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와사끼병 환아에서 발생한 거대관상동맥류 내 혈전의 성공적 용해요법과 장기 치료 및 경과 1례

        문수정,이수야,나경희,박선영,김은영,김경심,김용욱,Moon, Su Jung,Lee, Su Ya,Na, Kyong Hee,Park, Sun Young,Kim, Eun Young,Kim, Kyoung Sim,Kim, Yong Wook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3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6 No.3

        환아는 3개월된 영아로 발병 10일째에 본원에 내원하여 초기에 적절한 진단과 치료를 받지 못했으며 발병 2주에 시행한 심초음파상 거대 관상동맥류를 보였다. 이에 정맥용 면역글로불린 투여와 aspirin과 dipyridamole로 치료 중 발병 24일째 혈전증이 동반되어 urokinase와 heparin의 IV 투여를 통한 혈전용해 치료로 혈전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었다. 이후 5년간 aspirin, dipyridamole, coumadin을 투여하면서 심전도와 심초음파검사를 반복하며 외래 추적 관찰 중 점차 좌측관상동맥내 혈전이 증가하고 내경이 점차 좁아지는 소견과 함께 협착이 의심되었다. 발병 5년 후 시행한 관상동맥 혈관조영술상 관상동맥 좌측 전하지가 완전 폐색되고 우측관상동맥으로부터 발달한 측부순환에서 혈류를 공급받고 있었고, 핵의학 검사상 좌심실의 전벽과 중격, 일부 외벽에 완전 가역적 관류 결손을 보였던 가와사끼병 환아 1례를 경험하여 보고한다. The long-term clinical issues in Kawasaki disease are concerned with the coronary artery lesions that result in aneurysmal formation, thrombotic occlusion, progression to ischemic heart disease, and premature atherosclerosis. We here report a 3 month old infant with Kawasaki disease complicated by giant coronary aneurysm with thrombosis. After urokinase(10,000 IU/kg) and heparin(400 IU/kg) were injected for two days as thrombolytic agents, thrombi were successfully dissolved. Even though long-term oral anticoagulation with low-dose aspirin, dipyridamole and coumadin were administered, thrombosis of the left main coronary artery was slowly increased. five years later, coronary angiography showed nearly total occlusion of the left anterior descending artery and collaterals from the right posterior branch and radionuclide scan demonstrated complete reversible perfusion defect of several portions of the left ventricle.

      • KCI등재후보

        열성 경련의 재발을 예방하기 위한 단기 경구 Diazepam과 장기 Valproate 투여의 예방 효과

        선규근(Gu Ken Sun),이수야(Su Ya Lee),김은영(Eun Young Kim),나경희(Kyoung Hee Na),박선영(Sun Young Park),김경심(Kyoung Sim Kim),김용욱 (Yong Wook Kim) 대한소아신경학회 2003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11 No.2

