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중등 학생을 위한 인공지능 윤리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장연주,최승윤,조현기,김현철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22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25 No.5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AI의 윤리적인 이슈들이 주목받고 있다. 이에 따라 AI 교육에서 AI 윤리에 대해서도 심도 있게 다뤄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하지만 특히 초중등학교 급에서 AI 윤리의 다양한 주제에 대해 다루고 있는 교육 프로그램은 아직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ADDIE 모형을 기반으로 초중등 학생을 위한 AI 윤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먼저 선행 연구 분석을 통해 AI 윤리 교육 프로그램에서 다룰 주제를 ‘신뢰성’, ‘편향성’, ‘악용가능성’, ‘책임성’ 네 가지로 선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 목표와 성격, 내용의 초안을 설계하였다. 이후 개발된 초안을 파일럿 적용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 전문가 평가로부터 프로그램 개선점을 찾아 이를 반영하여 최종 프로그램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최종 프로그램을 전국 초등학교 및 중학교 14개 학급의 312명 학생에게 적용하고, 그 효과성을 사전-사후 설문과 인터뷰를 통해 양적,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본 교육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AI 윤리에 대한 흥미와 AI 윤리 교육 필요성에 대한 인식, 그리고 AI 윤리에 대한 태도에 유의미한 변화를 가져왔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교육 프로그램은 AI 윤리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 및 개발하려는 교육자들에게 참고가 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안한 교육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제작된 교사용 수업 자료 및 학생용 활동지가 웹상에 무료로 배포되어, 초중등학생을 대상으로 AI 윤리 교육을 실행하려는 교육 집단에게 실질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스포츠활동과 노동시장 성과: 실직 후 정기적인 운동참여가 노동시장 재진입에 미치는 영향

        장연주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2019 産業關係硏究 Vol.29 No.4

        This article focused on the influence of regular physical activity on the reemployment of unemployed people. The test of comparing non-cognitive characteristics by spoty-non sporty people, it was confirmed that the exercise participation group had higher positive tendency; such as satisfaction with life, value of work, openness, sincerity, and affinity. The Cox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on unemployed workers aged 20 to 59 who were working in the t-1 period. As a result, the participation in exercise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robability of reemployment when analyzing the whole and the subgroups of men, women and middle-aged people. But youth group showed a 30% increase in the probability of reemployment. It means that physical activities can be effect on re-entering the labor market to young people. Exercise can contribute to physical and mental health improvement. And given that youth tend to prefer work-life balance more, it is evaluated physical activity for young people in the turnover process functions as a recharge power for return to work. It also suggests that the network effect newly formed during the exercise process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re-entry of the labor market 이 연구는 정기적인 운동참여가 미취업자의 노동시장 재진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것이다. 먼저, 한국노동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운동참여 여부별비인지적 특성을 비교한 결과, 운동 참여자들은 삶에 대한 만족, 일에 대한가치, 행복 수준이 높고, 활동성・개방성・성실성・친화성 등이 높아 운동참여여부별 성향적 차이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운동참여가 재취업확률에 미치는 영향은 t-1기 상용직 근로자였던 20~59세 미취업자를 대상으로 콕스회귀분석을 통해 파악하였다. 전체 및 남성, 여성, 중년층을 대상으로 분석할경우 운동참여는 재취업 확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청년층의 경우 실직 후 운동한 집단의 재취업확률이 30% 이상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직 전(t-1기) 운동을 하지 않았던 집단 내에서 그 효과는 더욱 두드러졌다. 스포츠활동과 같이 몸과 마음의 재충전을 가능하게 하고 그 과정에서 새로운 인적・정보 네트워크를 가져올 수 있게 하는활동은 이직 과정에 있는 청년이 노동시장으로 조속히 재진입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도시환경과 범죄두려움의 비선형 관계 분석- CPTED 요소와 해석 가능한 기계학습 모형을 중심으로

        장연주,이수기 한국도시설계학회 2022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23 No.3

