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SCOPUS
      • KCI등재SCOPUS
      • KCI등재

        초기 박태원 소설과 이상 소설에 나타나는 공통 모티프에 관한 연구

        이경림(Lee, Kyung-rim) 구보학회 2010 구보학보 Vol.6 No.-

        본고는 초기 박태원 소설과 이상 소설에 공통적으로 등장하는 ‘절름발이’ 짝 모티프에 주목하고자 한다. ‘절름발이’ 짝 모티프는 “우리부부는 숙명정으로 발이 맞지않는 절늠바리인것이다.”라는 「날개」의 서술에서 따 온 명칭이다. 본고는 이 명칭을 통해 초기 박태원 소설과 이상 소설에 공통적으로 등장하는 특정한 인물의 짝―경제적으로 무능한 남자와 주로 사회적 하층계급인 여자의 짝―을 가리키려고 한다. 이를 위해 본고는 박태원과 이상의 소설을 ‘지시적인(referential)’ 내러티브로 읽는 해석의 유효성을 인정하면서, 이로부터 벗어나 이들 소설을 ‘허구적인(fictional)’ 내러티브의 위치로 복귀시켜서 살펴보고자 한다. ‘절름발이’ 짝 모티프는 박태원과 이상이 공유하는 문학적 모티프로서 소설의 구성에 지배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 모티프를 통해 두 사람이 구현하는 주제가 서로 명확히 변별된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절름발이’ 짝 모티프가 박태원 소설에서 먼저 출현하여 그 특성들을 선취한 점을 상기할 때, 이상 소설에 등장하는 ‘절름발이’ 짝 모티프 역시 ‘모상’으로부터 ‘타블로’의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경제적으로 무능하여 여자에게 생활을 의존하는 남자와 사회적 하층계급 여자의 짝을 다룬 ‘절름발이’ 짝 모티프는 박태원의 초기 소설에서 먼저 등장한 바 있다. 특히 「비량」에서 초점을 맞추어 형상화하는 관계가 그것이다. 이와 같이 박태원 소설에서 ‘절름발이’ 짝 모티프는 ‘룸펜 인테리’인 남자의 축에 중심을 둔 형태로 나타난다. 이때 ‘절름발이’ 짝 모티프는 ‘룸펜 인테리’의 무능함을 폭로하는 장치로 활용됨으로써 창작집 『소설가 구보 씨의 일일』에 실린 소설의 주요 인물들이 공유하는 ‘룸펜’적 성격을 강조한다. 한편 이상은 「지주회시」를 필두로 하여 ‘절름발이’ 짝 모티프를 활용한 작품을 발표하기 시작한다. 그러나 박태원의 ‘절름발이’ 짝의 남자가 ‘룸펜 인테리’라는 사회적 특수성을 지닌 인물군을 가리키는 것인 데 반하여, 이상의 ‘절름발이’ 짝의 남자는 아방가르드적 예술가를 가리키는 것으로 읽을 수 있다. 이상 소설에서 ‘절름발이’ 짝 모티프는 예술가로서의 자의식을 상실한 남자의 후일담을 서술하기 위해 활용되는 문학적 장치이다. 즉 경제적으로 무능하여 생활을 의존하는 남자와 사회적 하층계급 여자의 짝이라는 기본 형태는 고수되어 있으나, 이상 소설의 ‘절름발이’ 짝 모티프가 박태원 소설의 그것과 분기하는 지점은 남자의 모델이 은유하는 바가 다르다는 데에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a function of the literary motif, a ‘limping’ couple, shown in the early novels of Park Tae-won and Lee Sang in common. This paper named the common motif as a ‘limping’ couple after the description in 「Nalgae」: “We make a limping couple destined never to keep in step.” This paper refers to a specific couple motif shown in the early novels of Park Tae-won and Lee Sang by this name. Usually in their early novels, a financially incompetent man and a woman of lower social position make a ‘limping’ couple. This paper regards these novels as ‘fictional’ narratives, although preceding interpretations regarding these novels as ‘referential’ narratives are still valid. A ‘limping’ couple motif is one that Park Tae-won and Lee Sang use in common. Although this motif plays a key role in composition of their early novels, the themes crystallized by this motif are quite different from each other. For this motif appears in the novels of Park Tae-won first, a ‘limping’ couple motif in the novels of Lee Sang has a valid reason to be interpreted as ‘fictional’ device rather than ‘referential’ one. A ‘limping’ couple motif appears in the novels of Park Tae-won earlier than those of Lee Sang. One of the early novels of Park Tae-won, 〈Biryang〉,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 financially incompetent man and a woman who is a barmaid. As this paper analyzes this novel, a ‘limping’ couple in the novels of Park Tae-won puts emphasis on the man who is a ‘lumpen intellectual’. In these cases, a ‘limping’ couple motif functions as a literary device to expose an incompetence of lumpen intellectuals, which is a common characteristic displayed by the characters in his story collection, 〈A day of Gubo the novelist〉. On the other hand, Lee sang started to publish novels focusing on a ‘limping’ couple motif with 〈Jijuhoisi〉 in the lead. Though a man in the novels of Park Tae-won refers to a ‘lumpen intellectual’, who has its distinct characteristics in social contexts, a man in the novels of Lee Sang refers to an avant-garde artist. In the novels of Lee Sang, a ‘limping’ couple motif functions as a literary device to descript a follow-up story of a man who abandoned his ambition to be an avant-garde artist regardless of his own will. In other words, the basic formation made by Park Tae-won, an ill-matched couple of a financially incompetent man and a woman of lower social position is kept in the novels of Lee Sang, too. Though in the novels of Lee Sang, a ‘limping’ couple motif crystallizes different themes for a man refers to a different model from that of Park Tae-won. While a ‘limping’ couple motif is usually used to descript incompetence of a ‘lumpen intellectual’ in the novels of Park Tae-won, the same motif is used to descript despair of an avant-garde artist in case of Lee Sang.

