the possible parties in the future research on desire and independent living related intention toward the developmental disabled, and the research on the matching of the proxy response is needed in a multidimensional manner.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정보통신산업기술분야 지체장애인 친화적 직종 개발 연구

        전동일,오봉욱,임재현,홍현근 한국장애인개발원 2018 장애인복지연구 Vol.9 No.2

        This study aims at developing new types of occupations in the industrial technology sector suitable for the disabled and discovering job tasks. The method was carried out to draw disabled-friendly occupations to use a literature search, focus group interview (FGI), and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The disabled workers in the industrial technology sector and those responsible for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had a high demand on field-type training, project-type training, and online technical training as well as on introduction of coordinators in charge of such training. And they requested the system that provides field-type training within the company so that it can lead them to employment later on for further career, rather than establishing a separate institution. And, by AHP for drawing the disabled-friendly occupations in the industrial technology sector, IT & knowledged-based, suitability to perform, and availability of employment, and possibility of continuous work were selected as the components of the disabled-friendly occupations in the industrial technology; and 111 disabled-friendly occupations were drawn. Based on the results of study, discussion in this study proposed plans to develop training course and contents, plans to provide career information and publicize, and plans. 본 연구는 사회 환경 변화에 따라 장애인에게 적합한 정보통신산업기술분야의 직종을 개발하고 근속가능성이 큰 직무를 발굴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은 문헌조사와 표적집단 면접조사(FGI), 계층분석법(AHP)을 통해 장애인 친화적 직종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정보통신산업기술분야에서 근무 중인 근로장애인과 직업재활 실무자들은 현장형 교육, 프로젝트형 교육, 온라인 기술교육 및 이와 관련된 코디네이터 도입에 대한 요구도가 높았고, 교육훈련을 위한 별도의 기관 설립보다는 기업체내 현장형 교육이 실시되어 차후 채용으로 연결되어 경력을 쌓을 수 있는 방식을 요구하였다. 또한 정보통신산업기술분야 장애인 친화적 직종의 구성 요소는 IT·지식기반성, 수행적합성, 취업용이성, 근무지속성이 선정되었으며, 장애인 친화적 직종으로는 111개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교육과정 및 콘텐츠 개발 방안, 진로정보 제공 및 홍보방안, 활용을 위한 법제도 정비 방안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