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장애인접근성표지의 올바른 의미와 형태에 관한 연구

        홍현근 ( Hong Hyun Kun ) 한국장애인개발원 2011 장애인복지연구 Vol.2 No.3

        장애인이 이용 가능한 건축물이나 시설이 있음을 나타내는 표지는 우리나라에서는 ‘편의시설 안내표시’ 로서 국제적으로는 ‘접근성표지’ 또는 ‘장애인접근성표지’ 라는 이름으로 사용되어 지고 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장애인접근성표지는 그 의미에서 뿐만 아니라 형태적으로도 기이한 모양을 하고 있다. 이의 원인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그 올바른 사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외국에서는 국제표준(ISA)을 표준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독자적으로 국내표준(KS DA)을 제작하여 사용하고 있지만 통일된 사용기준이 없어 사용자들이 그 사용방법에 대하여 혼란을 겪고 있었다. 그리고 일부 그림 표지는 직관적인 이해가 불가능하여 픽토그램으로서의 기능을 상실한 것도 있었다. 또한, 장애인복지의 패러다임이 재활에서 자립생활로 전환된 것과 궤를 같이 하여 장애인접근성표지도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야만 하는 재활의 이미지를 풍기는 ISA와 스스로 독자적으로 생활을 개척해 나가는 자립생활의 이미지를 나타내는 KS DA에 대한 호감도에서 단순형태론에서는 ISA가 높았지만 앞에서 언급한 의미론이 부가되었을 때는 KS DA가 더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국내에서 ISA와 KS DA의 두 가지 표준 중 양자택일하여 사용하여야 할 경우 후자를 선택해야 한다는 의견이 높았다. 결론적으로, 장애인접근성표지에 대한 통일된 사용기준 부재로 인한 잘못된 사용과 중복사용으로 인한 이용자의 혼란, 향후 국제화시대에 그 사용권한에 대한 법적 분쟁을 방지하기 위하여 장애인접근성표지의 통일된 사용기준 수립과 사용방법에 대한 홍보 및 법적분쟁에 대비한 저작권 등 지적재산권 등록에도 철저를 기하여야 할 것이다. Signage used to indicate buildings and facilities with disability access are called ‘Convenience Facility Signage’ in Korea and internationally, they are called ‘Accessibility Signage’ or ‘Disabled Accessibility Signage.’ Unfortunately, the convenience facility signage used in Korea often do not convey its intended meaning and also come in irrelevant design such that users have difficulty understanding what they mean intuitively. This paper will analyze causes and problems involving the aforementioned issues and suggest their proper usage. Our research showed that International Symbol of Access(ISA) is used as the governing standard in foreign countries. Korea, however, is using its own independent national standard called Korean Symbol of Disability Access(KS DA), but there is no unified standard for its images and users are often confused with its proper usage. Some of its images lack its functional requirement as pictogram because it cannot be understood intuitively. Also, in line with the changed welfare for the disabled has shifted from rehabilitation to independent living, we also learned from the preference study as part of this research indicated that people preferred ISA over KS DA in terms of design and physical appearance but their preference changed with messages each signage implies: People preferred proactive and independent spirit implied by the KS DA over ISA, which suggests need for professional rehabilitation help for the disabled. When given a choice between ISA and KS DA, many chose that the latter should be used. In conclusion, it is strongly advised to establish and promote unified standard for disability accessibility signage and also prepare rigorously to protect copyright and intellectual property right in case of possible legal disputes. Doing so would prevent confusion by users due to misuse and redundant use of the signage that arise from lack of unified standard, and also guard against possible legal dispute over its usage and rights in the near future of the global age.

