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국산 대마섬유의 Alkali처리에 의한 미세구조에 관한 연구

        장동호,김태훈,이경희,Jang, Dong-Ho,Kim, Tae-Hun,Lee, Gyeong-Hui 한국섬유공학회 1976 한국섬유공학회지 Vol.13 No.2

        The crystallinity, crystallite sizes and orientation of hemp fibers treated in caustic soda of various concentration with and without constraint were measured by wide angle X-ray diffraction method. It was found that, 1) The crystallinity monotonously decreased with the increase of caustic soda in the samples treated with constraint, whereas it decreased and again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alkali concentrations in the samples treated without constraint. 2) Crystallite sizes of 002 plane decreased with increase of alkali concentrations, more remarkable decrease occured in the samples treated with constraint,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on the crystallite sizes of 040 plane in the samples treated with and without constraint. 3) The orientation increased in the samples treated with constraint, whereas it decreased in the samples treated without constraint. The foregoing observations indicate that it is advisible to avoid high alkali concentration and excess tension.

      • KCI등재

        가토 하악과두 연조직 피개가 과두골성형술시 치유과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장동호,이동근,김수남,Jang, Dong-Ho,Lee, Dong-Keun,Kim, Soo-Nam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 1991 Maxillofacial Plastic Reconstructive Surgery Vol.13 No.3

        During the condylar shaving procedure, the articular soft tissue cover can be removed. Author compaired the histological healing process of the articular soft tissue cover between the preservative and unpreservative group group with 45 New Zealand rabbits(Average wt. : about 2.5kg). In unpreservative group, the usual high condylar shave with the removal of soft tissue cover was performed. In the preservative group, the underlying bone, replaced in its original position and sutured. The animals were sacrified 1, 2, 3, 4, 6 weeks interval after operation. The specimens were fixed in 10% neutral formalin and decalcified, paraffin embedded and stained by Hematoxylin & Eosin, and Masson's trichrome.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condyles of the both group were covered with an articular sop tissue layer. 2. The cartilage cells in subarticular layer has regular continuous patterns in the preservative group but frequently interrupted in the unpreservative group. 3. The incision made in the posterior part of the articular surface for the elevation of the articular soft tissue frequently caused a deformity such as the interruption of the subarticular layer of cartilage. 4. By the above findings, the preservation of articular sop tissue cover may be the effective operation method on concept of bone remodelling.

      • KCI등재

        신안군 무인도서 생태보전권역 설정에 관한 연구

        김장수 ( Jang Soo Kim ),장동호 ( Dong Ho Jang ) 한국사진지리학회 2011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20 No.4

        이 연구는 무인도서의 생태보존권역 설정을 위하여 지형경관을 평가하고 등급화 하였다. 이를 위해 신안지역에 신안군 지역에 산재한 20개를 현지조사 하였다. 연구결과, 신안군의 무인도서는 절대보전지역(I), 보존지역(II), 준보존지역(III), 이용가능지역(IV)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그 결과, 절대보전지역(I)으로 평가된 도서는 흑도, 장도, 소룡도, 죽도, 지실도, 하죽도 등 6개이며, 보존지역(II)으로 평가된 도서는 저도, 장구섬, 마도, 인도, 기상도, 송도, 상죽도, 대과도 등 8개이며, 준보존지역(III)으로 평가된 도서는 소장도, 소송도, 안도 등 3개 이며, 이용가능지역(IV)으로 평가된 도서는 소기도, 가학도, 소죽도 등 3개이다. 특히 절대보존지역 및 보존지역으로 선정된 도서는 지형경관 자원이 우수해 훌륭한 자연학습장 또는 야외연구실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has evaluated and leveled the geomorphological landscape for the setting of an ecological preservation zone on uninhabited islands. The 20 uninhabited islands, which are scattered around the Sinan-gun region have been surveyed on field. As a result of study, uninhabited island off Shinan-gun was classified the absolute preservation areas(I), preservation areas(II), quasi-preservation areas(III), and a available areas(IV). These results evaluated 6 islands of Heuk-do, Jang-do, Soryong-do, Juk-do, Jisil-do, and Hajuk-do to be absolute preservation areas(I), the 8 islands of Jeo-do, Janggu Island, Ma-do, In-do, Gisang-do, Song-do, Sangjuk-do, and Daegwa-do to be preservation areas(II), the 3 islands of Sojang-do, Sosong-do, and An-do to be quasipreservation areas(III), and the 3 islands of Sogi-do, Gahak-do, and Sojuk-do to be available areas(IV). Those islands selected as absolute preservation areas and preservation areas have especially outstanding geomorphological landscape resources, and are expected to be able for use as natural study fields or as outdoor laboratories.

