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과학문화 정책평가에 관한 연구: 과학문화 지표틀의 적용

        이승현,최진숙,이승현 단국대학교 융합사회연구소 2024 공공정책과 국정관리 Vol.18 No.2

        본 연구는 지역과학문화 사업의 재설계를 위한 현실적인 정책대안을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2020년 시작된 창의재단 내 과학문화 지역거점센터 사업의 현황을 진단하여 정책적, 실무적 함의와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분석, 현장조사, FGI 등을 바탕으로 선행연구에서제시한 과학문화 지표틀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과학문화 지역거점센터를 운영하는 전담조직 부재, 지역거점센터 운영기관의 과학문화사업 경험 부족, 과학문화 관련 인프라 부족, 지역 내 고른 과학문화 활동의 한계, 타 사업간프로그램의 유사성 및 중복성, 지역특화 사업 발굴 미진 등의 문제점들이 나타났다. 따라서 과학문화 관련 역량이 검증된 운영기관 선정, 다각적인 재원확보, 유사 사업과의 연계‧협력, 콘텐츠 다양성 확보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과학문화 지역거점센터의 그간의 운영현황을 진단하고, 사업 개선방안을 탐색적으로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과학문화 지역거점센터가 지속 가능한 지역과학문화 정책사업으로 안착하도록 하는 기초연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propose policy alternatives for the redesign of regional science culture projects by diagnos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science culture regional hub center project that started in 2020. To this end, the analysis was conducted by applying a science culture indicator framework based on literature analysis, field surveys, and focus group interviews (FGI). The analysis revealed several issues, including the absence of dedicated organizations operating the regional hub centers, a lack of operational experience in the implementing organizations, insufficient related infrastructure, and limitations in equitable science culture activities within the region. Therefore, it was identified that selecting competent operating organizations, securing diverse funding sources, establishing connections and collaborations with similar projects, and ensuring content diversity are necessary. This study is expected to serve as foundational research that diagnoses the operational status of regional hub centers and proposes improvement measures to help them establish themselves as sustainable regional science culture projects.

      • KCI등재

        회화를 통한 실재의 추구 - 일본 트릭아트와 한국 극사실 회화

        이승현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2020 한국근현대미술사학 Vol.39 No.-