      • KCI등재

        지체장애인의 자율주행차량 기반 특별교통수단의 미래 이동지원서비스 니즈 분석

        도유미,홍현근,오창석,장정아,김석현 대한경영정보학회 2022 경영과 정보연구 Vol.41 No.4

        인간에게 있어서 이동의 자유 및 이동권은 자신의 기본권 실현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특히 장애인뿐만 아니라 노인, 임산부 등 이동에 불편을 가지는 교통약자들에게 있어 이동권 보장에 대한 과제는 중요하게 인정되고 있다. 교통약자에게 이동권 확보는 삶을 영위하는 사회적 일부로서의 삶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적인 요소이다. 한편, 자율주행차량은 미래형 자동차로써 ‘이동’이라는 측면에 있어서 교통약자들에게 이동으로부터의 자유를 기대할 수는 있으나 자율주행차량의 광범위하고 보편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실현하기 위한 시설 등이 구축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며, 이에 대한 사회 전반의 인지상황이나 제도 및 정책은 이렇다 할 변화가 없는 상황에서 자율주행차량기반 미래 이동지원서비스에 대한 교통약자의 요구사항을 선행적으로 파악하고자 하는데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목적을 바탕으로 특별교통수단을 이용하고 있는 지체장애인을 대상으로 서비스 디자인 방법론과 퍼실리테이션, 디자인 씽킹 등 인간중심 디자인 방법론을 활용하여 특별교통수단 이용행태에 따른 이동지원서비스에 대한 이용자 여정맵을 도식화하고 미래의 자율주행차량 기반 이동지원서비스에 대한 이용자의 핵심 요구사항 62건을 제시하여 후속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자율주행기반 교통약자 모빌리티 사용자 서비스 평가지표 개발: 전문가패널 델파이 조사를 통해

        도유미,홍현근,박종현,전광민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2023 재활복지 Vol.27 No.4

        This study explores performance indicators of mobility services for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based on autonomous driving technology. Therefore, the elements of evaluation indicators such as items, factors, and detailed indicators of performance indicators are identified. The study consisted of two Delphi surveys through an expert panel. The expert panel invited experts in related fields such as people with disability, welfar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utonomous driving, and AI. The survey period was conducted from August 25 to September 12, 2023.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index search for autonomous driving-based mobility user services for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are as follows. First, usability, convenience, safety, and acceptability are important evaluation indicators for user service. Second, availability, convenience, reliability, and accessibility are important evaluation indicators for the policy support system. However, since the WTP indicator was not ultimately included, it needs to be considered as an important indicator when evaluating actual service performance in the future. The derivation of this evaluation index reflects users' needs for future mobility mobility support services for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based on autonomous driving technology and can play a role in checking service effectiveness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n evaluation system. 이 연구는 자율주행기술을 기반으로 교통약자 모빌리티 서비스의 성과지표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에 성과지표의 항목, 요인, 세부지표 등 평가지표의 요소를 확인한다. 연구조사는 전문가 패널 구성을 통한 델파이 조사를 총 2회로 구성하고 전문가 패널은 장애인당사자, 장애인 복지, 자율주행, AI 등 관련 분야의 전문가를 섭외하였다. 조사기간은 2023년 8월 25일부터 9월 12일까지 수행되었다. 자율주행기반 교통약자 모빌리티 사용자 서비스의 평가지표 탐색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용자 서비스 평가 지표는 이용성, 편의성, 안전성, 수용성이 중요한 평가지표이다. 둘째, 정책지원시스템 평가지표는 가용성, 편의성, 신뢰성, 접근성이 중요한 평가지표이다. 다만, Willingness to Pay 지표가 최종적으로 포함되지 않아 향후 실제 서비스 성과 평가시 중요한 지표로 고려될 필요가 있겠다. 한편 본 평가지표 도출은 자율주행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교통약자를 위한 미래 모빌리티 이동지원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니즈를 반영하고 평가체계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서비스 효과를 체크할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정보통신산업기술분야 지체장애인 친화적 직종 개발 연구