      • KCI등재

        지자체 복지지출 비교분석에서의 종속변수 문제 검토

        장동호 ( Jang Dong Ho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保健社會硏究 Vol.3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지자체 복지지출 비교연구에서 종속변수 문제를 확인하고 종속변수 조작의 중요성을 환기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복지재정DB』와 행정안전부의 『지방재정연감』을 활용하였고, 지자체의 복지노력을 대표할 수 있는 6개 의 복지지출 관련 종속변수(복지비비율, 1인당복지비, 욕구대비복지비, 수급자대비복지 비, 자체복지사업비율, 자체복지재원비율)를 선정하였으며, 이들 간의 상관관계와 이들 각각에 대한 5개의 독립변수(인구밀도, 영유아비율, 수급자비율, 재정자립도, 지자체 1 인당총지출)의 영향 등을 분석해보았다. 그 결과, 6개의 종속변수들 간에 약한 정적 또 는 강한 부적 상관관계가 상당부분 확인되었다. 또한 종속변수에 따라 각 독립변수의 영향력의 크기, 심지어 방향까지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결과들 은 복지지출 차원에서의 지자체 복지노력에 대한 평가와 그것의 결정요인에 대한 이해가 복지지출을 어떻게 정의하느냐에 따라 크게 달라짐을 알려준다. 그리고 각 종속변수 또 는 변수정의의 특성과 문제점에 대한 연구자의 충분한 이해와 세심한 주의를 요구한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dependent variable problem in comparative analysis of municipal social spending and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operationally defining dependent variables. For empirical analysis, the author used Social Welfare Expenditure Databas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and the Local Finance Yearbook` by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Relationships were examined between five independent variables (i.e., population density, the ratio of children aged 0-4 years, the ratio of beneficiary of National Basic Livelihood Protection, local self-finance reliance ratio, local revenue per capita), and six dependent variables (i.e., social spending ratio, social spending per capita, social spending per capita on social services, social spending-to-needs ratio, social spending per beneficiary of National Basic Livelihood Protection, the ratio of social spending on municipal own business, and the ratio of municipal own source revenue for social welfare). The empirical results were striking. Some dependent variables had very weak positive or strong negative relationships with the other dependent variables, although in comparative analysis of municipal social spending every dependent variable is equally considered as a positive indicator of welfare effort made by municipal government. The explanatory power of independent variables and even its direction varied significantly from dependent variable to dependent variabl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entire findings of the comparative analysis of municipal social spending are pre-determined by the way of defining dependent variables and thus call attention to this matter.

      • KCI등재

        다중분광 위성자료와 분광반사 측정자료를 이용한 천수만 간석지 퇴적물 분류

        장동호 ( Jang Dong Ho ),지광훈 ( Ji Gwang Hun ),이현영 ( Lee Hyeon Yeong ) 한국지형학회 2002 한국지형학회지 Vol.9 No.1

        본 연구에서는 다중분광 위성자료와 분광반사 측정 자료를 이용하여 천수만 간석지 표충퇴적물의 조성물질을 분석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다중분광 위성자료는 Landsat TM이며, 주사시기는 1996년 9월 1일이다.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분광반사율 측정결과 퇴적물의 수분 함수율에 따라 반사율이 달라지는데, 함수비가 0%에 가까울수록 반사율이 지속적인 증가를 보인다. 또한 퇴적물의 입자는 크기가 커질수록 반사율이 낮아지는 경향을 파악할 수 있었다. 둘째, 입도분석 결과 천수만 간석지는 만의 가장 안쪽은 점토질 간석지, 중간은 혼성 간석지, 바다 쪽은 사질 간석지가 분포한다. 퇴적물은 주변 구릉성산지에서 공급된 주빙하성 퇴적물질과 해저에서 이동된 퇴적물질이 대부분이다. 셋째, 위성자료를 이용한 간석지 조성물질 분류에는 무감독분류 방법인 ISODATA 분류기법이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방법은 해안선과 연안지형 변화뿐만 아니라 퇴적물의 퇴적과 침식의 분포양상을 파악하는데도 효과적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보듯이 다중분광 위성자료를 이용하여 간석지의 조성물질을 분류할 수 있으며, 대규모 간척사업에 따른 환경영향평가 및 지속적인 모니터링에 활용될 수 있다. 특히 다중 시기의 인공위성자료를 사용한 간석지 퇴적환경 연구는 퇴적환경의 변화, 퇴적과정의 진행 등을 분석할 수 있어서의 연안개발 계획 수립 시 중요한 의사결정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grain-sized distribution of surface deposits in a tidal flat using multi-spectral satellite data as well as spectral reflectance In this study, Landsat TM acquired on September 1, 1996 was us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pectral reflectance is affected by the moisture content of deposits Likewise, reflectance consistently increases as the function ratio approaches zero percentage and decreases as the grain of deposits expands. Second, the grain-sired distribution analysis indicates that the mud flat inside the Cheonsu-bay tidal flat is distributed. the mixed flat located in the middle, and the rand flat distributed near the sea. Deposits mainly consist of periglacial deposits that were supplied from adjacent hills and reworked in the bottom of the sea. Third, the unsupervised classification ISODATA is applicable to classifying distribution material using satellite data. This method is considerably effective in analyzing not only the aspects of distribution in terms of accumulated deposits and erosion, but also the changes in seaside topography and shoreline. Therefore, the results suggest that multi-spectral satellite data enables the classification of distribution materials and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nd continuous monitoring. The research an environmental deposits in particular can provide important data for decision-making on seaside development. by analyzing the progress of deposits and environmental changes.

