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상 유무인복합전투체계 기술동향 및 시사점

        이경택,김형준,홍수연,차도완 한국국방경영분석학회 2024 한국국방경영분석학회지 Vol.50 No.1

        유무인복합전투체계는 전 세계적으로 개발 및 구축을 추진하는 대상으로 기술경쟁력 확보 및 군사력 건설을 위한 시험장이 되었다. 유무인복합전투체계는 미국, 이스라엘, 중국, 스위스가 세계적인 기술경쟁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미국은 막대한 예산과 다양한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유무인복합전투체계 구축을위한 공통원천기술 및 인식기술, 자율화 기술, 통신기술, 지휘통제기술 등 핵심기술과 플랫폼 개발을 가속화하고 있다. 한편 우리나라의 최고기술국 대비 기술수준은 단계별 66.7 ~ 86.1%의 수준을 보이고 있다. 1단계원격통제형(~ ’23)의 경우 86.1%로 대부분 기술실용화 단계이상으로 평가되며, 기술격차는 1.1~3.5년으로분석되었다. 2단계 반자율형(‘24~’27)의 경우 77.3%로 시험개발 단계 이상으로 평가되며, 기술격차는 1.6 ~ 3.9년으로 분석되었다. 3단계 자율형(‘28 ~)의 경우 66.7%로 응용 및 시험개발 단계로 평가되었으며, 기술격차는 3.2 ~ 4.5년으로 분석되었다. 2015년 당시 기술수준 평가결과와 비교하면 1단계 원격통제형 기준 6% 가량 수준이 상향되었으며 지속적인 상향 추세를 보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앞선 지상 유무인복합전투체계에 대한 기술동향 및 수준평가 결과 분석을 통해 향후 나아가야 할 방향과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manned/unmanned complex combat system has become a test site for securing technological competitive- ness and building military power as a target for development and construction worldwide. The US, Israel, China, and Switzerland were found to have global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in the manned/unmanned complex combat system, and in particular, the US is accelerating the development of core technologies and platforms such as common source technology and recognition technology, autonomous technology, communication tech- nology, command and control technology to build an manned/unmanned complex combat system based on a huge budget and various programs. Meanwhile, the technology level compared to Korea's top technology countries is 66.7 to 86.1% in stages. In the case of the first stage remote control type (~'23) it is 86.1% and most of them are evaluated above the technological practical stage, and the technology gap was analyzed as 1.1 to 3.5 years. In the case of the second stage semi-autonomous type ('24~'27), it is evaluated as above the test and development stage at 77.3%, and the technology gap was analyzed as 1.6 to 3.9 years. In the case of the third stage autonomous type ('28~), 66.7% was evaluated as the application and test and development stage, and the technology gap was analyzed as 3.2 to 4.5 years. Compared to the technical level evaluation results at the time in 2015, the level of the first stage remote control type has increased by about 6%, showing a continuous up- ward trend. In this paper, the direction and implications for the future were present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technology trends and level evaluation results for the previous ground-based complex combat system.

      • KCI등재

        Vibration of two cantilever beams clamped at one end and connected by a rigid body at the other

        이경택 대한기계학회 2009 JOURNAL OF MECHANICAL SCIENCE AND TECHNOLOGY Vol.23 No.2

        This study presents the pure bending and coupled bending-torsional vibration characteristics of a beam structure which consists of two cantilever beams and a rigid body at their free ends. This structure is available in many mechanical structures such as robots, space constructions, and optical pickup actuators in optical disc drives (ODDs). In order to depict the vibration of the beam structure originating from the deflection and torsion of two beams, the motion equations and continuity conditions are analytically induced by using energy conservation. In the process that the free vibration problem is solved, two independent characteristic equations are obtained. The former is an equation for the pure bending vibration of two beams, and the latter is for their coupled bending-torsional vibration. It is proved that these characteristic equations are exact by comparing natural frequencies obtained from FEM. As natural frequencies are described in many dimensional variations, the relation between vibration characteristics and the dimensions of the given system is also investigated. Finally, resonant frequencies from test results are presented to confirm the validation of this study for a new type optical pickup actuator.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중학교 기술·가정 적정기술 수업과정안 개발

