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마이크로 구조가 있는 친수성/소수성 표면에서의 젖음성 및 액적 증발 현상에 대한 연구

        유동인(D. I. Yu),곽호재(H. J. Kwak),도승우(S. W. Doh),강희찬(H. C. Kang),안호선(H. S. Ahn),박현선(H. S. Park),키요후미 모리야마(K. Moriyama),김무환(M. H. Kim) 대한기계학회 2014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4 No.11

        According to the surface condition, the droplet has the contact angle and it is complexly evaporated. Therefore, the evaporation phenomena of the water droplet on the surface should be analyzed on the basis of the wetting phenomena. In this study, it is investigated the wetting and evaporation phenomena of water droplet on the textured hydrophilic / hydrophobic surfaces. On the well-defined surfaces about the surface condition, the apparent contact angle is precisely measured. To compare between experimental data and the previous wetting models, the models are experimentally validated. Subsequently, to study the evaporation phenomena, the contact angle and diameter are measured during droplet evaporation. On the basis of the wetting phenomena, the evaporation performance is analyzed depending on the surface conditions.

      • KCI등재후보

        식물 추출물, 한방 발효물, 유산균의 단독 및 혼합 첨가 급여가 육계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김동욱,김상호,유동,강근호,김지혁,강환구,장병귀,나재천,서옥석,장인석,이규호,Kim, D.W.,Kim, S.H.,Yu, D.J.,Kang, G.H.,Kim, J.H.,Kang, H.G.,Jang, B.G.,Na, J.C.,Suh, O.S.,Jang, I.S.,Lee, K.H. 한국가금학회 2007 韓國家禽學會誌 Vol.34 No.3

        본 연구는 식물 추출물, 한방 발효물 및 유산균을 육계에 단독 또는 혼합 급여하였을 때 생산성, 혈액 특성, 맹장 미생물 균총 및 소장 내 소화 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이를 통해 이들의 성장 촉진용 항생제(AGP) 대체 가능성 및 효과적인 이용 방법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1일령 육계 수평아리(Ross strain) 840수를 공시하여 7처리 4반복 반복당 30수씩 완전 임의 배치하였다. 시험구는 항생제 무첨가구(NC)와 항생제 첨가구(PC)를 대조구로 하였으며, 시험 사료에 식물 추출물, 한방 발효물 및 유산균을 0.1% 수준으로 첨가한 처리구(PE, FMP 및 LB)와 유산균 0.1%를 혼합한 시험사료에 식물 추출물 및 한방 발효물을 0.1%씩 첨가한 처리구(PE+LB 및 FMP+LB)를 두었다. 5주 종료 체중 및 증체량은 무항생제 대조구에 비해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하게 증가하거나(P<0.05)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사료 요구율에 있어서도 무항생제 대조구(NC)에 비해 모든 처리구에서 개선되었다(P<0.05). 그러나 식물 추출물 0.1% 첨가구(PE)을 제외한 다른 처리구에서는 항생제 대조구(PC)와 비교해서 생산성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식물 추출물 및 한방 발효물과 유산균 혼합에 따른 상승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Albumin : globulin 비율은 대조구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05), 백혈구 조성에 있어서 스트레스 지표인 림프구/호중구 비율이 역시 무항생제 대조구에 비해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하게 낮아졌다(P<0.05). 맹장 내 총 균수 및 Lactobacillus 수에 있어서 처리구 간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E. coli 및 Salmonella의 수는 한방 발효물 0.1% 및 유산균 0.1% 단독 첨가구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소장 내 소화 효소 활성은 sucrase를 제외한 다른 소화 효소의 활성이 대조구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본 연구 결과 식물 추출물 및 유산균 급여는 육계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혈액 특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항생제 대체제로서의 이용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etary single or mixed supplementation of plant extract, fermented medicinal plants and Lactobacillus on performance, nutrient availability, blood characteristics, cecal microflora and intestinal digestive enzymes activity in broiler chickens and to prove the possibility of plant derived compounds and Lactobacillus as an antibiotic growth promoter alternative. A total of eight hundred forty, 1-d-old male broiler chicks (Ross strain) were randomly divided into 7 groups with 4 replicates of 30 birds each. The treatments were NC (antibiotic-free diet), PC (basal diet with 0.05% antibiotics and 0.03% anticoccidials), PE (basal diet with 0.1% plant extract), FMP (basal diet with 0.1% fermented medicinal plants), LB (basal diet with 0.1% probiotics), PE+LB (basal diet with 0.1% plant extract and 0.1% probiotics) and FMP+LB (basal diet with 0.1% fermented medicinal plants and 0.1% probiotics). The final body weight, body weight gain and feed conversion rate in all treated groups tended to be improved or significantly improved as compared to those of NC (P<0.05). PE was significantly high in the final body weight, body weight gain of all treated groups (P<0.05). But the growth performance was significantly lower in all treated groups except PE than PC (P<0.05). No synergic effect in growth performance was found when plant extracts and Lactobacillus were mixed and fed to broilers. The ratio of albumin to globulin was significantly lower in all groups than NC (P<0.05). And the stress indicator (lymphocyte/heterophil ratio) of NC was significantly reduced than other treatments (P<0.05).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on the numbers of cecal microbes and Lactobacillus. The number of cecal E. coli and Salmonella in FMP and LB were significantly reduced (P<0.05). The activity of intestinal digestive enzymes except to sucrase of treated group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 to those of controls (P<0.05). These results suggest the possibility that plant extracts and Lactobacillus could be used as the alternative of antibiotic growth promoters by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broiler chicks.

