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구법(灸法)과 intense pulsed light(IPL)의 특성 비교 및 광선구(光線灸)의 한방임상(韓方臨床) 활용(活用)

        장인수,선승호,남동현,금수연,서형식,Jang, In-Soo,Sun, Seung-Ho,Nam, Dong-Hyun,Kum, Su-Eun,Seo, Hyung-Sik 대한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 2010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Vol.23 No.3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principles between moxibustion and the 'Intense pulsed light (IPL)' and to investigate the clinical application of the photo-moxa for the Korean medicine fields. Methods : The characteristics of moxibustion, IPL, parabolic reflector moxa and the dermatology surgical use of moxibustion were reviewed in the literature. Results : IPL is one type of light treatments that is employed by radiating the short-pulse wave, which is transformed from the light of high intensity. There has been used parabolic reflector in Asia for more than 2,000 years, and this hand-held device used for moxibustion in traditional medicine. Moxibustion is one of the treatment tools in Korean medicine using the heat energy. The fluence or energy density of IPL in clinical circumstances is similar to parabolic reflector moxa of moxibustion. IPL and parabolic reflector moxa shared same treatment principle employing the heat energy. Therefore IPL could apply for many indications in Korean medicine as a moxibustion tool and acupuncture. Conclusions: IPL may be plausible to be a fascinate method in phototherapy of Korean medicine.

      • 동영상 기반 산불 감지 학습 모델 분석

        장인수(In-su Jang),김광주(Kwang-Ju Kim),임길택(Kil Taek Lim) 한국통신학회 2021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6

        정형적인 형태가 있는 객체 검출 기법과는 달리 화재 인식은 시간에 따란 형태가 변하는 비정형적인 객체를 검출해야 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이미지 한 장을 이용하는 딥러닝 네트워크 기반 검출 기법을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시간에 따른 변화를 인지하기 위해 동영상 데이터를 사용하는 경우, 촬영된 카메라와 네트워크의 상태에 따라 모션 정보가 다르게 저장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인식을 위해서는 다양한 환경에 대한 대량의 데이터가 요구되며, 확보된 데이터에 최적화된 딥러닝 모델이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실제 화재 동영상에서 불꽃과 연기에 해당하는 부분을 추출하여 동영상 데이터 셋을 구축하였다. 또한, 다양한 동영상 기반 인식 모델에 대해 구축된 데이터 셋을 활용하여 테스트를 진행하였으며 결과를 분석하였다.