        This paper tries to define the true meaning of “Korean Hyperrealism” in Korean art history by relating it to contemporary Japanese Trick Art. The recent research which unveiled the influence of the Junjo Ishiko and the Genshoku group of Shizuoka on the Monoha allows us to reason that Japan Trick Art has influnced both Dansaekhwa and Korea Hyperrealism via Ufan Lee. Pop art came out of the overflow of media images in Consumer Society and Trick Art appeared by criticizing the Western Modernist Thoughts and Arts. But in the early 1970’s, Korea was different from the West and Japan as it was still pursuing Western Modernity and thus could not yet criticize it. Owing to this difference, when Ufan lee introduced Trick Art to Korean artists, they understood it in an overly simplified way: as a dichotomy of Reality and Image in Dadaism and Surrealism. And they read the photographic description of hyperrealism in a similar way as the traditional portrait painting technic called ‘Jeon-Shin-Sa-Jo(傳神寫照)’; that a portrait painting must depict not only the physical form, but the spirit that embodies it as well. As an answer to the Pop Art‘s and Trick Art‘s question regarding whether painting can represent reality, Monoha artists sought to face the reality of the things through presenting things in themselves. On the other hand Korea Dansaekhwa painters tried to understand how the universe works through repetitive and rather simple actions on the picture plane just as Confucian scholars had trained themselves by repeating same brush strokes. But Korean Hyperrealism painters adhered to the belief that painting can represent the reality by detailed and photographic manual description. Korean painters were conscious of the contemporary issues and understood it in their own way. But they also got to the fundamental questions of Modernism, precisely what reality is and what Art or Painting is. And they found their own solution within painting unlike their contemporaries in the West and Japan. 본 논문은 단색화 이후 나타난 한국의 극사실 회화를 동시대 일본의 트릭아트와 연결하여 고찰함으로써 그 미술사적 의의를 재정의한다. 최근 이시코 준조(石子順造) 및 그가 이끈 겐쇼쿠(幻觸) 그룹과 모노하의 영향관계가 밝혀지면서, 트릭아트는 모노하와 이우환을 경유하면서 비슷한 시기에 등장한 단색화와 극사실 회화 모두에 영향을 주었다고 추정할 수 있게 되었다. 한국 극사실 회화는 이우환을 통해 서구 팝아트와 일본의 트릭아트의 문제의식이 소개된 이후, 근대비판에 기반한 동시대의 문제의식을 다다와 초현실주의라는 기왕의 사조에서 나타났던 실재와 이미지라는 단순한 이분법으로 소화한 후, 동시대의 하이퍼리얼리즘 기법을 전통 초상화 기법의 논리로 수용해서 대처한 것으로 다소 단순하게 도식화시킬 수 있다. 그 점에서 극사실 회화는 선진국의 사회발전단계에 도달하지 못한 후발국에서 선진을 수용하는 과정에서 흔히 나타나는 혼성성을 다양한 수준과 방식으로 드러낸다. 동일한 동시대의 문제의식에 대해서 일본은 모노하를 통해 회화, 즉 이미지를 벗어난 실재의 대면을 추구했다. 그에 반해 한국의 단색화는 실재의 재현을 회화의 단순반복적인 행위를 통해서 물아일체라는 세계의 이치를 깨닫는 것으로, 그리고 극사실 회화는 격물치지(格物致知)라는 사물의 이치를 구하는 것으로 이해하고 실행했다. 이와 같은 전통적 사유 속에서 실재의 구현은 이치에 대한 깨달음이었으므로 이들은 서구나 일본과 같이 외적 사물의 제시로 나갈 필요를 느끼지 못했고, 회화면 위에 머물렀다. 그런데 단색화와 극사실화 모두 1970년대 근대화과정에 있어서의 근면한 노동자의 노동조건을 자신의 작업에서 내면화하고 있었다. 이렇게 표현행위를 주제화하면서, 당시 우리 화가들은 소비사회에 진입한 서구와 일본의 동시대 미술의 문제의식을 공감할 수는 없었지만, 적어도 실재란, 회화란 무엇인가에 대한 모더니즘의 가장 근원적인 물음에 도달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물질과 행위로 보는 단색화의 기원과 차이

        이승현 현대미술사학회 2019 현대미술사연구 Vol.0 No.46

        This paper tries to locate Korean art within world art history by revealing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Dansaekhwa and contemporary Western art. While objects and performances have become mainstream art, with matter and gesture, which are the main characteristics of postwar art, becoming a theme in the West and Japan, in Korea, matter and gesture were being done on the picture plane. Confirming the similarities between Dansaekhwa and contemporary Western art in terms of the theme of matter and gesture, this paper clarifies the differences while identifying why Dansaekhwa is still staying as a painting. To reveal the contemporariness of Dansaekhwa, the study further considers not only Lee Ufan but also Kim Whanki and the influence of Infomel. The gesture shown in Dansaekhwa is largely different from that of Japan as a rough action in Gutai or Monoha, and this is due to historical and cultural differences. And the cultural difference is not Taoism, which has been defined as the Korean character of Dansaekhwa, but rather the aesthetic taste of Korean Neo-Confucians, which is unique to Korea and contrasted with Japanese art, and the tradition of literati painting. 본 논문은 단색화가 동시대 미술과 접목될 수 있는 기원과 그들과의 차이를 밝히고자 한다. 서구와 일본에서 전후미술의 주요한 특징이었던 물질과 행위가 주제화 되면서 회화가 아닌 삼차원 작업이 주류가 되고 있을 때, 한국에서는 물질과 행위가 화면 위에서 이루어지고 있었다. 단색화가 동시대 서구미술과 공유하는 유사성을 물질과 행위의 주제화라는 측면에서 확인하고, 단색화가 여전히 회화면 위에 머물고 있는 원인을 규명하면서 한국적인 차이를 밝히고자 한다. 단색화의 기원과 관련해서는 선행연구들에서 주목했던 이우환과 더불어 그 시기 뉴욕에 머물면서 동시대 미술을 직접 접하며 전면점화를 완성했던 김환기와 장기간 지속되었던 앵포르멜의 영향을 추가로 고려한다. 그리고 단색화가 서구나 일본과 달리 여전히 회화 평면 위에 남아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지대와 안료를 물질로 다루어서 물성을 드러내고, 의식이 아닌 신체에 각인된 행위를 통해서 물질과 행위를 주제화하고 있음을 보였다. 특히 단색화에서 나타나는 행위가 일본의 구타이나 모노하에서 나타나는 거친 몸짓으로서의 행위와 크게 대별되며, 그것이 역사적, 문화적 차이에 기인하는 것임을 밝히고, 그 문화적 차이는 그간 단색화의 한국성으로 정의되던 노장사상이 아니라 한국에 고유하고 일본과 대비되는 성리학자의 미적 취향, 즉 문인화적 전통으로 설명한다