        목 적 : 열성 경련은 3개월에서 5세 사이 소아의 3-4%가 경험하게 되는 소아과 영역에서 가장 흔한 신경계 질환으로, 경련 후에도 일반적으로 지적, 신경학적 발달에 나쁜 영향을 미치지 않는 좋은 예후를 보인다. 따라서 예방적 항경련제 투여에 지금까지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자주 재발하는 경우에는 보호자를 불안하게 하고 신경학적 손상의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재발을 예방하기 위한 항경련제 투여를 고려하게 된다. 재발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으로눈 열이 있는 시기에만 diazepam을 투약하는 단기 요법과 valproic acid, phenobarbital 등을 열성 경련이 소실되는 4-5세까지 1-2년 투약하는 장기 요법이 있다. 두 가지 방법 모두 예방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두 가지 방법을 비교한 논문의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저자들은 3회 이상의 잦은 열성 경련이 있으면서, 재발위험 인자를 하나 이상 가지고 있었던 환아들에게 단기로 경구영 diazepam을, 또는 장기적으로 valproate를 투약하여 이 약물들이 재발을 예방하는데 효과적인지 알아보고 더 나아가 두 가지 방법의 치료 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 법 : 1997년 3월부터 1999년 7월까지 2년 5개월 동안 광주기독병원에 열성 경련으로 입원하였던 환아들 중 3회 이상의 열성 경련이 있으면서, 설정하였던 5개의 재발 위험 인자 중 한개 이상 가지고 있는 아이들을 대상으로 항경련제를 투여하였다. 그 중 약물을 잘 투약하면서 추적관찰이 되었던 환아들은 28명으로, 간헐적 단기 diazepam 투여군 16명, 장기 valproate 투여군은 12명이었다. 대조군은 같은 시기에 같은 조건하에서 약물을 투여하지 않았던 58명을 대상으로 하여 세 군의 1년 후의 재발률을 조사하였다. 결 과 : 1) 세 군간 임상 자료 비교 : 세 군간에 성별, 연령, 열성 경련의 횟수 등은 차이가 없었다. 2) 세 군간 위험 인자 비교 : 대부분의 위험 인자들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diazepam 군에서 복합 열성 경련이(P=0.001), valproate 군에서는 년 3회 이상 경련한 경우가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많았다(P=0.01). 위험 인자 수는 대조군 1.6개, 약물투여군 2.3-2.6개로 약물 투여군에서 많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 3) 1년 후의 재발율 비교 : Diazepam군은 1회 평균 용량 0.3 ㎎/㎏을 열이 있는 첫 날 3회 경구 투여하였는데, 16명 중 1명(6.2%)에서 재발하였다. Valproate군은 1일 평균 17 ㎎/㎏을 2회에 나누어 매일 투약하였는데, 12명 중 3명(25%)에서 재발하였다. 두 군 모두 대조군의 재발률(43명/58명 74.1%)에 비해 재발률이 유의하게 낮았으나 (diazepam군 vs 대조군:P=10-9, valproate군 vs 대조군:P=0.001), 두 군간에는 차이를 보아지 않았다(P=0.16). 4) 항경련제 투여의 부작용 : Diazepam 투여군 중 1명(6.2%)에서 일시적인 기면, valproate 투여군 중 3명(25%)에서 경한 위장장애 및 행동과다가 있었다. 결 론 : 열성 경련의 재발을 예방하는 데 단기 diazepam과 장기 valproate 투여 모두 효과가 있었고, 방법에 따른 효과의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투약에 따르는 부담이 적고, 비교적 부작용이 없는 단기 diazepam 투여를 우선 고려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We tried to evaluate the effect of prophylactic treatment with short-term intermittent diazepam or long-term continuous valproate in prenventing the recurrence febrile seizures and compare the efficacy of both drugs. Methods : Eighty six children who were admitted to the Kwangju Christian Hospital from March, 1997 to July, 1999 with more than three febrile seizures and more than one risk factor were enrolled in our study and followed up for one year. Among them, sixteen belonged to an oral diazepam group and twelve to a valproate group while fifty eight to a control group. We investigated the recurrence rate of each group for the period of a year. Results : In the diazepam group, diazepam(0.3 mg/kg/dose) was administered orally every eight hours during the first febrile day and the recurrence rate was 6.2%. The recurrence rate of the valproate group(17 mg/kg/day, bid) was 25%. Those treatments significantly reduced the recurrence rates of febrile convulsions compared to the untreated control group(74.1%),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two treatment groups in the respect of recurrence rates of febrile seizures. Conclusion : Both intermittent diazepam and continuous valproate treatment were equally effective in preventing the recurrence of febrile seizures.

      • KCI등재후보

        광주지역 소아에서 유행한 호흡기바이러스 유행양상 분석

        서진종,김민지,김선희,기혜영,정재근,김은선,박종태,김경심,이수야,김명권,정윤석 대한감염학회 2008 감염과 화학요법 Vol.40 No.4

        Background : This investigation was to perform the epidemiological surveillance and genetic analysis on respiratory viral agents from children with acute respiratory infections in Gwangju. Materials and Methods : For this study, 3,695 specimens obtained from patients with acute respiratory infections were collected by collaboration with pediatric hospitals in Gwangju between 2005 and 2007. Specimens were screened for 8 respiratory viruses including influenza viruses (IFV), human rhinoviruses (HRV), human coronaviruses (HCoV), adenoviruses (ADV), parainfluenza viruses (PIV), human enteroviruses (HEV), respiratory synthitial viruses (RSV) and human bocaviruses (HBoV). Respiratory viruses were detected using multiplex (RT) PCR with viral specific primers. Results : Out of 3,695 specimens, the ratio of virus detection was 24.9% (919). Overall, HRV (35.5%) and IFV (34.9%) were the most common viruses found, followed by HBoV (14.8%), HCoV (10.6%), RSV (3.7%), ADV (3.4%), PIV (3.2%) and HEV (3.0%). In addition, multiple infections were detected in 80 patients (8.7%). When the prevalence was analyzed according to season, HBoV, IFV and HCoV showed two epidemic points in late spring and early winter. ADV, HRV, RSV PIV and HEV, however, were all found to have only one epidemic point, with RSV being most common during winter and the others being most prominent during spring. Conclusions : Through this epidemiological surveillance, the respiratory viruses prevalent in children in Gwanaju area were investigated. We strongly recommend the development of nationwide policy for the management of prevalent respiratory virus that includes long term collection of data and samples, vaccine development and prevention education of the misuse of antibio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