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식재산 이러닝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직무분석 연구

        이규녀,박기문,하홍준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14 지식재산연구 Vol.9 No.4

        This study aims to provide foundations of systematic and efficientmanagement system for intellectual property e-learning contents, whichwould help train talented individuals of job-oriented intellectualpropert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41 capability factors of job skills profile of intellectualproperty personnel were derived from entry level tasks and weredivided by 9 middle areas and 4 large areas. Second, correction/modification of the job skills profile generated5 large areas, 12 middle areas, and 34 capability factors after feasibilitysurveys, comparative analysis of the literature, and council with experts. These were derived from the entry level tasks of intellectual propertypersonnel and should be selected as subjects of intellectual property elearningcontents. In addition, they could be used as criteria forcollecting relevant data in analyzing status and contents of each subject,and preparing contents evaluation system for maintenance,improvement and discard. Third, jobs that are relatively important in job skills profile andalso frequently performed should be selected and maintained as newcontents or correction/modification contents. Specifically, since creationof intellectual property and securing a right of intellectual property were shown to be such, new development of the relevant contents ormaintenance according to contents evaluation results is urgently needed. In conclusion, analysis of status and content of e-learning contentsand e-learning contents development plan through data collectionincluding evaluation of importance, difficulty, frequency, and contentsof job should be prepared in order to train talented individuals inintellectual property in this capability-oriented society based on creationof intellectual property, securing a right of intellectual property,protecting intellectual property, utilizing intellectual property, and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related jobs. 이 연구는 실제적 맥락에서 직무 중심 인재 양성과 더불어 지식재산 국가 핵심인재를 위하여 지식재산 이러닝 콘텐츠의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관리 체제 구축의 토대를 마련하는 데 연구의 목적으로 두었으며, 연구 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식재산 분야의 직업세계에서 입직 초기에 수행 가능한 지식재산 인력의 직무능력 프로파일을 도출하였다. 41개 작업(entry level tasks)을 도출하여4개 대영역, 9개 중영역으로 분류하였다. 둘째, 구안한 직무능력 프로파일에 대하여 설문조사, 전문가협의회 등의 연구방법을 통하여 타당성과 신뢰성을 검증한 결과, 5개 대영역, 12개 중영역, 34개능력요소로 분석되었다. 이는 지식재산 인력의 입직초기 작업들에서 도출된 것이므로 지식재산 이러닝 콘텐츠의 주제로 선정되어야 하며, 각 주제의 현황 및 내용분석, 유지와 개선 및 폐기의 콘텐츠 평가체제 마련 등의 근거 데이터를 확보하는준거로 활용될 수 있다. 셋째, 개발된 직무능력 프로파일에서 상대적으로 중요하면서 자주 수행되는작업들을 우선적으로 신규 콘텐츠 또는 수정·보완 콘텐츠로 선정하여 유지·관리가 필요하다. 그 중에서 지식재산 권리화와 지식재산 창출은 중요도와 빈도가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 이와 관련된 콘텐츠는 신규 개발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콘텐츠의 세부적 평가에 따른 유지 관리가 시급하다. 결론적으로 능력을 중시하는 능력중심사회에서 지식재산 인재 양성을 위하여지식재산 창출, 지식재산 권리화, 지식재산 보호, 지식재산 활용, 지식재산 경영관련 직무를 기준으로 이러닝 콘텐츠의 현황과 내용을 분석하고, 직무의 중요도,난이도, 빈도, 그리고 콘텐츠 평가 등 데이터 확보를 통한 지식재산 이러닝 콘텐츠 개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 KCI등재

