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onventional CMOS 공정을 위한 GGNMOS Type의 ESD 보호소자의 TLP 특성 평가

        이태일,김홍배,Lee, Tae-Il,Kim, Hong-Bae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8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Vol.21 No.10

        In this paper, we deal with the TLP evaluation results for GGNMOS in ESD protection device of conventional CMOS process. An evaluation parameter for GGNMOS is that repeatability evaluation for reference device($W/L=50\;{\mu}m1.0\;{\mu}m$) and following factors for design as gate width, number of finger, present or not for N+ gurad -ring, space of N-field region to contact and present or not for NLDD layer. The result of repeatability was showed uniformity of lower than 1 %. The result for design factor evaluation was ; 1) gate width leading to increase It2, 2) An increase o( finger number was raised current capability(It2), and 3) present of N+ gurad-ring was more effective than not them for current sink. Finally we suggest the optimized design conditions for GGNMOS in evaluated factor as ESD protection device of conventional CMOS process.

      • KCI등재후보

        2종의 측색기에 의한 도재 색조 재현의 정확성 비교

        이태일,안진수,김영수,신상완,Lee, Tai-Il,Ahn, Jin-Soo,Kim, Young-Soo,Shin, Sang-Wan 대한치과보철학회 2009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47 No.3

        연구 목적: ShadeEye-Ncc dental chroma meter (Shofu Inc., Kyoto, Japan)와 Shadepilot$^{TM}$ system (Degudent Inc., Hanau, Germany)의 도재색조 재현의 정확성을 비교연구하여 보고자 함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ShadeEye-Ncc dental chroma meter와 Shadepilot$^{TM}$ system을 사용하여 Vitapan 3D Master shade guide의 2M2와 3M2 shade tap.을 측색하고, 이 자료를 통하여 shade guide tap. 형태로 도재시편을 제작한다. 시편제작 시 사용하는 porcelain system은 ShadeEye-Ncc dental chroma meter는 Vintage Halo Porcelain system을, Shadepilot$^{TM}$ system은 VitaOmega900 Porcelain system을 사용한다. 모델인 shade tap.과 제작된 도재시편을 spectrophotometer로 측색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하여 ${\Delta}E$를 계산하여, 두 측색기의 정확성을 비교검증하였다. 결과: 1. Shadepilot$^{TM}$ system이 ShadeEye-Ncc dental chroma meter에 비하여 더 적합한 도재색조 재현성을 나타내었다 (P <.05). 2. 모델인 Shade tap.의 shade에 따라서 도재색조 재현성에 차이를 나타내었다. 2M2 shade tap.에 비하여 3M2 shade tap.에서 더 적합한 도재색조 재현성을 나타내었다 (P <.05). 3. 두 측색기 모두에서 제작된 도재시편의 ${\Delta}E$가 평균4.44-6.14로 육안으로 구분 가능한 정도의 색조차이를 보였다. 결론: Shadepilot$^{TM}$ system이 비교적 더 정확한 도재색조 재현성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으며, ShadeEye-Ncc dental chroma meter를 사용할 때는 치아 전체의 여러부분에서 측색을 하여 정확성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Statement of problem: Although the use of colorimeter to improve the accuracy of tooth color measurement has increased, it is real situation that there is almost no comparative study about the accuracy among various colorimeters.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accuracy of porcelain color reproducibility using ShadeEye-Ncc dental chroma meter (Shofu Inc., Kyoto, Japan) and Shadepilot$^{TM}$ system (Degudent Inc., Hanau, Germany). Material and methods: Color of 2M2 and 3M2 shade tap of Vitapan 3D Master shade guide were measured using the above two colorimeters. Porcelain specimens were fabricated through this data. The porcelain systems used were Vintage Halo Porcelain system with ShadeEye-Ncc dental chroma meter, and VitaOmega900 Porcelain system with Shadepilot$^{TM}$ system. Colors of shade tap models and porcelain specimen were measured with spectrophotometer, and calculated delta E based on the results. Result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Shadepilot$^{TM}$ system showed more suitable porcelain color reproducibility compared to ShadeEye-Ncc dental chroma meter (P <.05). 2. The result showed the difference of porcelain color reproducibility according to shade of Shade tap which is model. More suitable porcelain color reproducibility was shown at 3M2 shade tap than at 2M2 shade tap (P <.05). 3. The average of ${\Delta}E*$ of porcelain specimens which was made by the two colorimeters was 4.44-6.14, so the difference of shade was shown through the naked eye. Conclusion: Shadepilot$^{TM}$ system showed more suitable porcelain color reproducibility. When using ShadeEye-Ncc dental chromameter, it will be necessary to improve accuracy through coloring various parts of the whole tooth.

      • KCI등재후보

        TLP 평가기법을 이용한 Diode type의 ESD 보호소자 특성 평가

        이태일,김홍배,Lee, Tae-Il,Kim, Hong-Bae 한국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 2007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Vol.6 No.4

        In paper, We evaluated for various diode type ESD protection device using TLP measurement method. An Evaluation diode is divided to Enclosed type and Stripe type as pattern style in extensive. These diodes is split up followed factor that Anode-to-Cathod space, N+ region width, Multi type and Contact to Active space. After a TLP measurement, we can be got the Vt2, It2 by I-V characteristic values. In the results, diode of enclosed type is present relatively higher Current capability(It2) than stripe type in a same voltage conditions. And the Second-breakdown voltage(Vt2) were that Stripe type's diode higher than Enclosed type's diode as have $14{\sim}15V$. Finally we suggest the best diode design condition as ESD protection device using entire consequence.