        Fear of crime negatively affects the quality of life of daily activities, includingbasic living activities. Therefore, it is critical to understand the urban environmentthat causes fear of crime. This study analyzed the nonlinear relationship between theurban environment and fear of crime considering the Crime Prevention ThroughEnvironmental Design (CPTED) factors and derived policy implications for reducingfear of crim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it was derived that maintenance andmanagement factors among CPTED factors are closely related to fear of crime. Second, this study showed that fear of crime had a nonlinear relationship with accesscontrol and natural monitoring. Also,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n appropriatethreshold range to alleviate the fear of crime. Third,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asa nonlinear relationship between the road network structure and fear of crime. Thehigher the centrality of the road network, the more negatively it was found to berelated to fear of crime. Finally, social capital factors such as social trust and socialparticipation could play essential roles in alleviating the fear of crime. 범죄에 대한 두려움은 기본적인 생활영역을 포함한 일상활동의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미친다. 범죄두려움을 저감하기 위해서는 범죄두려움을 야기하는 도시환경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CPTED 요소를 고려한 도시환경과 범죄두려움 간의 비선형적 관계를분석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로, 첫째, CPTED 요소 중 유지 및 관리는 범죄두려움 저감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도출하였다. 둘째, 접근통제와 자연적 감시는 비선형적관계가 도출되었으며, 이는 범죄두려움 완화를 위한 적정구간이 있음을 의미한다. 셋째, 도로 네트워크 구조와 범죄두려움은 비선형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도로 네트워크의 중심성이 높을수록 범죄두려움과 부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신뢰와사회적 참여를 포함하는 사회적 자본은 범죄두려움을 완화할 수 있는 CPTED 요소로 나타났다.

      • KCI등재

        다문화 청소년들 간의 또래관계 경험 및 특성에 관한 문화기술지 연구

        장연주,신나민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15 다문화교육연구 Vol.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xperiences and characteristics of peer relationships in the context of multicultural classroom.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33 adolescents (17 boys) enrolled at one of the alternative multicultural schools located at Seoul, Korea. The students were 15.5 years old in average (14-17 years old); and the nationalities of one of their parents represented 10 different countrie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2 years of ethnography study in which the first author played the role of a drama teacher while conducting the research by means of observation and interviews with the students and teachers as well. Four themes emerged with regard to the characteristics of peer relationships among multiculural adolescents. First, the majority of the students regarded a kind of ‘body language’ as a main strategy to approach their peers and maintain the relationships afterwards. Second, teasing or verbal harrassment were observed targeting a specific student; but those behaviors also played the role of showing a personal interest in peers. Thir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were counted as a critical factor determining preferences among the students. Forth, the students were used to cultural differences among themselves, tending to accept their peers as they were. In concluding, we made discussions and suggestions which may help teachers concerning students from a variety of cultural backgrounds in guiding them to form and maintain healthy peer relationships among themselves. 또래관계는 청소년들의 사회․심리적 성장과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들 간의 또래관계 경험 및 특성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고자 서울시에 위치한 다문화 대안 중학교에 재학 중인 33명(남학생 17명)의 다문화 학생들의 또래집단 내 상호작용을 면밀하게 탐색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은 평균 15.5세(최소 14세, 최대 17세)였으며 부모 중 한쪽의 국적이 중국, 우즈베키스탄을 비롯하여 모두 10개국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방법으로는 연구자가 2013년부터 2년에 걸쳐 해당 학교에서 교사로 재직하면서 참여 관찰을 수행하는 문화기술지 방법이 활용되었으며 주로 관찰과 면담 기록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다문화 청소년들의 또래관계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다문화 학생들은 또래에게 접근하고 또래관계를 유지하기 위하여 주로 비(非)언어적 전략을 사용하였다. 둘째, 또래에 대한 놀림과 괴롭힘도 빈번히 발견되었는데, 여기에는 부정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상대의 관심을 끌기 위한 의도도 포함되어 있다. 셋째, 이 학생들은 또래 선호도를 결정짓는 결정적인 요인으로 성격을 꼽았다. 넷째, 이 학생들은 또래의 다양성에 관대하며 각자의 특색을 수용하는 경향이 강했다. 이런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 학생을 지도하는 교사들이 참고할 수 있는 교육적 제언 및 생활지도 방안들이 언급되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