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독서를 통한 인성교육의 프레임워크 개발에 관한 연구

        이병기,Lee, Byeong-Ki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4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5 No.4

        인성교육에 있어서 독서의 중요성과 가치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에서 강조하고 있으나 정작 독서를 통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도구 혹은 프레임워크는 전무한 실정이다. 독서를 통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독서교육의 관점과 인성교육의 관점을 함께 고려한 프레임워크의 개발이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독서교육을 담당하는 사서교사가 독서를 통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할 때 참고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독서 및 인성과 관련된 핵심 변인으로서 인성 덕목, 인성교육에 적합한 독서자료, 독서전략, 수업 방법으로 구분하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고려해야 할 요소를 분석한 후에 이를 바탕으로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프레임워크는 분석 내용과 동일하게 프로그램을 통해 개발하고자 하는 인성 덕목, 인성교육에 적합한 독서자료, 인성교육을 위한 독서전략, 인성교육에 적합한 수업방법으로 구성하였다. A number of studies have emphasized the importance and values of reading in character education. However, there is no tool or framework for developing character education program. If teacher librarian to develop a character education program by reading should be preceded the framework for a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approach. The framework for character education program by reading is required to develop a program. The framework must be considered with a character factor and reading elem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framework that will help teacher librarian to develop a character education program by reading. This study analyzed on construction elements of character, reading material for character education, reading strategies, teaching methods. Then, this study propose a framework for developing charact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analysis information. The proposed framework in this study consists of construction elements of character, reading material for character education, reading strategies, teaching methods.

      • 액티브 네트워크에서의 SNMP 기반 망 관리 구조

        이병기,조국현,Lee, Byeong-Gi,Jo, Guk-Hyeon 한국정보처리학회 2000 정보처리논문지 Vol.7 No.s8

        기존의 망 관리 구조는 정적이며, 중앙집중적인 클라이너트서버 기술들을 토대로 한다. 이러한 망 관리 구조에서 망의 모든 요소들은 전체 데이터를 처리하고, 망 관리자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중앙의 관리 스테이션에 모든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중앙집중적인 관리 구조는 관리되는 노드들의 수와 복잡도가 증가함에 따라 한계에 부딪히고 있다. 또한 이러한 수동적인 망 관리 방법은 확장이 불가능하고, 트래픽 증가로 인해 많은 비용이 들기 때문에 더욱 신속한 접근 및 확장성을 가진 기술을 적용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액티브 네트워크는 사용자가 메시지 내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망에 삽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용자에 의한 계산 및 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프레임웍이다. 본 논문에서는 망 노드들에 부담을 주지 않고 망 관리 및 모니터링을 수행하기 위해 액티브 네트워크 기술을 적용한다. 또한 액티브 네트워크 플랫폼의 구조 설계 및 프로토타입 시스템을 구현하고. 액티브 네트워크와 SNMP 기반 관리 응용간의 통합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레임웍에 대해 기술한다.

      • PNF의 방산을 이용한 간접치료가 뇌졸중환자의 정적 자세에서의 체중지지 및 보행 속도에 미치는 영향 : 증례보고

        이병기,윤정현,Lee, Byung-Ki,Yun, Jeung-Hyun 대한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학회 2012 PNF and Movement Vol.10 No.4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NF of irradiation using an indirect treatment of the stroke patient's static weight support and walking speed. Methods : Was carried out a total of nine different the PNF method of treatment for patients with left hemiplegia stroke. PNF of treatment is not in the non-paralyzed side of the trunk and upper and lower extremities by applying resistance and increased strength of the affected side. Assessment of treatment weight support both feet measured and modified using the timed up and go test were compared before and after treatment. Results : Treatment of the paralyzed side of the quadriceps and hamstring, gluteus medius muscle strength increased, and both sides of the foot body weight support improved walking speed was increased. Conclusion : Irradiation using PNF indirect treatment improves the function of the gait of stroke patients.