        중⋅고등학교 태블릿 PC와 랩톱 PC 활용 교육에 대한 효과성 인식 조사

        이규녀,박기문,황주영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7

        목적 이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한 학습 패러다임의 전환에 따라 스마트기기의 활용 실태와 환경 개선점, 교육적 효과성, 교육적 활용도에 대한 상대적 적합성 등을 조사 분석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방법 중등교원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151부를 회수하고 기술통계, t-검정, AHP기법으로 통계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중등교원이 보유한 스마트기기는 태블릿 PC와 랩톱 PC 두 기종이며, 대면수업 및 온⋅오프라인 연계수업 운영과 교사업무 수행 시에 스마트기기가 많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이를 위해 학생 및 교원 1인 1기기 확보(지원)와 고속 무선 네트워크 인프라 구축, 다양한 교육용 앱과 양질의 콘텐츠, 학생 기기를 통제 및 관리 기능(SW) 제공 등의 개선점을 높게 요구하였다. 둘째, 스마트기기 활용의 교육적 효과성은 학습동기 및 만족도(M=4.25), 사고력(M=4.18)과 학습능력(M=4.12)순으로 높았고, 학교 급간에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없이 4점대로 긍정적 인식을 보였다. 셋째, 스마트기기의 교육적 활용도는 스마트학습이 장기화되면서 학생참여형 중심의 교수⋅학습활동과 과정중심평가활동에서 빈도와 시수, 난이도가 증가하고 교원 수업 관련 업무용으로도 활용할 수있는 랩톱 PC를 태블릿 PC보다 적합하다고 평가하였다. 결론 포스트코로나 시대에 중등학교에 보급형 스마트기기의 도입 방안 마련, 스마트기기에 대한 사용자 연수와 교과 및 비교과의활용 사례 중심의 연수 운영, 중등 예비교원 양성과정에 스마트기기 활용 교육과정과 활용 교육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인재개발 교육프로그램의 평가준거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이규녀,최완식,박기문 대한공업교육학회 2009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34 No.2

        As the concern with the educational training for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n organizations grows, various programs are being offered in many places. Accordingly, the issue of securing the validity of the education and the importance of its assessment at the level of continuous quality management of the programs draw our atten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the basic data of evaluation criteria for human resources development which knowledge-and-information saturated society requires, and also to draw out the greater area of human resources development educational program based on CIPP(Context, Input, Process, Product) model by Stufflebeam, an evaluation model concentrated on process, through literature and case study in and out of Korea.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evaluation areas drawn out by the greater sphere of context evaluation of human resources education program are needs analysis, goal setting, and organizational environment. Second, the evaluation areas drawn out by the greater sphere of input evaluation of human resources education program are educational program strategies, human resources, and physical resources. Third, the evaluation areas drawn out by the greater sphere of process evaluation of human resources education program are educational program management, teaching-learning strategies, and educational support environment. Fourth, the evaluation areas drawn out by the greater sphere of product evaluation of human resources education program are influence, effect, durability, and transference. The author supposes that these results will be able to become the basic materials for the systematic approach to educational programs through the analysis of evaluation criteria for and the greater sphere of educational program of human resources development. 조직구성원의 인재개발을 위한 교육훈련의 관심이 증대되면서 다양한 교육프로 그램이 제공 및 보편화되고 있으며, 교육의 정당성 확보와 프로그램에 대한 지속 적인 질 관리 차원에서 평가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지식정보화 사회에서 요구되고 있는 인재개발 교육프로그램 평가준거 개발의 기 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으며, 국내·외 문헌고찰과 사례조사를 통하여 과정중심 평 가모형인 Stufflebeam의 CIPP(Context, Input, Process, Product)모형에 기반한 인재개발 교육프로그램의 평가준거 대영역을 도출하였으며, 이에 따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재개발 교육프로그램의 상황평가 대영역으로 도출한 평가영역은 요구 분석, 목표설정, 조직환경이다. 둘째, 인재개발 교육프로그램의 투입평가 대영역으로 도출한 평가영역은 교육 프로그램 전략, 인적자원, 물적자원이다. 셋째, 인재개발 교육프로그램의 과정평가 대영역으로 도출한 평가영역은 교육 프로그램 관리, 교수․학습 전략, 교육지원환경이다. 넷째, 인재개발 교육프로그램의 산출평가 대영역으로 도출한 평가영역은 영향 력, 효과성, 지속가능성, 전이력이다. 이러한 인재개발 교육프로그램의 평가준거 분석과 대영역 도출에 관한 연구결 과는 교육프로그램 평가의 체제적 접근에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후보

        전문계고 교사들의 학교 컨설팅에 대한 인식과 학교 컨설턴트 양성에 대한 교육 요구 분석

        이규녀,박기문,이병욱 대한공업교육학회 2009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34 No.1