      • KCI등재후보

        지방자치단체 사회복지 예산 비중의 결정요인 탐색: 일반행정비의 경직성을 고려한 분석

        장동호 ( Dong Ho Jang )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1 지역과 세계 Vol.35 No.1

        오늘날 지방자치단체 전체 예산에서 차지하는 사회복지 예산의 비중은 사회복지에 대한 지방자치단체의 적극성을 평가하기 위해 적용되는 가장 보편적 기준이다. 하지만, 모든 지방자치단체 예산에는 지방정부 및 지방의회가 자유롭게 조정하기 어려운 경직성 경비(uncontrollable spending)가 있다. 많은 경우, 이러한 경직성 경비는 사회복지 예산보다도 크고 지역마다 그 규모가 달라 이에 대한 연구자들의 주의를 필요로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대표적인 경직성 경비인 일반행정비를 전체 예산에서 제외한 상태에서 우리나라 230개 기초지방자치단체 사회복지 예산 비중의 결정요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경험적 분석을 위해 시군구 통계자료를 활용하였으며, 기술통계와 t-test, 다중회귀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정자주도가 낮은 기초지방자치단체일수록 사회복지 예산 비중이 높았다. 둘째, 국민기초수급자가 많고, 지역주민들의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기초지방자치단체 사회복지 예산의 비중이 높았다. 셋째, 문화 관련 시설 수가 많지 않고 보육 관련 시설 수가 많을수록 기초지방자치단체의 사회복지 예산 비중이 컸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 결과들을 전체 예산 대비 사회복지 예산 비중을 종속변수로 하여 수행된 추가 분석의 결과와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 양자 간에 일부 차이점이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oday the ratio of municipal budget on social welfare is widely considered as the best variable to evaluate individual local government efforts to social welfare. However, certain types of local spending are hardly controllable by local government and council. Furthermore, the uncontrollable spending, such as general administration expenditure, accesses social welfare expenditure at the municipal level and differs from municipality to municipality.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the determinants of municipal budget ratio on social welfare by excluding general administration spending from the total municipal budget. For empirical analyses, municipal budget data are utilized and descriptive and inferential statistics are performed.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the higher the municipal budget on social welfare, the lower the fiscal independence of municipalities. Second, the ratio of municipal budget on social welfare increases by welfare beneficiaries and better-educated people. Third, the ratio of municipal budget on social welfare increases by the number of child care institutions but decreases by the number of cultural institutions. Last, but not least, some empirical findings resulted by this study differ significantly from those based on the model neglecting the uncontrollability of municipal budget (e.g., general administration budget). Therefore, the uncontrollability of municipal budget matters.