      • KCI등재

        사서교사의 교수역량 구성 모형에 관한 연구

        이병기,Lee, Byeong-Ki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07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38 No.4

        본 연구는 사서교사의 교수역량 즉, 수업전문성을 구성하는 요인을 추출하고, 이를 모형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일반교과교사가 갖추어야 할 교수역량에 관한 문헌은 물론 사서교사의 자격기준 에 관한 문헌을 비교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서교사의 교수역량 모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사서교사의 교수역량 모형은 교수-학습 과정을 고려하여 크게 수업 설계, 수업 실행, 수업 평가로 구분하고, 각 단계마다 단독수업과 협력수업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사서교사의 연수 프로그램이나 사서교사 양성 대학의 교육 과정을 개편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construct model of teaching competency in teacher libraria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sis the existing literature of which teaching competency of subject teacher and teacher librarian competency standard. The teaching competency model of teacher librarian was designed with the result of compares and analysis. The suggested model composed of 3 process: (1) instructional design, (2) Instruction Implementation, (3) Instruction evaluation. It is also suggested that construct of isolated instruction and cooperative instruction. This study can be helpful to development a in-service program of teacher librarian and curriculum of Teacher librarian education.

      • KCI등재

        선천성 허리헤르니아 1예

        이병기,김해영,조용훈,박재홍,Lee, Byung-Ky,Kim, Hae-Young,Cho, Yong-Hoon,Park, Jae-Hong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07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10 No.2

        선천성 허리헤르니아는 12번 늑골과 장골 사이의 후복벽 요측부에 발생하는 탈장으로 매우 드문 질환이다. 출생 시부터 우측 측복부에서 덩이가 발견되었고 점차크기가 증가하여 내원한 4개월 된 남아에서 복부 초음파 검사 및 복부 전산화 단층 촬영으로 선천성 상부 허리헤르니아가 진단되었고 일차 봉합술로 완치되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An lumbar hernia is a rare clinical disease entity thatarises from the superior or inferior lumbar triangle and presents as a reducible protruding mass in the flank region between twelfth rib and the iliac crest. There are two classifications one classification is a congenital or acquired hernia according to the occurrence timing and the other classification is a superior (Grynfeltt-Lesshaft hernia) or inferior (Petit's hernia) lumbar hernia according to the anatomical location. Approximately 10% of all lumbar hernias are congenital and the vast majority of them are unilateral. We report here a case of a congenital lumbar hernia through the superior lumbar triangle of Grynfeltt-Lesshaft without any other congenital anomalies or complications in a four-month-old male. It was treated successfully with a surgical repair.

      • KCI등재

        문헌의 내용단위구조에 의한 전문검색시스템의 타당성 고찰

        이병기,Lee Byeong-Ki 한국문헌정보학회 1998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32 No.1

        전통적인 전문검색시스템은 전문색인방식을 취하고 있기 때문에 접근점이 많다는 장점이 있으나, 대량의 문헌이 검색되어 부적합 문헌이 검색될 가능성이 높고, 정보요구 상황이나 목적에 따라서 본문의 특정 부분만을 지정하여 탐색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전문데이터베이스의 본문을 내용단위로 구조화해야 할 이론적 타당성을 검토하였으며, 선행연구에 나타난 학술논문의 내용단위구조를 비교 분석하여 내용단위요소를 추출하고, 실제 한국어로 작성된 180여건의 학술논문에 적용 검토함으로써 표준적인 학술논문의 내용구조 모델을 개발하였다. 그 결과 문헌의 내용단위구조는 이용자의 정보요구 상황이나 목적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전문데이터베이스 구축이나 전문검색시스템의 설계시에 내용단위로 구조화해야할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In these days the online full-text database are increasing, but conventional full-text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has been proved with high recall ratio and low precision ratio. One of the disadvantages of full-text IR system is that it is not designed to reflect the user's information need it is due to the fact that full-text IR system has been designed based on physical and logical structure of document without considering the content of docume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study examined feasibility of document content structure in full-text IR system by resolving such disadvantages of conventional system. 180 Journal articles have been analyzed to find common structure of document content and finally general model of the structure of journal articles were developed. The result shows that have relation to between user's cogntive schema structure, user's information need and contents structure of document. Thus it is concluded that full-text IR system need to be designed by using document content structure in order to meet user's information need more effectively.