      • KCI등재

        혈액투석 중인 만성신부전 환자에서 눈물막 및 안구표면의 변화에 관한 연구

        이승현,김효린,윤경철 대한안과학회 2009 대한안과학회지 Vol.50 No.8

        Purpose: To evaluate the changes of tear film and ocular surface in patients with chronic renal failure (CRF) undergoing hemodialysis. Methods: In 50 eyes of 25 CRF patients undergoing hemodialysis and 30 eyes of 15 control subjects, tear break-up time (BUT), basal tear secretion (BST), corneal sensation, tear clearance rate (TCR), keratoepitheliopathy and impression cytology findings were compared. Correlation between the above parameters and local or systemic factors was analyzed. Results: Tear BUT, BST, TCR, conjunctival squamous metaplasia and conjunctival goblet cell density in the patient and control groups were 7.7±3.8 and 11.1±2.9 sec, 7.0±3.1 and 14.0±6.2 mm, 3.5±1.2 and 4.5±0.7, 1.5±0.6 and 0.3±0.5, 6.5±1.7 and 24.3±21.4 cells/mm2. Osmolarity in serum and tears of the patient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Serum and tear osmolarity correlated with BST, corneal sensation and conjunctival goblet cell density, and serum creatine level correlated with conjunctival goblet cell density (p<0.05). Conclusions: Patients with CRF undergoing hemodialysis have an increased risk of dry eye and thus, serum and tear osmolarity in dry eye patients should be closely monitored. 목적: 혈액투석을 시행받는 만성신부전 환자의 눈물지표의 변화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만성신부전으로 혈액투석 중인 환자 25명과 정상대조군 15명을 대상으로 눈물막파괴시간, 기본눈물분비량, 각막지각, 눈물 청소율, 각막상피병증, 결막압흔검사 소견을 비교하였으며, 국소적, 전신적 인자와 눈물지표와의 관계에 대해 조사하였다. 결과: 환자군과 정상인에서 눈물막파괴시간, 기본눈물분비량, 눈물청소율, 결막의 편평상피화 정도 및 결막술잔세포의 밀도는 각각 7.7±3.8과 11.1±2.9 sec, 7.0±3.1과 14.0±6.2 mm, 3.5±1.2와 4.5±0.7, 1.5±0.6과 0.3±0.5, 6.5±1.7과 24.3±21.4 cells/mm2였고, 환자군에서 혈청과 눈물의 오스몰 농도는 정상군보다 높았다. 혈청 및 눈물 오스몰 농도는 기본눈물분비량, 각막지각, 술잔세포밀도와 관계가 있었으며, 혈청 크레아틴 농도가 증가할수록 술잔세포의 밀도는 감소하였다(p<0.05). 결론: 혈액투석을 받는 만성신부전 환자에서 건성안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오스몰 농도가 높은 경우 건성안에 대한 주의깊은 관찰이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미숙아에서 뇌 MRI와 뇌 초음파 검사의 결과 비교