      • 방사광 X-선 영상법을 활용한 구조표면에서의 모세관유도흐름과 임계열유속에 대한 가시화 연구

        곽호재(H. J. Kwak),유동인(D. I. Yu),노현우(H. Noh),박현선(H. S. Park),김무환(M. H. Kim) 대한기계학회 2017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7 No.11

        Over the past several decades, phenomena related to critical heat flux (CHF) on structured surfaces have received a large amount of attention from the research community. The purpose of such research has been to enhance the safety and efficiency of a variety of thermal systems. A number of theories have been put forward to explain the key CHF enhancement mechanisms on structured surfaces. However, these theories have not been confirmed experimentally due to limitations in the available visualization techniques and the complexity of the phenomena.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previous visualization techniques and elucidate the CHF enhancement mechanism on the structured surfaces, we introduce synchrotron X-ray imaging with high spatial (~2 um) and time (~20000 Hz) resolutions. This technique has enabled us to confirm that capillary-induced flow is the key CHF enhancement mechanism on structured surfaces.

      • 마이크로-나노 구조가 있는 표면에서의 액적 계면 거동 현상에 대한 연구

        곽호재(H. J. Kwak),유동인(D. I. Yu),안호선(H. S. Ahn),김동억(D. E. Kim),박현선(H. S. Park),키요후미 모리야마(K. Moriyama),김무환(M. H. Kim) 대한기계학회 2014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4 No.11

        Recently, to enhance the wetting characteristics of the surfaces, the hierarchical surfaces with micro and nano structures are intensively focused in the various research and engineering fields. On the hydrophilic surface with hierarchical structures, the super-hydrophilic surfaces are generally characterized by the interfacial behavior of water droplet. In this study, the interfacial behavior is experimentally investigated. Using the dry etching and conventional lithography method, the quantitative hierarchical surfaces are developed. The movement of the liquid-vapor interface on the test sections is visualized by the high speed camera. On the basis of the visualized data, the interfacial behavior of water droplet is intensively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 surface geometrical characteristics.

      • 방사광 X-선 영상법을 활용한 마이크로/나노 구조 표면에서의 액체 퍼짐 가시화 연구

        곽호재(H. J. Kwak),유동인(D. I. Yu),도승우(S. W. Doh),박현선(H. S. Park),김무환(M. H. Kim) 대한기계학회 2016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6 No.12

        In these days, nano/micro technology has been applied to improve the solid surface wettability. Also, last researches indicate that nano structures can improve the surface wettability in the hydro-philic direction and the liquid spreading (propagation) is generated by capillary wicking. Most of the research shows qualitative analysis of the spreading phenomena due to the difficulty of small scale analysis (nano structure). In this research,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droplet interfacial behavior on silicon surfaces with micro/nano/micro-nano structures are experimentally investigated. The interfacial behavior is directly visualized by synchrotron X-ray imaging(side view). On the structured surfaces, spreading phenomena was occurred and the behaviors of liquid interface on the surfaces are different. The liquid propagation is enhaced when micro structure is combined with nano structure. Through the experiment, we understand the phenomena of liquid propagation and diffusion with the surface geometrical characteristics.

      • Haar Cascade와 DNN 기반의 실시간 얼굴 표정 및 음성 감정 분석기 구현

        유찬영(Chan-Young Yu),서덕규(Duck-Kyu Seo),정유철(Yuchul Jung)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9 No.1

        본 논문에서는 인간의 표정과 목소리를 기반으로 한 감정 분석기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분석기들은 수많은 인간의 표정 중 뚜렷한 특징을 가진 표정 7가지를 별도의 클래스로 구성하며, DNN 모델을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음성 데이터는 학습 데이터 증식을 위한 Data Augmentation을 하였으며, 학습 도중 과적합을 방지하기 위해 콜백 함수를 사용하여 가장 최적의 성능에 도달했을 때, Early-stop 되도록 설정했다. 제안하는 표정 감정 분석 모델의 학습 결과는 val loss값이 0.94, val accuracy 값은 0.66이고, 음성 감정 분석모델의 학습 결과는 val loss 결과값이 0.89, val accuracy 값은 0.65로, OpenCV 라이브러리를 사용한 모델 테스트는 안정적인 결과를 도출하였다.