      • KCI등재

        일반논문 : 제국의 절취된 공공성 - 베를린올림픽 행사 "시"와 일장기 말소 사건

        장인수 ( In Su Jang ) 반교어문학회 2015 泮橋語文硏究 Vol.0 No.40

        1936년 베를린올림픽 마라톤에서 손기정은 일본 국가대표로 출전해 우승한다. 그것을 기념하여 사이조 야소(西條八十)는 『요미우리신문』에 <우리의 영웅!>(我等の英雄)이라고 하는 행사시를 게재한다. 그 시에서 사이조 야소는 손기정의 승리를 ‘우리(일본인)의 승리’로 규정하면서 ‘내선일체의 사상’과 일본의 국가주의를 현창한다. 손기정의 쾌거는 식민지 조선에서도 신문·라디오 등의 미디어를 통해서 빠르게 전파된다. 『조선중앙일보』와 『동아일보』는 각각 심훈, 서항석의 기념시를 게재한다. 기념시에서 그들은 손기정의 승리를 ‘민족의 승리’로 바라보면서 감격한다. 그들은 ‘고토’, ‘조국’, ‘옛조선’과 같이 제국에 의해 금지된 기호들을 전면에 내세우면서 민족의 공적 감각을 고양시키는 데 주력한다. 이러한 민족적 감격과 흥분 상태는 양 신문사의 ‘일장기 말소 사건’으로 이어진다. 그 사건으로 인해 양 신문사는 폐간되거나 무기한 정간되고, 많은 관련 자들이 고초를 겪는다. ‘비국민적인 태도’가 문제시되었으나, 그 사건은 사실 일본 저널리즘의 사진 이미지를 훼손하여 그 저작권을 침해한 사건일 따름이었다. 심훈과 서항석의 시가 제국의 메시지를 절취하여 국가가 없는 식민지적인 질곡의 상태에서 공적 감각을 단련시킨 사건이었다면, ‘일장기 말소 사건’은 그연장선상에서 제국의 시각적 이미지를 절취하고 제국의 공공성을 교란시킨 사건이었다. Son Gi-Jeong raced for the Japan team and won the marathon race at the 1936 Berlin olympics. To commemorate it, Saijo Yaso[西條八十] wrote an occasional poem, "Our hero" in the Yomiuri Shimbun. In "our Hero", Saijo declared Son``s win in a victory for ``our Japan``, and propagated the policy of ``Korea and Japan are one`` as a result. Son``s heroic achievement was rapid dissemination through the media in the colonial Chosun. Sim Hun``s occasional poem was posted on the Chosun Jungang Ilbo, and Seo Hang-seok``s poem was posted on the Dong-A Ilbo. In their poems, they have so much excitement in Son``s victory defined as a people``s victory. They inspire public sense of the race citing the banned symbols by the Empire. This nationalistic fever brought about the erasure of Japanese national flag. The incident has led two newspapers are shut down or indefinitely be suspension, and many people involved in had difficulties. The authorities brought their unpatriotic attitudes into question, but the essence of the incident was Japanese newspaper picture of a copyright violation. Shim and Seo trained public senses that had been the case in colonial state``s ordeal in their occasional poems by cutting messages of the empire. And then an extension of it, the erasure of Japanese national flag was an incident which disrupts the publicity of the empire by cutting images of the empire.

      • KCI등재

        실추된 남성 사회와 결여가 있는 여성 -심훈의 소설을 중심으로-

        장인수 ( Jang In-su ) 한민족문화학회 2017 한민족문화연구 Vol.58 No.-

        심훈 소설에는 남성 사회의 실추와 여성의 성장이 그려져 있다. 그의 소설에서 남성들은 근대 권력에서 배제되고 남성성을 박탈당한 모습으로 재현된다. 그들은 `에로청년`이 되거나 `금욕주의자`가 되지 않을 수 없었다. `에로청년`들은 자신들을 남성으로서 승인해줄 근대 여성을 찾아 헤매며 호색한이 되어간다. `금욕주의자`들이 남자로 승인 받기 위해서는 독립운동의 본산인 `상해`로의 탈출이 전제되어야 했다. 그들은 세대재생산을 위한다는 합리화를 거쳐 혼인에 이르거나, `군복`의 힘을 빌려 비로소 남성이 된다. 식민지 조선의 실추된 남성 사회는 심훈 소설에서 여성혐오와 관음증적 시선에 의해 구조적으로 떠받혀진다. 심훈은 신여성을 혐오와 관음증적 감시 속에 방치해둠으로써 여성을 상대화하고 겨우 남성 사회의 실추를 만회하는 전략을 취한다. 기본적으로 심훈의 소설들은 남성 중심적이다. 그러나 그가 여성들의 성장을 비중 있게 다루고 있다는 것도 엄연한 사실이다. 그것은 건실한 운동가로서의 남성들 역시 `운동` 속에 있는 한 일제의 탄압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점과, 남성들의 `운동`이 이론 투쟁으로 경화되고 내부적으로 분열되어 있다는 점과 무관하지 않다. 심훈은 제국의 지배가 미치지 않는 공동체에 대한 노스탤지어 속에서 `연대`로서의 사회가 가능한 지점을 모색한다. 그는 여성들 사이의 친밀감에서 `연대`의 가능성을 타진하기도 한다. 그리고 그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그는 이상적인 여성으로 `결여가 있는 인물`들을 내세운다. `추녀(醜女)`는 그 대표적인 예다. 그녀들은 남성처럼 일을 하며, 심지어 여성처럼 보이지도 않을 정도이다. 그녀들은 외로운 존재들이며, 그 때문에 더더욱 끈끈한 연대, 공동체를 희구한다. 심훈 소설에서 `국가`가 `고향`으로 대체되었다고 한다면, `여성` 역시 결여된 형상으로 남성을 대신한다. Shim Hun described the loss of male society and the lack of women in his own novels. In his novels the man were excluded from political power, and they did not have the manhood sufficiently. They became the erotic boy, or the stoic. The erotic boy combed the road for the modern girl. They wanted to be a real man through the approval of their modern lovers. The stoic also wanted to a real man. They had to go to `Shanghai` that could be a real man, because there were the political space to them. They had their share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They could be a real man through the marriage or the enlistment. In the course Shim hun depended on the misogyny and the structure of voyeurism. Basically his novels were a malecentered narrative. But it`s also true that he treated the formation of the female importantly. To describe the social adventure of the man was too difficult in the colonial era. And the man`s social movement went to increasingly rigid. So Shim Hun tried to find the new possibility in the woman`s solidarity, not the man`s movement. He took in the intimacy of women. He believed that it was more important than a theorical dispute. He found the ugly woman. The ugly woman were an ideal character for him. For them, there was lack. What was worse, they were not look like women. They worked like the man. They were lonely people. And then they desired the sticky solidarity. If the state was substituted by the home town in Shim hun`s novels, the man was substituted by the lack of women.