        이경택,박인영 한국실과교육학회 2019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instructional plan for 'appropriate technology' education, which is newly introduced in the 2015 Revised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curriculum.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through the stages of preparation, development and improvement. In the preparation stage, teaching design was setup by analyzing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he criteria of the appropriate technology were sorted and categorized by appropriate technological literature. In the development stage, first, evaluation items were created according to the criterion of recategorized appropriate technology, and finally evaluation sheet was developed through expert verification. Secondly, to select the topic of the experiment on optimal technology problem solving activity, the scope of the appropriate technology subject was limited to Korea, and it was searched from the problem situation which is easily encountered in everyday life. As a result, it was selected as the theme of air purifier. The researchers evaluated it as the evaluation sheet and concluded that it is suitable as an appropriate technology. Finally, an instructional plan including the problem solving activity was developed. In the improvement stage, the instructional plan was revised by the evaluation by experts and students. The validity of the developed instructional plan was found to be highly valid.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the appropriate technology teaching program are as follows. First, the subject of the problem solving activity task included in the appropriate technology class course should consider the criteria that appropriate technology should have. Second, when designing the appropriate technology classes, students should perform the process of examining and evaluating data on the actual technology products in the appropriate technology classes. Third,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not only technologies for third world people but also technologies for marginalized neighbors of advanced countries including Korea. 이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기술·가정과 교육과정에 새로 도입된 내용요소인 ‘적정기술’교육을 위해 수업과정안을 개발하는 것이며, 준비, 개발, 개선의 단계를 거쳐 연구를 진행하였다. 준비 단계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수업 설계의 방향을 설정하였으며, 적정기술 문헌을 통해 적정기술의 준거를 정리하고 재범주화 하였다. 개발 단계에서는 첫째, 재범주화한 적정기술의 준거에 따른 평가 문항을 만들고 전문가 검증을 통해 최종 평가지를 개발하였다. 둘째,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하는 문제 상황 중에서 적정기술 문제해결 체험활동 주제를 탐색하기 위해 적정기술 대상의 범위를 우리나라로 한정하였으며, 그 결과 공기청정기 만들기가 주제로 선정되었다. 앞서 개발한 적정기술 평가지로 이 주제를 평가하여 적정기술로서의 적합성을 갖도록 조정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적정기술 문제해결 체험활동과제를 개발하였다. 마지막으로 적정기술 문제해결 체험활동과제를 포함한 전체 수업과정안을 개발하였다. 개선 단계에서는 8명의 기술교육 및 적정기술 관련 전문가에 의한 타당도 검사와 서울시 J 중학교 3학년 100여 명의 학생에 의한 예비평가를 거쳤고, 이 결과를 토대로 수업과정안이 수정·보완되어 총 12차시로 개편되었다. 이 과정 중 전문가 타당도 검사에서 질문 문항 평균 4.80, 학생 예비평가에서 질문 문항 평균 4.46의 결과를 얻어서 전반적으로 타당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가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적정기술의 요소가 갖추어진 문제해결 체험활동과제를 만들고 수업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적정기술이 갖추어야 할 준거를 바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적정기술 수업을 설계할 때 학생들이 적정기술 수업에서 실제 적정기술 제품들에 대한 자료를 조사해보고 평가지로 평가해보는 과정을 포함한다면, 적정기술의 필요성과 적정기술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적정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범위를 제 3세계뿐만 아니라 우리나라를 비롯한 선진국의 소외된 이웃들로 확대하여 소개하고 우리 주변에서 필요로 하는 적정기술을 찾아보게 하면, 우리 사회의 약자를 위할 수 있으며 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문제상황이 되므로 학생들의 흥미를 높이고 결과물의 활용도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 전세계 디지털 라디오 수신 베이스벤드 프로세서의 설계 및 FPGA 구현