        This study is aimed at analyzing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recognition of school consulting and educational demand for securing professionalism from school consultant training, to offer basic information for training school consultant. The survey was intended for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 training course.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have sympathy with the necessity of school consulting for 'change and survival' of vocational high school in the future, and recognize that successful school consulting will be possible when, in the first place, teachers and principal/deputy principal who are able to show leadership change for their recognition. Second, as the result of analyzing educational demand for school consultant training, demand for consulting business and case and experience area, like 'School consulting method and procedure', 'Sympathy creation technique', 'Case of innovation through consulting', was higher than for consulting theory. Third, as the result of surveying difference of importance recognition of school consultant training contents, according to experience of joining school consulting, 'Environmental change and necessity of consulting', 'Consulting status of domestic corporation and vocational high school', 'Consulting method and procedure', 'School status analysis techniqu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nd teachers who have experience showed higher average of importance than those who don't have experience. In conclusion, rather than consulting theory, education for consulting business and experience area and various cases-centered school consultant training program according to experience of joining school consulting should be developed. 이 연구의 목적은 전문계고 교사들의 학교 컨설팅에 대한 인식과 학교 컨설턴트 양성 연수에서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한 교육 요구가 무엇인가를 분석하여 학교 컨설턴트 양성을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설문조사 대상은 전문계고 교원 연수 과정에 참여한 전문계고 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계고 교사들은 향후 전문계고의 '변화와 생존'을 위하여 학교 컨설팅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더불어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는 교장․교감과 교사가 우선적으로 변화될 때 성공적인 학교 컨설팅이 가능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학교 컨설턴트 양성 연수의 교육 요구 조사를 분석한 결과, 컨설팅 이론보다는 '컨설팅 방법 및 절차', '공감대 형성 기법', '컨설팅을 통한 혁신 사례'와 같이 컨설팅 실무와 사례, 그리고 경험 공유에 대한 교육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학교 컨설팅 참여 경험에 따라 학교 컨설턴트 양성 연수 내용의 중요도 에 대한 인식 차이를 알아본 결과, '환경 변화와 컨설팅의 필요성', '기업 및 전문계 고교의 컨설팅 현황', '컨설팅 방법 및 절차', '학교 현황과 문제 진단(SWOT 분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경험이 있는 교사들이 경험이 없는 교사들보다 중요도의 평균이 높았다. 결론적으로, 컨설팅 이론보다는 컨설팅 실무와 경험 분야의 교육 내용과 학교 컨설팅 참여 경험에 따라 다양한 사례 중심의 학교 컨설턴트 양성 연수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 KCI등재후보

        예비 공업교사의 직업기초능력과 교사효능감과의 상관관계 연구

        이규녀,김소연,박기문 대한공업교육학회 2011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3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level of key competencies and teacher efficacy of pre-service industrial teachers as related to their personal backgrounds, and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personal variables, key competencies and teaching efficacy. This will be provided as basic resources for pre-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key competencies and teaching efficacy of pre-service industrial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 efficacy of pre-service industrial teachers was found to be above average (M=3.0), and teaching efficacy (M=3.41) was found to be a bit higher than personal teacher efficacy (M=3.28). Upon analyzing the significant differences of teacher efficacy resulting from background variables, it was found that gender and major had no difference while the effect of school year on teaching efficacy of teacher efficac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Second, the lower regions of key competencies of pre-service industrial teachers all were above the average 3.0. Gender and school year were exhibit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nd only the global competence of key competenci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Third, it was found that the gender and major of pre-service industrial teachers had no correlation with teacher efficacy and key competencies. On the other hand, school year variable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eacher efficacy (r=.274) and key competencies (r=.168). Lastly, it was found that key competencies and teacher efficacy had positive correlation of r=.475. 이 연구는 예비 공업교사들의 직업기초능력과 교사효능감이 개인적 배경변인과 관련지어 어느 정도인지 파악하고, 직업기초능력과 교사효능감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는 예비 공업교사들의 직업기초능력 이해도와 교사효능감을 신장시키기 위한 예비 교원 양성 프로그램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 공업교사의 교사효능감은 모두 보통(M=3.0)이상으로 나타났으며, 교수효능감(M=3.41)이 개인효능감(M=3.28)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배경변인에 따른 교사효능감의 유의한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과 전공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년별에 따른 교사효능감의 교수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 공업교사의 직업기초능력 하위영역은 모두가 평균 3점대로 나타났다. 성별과 학년별은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업기초능력의 글로벌 역량만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셋째, 예비 공업교사의 성별과 전공은 교사효능감과 직업기초능력 모두가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년 변인은 교사효능감(r=.274) 및 직업기초능력(r=.168)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예비 공업교사의 직업기초능력과 교사효능감은 r=.475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계층적 분석기법(AHP)을 이용한 지식재산 이러닝 콘텐츠의 상대적 중요도 분석