      • KCI등재

        식민지 건축의 이데올로기와 경성(京城)의 기억

        장인수 ( Jang In-su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6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66 No.-

        이 논문의 목적은 식민지 건축을 통해 경성의 기억을 재구하고, 식민지 건축의 이데올로기를 해명하는 데 있다. 식민지 건축은 모두 지배자의 이데올로기를 체현한 아키텍처라는 점, 그자체로 지배자의 이데올로기를 피식민자들에게 전파하는 미디어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은뢰』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일제는 낡고 허물어져가는 조선적인 것과 새롭고 견고한 식민지 근대 건축을 대비함으로써 식민 지배를 ‘시혜적인 통치’로 미화하고자 했다. 조선신궁은 그와 같은 지배를 정신적인 방면에까지 확대함으로써 ‘지배의 영속화’를 꾀한 것이었다. 식민지 조선의 문인들은 식민지 건축에 내재한 지배자들의 이데올로기를 의식하고 있었다. 그들은 경성의 외관에 관심을 기울이면서도 그것을 착잡하게 바라볼 수밖에 없었다. 김광균은 조선호텔이 있는 하세가와초에 내리는 눈이 도시의 경관을 하얗게 지우는 모습에서 노스탤지어에 휩싸였고, 박태원은 경성부청과 덕수궁을 비교하면서 식민지 근대의 불완전성에 낙담했다. 김광균이 <장곡천정에 오는 눈>을 개작하는 과정에서 그것을 피상적인 스케치로 만든 데비해, <소설가 구보 씨의 일일>에서 박태원은 배회를 거듭하면서 그 현실 인식의 깊이를 더해갔다. 한편 최재서는 조선신궁에 대한 묘사로 그의 첫 일본어 소설 <보도연습반>을 시작했다. 그것은 그대로 국책 협력의 길로 나아가기 위한 일종의 이니시에이션이었다. 경성에 대한 기억은 식민지 조선의 문인들뿐 아니라 재조 일본인의 시선까지를 아우를 때 더 진면목에 다가갈 수 있다. <취한 배>에서 재조 일본인 소설가 다나카 히데미쓰는 경성의 풍경을 여러 식민지 건축과 뒷골목의 소음 들로 생동감 있게 형상화했다. 그는 태평양전쟁 종전 후 비판적인 관점에서 식민지 수도 경성의 식민성을 폭로하고, 제국의 지배 이데올로기에 야유를 보냈다. 식민지 건축은 경성의 기억을 그대로 담고 있다. 그것의 중개 없이 우리가 식민지 근대의 현실에 다가갈 수 없다는 것은 쉽게 간과되곤 한다. 우리는 어두웠던 일제시기를 잊고 싶어한다. 그러나 어둡고 불행한 역사도 우리의 역사라는 것은 부정할 수 없다. 식민지 건축을 보존하고 그 건축의 역사를 기억하는 것은 후대 사람들의 몫이다. Around 1925 the landscape of Kyeong-Seong[京城] has changed considerably. In this time the architecture of important colonial institutions were completed. And they became the land mark in Kyeong-Seong.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frame the memory of Kyeong-Seong through the colonial architecture, and the other purpose is to clarify the ideology of the colonial architecture. The colonial architecture embodied the ideology of the ruler. And it has also played a role in mediating between the ruler and the colonial people. As you can see Mitamanohuyu[恩賴, 1937] the japanese ruler tended to glamorize colonial domination. They contrasted the crumbling palace of choseon[朝鮮] and the solid colonial architecture. They were modern transplanter. Nevertheless their objective was an economic exploitation, they wanted to say that the modern was the dispensation of the empire. They wanted to extend the ruling of the spirit of the area. Choseon Jingu[朝鮮神宮] was the symbolic device for a permanent ruling of colonial choseon. The writer of the colonial choseon knew the ideology of the ruler that was inherent in the colonial architecture. Despite interested in urban landscape, they looked at it with eyes of mixed emotions, or they turned away from it. In the white snow that erases a landscape of Choseon Hotel, Kim Kwang-Kyun was consumed by emotion. After comparing the Kyeong-Seong city hall and Teoksu-Palace, Park Tae-Won was disappointed in colonial reality. Kim Kwang-Kyun turned the sentimental landscape superficial sketch in the course of an adaptation. But through the constant wandering, the depth of Park Tae-Won``s perception about the colonial reality increased. Meanwhile Choi Je-Seo started his first japanese fiction through describing Choseon Jingu. It was a kind of initiation for him to go down the path of pro-japanese. After the second world war, Tanaka Hidemisu[田中英光] also recalled the memories in Kyeong-Seong. He described more freely about colonial architecture. He disclosed the coloniality of Kyeong-Seong, and jeered the ruling ideology of the empire.