        이경택,김성준,박용석,김용훈 한국통신학회 2013 정보와 통신 Vol.30 No.6

        디지털 라디오는 세계적인 디지털화에 따라 아날로그 AM/FM을 대체하는 차세대 라디오 기술이다. 그러나 단일 표준을 제공하는 아날로그 AM/FM 서비스와는 달리 디지털 라디오 서비스는 국가와 대륙에 따라 상이한 기술표준 방식을 채택하거나 하나에 국가에서도 주파수에 따라 다른 표준을 채택하고 있어 서로 호환이 불가능하여 호환성 문제가 야기되고 있다. 전세계적으로 디지털라디오는 DAB/DAB+, DRM30/DRM+, HDRadio 방식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하나의 단일 플랫폼으로 이러한 복수 디지털 라디오 기술 표준을 지원하는 FPGA기반 전세계 디지털 라디오 수신 베이스벤트 프로세서의 설계와 구현방안을 제시한다.

      • KCI등재

        독일어 교육과정 개발체제 및 상시 연구팀 제안

        이경택 한국독일어교육학회 2016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Vol.38 No.-

        In der vorliegenden Arbeit wird versucht, das System der Curriculumentwicklung in Korea kritisch zu betrachten und ein neues Entwicklungsmodell des Curriculums sowie ein permanentes Forschungsteam fur die Curriculumentwicklung fur das Fach Deutsch vorzuschlagen. Das Grundproblem des Systems und des Verfahrens der Curriculumentwicklung besteht darin, das Curriculum so zu organisieren und entwickeln, dass seine Funktion und Legitimation in optimaler Weise realisiert werden kann. Dazu sollten einige Phasen bei der Curriculumentwicklung notwendig sein, deren Relevanz fur das Curriculum in der Forschung aber haufig ubersehen worden sind. Dies gilt auch fur die Situation der Curriculumentwicklung in Korea, in der die Fragen curricularer Entwicklungsstruktur bislang erheblich vernachlassigt worden sind. Im Allgemeinen besteht das Verfahren der Curriculumentwicklung aus zwei Phasen, einer ‘Grundforschungsphase’ und einer ‘Enwicklungsphase’. Diesen zwei Phasen sollte jeweils eine Zeit fur die Qualitassicherung garantiert werden. In Korea scheint es aber als problematisch, weil es nicht genugend Zeit fur die ‘Grundforschungsphase’ bei der Curriculumentwicklung gibt und daher die Beziehung zwischen ‘Grundforschungsphase’ und ‘Enwicklungsphase’ nicht eng verkupft ist. Um dieses Problem losen zu konnen scheint es wunschenwert, ein permantes Forschungsteam fur die Curriculumentwicklung mit triangularen Teilstrukturen wie ‘Grundforschungsteam’, ‘Team der Curriculumdesign’, ‘Team der Mornitoring und Feedback’ zu etablieren.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개발절차 및 체제에 대한 이론과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교육과정 개발체제에 대한 비판적 검토, 그리고 독일어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상시 연구팀 구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교육과정의 개발은 기존의 방식처럼 국가의 교육과정 개정 시행계획이 발표된 후, 한정된 짧은 기간 동안 모든 연구와 절차가 이루어지는것이 아닌, ‘교육과정 기초연구’, 교육현장에서의 ‘교육과정 시행의 모니터링 및 피드백’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한 ‘교육과정 설계 및 개정’ 작업이 순환적이고 항시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교육과정 수시 개정체제가 도입되어 있는 상황에서 독일어 교육과정을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개발하기 위해서는 독일어 교육과 관련한 각 집단의 의견을 수렴하고, 현장 검토 및 교육과정 기초연구가 충분히 수행될 필요가 있다. 다시 말해, “바람직한 교육과정 개발을 위해서는 해당 교과와 관련된 다양한 학문적 역량이 결집되어야 한다.”(신형욱 2015: 99) 이를 위해서는독일어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상시 연구팀의 구축이 전제되어야 한다. 독일어 교육과정 상시 연구팀 구축으로, 그 동안 주목을 받지 못했던독일어 교육과정 분야의 학문적 연구의 틀을 마련되기를 기대해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