      • KCI등재

        학교도서관 정보활용교육의 범위와 계열 설정에 관한 연구

        이병기,Lee, Byeong-Ki 한국비블리아학회 2005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16 No.1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도서관이용교육과 독서교육 그리고 정보활용교육을 종합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전략으로서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 즉, 범위와 계열을 설정하였다. 한국과 일본 그리고 미국에서 적용되고 있는 정보활용교육의 사례를 비교${\cdot}$분석하고,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정보활용교육을 위한 교육과정의 범위와 계열을 설정하였다. 새롭게 설정한 정보활용교육의 범위와 계열은 정보활용교육의 모형에서 추출한 5대 기능과 과정을 근간으로 하였으며, 전통적인 도서관이용교육과 독서교육의 내용을 수용하였다. 또한, 모든 정보매체와 정보텍스트의 형식, 정보활용의 과정과 전략, 정보의 체계 및 구조를 종합적으로 지도할 수 있도록 편성하였으며, 초등학교 저학년(1-3), 고학년(4-6), 중학교(1-3), 고등학교(1-3)로 구분하여 교육내용에 따른 계열을 설정하였다. The study has developed the scope and sequence of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s curriculum for integration strategies of traditional reading education, library use education and information literac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 the scope and sequence of reading education, library use education and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s curriculum in Korea, American and Japan. Basing on the comparative result, it proposed the scope and sequence of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s curriculum in Korea. The scope and sequence which it proposes based on the skill and process of information literacy model, it includes contents of traditional reading education, library use education. Also, supposed scope take in all format of information media, the process and strategies of information use, library and information system. the supposed sequence divided into elementary school(1-3), elementary school(1-4), middle school(1-3), high school(1-3)

      • KCI등재

        미국 학교도서관 기준 관련 문서 "21세기 학습자를 위한 기준"의 구조와 내용 분석에 관한 연구

        이병기,Lee, Byeong-Ki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09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0 No.3

        미국 학교도서관 기준은 미국의 각 주(州) 정부의 학교도서관 정책은 물론 전 세계 학교도서관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미국의 학교도서관 기준은 미국교육학회(NEA) 주도로 1920년에 처음으로 제정된 이래 교육 및 기술 변화를 적극 수용하여 약 10여 차례 개정되어 왔으며, 가장 최근의 기준으로는 2009년에 AASL에서 발행한 "학습자 힘 기르기"가 있다. "학습자 힘 기르기"는 2007년과 2009년에 각각 발행한 "21세기 학습자를 위한 기준", "21세기 학습자를 위한 기준의 실천"을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전 세계의 학교도서관계에 영향을 끼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07년에 제정한 학교도서관 기준 관련 문서 "21세기 학습자를 위한 기준"과 "21세기 학습자를 위한 기준의 실천"의 구조와 내용을 분석하여 학교도서관계의 동향을 파악하고, 우리나라 학교도서관 정책의 바로미터로 삼고자 한다. "21세기 학습자를 위한 기준"은 학교도서관의 교육적 비전을 제시하고, 학교도서관과 사서교사가 학생들의 학습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가를 보여주고 있다. "21세기 학습자를 위한 기준의 실천"은 학교도서관을 통해서 기준을 실천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The standards for school library in America affected school library policy in US as well as worlds. The America standards for school library established by NEA for the first time in 1920. After the first standard established, America standards revised about 10 times to accommodate educational and technological changes. The Americas new school library standards 'empowering learners: guidelines for school library media programs' established by AASL in 2009. The guidelines are relevant to the 'standards for the 21st-century learner', 'standards for the 21st-century learner in action'. The guidelines expected to affect US as well as school library policy of worlds. Thu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standards for the 21st-century learner' and 'standards for the 21st-century learner in action'. The standard for 21st-century learner offer vision for teaching and learning to both guide and beckon our profession as education leaders. They will both shape the library program and serve as a tool for library media specialists to use to shape the learning of students in the school. The standards for the 21st-century learner in action offer how are AASL's new learning standards, the standards for the 21st-century learner, incorporated into the school libra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