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구화 시대 생태관광을 통한 지역성 생산에 대한 연구 : 인도네시아 발리의 키아단 펠라가 마을을 중심으로

        윤혜린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소 :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14 여성학논집 Vol.31 No.2

        본 논문은 지구화 시대 가장 크고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경제 부문의 하나인 관광업이 관광 목적지와 그 지역의 사람들에게 미치고 있는 부정적인 영향에 대해 비판적인 문제제기에서 출발한다. 급증하는 해외 대중관광의 이면에는 대규모 휴양지 개발로 인한 지역 환경의 훼손뿐 아니라 고유한 지역성의 실종, 주민의 삶의 질 하락의 문제가 자리하고 있다. 그렇지만 연 10억 건을 상회하는 해외여행의 규모에서 알 수 있듯이 국가 경계를 넘어 교류하는 모빌리티가 급증하는 현실 속에서 왕래 자체를 부정하거나, 개발이냐 환경 보전이냐의 이분법에 빠지기보다 좀더 적실한 논의가 필요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은 의식 있는 글로벌 여행자와 지역 공동체 기반의 생태관광 프로그램이 서로 소통하는 장으로서 ‘생태관광’이라는 새로운 틈새 공간의 미래지향성을 탐구해보고자 한다. 그 경험적인 사례로서 아시아의 대표적인 관광지인 발리(Bali) 안에서 실행되고 있는 키아단 펠라가(Kiadan Pelaga) 마을의 생태관광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새로운 지역성의 생산이라는 관점에서 그 의미를 밝혀보고자 한다. 그리고 ‘더 좋은 마을 만들기’를 향한 그들의 집합적인 실천을 통해서 마을 공동체, 지역 주민, 그리고 환경의 지속가능성이 커질 것임을 논의하고자 한다. I began this study acknowledging that tourism is one of the largest and fastest-growing economic sectors in the age of the globalization and it has negative impacts on the destination and the local people. Mass tourist abroad and the large scale resort development for them have been resulted in the environmental damage, loss of the authentic locality, and the degradation of the quality of local people. However, as the recent magnitude of the 1 billion tourist per year demonstrates that fast growing mobility across the borders are an unavoidable phenomenon. So, the more relevant discourse is needed beyond the dichotomy between development and the environmental preservation. In this context, I explore the future vision through the ecotourism, as the niche space, which connects the conscious global traveler and the community base ecotourism program. In order to that, first, I introduce the ecotourism program run by the Kiadan Pelaga Village in Bali, the representative of Asia Tourist destination. Secondly, focusing on the production of the new locality, I try to articulate the meaning of their attempts. Lastly, I argue that through the collective practices towards better village building, the sustainability of their own village community, local people, and the environment will enlarge.