      • KCI등재

        일반논문 : 노희경 드라마에 나타난 게임적 요소와 그 구조적 의미 -「빠담빠담」과 「괜찮아 사랑이야」를 중심으로

        장인수 ( In Su Jang ) 한민족문화학회 2015 한민족문화연구 Vol.50 No.-

        2010년대 노희경은 게임적인 요소를 수용하면서 작법의 변화를 꾀한다. 「빠담빠담」(2011~2012)에서 그녀는 타임 슬립 장치와 메타서사적인 캐릭터를 드라마에 끌어들인다. 그리고 「괜찮아 사랑이야」(2014)에서는 ‘선택지’와 환상을 드라마에 끌어들인다. 그녀의 드라마에서 중요한 것은‘선택’의 문제다. 어떤 선택을 하느냐에 따라 ‘인생=이야기’는 달라진다. 그녀의 주인공들은 이 선택의 힘을 처음에는 믿지 않는다. 어떤 선택을 하면 필연적으로 누군가 상처를 입는다고 그들은 생각한다. 그래서 선택을 회피한다. 그러나 선택을 하지 않아도 누군가는 반드시 상처를 입는다. 따라서 그 ‘선택의 잔혹함’을 받아들이고 살아남기 위해서는 하나의 이야기를 선택해야 한다. 노희경은 그렇게 선택된 ‘인생=이야기’가 우리가 선택하지 않은 분기의 이야기를 포기한 대가로 얻은 것이라는 점에서 그 자체로 소중한 것이라고 본다. 그녀의 실험은 신자유주의로 인한 세계의 유동성이 확대되어가고 있는 상황에서 생존에 대한 감각이 일층 예민해져가는 사회 전반의 분위기를 대변한 것이다. 살아남기 위해 우리는 이 신자유주의적 상황을 ‘전제’로서 받아들인 가운데, 스스로의 힘으로 자신의 ‘인생=이야기’를 선택/결단해야 한다는 생각을 가진 사람들에게 그녀의 서사는 친숙하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서사전략은 선택을 강요하고, 그 선택에 대한 책임을 개인에게 돌린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In the 2010, Noh Hee Kyung is attempting to make changes in the method of composition. She is adopting the game element. In “Padam padam”(2011~2012) she adopted the device a time slip and the meta-narrative character. And in “It`s all right, this is love”(2014) she made good use of the branching type narration and the fantastic figure. The most important thing is ‘a matter of choice’ in her recent works. The ‘Life=story’ is determined depending on what we choose. Her protagonists do not believe the power of choice. At first they think which doesn`t necessarily choose someone will get hurt. For that reason, they avoid the choice. But even if we don`t choose someone is wounded. Therefore we have to accept the cruelty of the choice to survive. We have to choose the story of one. The chosen story is a precious in itself, because we got in return given up the story what we don`t make a selection. Her experiments reflect an atmosphere of the neo-liberal society. The liquidity of the world is increasingly expanding. We struggle every day to survive in the world of flux. The people familiar with the survival game of the neo-liberalism sympathize with her works. However this narration strategy has a problem. It enforce a choice, and it is asking individuals to the responsibility about it.