        전동일,오봉욱,임재현,홍현근 한국장애인개발원 2018 장애인복지연구 Vol.9 No.2

        This study aims at developing new types of occupations in the industrial technology sector suitable for the disabled and discovering job tasks. The method was carried out to draw disabled-friendly occupations to use a literature search, focus group interview (FGI), and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The disabled workers in the industrial technology sector and those responsible for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had a high demand on field-type training, project-type training, and online technical training as well as on introduction of coordinators in charge of such training. And they requested the system that provides field-type training within the company so that it can lead them to employment later on for further career, rather than establishing a separate institution. And, by AHP for drawing the disabled-friendly occupations in the industrial technology sector, IT & knowledged-based, suitability to perform, and availability of employment, and possibility of continuous work were selected as the components of the disabled-friendly occupations in the industrial technology; and 111 disabled-friendly occupations were drawn. Based on the results of study, discussion in this study proposed plans to develop training course and contents, plans to provide career information and publicize, and plans. 본 연구는 사회 환경 변화에 따라 장애인에게 적합한 정보통신산업기술분야의 직종을 개발하고 근속가능성이 큰 직무를 발굴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은 문헌조사와 표적집단 면접조사(FGI), 계층분석법(AHP)을 통해 장애인 친화적 직종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정보통신산업기술분야에서 근무 중인 근로장애인과 직업재활 실무자들은 현장형 교육, 프로젝트형 교육, 온라인 기술교육 및 이와 관련된 코디네이터 도입에 대한 요구도가 높았고, 교육훈련을 위한 별도의 기관 설립보다는 기업체내 현장형 교육이 실시되어 차후 채용으로 연결되어 경력을 쌓을 수 있는 방식을 요구하였다. 또한 정보통신산업기술분야 장애인 친화적 직종의 구성 요소는 IT·지식기반성, 수행적합성, 취업용이성, 근무지속성이 선정되었으며, 장애인 친화적 직종으로는 111개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교육과정 및 콘텐츠 개발 방안, 진로정보 제공 및 홍보방안, 활용을 위한 법제도 정비 방안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 KCI등재

        Lv.4+ 자율주행기술을 적용한 교통약자 모빌리티 서비스에 대한 휠체어 이용 장애인의 요구분석: KANO모델 적용

        도유미(Do, Yu Mi),홍현근(Hong, Hyun Keun),오창석(Oh, Chang Seok),장정아(Jang, Jeong A),김석현(Kim, Seok Hyun) 한국직업재활학회 2021 職業再活硏究 Vol.31 No.3

        인간에게 있어서 이동의 자유 및 이동권은 자신의 기본권 실현에 있어 매우 중요하고, 특히 장애인뿐만 아니라 노인, 임산부 등 이동에 불편을 가지는 교통약자들에게 있어 이동권 보장에 대한 과제는 중요하게 인정되고 있다. 휠체어 이용 장애인에게 이동권 확보는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삶을 가능하게 하는 필수적인 요소이다. 한편, 자율주행차량은 미래형 자동차로써 ‘이동’이라는 측면에 있어서 휠체어 이용 장애인에게 이동권의 자유를 기대할 수 있으나 자율주행차량의 광범위하고 보편적인 이용의 실현을 위한 시설 등이 구축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고, 이에 대한 사회 전반의 인지 및 제도, 정책은 이렇다 할 변화가 없는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휠체어 이용 장애인의 자율주행기반 미래 모빌리티 서비스에 대한 기능적 우선순위를 검토하기 위하여 KANO 모델 분석기법을 사용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휠체어 이용 장애인의 요구사항에 대한 기술적 선호도 우선순위를 확인할 수 있었다. KANO 모델을 적용한 결과 총 31개의 품질평가 항목요소 중 일원적 품질요소 15개 항목, 매력적 품질요소 13개 항목, 무관심 품질요소 2개 항목, 당연적 품질요소 1개 항목으로 도출되었으며 휠체어 이용 장애인의 요구사항 정의에 따른 PCSI를 기반한 우선순위 5가지는 ⑴ 문자로 안내 문자 수신 기능(이용일시, 목적지, 차량번호 등), ⑵ 앱에서 예약 취소 기능, ⑶ 차량에서 이용자 인식 기능(센서, 음성, 키패드, NFC 방식 등) 및 음성안내, ⑷ 차량에서 돌발상황 발생시 관제센터 연결 기능(음성인식 기반), ⑸ 앱에서 예약변경 기능(시간, 경로) 가능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Lv.4+ 자율주행기술을 적용한 교통약자 모빌리티 서비스 기술 개발에 있어 휠체어 이용 장애인의 기능적 요구사항을 확인하고 기능적 우선순위를 검토함으로써 향후 특별교통수단 서비스에 대한 자율주행기술 개발의 성공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For human beings, freedom of movement and the right to move are very important in realizing their basic rights. In particular, the task of securing the right to move is recognized as important not only for the person with disabilities, but also for the transportation-disabled people who have difficulty in moving, such as the elderly and pregnant women. For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securing the right to move is a functional element that enables life as a social part of life. On the other hand, autonomous vehicles can expect freedom from movement for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in terms of ‘mobility’ as a futuristic vehicle. However, facilities for realizing the widespread and universal use of autonomous vehicles have not been established. In addition, there is no significant change in society s perception, system, and policy regarding this. Therefore, this study used the KANO model analysis technique to review the functional priorities for autonomous driving-based future mobility services for the wheelchairs users and analyzed the results.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technical preference priority for the requirements of the wheelchair users. The results of applying the KANO model are as follows. Among the 31 quality evaluation item elements, 15 items of onedimensional quality factor, 13 items of attractive quality factor, 2 items of indifferent quality factor, and 1 item of must-be quality factor were derived. And the five priority based on PCSI according to the definition of requirements of wheelchair users are as follows. ⑴ Text message reception function (date of use, destination, vehicle number, etc.), ⑵ cancel reservations in the app, ⑶ user recognition function in vehicle(sensor, voice, keypad, NFC method, etc.), ⑷ control center connection function in case of unexpected situation in vehicle(voice recognition based), ⑸ reservation change function available in the app(time, route). Therefore, this study confirms the functional requirements of wheelchair users in the development of mobility service technology for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in traffic using Lv.4+ autonomous driving technology. And by examining the functional priorities,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success of autonomous driving technology development for special transportation services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지체장애인 편의시설지원센터 종사자의 직무분석