      • KCI등재

        이해조 신소설에 나타난 근대 사회 윤리로서의 “신의(信義)”의 형상화 방식에 관하여

        이경림 ( Kyungrim Lee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6 人文論叢 Vol.73 No.2

        이해조는 이인직, 최찬식 등과 더불어 신소설의 주요 작가로 익히 거론되어 왔다. 그런데 최근 이해조의 사상적 지향을 가늠할 수 있는 주요 자료인 「윤리학」 연재물에 대한 연구 성과가 축적됨에 따라, 권선징악이라는 전근대적 윤리관의 서사화라는 맥락에서 이해되어 왔던 이해조 소설 일부를 재조명할 수 있는 전환점이 마련되었다고 생각된다. 「윤리학」에서 가장 흥미로운 지점은 윤리학을 ‘인식’이자 동시에 ‘실천’으로 이중 규정한 데에 있다. 근대적 학문으로서 윤리학의 근본목적은 ‘인륜의 이치’를 인식하고 이를 실천으로 옮기는 데에 있다고 기술되었던 바 있다. 이 ‘인륜의 이치’에 대한 탐구는 인간의 선악을 구분하는 표준에 대한 인식인 동시에 인간성을 가늠케 하는 척도에 대한 인식이기도 하다. 이해조 소설의 저류에 있는 문제의식 중 하나는 이 ‘인륜의 이치’를 형상화함으로써 독자들에게 이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촉구하는 데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이처럼 소설을 ‘윤리학적’ 인식의 수단으로 제시하려는 시도는 「윤리학」의 번역에 앞서부터 잠복해있던 주제이기도 했다. 그런데 「윤리학」은 주체의 외부에 존재하는 표준에 대한 인식을 촉구할 뿐만 아니라, 이 표준이 사회의 진보에 따라 급속하게 변하는 것임을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표준을 올바로 인식하는 것뿐만 아니라 오늘날에 맞는 표준을 새롭게 창출해낼 것이 중요한 과제가 된다. 「윤리학」은 사회의 구성원을 개인으로 규정하고, 개인이 맺을 수 있는 사회적 관계 일반을 의무와 권리의 관계로 파악하려는 경향을 보인다. 이처럼 ‘계약’의 전제 위에서 묘사되는 사회적 관계는 계약 참여 당사자로서 동등한 위치에 있는 개인, 자유의지를 가진 주체의 이미지를 동반한다. 이러한 주체는 신분질서에 근거한 전근대적 도덕질서의 바깥에 존재하므로, 이들은 계약을 통해 발생한 의무와 권리의 질서에 의해 통제될 수 있는 것으로 그려진다. 이해조는 결혼을 계약으로 묘사하고, 결혼을 그것을 포함한 근대적 사회관계 일반에 대한 제유로 사용했다. 예컨대 『홍도화』에 나타난 심상호와 이태희의 결혼은 계약 당사자의 상호이익을 보장할 수 있는 계약으로 성립한다. 그러나 『홍도화』에서의 결혼이 「윤리학」에서 묘사되었던 것과 같이 긍정적인 정념을 동반하고 공익에 이바지할 수 있는 이상적인 계약으로 나타났던 것에 비하여, 『화의혈』에 나타난 선초와 이 시찰의 결혼은 이러한 이상을 결여하고 있어, 의무-권리의 공인을 요구하는 법적 관계로서의 계약의 본질적 성격을 노출한다. 그러나 이해조의 문제의식은 계약이라는 새로운 관계 형태에 놓인두 개인 사이에 적용될 수 있는 윤리의 형상화에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이해조는 이를 ‘신의’로 형상화하였는데, 이는 사회적 교제에 요구되는 사회도덕으로서 그 요체는 상황이 변화하더라도 사욕을 좇아 약속을 파기하지 않는 데에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화의 혈』이나 『화세계』에 그려진 여성인물의 행동을 신의의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수정과 선초의 서사를 통해 형상화된 것은 사욕을 억누를 수 있는 힘을 가진 사회도덕으로서의 신의이며, 이는 주체를 ‘인간’으로 거듭나게 할 수 있는 표준으로 제시된다. 이처럼 소설 창작에 투사된 이해조의 ‘윤리학적’ 문제의식을 고려할때, 1910년이라는 단절의 저변에 흐르는 사상적 연결점들을 드러낼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Lee Haejo has been well recognized as a writer devoted to Sinsoseol along with Lee Injik and Choi Chansik. Recently, several studies have developed a remarkable research on his translation Yullihak, which can be considered as a major reference to understand his early thoughts and intentions to write Sinsoseol. This text can be expected to make a shift in existing interpretation paradigm which regards Lee Haejo’s works as accepters of premodern ethics orientations. The most interesting point in this text is that it explains Ethics as recognition and practice at the same time. The purpose of Ethics as a modern academic discipline is regarded as to recognize the standards which divide good from evil, which make human a human. One of Lee Haejo’s major themes is to capture this standards in his works and present it to his readers. However, Yullihak requires not just to recognize the pre-existing standards but to understand that these standards can be changed as society changes rapidly. Consequently, to create new standards which can be fitted to the changed society rises as a major project. Yullihak defines that society is a collective of individuals. And it recognizes various social relations between individuals as a contract. The concept of contract creates an image of subject who can be regarded as equal to the others, who have a free will to agree to the contract. This kind of subject appears beyond the pre-modern social or moral system. They can be regulated by their own contracts, not by premodern ethical regimes. Lee Haejo tried to plant this idea into marriage which can be represented as a synecdoche of other social relations. He has depicted an ideal contract in Hongdohwa, and also revealed its crucial nature in HwaoeiHyul. If a contract cannot achieve its ideal form, it can only be depicted as a legal contract. However, Lee Haejo tended to carry contracts beyond its own legal nature. His concern was to impose a moral nuance on these relations. He crystallized it as a Trust. In this context, trust is social morality required among the society. It requires to suppress selfishness when circumstances around the contract change, and to keep their promises as they made. From this perspective, we can reconsider some behaviors of female characters in Lee Haejo’s works. Because trust can be achieved by actual performance of keeping promises, the contents of promise can be regarded as minor factors. Female characters who kept trust can achieve their human quality by their own.