      • KCI등재

        유아 부모의 자녀 미디어조절력 교육에 대한 인식 및 요구

        장인수(In-Su Jang),조준오(Jun-Oh J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16

        목적 본 연구는 유아 미디어조절력 교육의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유아 부모의 유아 미디어조절력 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알아보고자 함을 연구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본 연구의 최종 대상은 B시에 소재하고 있는 공립유치원 4곳(단설유치원 2곳, 병설유치원 2곳), 사립유치원 3곳 등 총 7곳의 유치원에 재원하고 있는 유아의 부모 302명을 대상으로 자녀 미디어조절력에 대한 인식과 요구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로 분석하였다. 결과 주요 연구결과에서 첫째, 미디어조절력에 대한 인식의 정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미디어조절력의 부재로 나타난 문제로는 미디어 중독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자녀의 미디어조절력 교육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의 인식의 정도가 높았다. 둘째, 자녀의 미디어조절력 교육의 요구에서 개정 누리과정과의 연계 가능성에 대해 대부분 가능하다고 보고 있었고, 교육과정 연계는 의사소통, 생활주제는 건강과 안전이 가능하다고 보았다. 교육목표는 미디어 활동을 주어진 상황에 알맞게 적절한 범위에서 실행하고 사용하는 조절능력을 기르고, 교육내용은 미디어 실행능력이 높게 나타났다. 교수학습원리는 자발성의 원리, 교수학습방법은 문제해결 학습법, 교육평가내용는 유아발달에 대한 평가 등으로 나타났다. 결론 유아 미디어 조절력 교육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실제적이고 기초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arents' awareness and needs for early childhood media regulation education as the first step to establish the foundation for early childhood media regulation education. Methods The final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e parents of 302 children enrolled in seven kindergartens located in City B, including four public kindergartens (two standalone kindergartens and two attached kindergartens) and three private kindergartens.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ir perceptions and demands regarding their children's media literacy. The data was then analyzed using the SPSS 25.0 program with frequency and percentage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of parents' awareness and needs for early childhood media regulation educa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re as follows. First, the degree of awareness of media regulation was high, and the problem of lack of media control was the highest in media addiction, and the degree of awareness of children's interest and importance in media regulation education was high. Second, in the demand of children's media regulation education, most of them thought that it was possible to connect with the revised Nuri curriculum, and the curriculum connection was communication, and the life theme was health and safety. The educational goal was to develop the ability to control the execution and use of media activities in an appropriate range for a given situation, and the content of education was high in media execution ability. The teaching and learning principles were the principle of spontaneity,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were the problem solving learning methods, and the educational evaluation contents were the evaluation of infant development. Conclusions It is expected to provide practical and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programs for children's media control education.