        이규녀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16 지식재산연구 Vol.11 No.1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suitability of intellectual propertye-learning by analyzing the current state, and to figure out the relative priority of the e-learning cont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e-learning content, the int ellectual property right(B) is most covered in a functional area with 43.89%, followed by the creation of intellectual property(A)(19.60%), protection of intellectual property(C)(18.52%), management of intellectual property(E) (11.95%), and application of intellectual property(D)(6.04%). Second, professional respondents put the relative importance of e-learning on the protection of intellectual property(C)(24.7%), application of intellectual property(D)(20.6%), and creation of intellectual property(A)(20.3%). In a comparative analysis with the actual condition of e-learning, the ranking and importance are so different that the e-learning supply system needs more improvement. In conclusion, in order to improve the intellectual property e-learning, the content of core job, such as the creation and protec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needs to be fully maintained and managed according to recent trends, and the future-oriented job-based content such as responding to the conflict of intellectual property and its application, needs to be newly developed and operated. 이 연구는 지식재산 이러닝의 실태를 분석하여 그 적합성을 평가하고, 이러닝 콘텐츠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하는 것이며, 연구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러닝의 실태를 분석한 결과, 가장 많이 다루고 있는 직무영역은 지식재산 권리화(B) 43.89%, 지식재산 창출(A) 19.60%, 지식재산 보호(C) 18.52% 순으로 나타났다. 전문가 협의회에서 지식재산권 확보(B-3)와 지식재산 정보분석(E-2)의 적합성은 적절하지만 나머지 10개 분석준거 관련 콘텐츠는 신규 개발 및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둘째, 응답한 전문가들은 이러닝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를 지식재산 보호(C) 24.7%, 지식재산 활용(D) 20.6%, 지식재산 창출(A) 20.3%순으로 높게 인식하였다. 이를 이러닝의 실태와 비교 분석하면 그 순위와 비중이 서로 상이하여 이러닝 공급체제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지식재산 이러닝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지식재산의 창출 및 보호와 같은 핵심 직무의 콘텐츠를 최신 동향에 맞추어 충실하게 유지·관리해야 하고, 지식재산 분쟁대응 및 활용과 같은 미래지향적인 직무 기반의 콘텐츠를 새롭게 개발·운영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발명교육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유사학문과의 비교 분석 연구

        이규녀,이병욱,박기문 한국기술교육학회 2013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3 No.2

        This investigation aims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establishing identity of invention education by comparatively analyzing academic definitions, characteristics, academic components, and curricula, all of which are appropriate methods and criteria for judging the identity of invention education. The followings can be suggested for establishing identity of the invention education. First, unlike other disciplines such as science, technology, and engineering, independent academic system has not been established for invention. Only creating something new was recognized worthwhile. To establish identity of the invention education, follow-up studies are necessary, which will define and systemize critical and unique study objects about invention and verify them scientifically and theoretically. Second, a theoretical foundation, which will assimilate and integrate similar studies such as science, technology, and engineering, is necessary to develop invention education as a systematic and independent academic discipline. Opening academic departments in college and establishing an academic society specialized in invention education should be accomplished, too. Third, distinctions of invention education from other similar studies should be reinforced for the establishment of its identity. Invention education has to aim for creation and development, however, at the same time, a pedagogical research on invention education, invention education teaching, invention education assessment, and invention education curriculum, which includes other similar studies such as science, technology, and engineering, has to be conducted. 이 연구는 발명교육의 정체성을 판단하는데 적합한 방법과 기준으로 발명과 유사학문과의 학문적 특성, 발명교육과 유사학문의 학문적 구성요소 및 교육과 정을 설정하고, 이를 토대로 비교 분석한 후 정체성 확립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발명교육의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한 과제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발명은 과학․기술․공학과 달리 독립적인 학문체계가 형성되지 않은 상태이며, 창의성을 토대로 새로운 것을 창조하는 것만을 가치롭게 인식하였다. 발명을 다루는 발명교육의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해서는 발명에 대한 핵심적이고 고유한 연구 대상을 설정하여 체계화하고 이를 과학적인 연구 방법과 이론으로 검증하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발명교육이 체계적이고 독립된 학문분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과학․기술․공학의 유사학문들을 유기적으로 융합 및 통합시킬 수 있는 이론적 토대를 마련해야 하며, 대학의 학과 개설과 발명교육을 전문적으로 학술 활동하는 학회 설립 등이 필요하다. 셋째, 발명교육의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해서는 유사학문과의 차별성을 강화해야 한다. 이는 발명교육이 창조와 개발을 지향하되 발명과 근접한 과학․기술․공학을 포괄하는 발명교육론, 발명교육 교수법, 발명교육 평가, 발명교육 교육과정 등의 교과교육학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 KCI등재