      • KCI등재

        ‘아이愛’의 수용과 축출 - 이광수 문학의 동성애 표상 연구

        이경림(Lee, Kyung-rim) 한국현대문학회 2021 한국현대문학연구 Vol.- No.64

        이 논문은 이광수의 첫 단편소설『愛か』(1909)와 이후 이 소설을 ‘다시 쓰기’한 「윤광호 (1918)」에 초점을 맞춰 이광수 문학의 동성애 표상을 한 피식민자의 자기 근대화와 그 식민지 근대성에 대한 자각 · 축출이라는 맥락에서 분석하였다. 1900년대 후반 이광수를 포함한 도쿄 유학생 집단 내에서 근대화가 중요한 당면 과제로 공유되었다. 이들은 사회와 국가의 근대화를 위해서는 먼저 그 구성원이 될 근대화된 주체 ‘개인’을 형성해야 한다는 인식을 공유하고, 그 주요 수단으로 예술에 주목했다. 이광수는 『愛か』에서 전근대 체제에서 해방된 ‘개인’을 형성하는 기술로서 ‘愛’를 문학화했다. 여기 포착된 ‘아이’의 핵심은 주체의 내면을 불안, 초조, 기대, 절망, 분노와 같이 통제 불가능한 감정이 융기하는 무대로 경험케 하는 것이다. 이 텍스트의 목표는 ‘아이’를 통해 ‘내면’이 지각되는 것, 즉 ‘아이’의 수행성 그 자체를 포착하는 데 있었다. 여기서 ‘아이’는 자아를 개별적이고 고유한 내면의 소유주로 거듭나게 하는 ‘근대화’의 기술이다. 이 표상 모델은 당시 일본 학생 문화에서 유행하던 소년애(少年愛) 모델의 형식을 취하고 있으나, 그 핵심은 ‘아이’ 자체의 특성인 ‘정신성’의 전유에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이광수가 전유한 ‘아이’ 모델은 피식민자에게 기입된 타자성이다. 이 기술은 피식민자가 자기 근대화의 도구를 제국에서만 획득할 수 있다는 일종의 식민주의적 증명으로도 기능한다. 이 식민지 근대성에 대한 자각과 축출은 「윤광호」에서 텍스트화되었다. 이광수 문학의 무게중심이 ‘개인’보다 ‘민족’으로 더욱 기울면서 감정의 위상과 기능 역시 변화하게 되었다. ‘개인’을 형성하는 ‘근대화’ 기술이었던 감정은 이제 ‘개인’을 ‘민족’으로 귀속시키는 공동체 형성의 기술로 변화한다. 「윤광호」는 ‘개인’을 형성하는 ‘근대화’ 기술로서 ‘아이’를 수용했던 『愛か』를 의도적으로 다시 씀으로써, ‘아이’를 민족으로의 탈개인화를 방해하는 장애물로 다시 발견하고 그 주체의 죽음을 도출했다. ‘아이’의 식민주의적 성격을 직시하고 부정하는 「윤광호」의 작업은 주체의 민족주의적 탈식민 과정으로도 읽을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부정은 또한 부분적으로 호모섹슈얼리티를 비정상으로 규정하는 서구적 근대성에 의지해 수행되기도 하였다. ‘아이’를 성적이고 개별적인 육체에 결박된 것으로 표상하는 작업은 서구 발 성 과학 담론의 호모섹슈얼리티 표상 모델을 따라가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이광수 문학의 동성애 표상에 나타난 ‘아이’의 수용과 축출은 서구 발 근대화라는 거대한 운동의 지평을 벗어나지 않는다. This paper analyzed representation of homosexuality/homosexual love in Lee Kwang-soo’s fiction as a progression from self-modernization to expulsion of the colonial modernity focusing on his first short story “Aika[愛か]”(1909) and “Yoon Kwang-ho[윤광호]”(1918) which is rewritten version of “Aika”. Modernization was recognized as an important challenge in the late 1900s within a group of Korean students in Tokyo, including Lee Kwang-soo. They shared the perception that in order to modernize society and the nation, they must first modernize individual who will become its members, and regarded art as a major means. Lee Kwang-soo utilized Ai愛 as a technique to free individual from the pre-existing system. The core of it captured here is to experience the inner side of the subject as a stage where uncontrollable emotions such as anxiety, nervousness, expectation, despair, and anger rise. The goal was to capture the interiority formed by experiencing Ai. Here, Ai is a technology of making an owner of his own unique individual interiority. This representation model takes the form of Shonenai which was popular in Japanese student culture at the time, but the core of it lies solely in the characteristic of the Ai itself, the spirituality. In this sense, Ai which was originated in Japan is Otherness engraved into the colonized. Ai functions as a kind of colonialist proof that the colonized can achieve self-modernization only by the empire. The awareness and eviction of this colonial modernity was captured in “Yoon Kwang-ho”. As the center of gravity of Lee Kwang-soo"s literature has shifted more to nation/ethnicity than to individuals, the status and function of emotions has also changed. Emotions that used to be techniques to form modernized individuals now change into community-building techniques. By deliberately rewriting “Aika”, which accepted Ai as a modernization technology that forms an individual, “Yoon Kwang-ho” rediscovered it as an obstacle to building of the national community and derived the death of the subject. “Yoon Kwang-ho” which faces and denies the colonialist nature of Ai, can also be read as the nationalist decolonization process of the subject. However, such denial was also partly carried out by Western modernity, which defined homosexuality as abnormal. This is because representing homosexual love as tied to a sexual and individual body is to follow the homosexual representation model of Western sex science discourse. In this sense, the acceptance and expulsion of Ai depicted in the representation of homosexual love in Lee Kwang-soo"s fiction does not deviate from the horizon of the great movement of modernization from the West.