        전동일(Chun, Dong-Il),오봉욱(Oh, Bong-Yook),임재현(Lim, Jae-hyun),홍현근(Hong, Hyun-Keun) K교육연구학회 2019 사회과학리뷰 Vol.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편의시설지원센터 종사자(가칭 편의증진사)가 수행하고 있는 직무를 체계화하기 위한 직무모형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데이컴법을 활용하여 6명의 데이컴 위원회를 구성하고 3회의 데이컴 워크숍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직무모형은 9개 책무, 31개 작업이 도출되었다. 기술직의 책무는 민원상담(A), 건축허가지원(B), 사용승인지원(C)이었으며, 행정직의 주요 책무는 일반행정(H), 재무회계(I) 이었다. 교육(D), 홍보(E), 실태조사(F), 연구(G)의 책무는 기술직과 행정직의 공통 업무였다. 또한 난이도와 빈도가 가장 높은 책무는 연구 책무였으며, 중요도가 가장 높은 책무는 건축허가 지원 책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제시된 편의시설지원센터 종사자의 표준 업무는 종사자의 업무수행에 있어 전문성과 효율성을 높이는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작업요소별로 제시된 빈도, 난이도, 중요도 등은 향후 관련 전문 교육 및 자격제도 수립에 중요한 근거가 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직무분석 결과에 근거한 체계화된 교육훈련 프로그램과 관련 전문자격을 구성하는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task model for systematizing the tasks performed by staffs of the Amenity Technical Assistant Center for the Disabled. To accomplish this, DACUM method was applied by organizing a DACUM committee with six committee members, and the conclusion was drawn through 3 DACUM workshop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nine duties and 31 tasks were derived from the task model. The duties of the technical staffs were civil affairs consultation, building permits, and approval of use, and the duties of the administrative staffs were general administration and accounting/finance, while education, public relations, survey, and research were the common duties of technical and administrative staffs. In addition, the duties with the highest level of difficulty and frequency was the research duty, and the duty with the highest criticality was the duty of building permits. The standardized tasks of the staffs of the Amenity Technical Assistant Center for the Disabled presented b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important information for improving the professionalism and efficiency in the task performance of the staffs. Additionally, the frequency, difficulty, and criticality presented by each task component are the important basis for establishing relevant professional education and licensing system. Consequently, this study proposes a follow-up research on constructing systematic educational training program and relevant professional licensing system based on the task analysis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