      • KCI등재

        동해안 항포구의 자연환경 입지분석을 통한 우산국 정벌의 출항지 검토

        장동호 ( Dong Ho Jang ),김장수 ( Jang Soo Kim ) 한국지형학회 2010 한국지형학회지 Vol.17 No.3

        이 연구에서는 우산국 정벌의 동해 출항지를 검토하기 위해 조선시대 진·포구를 대상으로 자연환경 입지 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연구지역에는 조선시대 수군진과 진·포구가 총 55개소였며, 그중 연곡포, 안인포, 삼척포 수산포 월송포 등에는 수군진이 위치하였다. 6세기경의 해수면 복원 결과에서는 현재의 해수면보다 당시 약 1m 정도 높았던 것요로 분석되었다. 진포구의 입지유형 분류에서는 자연환걍 분석을 통해 3가지 유형으로 분 류되었다. 입지유형I은 중·소하천의 만입지에 위치하고, 그 전면에 사취가 발달하여 피항 및 방어에 가장 적합한 입지조건을 가진 진·포구로 총 21개소이다. 입지유형 II는 외해에 직접 접하고 있는 진·포구들로 총 22개소이며, 입지유형 III은 만입지를 중심으로 형성된 진·포구들로 총 12개소이다. 입지유형을 대상으로 한 최단거리분석에서는 총 9개소, 배후지 경사분석 결과에서는 15개소, 배후지 면적분석에서는 총 13개소, 가시권 분석에서는 13개소. 해류분석에서논 총 11개소의 진·포구가 출항지 입지요언을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평가 결과, I등급 치역은 오분진과 밍양진 등 총 2개 진·포구였다 그중 오분진이 피항 및 방어에 가장 유려한 입지 특성을 가졌으며, 수심이 깊고 만입지가 넓어 대규모 선단의 정박에 유리하였다 따라서 오분진 지역은 우산국올 정벌하기 위해 이사부가 출항했을 가능성이 가장 높은 출항지로 검토되었다. In this study, location evaluation of the natural environment of ports in the Joseon Dynast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outport of east coast for the conquest of Usanguk. As a result of study, there were 55 ports and naval stations in the Joseon Dynasty, including the Yeongokpo, Aninpo, Samcheokpo, Susanpo, and Wolsongpo. As a result of the restoration work in the sea level that was done in the sixth century, the sea level at that time was about 1m higher than that at present. In terms of the location type, three types were identified via natural-environment analysis. Location type I consists of a total of 21 ports suitable for defense due to the sand spit in all the sides and because it is located in the bay of small and medium rivers. Location type D is composed of 22 ports close to the open seas, and location type ill consists of a total of 12 ports centering on the bay. A total of nine ports satisfied the location factor in the shortest distance analysis(targeting location type 0, 15 ports in the slope analysis, 13 ports in the hinterland analysis, 13 ports in the visibility analysis, and 11 ports in the ocean current analysis. It was found in the final evaluation that the I level regions consist of two ports(Obunjin and Mangyangjin). Obunjin has a location characteristic that is advantageous for defense and that makes it suitable to serve as an anchorage harbor for a large-scale fleet as its water level is deep and as it has a wide embayment. In conclusion, Obunjin is considered the oulport that has the highest possibility of serving as lsabu`s departure port for the conquest of Usanguk.

      • KCI등재

        가계 신용카드 채무의 결정요인 분석: 가구특성을 중심으로

        장동호 ( Dong Ho Jang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2 사회복지정책 Vol.39 No.1

        이 연구는 가구특성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가계 신용카드 채무의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2010가계금융조사』 자료를 활용하였고, 종속변수는 가구원 1인당 균등화된 신용카드 채무였으며, 전체가 구와 소득계층별로 토빗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전체가구의 6.6%가 신용카드 채무를 보유하고 있었다. 둘째, 신용카드 채무를 보유한 소득1분위가구의 1인당 균등화된 신용카드 채무는 795만원, 2분위는 458만원, 3분위는 227만원, 4분위는 252만원, 5분위는 364만원이었으며, 참고로, 이를 소득에 반영할 경우 소득2분위에서는 34.0%, 3분위에서는 28.3%, 4분위에서는 34.5%, 5분위에서는 22.0%의 계층하락이 발생했다. 셋째, 신용카드 채무에 영향을 미치는 가구특성 요인은 가구주의 연령(-), 교육수준(-), 가구규모(+), 이혼(+), 임시 일용직종 (+), 자영업종(+), 보험 대리 택배업종(+), 월세거주(+), 금융저축(-), 신용카드 이자상환비율(+)이었으며, 이들 중 일부의 영향력은 계층별로 상이했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분석결과는 신용카드 채무가 저소득층의 빈곤유발 그리고 중산층 이상의 계층하락 요인임을 알려준다. 또한 향후 신용카드 채무관련 정책들이 보다 다양한 가구특성을 반영하고 계층별로 차별화된 접근을 시도해야 함을 시사한다. Using data collected in the 2010 Survey of Household Finance, this study conducted tobit regression analyses of the determinants of household credit card debt, focusing on socio-economic and demographic factor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round 6.6% of the total households have credit card debts. Secondly, having any amount of credit card debts, the equivalenced credit card debt accedes 789 million won in the lowest, 458 million won in the second, 227 million won in the middle, 252 million in the fourth and 364 million won in the highest income quintile; moreover, if the credit card debts are taken into consideration, households around 34.% from the second, 28.3% from the middle, 34.5% from the fourth and 22.0% from the highest income quintile fall down into lower income groups respectively. Thirdly, the level of credit card debt is influenced by the age(-), education level of the household head(-), the number of households(+), divorce(+), temporary or daily employee(+), self-employee(+), employees as an insurance agent, designated driver for hire or home delivery man(+), monthly rent(+), financial saving levels(-), and the level of credit card interest; however, many of these effect on credit card debts varies across income levels of household.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credit card debt is not only the determinant of poverty among the poor or low income household but also the determinant of class collapse among middle class or above.