      • KCI등재

        논문 : "후기" 신소설의 장르지형학: 파연(破緣)의 문법과 욕망의 전시 -이해조의 「박정화」론

        이경림 ( Kyung Rim Lee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5 민족문학사연구 Vol.57 No.-

        1910년을 전후하여 문명개화 담론에서 이탈하는 신소설 일반은 대중을 계몽하는 대신 대중의 흥미에 영합하는 통속적인 작품의 집합으로 간주되어 온 경향이 크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집합 내부에서 일어났던 정성적 변화에 주목하고 그 구성적 잠재성을 새로운 관점에서 조망하려는 시도의 일환으로 이해조의 『박정화』에 주목했다. 본 논문의 목적은 이 작품이 신소설 내에서 하위장르로서 가지는 유형적 특이성을 밝히고, 이러한 특이성이주로 강릉집이라는 인물 형상의 특이성에서 비롯되었음을 규명하는 것이다. 『박정화』는 당대 신소설의 맥락에서 볼 때 상당히 특이한 작품이다. 『박정화』의 특이성은 일차적으로 이 소설의 모본이 이해조가 즐겨 차용하던 서사적 허구의 레퍼토리에 속하지 않았음에서 유래한다. 1910년 3월부터 5월까지 『대한민보」에 연재된 『박정화』는 한 달 전에 『황성신문』에 연재된 「소시종투신향(少侍從偸新香), 노참령읍구연(老參領泣舊緣)」 (1910.2)이라는 한문단편 서사물을 모본으로 삼고 있다. 전작들에서 이해조가 기존의 서사적 허구, 즉 ``소설``의 다양한 유형들을 ``소설의 체제``로 실험했던 것에 비하여, 『박정화』를 기점으로 ``실지사적``에서 취재했다는 점이 강조된다. 여러 정황으로 보아 이해조가 사용한 ``실지사적``이라는 개념은 ``신문지면에 게재된 사실적 기사``를 의미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박정화』는 ``소시종`` 서사를 한글로 옮기며 대화나 묘사 등 소설화 기법을 활용하여 분량을 늘리고 후반부에 새로운 서사를 덧붙여 완성된 텍스트이다. 『박정화』는 전통적 소설 유형인 가정소설이나 애정소설에서 보이는 일반적 태도와는 달리 ``파연``의 문법을 중심으로 하는 카운터장르로서 성립한다. 이처럼 ``파연``을 중심으로 하는 서사 구조는 강릉집의 형상화 원리에서 비롯하는 바가 크다. 『박정화』는 강릉집을 중심으로 하여 ``자발적 욕망``을 가진 ``근대적 개인``이라 칭할만한 인물들을 만들어냈다. 특히 강릉집은 성적 욕망의 주체로서의 여성으로 형상화되어 당대의 성(性)에 관한 지배적 담론과는 거리를 두고 나타난다. 서술자의 의도는 강릉집을 둘러싸고 일어나는 일련의 사건들을 당대 도덕의 타락이라는 측면에서 제시하고 독자를 계도하는 것이지만, 텍스트는 이 인물의 욕망을 현실적이고 보편적인 것으로 표상하며 서술자의 의도로부터 어긋난다. 또한 강릉집은 다른 인물들에 비해 욕망들의 ``다중 패러다임``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훨씬 복잡하게 형상화된 인물이다. 이러한 점에서 강릉집은 심층적인 수준에서 근대성을 내장한 인물로 해석될 수 있다. 자기 욕망의 추구에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여성 인물은 이해조 소설에서도 찾아보기 힘든 유형인 것은 물론, 신소설 일반의 경우를 고려하더라도 상당히 이례적으로 보인다. 이상과 같은 맥락에서 볼 때 『박정화』는 1910년대 신소설이 문명개화 담론으로부터 탈각하여 나아가는 도상(途上)에서 주목해 볼 만한 정성적 분기점이라고 판단된다. 그러나 한편으로 『박정화』를 필두로 하는 작품 내지 서사 유형의 계보를 수월하게 작성할 수 없는 것은 이 작품이 당대의 ``이야기`` 지형으로부터 지나치게 돌출해있었음을 의미한다. It is general to consider late Sinsoseol as corrupted forms. At 1900`s, Sinsoseol built its reputation for dedication to enlightening project which was regarded as a strategy to protect its nation-state. However, most researches agree that late Sinsoseol which appeared around 1910 has lost its drive to educate its readers and became popularized. This paper tries to suggest a different point of view to read these late Sinsoseol works. As a starting