      • KCI등재

        토착성에 기반한 아시아 여성주의 연구 시론

        윤혜린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10 여성학논집 Vol.27 No.1

        This paper is based on the certain point that 'the indigenous', which have long been occupied by the Asian patriarchy or the local communities, now calls for the repositioning in the feminist context. 'The indigenous', in one part, generally refer to the matured long-standing traditions and practices of certain regional, or local communities, as a mode of a place specific way of endowing the world with integral meaning. In the narrow definition, it points to the particular form of placed based knowledge for survival, for example, the useful knowledge of a population who have lived experiences of the environment. In the other part, 'the indigenous' could be criticized in the gender perspectives because it has been served as an ideological tool for patriarchy and sexism, which have undermined women's body and subjectivity in the name of the Asian traditional community. That's why the feminists with sensitivity to the discourses of it, may perceive it very differently, still hesitating dealing with the problem. However, even if there are tendencies that the conservatives romanticize local traditions and essentialize 'the indigenous', as it were, it does not exist 'out there'. Then, it could be scrutinized in the contemporary context which, especially, needs to seek the possibility towards the alternatively post - develope mental knowledge system. In the face of global economic crisis which might be resulted from the instrumentalized or fragmented knowledge production system, it's holistic conceptions that human, society, and nature should not be isolated from each other. is able to give an insightful thinking. It will work in the restraint condition that we reconceptualize the indigenous knowledge not as an unchanging artefact of a timeless culture, but as a dynamic, living and culturally meaningful system towards the ecofeminstic indigenous knowledge. And then, indigenous renaissance phenomena which empower non-western culture and knowledge system and generate increased consciousness of cultural membership. Thus, this paper argues that the indigenous knowledges which have been underestimated in the western-centered knowledge-power relations, could be reconstructed as a potential resources of ecological civility transnationally which reconnect individuals and societies with nature. 본 논문은 '토착성'에 대해 여성주의적으로 재위치시키고자 하는 시론적 작업이다. 한편으로 '토착성'은 넓게는 세계를 통합적으로 의미화해 온 방식으로서 오랜 전통과 실천을 통해 특정 지역 사회가 보유해온 성질이며, 좁게는 시간의 시험을 통과한 실용성을 지닌 생활환경 지식 등 안에 보유되어 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젠더 관점에서 본 '토착성'은 문제적이다. 특히 전통의 이름으로 가부장제와 성차별주의를 온존해 온 사회가 표방해 온 '토착성'은 여성의 몸과 주체성을 결박하는 강한 구속력을 갖는다. 그리하여 여성주의 진영은 '토착성'을 연구주제로 취급하는데 주저함을 갖고 있다. 하지만 보수적이고 가부장제적인 토착 사회로의 회귀를 의도하는 측에서 토착성을 낭만화하거나 실체화하는 경향이 있다 해도, 사실 토착성은 "저기 밖에" 고형물로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특히나 지구적 상품경제를 떠받쳐온 도구적이고 분절적인 지식 체계에 대안을 모색하려고 할 때 (아시아를 비롯한) 비서구적 토착 지식은 사람과 사회, 자연을 이어왔던 통합적 인식체계의 전범이 될 수 있다. 이는 '토착 지식'을 무시간적인 인공물로서가 아니라 역동적이고 살아 있어서 문화적으로 의미있는 체계로 재구성하고자 할 때 가능하다. 또한 생태여성주의적인 토착 지식의 재개념화와 함께 토착의 르네상스 현상은 비서구 문화와 지식 체계에 힘을 실어주면서 주변화된 지역 공동체의 문화적 성원권에 대한 의식을 증강시킬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논문은 그간 타자화되고 저평가된 토착 지식이 생태적 시민성의 자원으로 국가 경계를 넘어 재구성될 수 있음을 논변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지구시민사회 맥락에서 본 여성주의 시민의 정체성

        윤혜린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06 여성학논집 Vol.23 No.1

        This paper aims to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 “What is theontological status of feminist citizenship in the context of a global civilsociety?” In order to explore the problem, I have set up three points, becausedealing with its identity, its contents, and its value orientation is crucial to thecitizenship debates. First, citizenship is not a certain membership which isassigned to individuals by one society according to the rights and the duties, butconstructively-layered properties through the global-citizenization. Second, thefeminist approaches to the citizenship issue are promising to transformpatriarchal frameworks into gender equal ones. From that standpoint, we are ableto realize everyday civic life fully to the micro levels of the society includingan individual’s citizenship and sexual self-determination rights. Third, citizenshipin the feminist voices embodies solidarity to a certain extent with other valuesystems, for example, peace, ecology, cultural diversity, in order to weaken allkinds of hierarchical systems. 본 논문은 지구시민사회의 맥락에서 여성주의 시민의 정체성을 개념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 때 '시민'으로서의 정체성즉 시민성이 어떤 존재론적 지위를 갖는가를 논의하기 위해 세 가지 문제의 지점들을 다루었다. 우선 시민성은 한 국가 내에서 개인이 부여받은 권리와 의무의 멤버십이 아니라 '시민되기'의 과정에서 중층적으로 구성해가는 성질이다. 둘째, 여성주의가 시민성 논의에 개입함으로써 기존의 논의가 가부장제적이고 형식적이었음을 비판하면서 몸의 시민권을 포함하여 일상의 미시적 시민성을 실현하는 방식으로 시민성의 기준을 강화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여성주의 시민성 안에 지구지역적 차원에 서 추구되는 평화 생명 다양성 등의 탈 위계적 가치들과 함께 연대할 수 있는 가치체계가 표명되어야 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