      • KCI등재

        후기산업사회 지역복지정책의 발달원인에 관한 이론적 고찰

        장동호(Jang Dong-Ho) 한국사회복지학회 2007 한국사회복지학 Vol.59 No.3

        최근 지역복지정책의 발달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비교사회정책 연구들이 국ㆍ내외적으로 크게 증가하고 있다. 대부분 실증분석에 기초한 이 연구들은 방법론적 측면에서는 더욱 정교해지고 있지만, 이론적으로는 전통적인 거시 복지국가 발달이론의 틀을 그대로 적용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초기산업사회라는 특정 상황을 바탕으로 발전한 복지국가 발달이론들로는 후기산업사회에서 이슈가 되고 있는 지역복지정책의 발달을 이해하는 데 한계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시각에서 본 연구는 지역복지정책 비교연구들이 무비판적으로 수용해온 대표적인 복지국가 발달이론들, 즉 산업화이론, 권력자원이론, 그리고 국가중심이론의 적용한계점을 논의한다. 그리고 그에 대한 대안으로서 신사회위험론, 신공공관리론 그리고 정부간 관계론의 이론적 유용성을 검토한다. 최종적으로, 지역복지정책 발달의 비교분석을 위한 새로운 이론적 틀을 제시한다. Traditional quantitative approaches to comparative social policy research in welfare state have mostly focused on cross-national variations in social policy. More recently, they have attempted to account for disparities in the local provision of social policy. However, heavily relying on traditional theories of welfare state development (e.g., industrialism theory, power resource approach, and state-centric thesis), most of them seem to have explained the local variation from a central or national perspective, thereby completely ignoring the local perspective. Furthermore, their theoretical bases have been exclusively derived from the social context of post-war era. In tackling these issues, this study aims at localizing and updating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local welfare policy in the post-industrial age. The framework provided in this study calls for a shift in the theoretical perspective towards more local and new approaches (e.g., new social risks, new public management and intergovernmental relations).

      • KCI등재

        기초지방정부 사회복지비 지출비중의 변화요인 탐색

        장동호(Jang Dong-Ho) 한국사회복지학회 2007 한국사회복지학 Vol.59 No.1

        이 연구는 Beck(1991)이 제안한 오차교정모형(error correction models)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기초지방정부의 사회복지비 지출비중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크게 네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지역인구의 증가는 사회복지비 지출비중을 단기적으로 증가시킨다. 둘째, 노인인구비중이 높고 경제개발비 및 기존 사회복지비 지출비중이 낮을 경우, 장기적으로 기초지방정부의 사회복지비 지출비중이 커진다. 셋째, 우리나라에서 기초지방정부 사회복지비 지출비중의 변화에 대한 지방자치(지방선거)의 영향력은 분명하지 않다. 넷째, 어떤 기초지방정부의 사회복지비 지출비중의 수준과 성장률이 클 경우, 그것과 인접한 다른 기초지방정부의 사회복지비 지출비중이 장ㆍ단기적으로 크게 상승한다. 전체적으로,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우리나라 기초지방정부들의 사회복지비 지출비중의 변화가 각 지역의 내부정책 환경의 변화보다는 중앙ㆍ광역ㆍ기초지방정부간의 정치적?제도적 상호작용의 결과임을 시사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changes in individual local government's social spending from 1995 to 2004 in South Korea. Using the pooled time-series and cross-sectional data of 226 basic-level local governments, the resulting analyses of an error correction model are very interesting: First, a rising local population led to an immediate increase in social spending; Secondly, local governments gradually increased social spending when the elderly ratio had been high, but the levels of social spending in the previous year and local economy related spending level had been low. Thirdly, there were no spending changes associated with local elections and partisan politics. Fourthly, both cooperative and competitive intergovernmental relations had the most significant effect on the social spending and reduced geographical disparities in the level of spending across localities.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we establish a more comprehensive intergovernmental network which lead to territorial justice in social welfa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