point, this paper focused on Lee Haejo`s Cold-Hearted Flower for this work has some interesting points to receive attention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is work`s location on early 20th century`s genre topography, and to study on the peculiarity of Gangneungjib who is a heroin. Lee Haejo used exiting plentiful repertories of narratives to create a new work. Usually he adopted narrative motives from novels of Myng dynasty or of other western cultures. However, in case of Cold-Hearted Flower, he used a real-time narrative as a model. Sosijongtusinhyang was serialized only a month ago. For Lee Haejo, it was natural to try various forms of narratives as a resource to give him a prototype for his works. On the occasion of publishing Cold-Hearted Flower, he emphasized that he covered ``actual cases`` to write this work. From the contexts, what he meant by ``actual cases`` is e stimated as a ``narrative published on newpaper.`` Cold-Hearted Flower is an elaborated Sinsoseol version of Sosijong narrative. Cold-Hearted Flower shows a unique attitude compared to its contemporary genres such as Gajungsoseol or Yunaesoseol. The main narrative structure of Cold-Hearted Flower which locates this work as a countergenre to Gajungsoseol or Yunaesoseol is to break relationships in front of readers. This unique composition is involved in the principles making Gangneungjib. In this work, most characters are represented as modern individuals who have spontaneous desires. Especially, considering the discourse circumstances of the time, Gangneungjib who represents her desires as natural ones needs to be interpreted as a problematic heroin. The purpose of the writer is to display her immorality and to educate readers, but the text represents her desire as a universal, natural one in front of readers. Moreover, she reveals multi-paradigmed interiority. She has multiple desires which conflicts each other when a lot of characters are formulated as flat ones. For these reasons, Gangneungjib can be interpreted as an elaborated character with certain modern features. Unfortunately, despite of its uniqueness, Cold-Hearted Flower seems to be failed in starting its own genealogy. Considering the horizon of expectation of the time, I can assume that the very fact that it shared less with contemporary other works backfired.