      • KCI등재

        어둠 속의 목소리, 김석범 소설의 방법론으로서 발화 충동 - <관덕정>과 <유방 없는 여자>를 중심으로-

        장인수 ( Jang¸ In-su ) 반교어문학회 2020 泮橋語文硏究 Vol.0 No.56

        김석범 소설 <관덕정>(1962)과 <유방 없는 여자>(1981)는 그 형식상의 커다란 차이에도, 어떤 ‘목소리’에서 추동된 작품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그 목소리는 어둠 속에 떠도는 것으로서 이미 발화 주체를 특정할 수 없다. 이 논문은 그 ‘목소리’가 제주 4·3 사건과 그 역사적 반복으로서 광주 5·18 민주화운동을 말하고자 하는 충동에서 온 것임을 밝히고자 한다. <관덕정>의 허물 영감은 경찰에 포섭되어 살해된 빨치산의 모가지를 들고 그 친족을 확인하며 돌아다닌다. 그러던 어느 날 밤 서푼이가 그를 찾아와 어떤 모가지를 자신에게 팔라고 부탁한다. 그녀는 실체라기보다 유령적인 목소리로서 등장한다. 관덕정 앞 강제 구경의 장면에서 그녀는 공적인 장에 출현하여 빨치산의 모가지를 오빠로 확인하는 순간 살해된다. 그녀는 안티고네처럼 국가에 맞서 인륜을 주장하다가 죽임당한 것이다. 처음에 허물 영감은 국가의 법을 어기면서까지 그녀의 부탁을 들어줄 수 없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그는 G리에서 친족까지 조작하면서 행해지는 선거 운동의 양상을 본 데다, 강제 구경의 현장에서 서푼이가 살해되자 국가의 정통성에 의문을 품는다. 그는 서푼이와 신원미상의 모가지를 장사지냄으로써 국가의 상징 질서와 대립하고 이야기 속 인물로 승격된다. 그를 행동하게 한 것은 발화 주체를 특정할 수 없는 목소리였다. <유방 없는 여자>의 내레이터는 1980년 광주에서 벌어진 참상을 사건의 현장에 있지 않았음에도 사실로 확신한다. 이 확신은 어떤 근거에 입각한 것이 아니다. 내레이터는 제주 4·3 사건 때도 그랬으니 광주에서도 참혹한 일이 있었으리라고 본 것이다. 그는 제주에서 밀항해온 사람들에게 4·3의 참상을 전해 듣는다. 그는 그 참혹한 사연이 담담한 목소리로 전해지는 것에 인지 부조화를 느낀다. 그 담담함은 4·3을 경험한 사람들이 참상을 남의 이야기하듯이 신체에서 분리하지 않고서는 말할 수 없었다는 데서 기인한다. 쓰시마 농가의 어둠 속에서 그는 밀항해온 두 여인의 목소리를 통해 트랜스 상태에서 4·3의 제주에 있는 듯한 착각에 빠진다. 그 목소리는 발화 주체의 신체에서 분리되어 어둠 속을 떠돌면서 그가 4·3을 말하도록 부단히 충동질한다. "Kwandeokjeong"[觀德亭](1962) and "Woman without breast"(1981), two fictions written by Kim Seok-beom were inspired by any voice. The voice is already unknown to the subject of pronouncing, and it floats without its master in the dark.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at the voice came from the impulse to talk about the Jeju 4.3 incident and its historical repetition, the Gwangju 5·18 Democratization Movement. Old man Deng-bo[허물영감] of "Kwandeokjeong" is recruited by the police. He takes on the task of wandering around while searching for the relative with the cut-off head of a partisan. One night, A woman called Seo-pun visits him and asks him to steal the cut-off head. At the scene, she appears in a ghostly voice rather than in substance. She appears in a public place of Kwandeokjeong and is shot as soon as she confirms that the cut-off head of a partisan is her brother. She resembles Antigone, who claims that natural laws are more important than national laws and then dies. At first, old man Deng-bo thought he couldn't do her a favor, even breaking the laws of the state. But he becomes suspicious of the legitimacy of the nation when he sees a landed proprietor trying to win parliamentary elections even by manipulating relatives. Moreover, he couldn't help but watch Seo-pun be killed because she failed to betray her humanity. He is at odds with the nation's symbolic order by burying the penniless victim. The voice of the speaker who already did not exist made him act. A narrator of "Woman without breast" concludes that the massacre in Gwangju is true even though there is no evidence. This is because the same thing happened during the Jeju 4.3 Incident. He hears about the tragedy of the 4.3 incident from people who smuggled themselves from Jeju Island. He wonders if they are calmly telling a terrible story. The demeanor was caused by the desire to separate the cruel from one's own body. In the darkness of the Tsushima[對馬島] farmhouse, he experiences a transition experience through the voices of the two women who have been smuggled. Through the calm voices of the two women, he feels like he is at the scene of the 4.3 incident. The voice, too, is separate from the speaker, which is the writer's own inner urge to talk about the 4.3 Incid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