      • KCI등재

        극한 파고 계산에 있어서 Type III 분포의 응용

        이태일,권순홍,전영기,T.I. Lee,S.H. Kwon,Y.K. Chon 대한조선학회 1992 大韓造船學會 論文集 Vol.29 No.2

        본 연구를 통하여 극한 파고를 계산하는 방법들을 제시하였다. Type III 분포에 근거해서 분포 함수의 파라미터 산출을 위하여 non-linear multiple regression 방법, skewness 방법, maximum likelihood방법들을 사용하였다. 좀 더 정확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추정된 분포 함수의 차이를 다항식을 도입하여 맞추었다. 제시한 방법을 응용하여 계산 예들을 보였다. The computational methods of extreme sea level are developed in this study. Based on type III asymptotic distribution, non-linear multiple regression method, skewness method and maximum likelihood method are used to evaluate the parameters of the distribution. The difference between real data and evaluated distribution function is fitted to get more desirable accuracy by employing polynominals. The numerical examples are given in the last section in order to illustrate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scheme.

      • KCI등재SCOPU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사용자 중심 관점에서의 인터랙션 개념 모형화 연구

        이태일(Lee Taeil)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07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7 No.2

        With the explosive growth of computer technology in last decade interdisciplinary tendency of interaction design research has brought good reasons to reflect on the fundamentals of interaction itself.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o deeper into the concept of interaction and to propose a conceptual model of interaction by inspecting the process of interaction in macro-micro viewpoints. "Interactive Flow Model" proposed by the paper defines the interaction as the flow between the user and the system which consists of four steps of Sense-Think-Feel-Act.'Sense' is a step where the user senses the output signals processed by the system. In'Think' step the user structures and accepts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system. In'Feel' step the emotion takes part in the process of interaction.'Act' is a step when the user gives actions to the system based on the intellectual and emotional information. The model also shows momentary -intermittent and repetitionary-continuous nature of interaction process. Interactive Flow Model tries to provide an alternative view to interaction design not only by getting away from conventional concept of action-reaction coupling but also by approaching in terms of user-centeredness. The study expects to stimulate interaction design research efforts and to expand the concept to user-centered interaction design frameworks and various methodologies. 최근 컴퓨터 기술의 급격한 발전과 함께 인터랙션 디자인 연구의 다학제적이고 복합적인 특징으로 인해 인터랙션의 본질적인 부분에 대한 재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터랙션의 개념에 대한 성찰과 인터랙션 프로세스에 대한 거시-미시적인 관점에서의 접근을 통한 새로운 개념 모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인터랙티브 플로우 모형(interactive flow model)'은 인터랙션을 사용자와 시스템 간의 흐름(flow)으로 정의한다. 이 흐름은 감지(sense)-인지(think)-감상(feel)-행동(act)의 네 단계로 이루어진다.'감지'는 사용자가 시스템에 의해 처리된 출력정보(output)를 감지하는 단계를 말한다.'인지'의 단계에서 사용자는 시스템으로부터 습득한 정보를 체계화하고 섭취한다.'감상' 단계는 감성이 인터랙션 과정에 관계하는 단계이다.'행동' 단계는 지적 감성적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시스템에 어떤 행동을 가하는 단계를 말한다. 또한 이 모형에서는 인터랙션의 흐름이 순간적-단속적 반복적-지속적인 다소 상반된 특성을 동시에 보인다는 사실도 보여준다. 인터랙티브 플로우 모형은 행위(action)-반응(reaction)의 기존 관점에서 벗어나 사용자-중심의 관점에서 인터랙션을 바라보는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를 통해 사용자 중심의 인터랙션 디자인 프레임웍과 다양한 방법론이 도출될 수 있는 자극과 계기가 되는 디자인 기초로서의 역할을 기대한다.

      • 인터랙션 미학 : 인터랙션은 내러티브인가

        이태일(Taeil Lee) 한국HCI학회 2018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1

        본고는 인터랙션 “디자인”의 본령인 인터랙션의 미학을 재론하기 위한 일련의 연구의 일환으로서, 우선 인터랙션의 내러티브적 특성을 찾아내고 정의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사학의 중요한 텍스트들을 중심으로 내러티브의 특성 개념을 도출하고, 일군의 디자이너에게 음악 앱의 와이어프레임을 제공하여 자유롭게 디자인하는 방식으로 진행된 실험에서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각 특성 개념을 연관지어 설명하려 하였다. 그 결과, 스토리-담론의 구조에 따라 제공된 와이어프레임-디자인 단계나 중핵과 위성의 개념으로 다루어지고 있는 주요 화면들에서 내러티브적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디자이너가 인터랙션을 디자인하는 과정은 내러티브의 선별성, 개연성, 핍진성, 나아가 기대 층위와 질문 층위를 다루는 것과 흡사하며, 특히 인터랙션의 시간적 특성은 내러티브의 특성과 유관함을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