      • KCI등재

        ‘근대’의 체감 : 『귀의 성』의 수용미학적 연구

        이경림(Lee, Kyungrim) 구보학회 2021 구보학보 Vol.- No.28

        이 논문은 수용미학적 관점에서 이인직의 신소설 『귀(鬼)의 성(聲)』(1907)의 ‘근대성’을 분석한 논문이다. 당대의 ‘문명’·‘개화계몽’ 담론을 지시하는 ‘근대성’이나 이론적·사적(史的) 차원에서 구성된 ‘근대성’에 비교하여 볼 때, 이 논문이 초점을 맞춘 ‘근대성’은 『귀의 성』을 통해 당대 독자가 획득하게 된 세계의 변동에 대한 성긴 인식과 감각, 느낌을 포괄하는 영역에 있다. 수용미학 이론은 이에 대한 접근을 가능케 하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이 논문은 이로써 『귀의 성』이 비근대적·전근대적이라는 일반적 결론을 수정하고 해석 지평을 확장하려 하였다. 이 논문은 『귀의 성』의 주요인물 길순과 점순을 분석하기 위해 야우스가 구축한 인물-독자 동일시 모델을 활용하였다. 먼저 독자와 길순의 사이에는 카타르시스적 동일시가 성립한다. 고소설(특히 가정소설)에 대한 선지식을 가진 독자는 『귀의 성』 초입부터 길순을 선한 주인공으로 쉽게 인지할 수 있다. 따라서 독자는 길순 서사가 익숙한 지평을 따라 전개될 것, 즉 여러 중대한 고난을 겪게 되겠지만 결국 끝에는 행복해지리라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익숙한 가정소설 구조를 따라 진행되던 서사는 길순의 참혹한 죽음이라는 뜻밖의 결말을 맞는다. 이 충격적 결말에 의해 독자는 길순에 대한 감정적 동일시를 넘어, 기대가 좌절된 상황 자체를 문제로 인식하는 미학적 반영 단계로 나아갈 수 있다. 이 단계에서 독자는 길순이 상징하던 구 도덕·세계관·사회 질서의 붕괴를 인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독자는 자신이 알던 견고한 세계로부터 쫓겨나 갑자기 ‘중간과 끝’을 새롭게 모색하도록 내몰리는 경험을 획득한다. 이는 ‘유동적 근대’에 대한 직접적이고도 개인적인 감각적 경험이다. 한편 독자와 점순의 사이에는 불완전한 아이러니적 동일시가 성립한다. 악비(惡婢) 점순은 전형적인 악인형 주요인물로, 역시 가정소설에 대한 선지식을 가진 독자는 점순 서사의 전개와 결말을 쉽게 예측할 수 있다. 길순을 해하려는 의도는 좌절되고 징벌받으리라는 기대다. 그러나 길순의 죽음과 동시에 서사가 마치 점순이 행복해질 것 같이 진행하는 시점에서 독자의 기대는 또다시 배반당한다. 기대가 부정된 독자는 기존의 인식을 지탱하던 세계관을 의문시할 수 있는 관점을 얻는다. 독자는 점순을 통해 경제적 부를 축적하고 지위 상승을 도모하는 근대 특유의 욕망을 발견할 수 있다. 이를 발견함으로써 독자의 참조점은 자신이 처한 전환기의 조선 사회 전체로 확장되고, ‘바람직한 중간과 끝’이란 무엇인지에 대해 사유하도록 인도된다. 텍스트는 점순을 살해하여 서사적 패배를 안겨주고, 결론적으로 익숙한 미학과 그 배면의 도덕적 세계를 아슬아슬하게 연장한다. 그러나 『귀의 성』의 독서 동안 독자는 기존의 기대를 배반하는 결정적 형식들과 여러 차례 대면한다. 구(舊) 세계는 분명 붕괴하고 있지만, 이를 대체할 새로운 세계의 상은 모호하다. 이 혼란 속에서 독자는 변화의 전모에 대한 인식뿐만 아니라 확실히 세계가 변화하고 있으며 이는 피할 수 없다는 감각, 전통적 모범이 쓸모없어졌으므로 무언가 새로운 삶의 형태를 모색해야만 한다는 느낌을 얻을 수 있다. 수용미학적 관점에서 『귀의 성』의 ‘근대성’은 이와 같은 수용자의 종합적 반응에서 찾을 수 있다. This paper analyzes the modernity of Lee Injik’s Kwiŭi sŏng(1907) from an receptive aesthetic perspective. Compared to the concept modernity, which is composed at the theoretical and historical level, or modernity, which directed to the discourse of “civilization” and “enlightenment” of the time, the “modernity” in this paper focused on the sense of the world acquired by readers of the time. This paper attempted to revise the general conclusion that Kwiŭi sŏng is non-modern or pre-modern narrative and to expand the interpretation horizon. This paper utilizes the hero-reader identification model established by Jauss to analyze the receptive aesthetics of main character Gilsoon and Jeomsoon. First, cathartic identifica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reader and Gilsoon. Readers with knowledge of traditional narratives can easily recognize Gilsoon as a good character from the beginning of the text. Therefore, the