        IP-R&D 능력의 개념화를 위한 직무분석

        이규녀,이병욱,강다영 한국기술교육학회 2019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9 No.2

        This research is to conceptualize the IP-R&D skill through the IP-R&D job analysis that realizes the work of establishing the R&D strategy based on the intellectual property. The research method analyzed the job as the first analysis method that used both FGI and conference, with the following research conclusion. First, IP-R&D job was defined as “the job that creates valuable IP and that establishes the strategy of application over the whole R&D cycle such as task excavation, planning, performance, evaluation to maximize the R&D investment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Second, IP-R&D job was deduced with 10 duties and 27 tasks, a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portance, difficulty and frequency state, the 9 works such as ‘1)selecting the candidate technology(AAA), 2)extracting the valid data and preparing substance list(AAA), 3)deducing the core patent(AAA), 4)analyzing the possible invasion and establishing the avoidance design strategy(AAA), 5)creating new IP through the counter strategy(AAA), 6)preparing the patent analysis frame(ABA), 7)searching the patent(ABA), 8)deducing the competitor/technology(ABA), 9)deducing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direction(AAB) were shown as core works. Third, a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ed knowledge and function of IP-R&D job, the 3 competencies including the competence of presenting the R&D direction, the competence of establishing the intellectual property assuring strategy, the competence of establishing the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and use strategy can be defined as the IP-R&D competencies. Finally, this research has its meaning in that it had conceptualized the IP-R&D skill, confirmed the standard of the corresponding job and provided the basic data for constructing the infrastructure of forming the IP-R&D personnels such as the survey of education related needs and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training program. 이 연구는 지식재산 기반의 R&D 전략 수립 업무를 수행하는 IP-R&D 직무 분석을 통해 IP-R&D 능력을 개념화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은 FGI와 전문가 협의회를 활용한 최초분석법으로 직무분석을 수행 하였고, 이를 통한 구체적인 연구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IP-R&D 직무는 “R&D 투자 성과와 조직의 성과 극대화를 위해 과제 발굴, 기획, 수행, 평가 등 R&D 전 주기에 걸쳐 가치 있는 IP 창출 활용 전략 수립을 수행하는 직무”로 정의하였다. 둘째, IP-R&D 직무는 10개 임무와 27개 작업으로 도출되었고, 중요도·난이도·빈도 현황을 분석한 결과, ‘후보기술 선정 하기(AAA), 유효데이터 추출 및 요지리스트 작성하기(AAA), 핵심특허 도출하 기(AAA), 침해여부 분석 및 회피 설계 전략 수립하기(AAA), 대응전략을 통해 신규 IP 만들기(AAA), 특허 분석프레임 작성하기(ABA), 특허 검색하기(ABA), 경쟁사/기술 도출하기(ABA), 기술개발방향 도출하기(AAB)’로 9개 작업이 핵심 적인 업무로 분석되었다. 셋째, IP-R&D 직무의 관련 지식, 기능을 분석한 결과, R&D 방향 제시 능력, 지식재산 확보 전략 수립 능력, 지식재산 관리․활용 전 략 수립 능력 3가지를 IP-R&D 능력 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는 IP-R&D 능력을 개념화하고 해당 직무에 대한 표준을 확인하여 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과 관련한 요구조사, 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 등 IP-R&D 인력 양성의 인프라 구축에 기초 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그 의 의가 있다.