        이승현,이주영,손진아,이진아,최창원,김이경,김한석,최중환,김병일 대한신생아학회 2012 Neonatal medicine Vol.19 No.1

        Purpose : Bra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scans have become increasingly popular as a predictive tool for neurodevelopmental outcome in preterm infants, while serial brain ultrasonograms remain as a standard evaluation modality for neonatal brai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brain MRI taken at term-equivalent age could give us further information over serial brain ultrasonograms taken during admission. Methods : We analyzed 225 preterm infant (<32 weeks gestational age) who were admitted to NICU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from January 2006 to June 2011. The 28 infants with chromosomal abnormalities or major congenital anomalies were excluded. We compared abnormal findings between brain MRI scan taken at term-equivalent age and serial brain ultrasonograms taken during admission in 197 preterm infants. Results : The brain MRI scans taken at term-equivalent age showed normal findings in 142 out of 197 (72%) infants and abnormal findings in 55 out of 197 (28%) infants. The brain ultrasonograms during admission revealed 82 intraventricular hemorrhages, 90periventricular leukomalacias, 7 brain parenchymal lesions, 3 ischemic lesions. Brain MRI scans discovered 30 intraventricular hemorrhages, 10 periventricular leukomalacias, 12 brain parenchymal lesions, 3 ischemic lesions. Ventriculomegaly was discovered only by the brain ultrasonography. Five brain parenchymal lesions and 9 cerebellar lesions were appeared only on the brain MRI scans. Brain MRI scans taken at term-equivalent age detected grade 1 or 2 intraventricular hemorrhages which were not discovered by last brain ultrasonograms. Conclusion : In compare to the serial brain ultrasonograms, the brain MRI scan taken at term-equivalent age is advantageous in discovering brain parenchymal lesions and cerebellar lesions and precise grading of intraventricular hemorrhage in preterm infants. 목적: 미숙아에서 뇌 자기공명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MRI) 검사는 신경발달의 결과를 예측하는 방법으로서 점차 많이사용되고 있지만, 정기적 뇌 초음파 검사는 여전히 신생아 뇌 검사방법의 기준으로 남아있다. 미숙아에서 퇴원 무렵에 시행된 뇌 자기공명영상과 입원기간 중 연속적으로 시행된 뇌 초음파영상을 비교하여 뇌 자기공명영상이 추가적인 정보를 줄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방법: 2006년 1월부터 2011년 6월까지 임신나이 32주 미만의 미숙아로 분당 서울대병원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아들 중 퇴원무렵에 뇌 MRI 검사를 받은 22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 환아중 염색체 이상 또는 중추신경계 기형이 있는 28명 환아를 제외한197명의 뇌 MRI와 입원기간 중 뇌 초음파 소견을 비교하였다. 결과: 대상 환아들 중 퇴원 무렵 뇌 MRI 검사 결과가 정상인 환아는 142명(124/197, 72%) 이었고, 양성 소견(positive finding)을 보인환아는 55명(55/197, 28%) 이었다. 뇌 초음파에서 미숙아의 주요 뇌병변에 대해 기술된 경우는 뇌실 내 출혈 82명, 뇌실 주위 백질연화증 90명, 뇌실질의 출혈 7명 및 허혈성 병변 3명 이였고, 뇌 MRI에서는 각 질환 별로 30명, 10명, 12명, 3명 이었다. 뇌실 확장은 주로 뇌 초음파에서 발견되었고, 뇌 초음파에서 발견되지 않았던 뇌실 내 출혈5건, 뇌실 주변 백질연화증 1건, 뇌실질 출혈 11명, 소뇌 병변 9명은뇌 MRI에서만 발견되었다. 교정나이 만삭아 시기에 촬영한 뇌 MRI 에서 입원기간 마지막으로 시행한 뇌 초음파에서 발견되지 않았던뇌실 내 출혈(Grade 1 or 2)이 발견되기도 하였다. 결론: 뇌 초음파 검사와 비교할 때, 미숙아들에게 퇴원 전 뇌 MRI 검사는 뇌 초음파 검사에서 발견하기 어려운 뇌 실질의 출혈, 소뇌병변의 발견 및 뇌실 내 출혈 정도를 명확히 확인하는 데 있어서도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