reader can expect that Gilsoon’s narrative will unfold along the familiar horizon, that is, various serious hardships, but eventually become happy in the end. However, the narrative, which follows the familiar structure, has an unexpected ending to Gilsoon’s tragic death. By this shocking ending, the reader can move beyond the emotional identification of Gilsoon to the aesthetic reflection stage, which recognizes the situation in which expectations are frustrated as a problem. At this stage, readers can recognize the collapse of the old moral, worldview, and social order that Gilsoon symbolized. Through the reading, the reader gains the experience of being kicked out of the solid world he knew and suddenly being forced to seek a new “middle and end.” This is a direct and personal sensory experience of fluid modernity. Meanwhile, an incomplete ironic identification between the reader and Jeomsoon is established. Jeomsoon is a typical villainous character whom readers with knowledge of traditional narratives can easily predict the development and ending. The intention to harm Gilsoon is expected to be frustrated and punished. However, the reader’s expectations are betrayed again when the narrative progresses as if she will be happy as soon as Gilsoon dies. Readers whose expectations are denied gain perspectives that can question the worldview that supported existing perceptions. Readers can find a modern desire to accumulate economic wealth and climb up a social ladder. By discovering the common desire which the reader and Jeomsoon can share, the reader’s interpretive repertories extends to the society in rapid transition he is in, and is guided to think about what “desirable middle and end” is in this time. Text kills the villain and accordingly protects familiar traditional aesthetics and the moral world behind it. However, during the reading, the reader faces several decisive forms that betray the original expectations related to them. The old world is clearly collapsing, but a new world to replace it is still vague. In this confusion, the reader can not only know that the significant change is going on, but feel that collapse of the old world is inevitable, and that traditional examples have become absolete. So they are driven to seek new forms of life suitable for the world coming on. From a receptive aesthetic point of view, the modernity of Kwiŭi sŏng can be found in this overall response of the readers.

      • KCI등재SCOPUS

        PCR 다형성 분석에 의한 한국산 잣버섯의 유전적 다양성 및 유연과계

        이재성 ( Jae Seong Lee ),조해진 ( Hae Jin Cho ),윤기남 ( Ki Nam Yoon ),( Nuhu Alam ),이경림 ( Kyung Lim Lee ),심미자 ( Mi Ja Shim ),이민웅 ( Min Woong Lee ),이윤혜 ( Yun Hae Lee ),장명준 ( Myoung Jun Jang ),주영철 ( Young Chul 한국균학회 2010 韓國菌學會誌 Vol.38 No.2