      • KCI등재

        특성화고 화공계열의 교육과정에 대한 실태 분석

        이규녀,이광복,김소연,한수경,이영우 대한공업교육학회 2015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40 No.2

        This study is aimed at researching and analyzing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curriculum and career path of chemical engineering field in specialized high school, and seeking for a curriculum improvement plan for activation by means of identity establishment of chemical engineering field. This study surveyed the actual conditions of school (department) regarding chemical engineering, and analyzed an adequacy among the curriculum, department name and acquired licens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In order to the chemical engineering field to maintain the identity of chemical engineering and accept the changes in the industrial site, it is desirable for the department name to use the name of applied science, such as Applied Chemical Industry, Nano Chemical Industry, Environmental Chemical Industry, Energy Chemical Industry, Convergence Materials Science and Chemical Engineering, Ceramic Chemical Engineering, Biomolecular and Chemical Engineering, and Food Bio-chemical Engineering, which are derived from chemical engineering, and the revision of curriculum should be included. Secondly,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relevant licenses by standard department of chemical engineering field, and clarify the purpose of human resources development and the image of talented, considering the future course of graduates and the demand of industry,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school-leveled curriculum to raise the possibility of employment. Thirdly, in accordance with the changing paradigm that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is changed from ‘just-to-know education (knowledge)’ to ‘can-do education (capability)’, it is necessary to make the performance ability-centered curriculum in which ‘chemical engineering industry –chemical engineering vocational education – chemical engineering qualification’ are integrated. 이 연구는 특성화고 화공계열의 교육과정에 대한 실태를 조사․분석하고 화공계열의 정체성 확립을 통한 활성화를 위하여 교육과정의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화공계열 학교(과) 대상의 실태 조사를 실시하고, 교육과정 및 학과명, 그리고 취득 자격증의 상호간에 적합성을 내용분석 하였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같다. 첫째, 화공계열이 화공의 정체성을 유지하며 산업 현장의 변화를 수용하기 위해서는 화공에서 파생된 응용화학공업, 나노화학공업, 환경화공, 에너지환경화공, 융합신소재화공, 세라믹화공, 생명화공, 식품생명화공 등 응용학문의 학과를 개설하고, 학과별 교육목표에 따른 교육과정을 편성․운영해야 한다. 둘째, 화공계열의 기준학과별로 관련 자격증을 다양화하고, 취업 가능성 제고에따른 학교수준의 교육과정 개선을 위하여 산업수요와 직업의 변화를 고려한 인력양성 목표와 인재상을 명확하게 수립해야 한다. 셋째, 화공계열 교육과정의 질적 제고를 위해서는 중등 직업교육이 '알기만 하는교육(지식)'에서 '할 줄 아는 교육(능력)'으로 변화하는 패러다임에 발맞추어 ‘화공 산업체 - 화공 직업교육 - 화공 자격’이 일체화된 교육과정이 필요하다.

      • KCI등재

        화학공학분야 교육비전 수립 연구

        이규녀,황민정,이광복,한수경,이영우 한국공학교육학회 2018 공학교육연구 Vol.21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nd propose educational vision of chemical engineering field in order to search for academic identity and future education direction in chemical engineering field.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we investigate the literature and data on the vision, educational goals, and curriculum of the department of chemical engineering in domestic and foreign universities. We also analyze the SWOT of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respectively. The validity of the proposal was verified through delphi survey with delphi panels and the vision was developed by revising and improving upon the opinions of professionals. The vision is comprised of the value and mission of learning, the educational purpose, and the educational goal. The first stage is value and mission of chemical engineering. The educational purposes and the educational goals are divided into ‘Department of Chemical Engineering’ and ‘Department of Chemical and Biological Engineering’. The application of the educational vision of chemical engineering field is as follows. First, we expect that the vision to be a valuable, philosophical, and theoretical basis for establishing educational objectives and goals in the field of chemical engineering. Hopefully, it will be used as a general education goal for the top-level education. Second, we hope that the vision will be used to develop customized vision, customized educational purpose, and educational goal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region, departments, graduates, and educational needs in the field of chemical engineering. Finally, we hope that these results will be the starting point to discuss the educational vision in the department of chemical engineer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