        Lentinus lepideus, known as train wrecker fungus, has been used for nutritional and medicinal purposes. Recently, commercial cultivation technique and a new cultivar of the mushroom were developed. To investigate the genetic diversity and phylogenetic relationship for identifying the mushroom strains and cultivar, one commercial and 13 strains of Lentinus lepideus from different geographical regions of Korea were analyzed by ITS regions of rDNA and RAPD of genomic DNA. Three strains of Lentinus edodes were also used for the analysis. The size of the ITS1 and ITS2 regions of rDNA from the different strains varied from 173 to 179 bp and 203 to 205 bp, respectively. The sequence of ITS1 was more variable than that of ITS2, while the 5.8S sequences were identical with 156 base pairs. A phylogenetic tree based on the ITS region sequences indicated that selected strains could be classified into four clusters, while 3 strains of L. edodes was divided into a new cluster. Ten primers out of 20 arbitrary primers used in the RAPD-PCR efficiently amplified the genomic DNA. The numbers of amplified DNA bands varied with the primers and strains, with polymorphic DNA fragments in the range from 0.2 to 2.6 kb. The results showed that phylogenetic relationship among Korean strains of Lentnus lepideus is high, but genetic diversity is low.

      • KCI등재

        발달장애성인 생활시간의 유형화와 특성 분석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이경림 ( Lee Kyung-rhym ),박주홍 ( Park Joo-hong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8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성인의 일상생활활동에 대한 생활시간을 분석하는 것이다. 부산의 발달장애성인 600명을 대상으로 주중과 주말로 구분하여 생활시간과 도움시간의 자료를 설문지를 통하여 수집하였다. 생활소요시간과 도움 시간을 항목별로 나타냈다. 생활소요시간 중 필수 시간을 제외하고 의무와 여가 시간의 소계로, 의무와 여가, 주중과 주말로 나누어 군집분석을 하여 여가형, 균형형, 과업형으로 유형화하였다. 유형화에 따라 배경정보별 교차분석의 결과는 연령, 주거 유형, 수급종류, 부모연령, 가정소득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성별이나 장애유형, 장애등급, 보호자 학력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발달장애성인의 장애배경을 제외한 배경정보와 생활시간 유형을 고려하여 교육적 지원이나 복지 지원 체계를 달리 반영해야 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analyzes time-use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on daily-living related activities. Data were collected from 600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Busan using surveys. The researcher collected the participants' time use data on daily-living activities and assistanted activities respectively during weekdays and weekends respectively. Daily-living activities and assistanted activities were presented as a list of individual items. After excluding necessary time, time use on daily-living activities were classified to either committed time or leisure time. A clustering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ese two time groups according to weekdays and weekend. This resulted in the following types of time use: Leisure-oriented type, balanced type, and task-oriented type. As a result of cross tabulation analysi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y age, housing type, welfare benefit, parents' age, and household income; not by sex, disability type, disability grade or parents' educational background. This indicates that a different educational or welfare support can be needed according to background information or the type of time-use on daily-living activities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KCI등재

        발달장애인의 생애주기에 따른 양육 부담과 지원 욕구에 관한 연구

        이경림 ( Kyung Rhym Lee ),박주홍 ( Ju Hong Park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3 지적장애연구 Vol.15 No.2

        본 연구는 부산시 발달장애인의 양육 부담과 지원 욕구 실태를 분석하였다. 높은 보호부담은 보호자 사후 부담감으로 작용하면서 성년후견제의 이용 의사가 드러났다. 경제적 부담이 크며, 특히 발달재활치료비와 교육비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부당한 일의 많은 경험으로 심리적 상처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료와 보육 및 보호에서 문제가 심각하며, 성인발달장애인을 위한 평생교육기관 설립과 생활공동체 형성과 활동지원서비스 확대 및 치료비 지원 욕구가 있었다. 취업과 관련하여 다양한 장애인 적합 직종의 개발과 보호작업시설 확충을 요구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기에는 상담서비스 및 영유아검진의 내실화와 학령기에는 방과후 프로그램의 활용, 성인기에는 평생교육원 활용 및 전환지원센터의 기능확장, 부모사후의 성년후견제 조기정착을 부산시의 정책 대안으로 제안하였다. This research analyzed difficulty of care and needs of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Busan. High levels of difficulty of protection worked as a burden for guardians after their death and this led to an intention to use majority guardianship system. Guardians needed financial support especially to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and education. They also had psychogical wounds resulted from unreasonable experiences. There were severe problems in therapy, care education, and protection, so they needed building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making life communities, expanding personal assistance, and supporting therapy expenses. Related to employment, they needed various job development and more job facilities. Researchers suggested alternative plans of Busan such as substantial counseling service and medical examination in early childhood, use of after school program in school age, use of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and transition support centers, early settlement of majority guardianship after parent′ death in adul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