      • 양계농가의 사육규모별, 지역별 계사 시설현황 분석

        최희철,감동환,나재천,방한태,유동,서옥석,송준익,전병수,전중환,유용희,이상철,김정수,이동흥,Choi, H.C.,Kham, D.H.,Na, J.C.,Bang, H.T.,Yu, D.J.,Suh, O.S.,Song, J.I.,Jeon, B.S.,Jeon, J.H.,Yoo, Y.H.,Lee, S.C.,Kim, J.S.,Lee, D.H. 한국축산환경학회 2009 축산시설환경학회지 Vol.15 No.3

        본 연구는 2007년 5월 1일을 기점으로 전국의 30,000 수 이상의 닭 사육농가 1,965호를 대상으로 계사 시설실태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계사의 평균 건축년도는 1996년 8월 이었으며 농가당 평균 계사면적은 $2,848.6m^2$로 건축대장 등재면적은 건축총면적의 52.1%이었다. 2. 계사 건축형태는 윈치커튼형 개방계사 47.7%, 간이계사 19.8%, 무창계사 19.0% 등으로 윈치커튼형 개방계사가 가장 많았으며 100,000 수 이상의 기업형 농가의 49.2%는 무창계사로 시설하였다. 3. 급수기는 사육규모가 클수록 니플형 급수기를 사용하는 추세였으며 50,000 수 미만은 니플급수기가 33.2% 이었으나 100,000수 이상은 69.5%가 니플급수기를 이용하였다. 4. 급이기는 디스크식이 54.5%로 가장 많았으며, 100,000 수 이상 농가는 디스크식 46.5, 호퍼식 22.5, 체인식 24.8%로 소규모 농가에 비해서 디스크식과 체인식을 선호하였다. 5. 50,000 수 미만 농가의 케이지는 A 타입 케이지가 74.2%로 많았으나 100,000 수 이상 농가는 직립식이 69.4%로 더 많았다. 6. 계분을 계사에서 계사밖으로 수거하는 형태는 벨트형 71.5%, 스크레이퍼 29.4% 이었으며 집란은 자동집란 49.5%, 자동집 선란 25.9%로 집란만 자동화 된 농장이 더 많았다. 그러나 100,000 수 이상의 기업형 농가 중 14.9%는 자동집 선란이후 포장까지 수행 하였다. 7. 지붕 재질은 보온덮개 28.0%. 판넬 19.0 %, 갈바륨 12.9% 등으로 아직도 보온덮개를 이용하는 계사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나 100,000수 이상의 기업형 농가는 판넬의 비율이 32.3%로 가장 높았다. 8. 단열재는 보온덮개가 35.3%로 스티로폼 14.0%, 우레탄 13.1%, 샌드위치패널 9.6% 보다 많았다. 9. 환기 방식은 윈치커튼을 이용한 자연환기 40.5%, 자연환기와 기계식 혼합 39.8%, 기계식 무창 20.7% 이었으나 100,000수 이상의 기업형 농가는 기계식환기를 하는 무창계사가 51.9%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This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ituation of housing type in poultry farms in Korea. The number surveyed among the farm size over 30,000 heads was 1,965 farms. Poultry housing types of windowless, open sided, vinyl house type were 19.0, 47.7, 19.8%, respectively. Waterers of nipple, bell, and 8 feet trough used in smaller than 50,000 heads of poultry farm were 40.6, 11.3 and 42.8%, respectively. But the bigger farm in the farm size of over 100,000 heads used more nipple waterer. Feeders of disk, hopper and chain used in poultry farm were 54.5, 16.3, 15.8%, respectively. Manure collecting system of scraper and belt was 29.4, 71.5 %, respectively. Ventilation systems of natural ventilation, natural + mechanical ventilation, mechanical ventilation were 40.5, 39.8, 20.7%, respectively.

      • 한우농가의 사육규모별, 지역별 축사시설 현황 분석

        최희철,감동환,송준익,전병수,전중환,유용희,나재천,유동,방한태,서옥석,이상철,김정수,이동흥,Choi, H.C.,Kham, Dong-Hwan,Song, J.I.,Jeon, B.S.,Jeon, J.H.,Yoo, Y.H.,Na, J.C.,Yu, D.J.,Bang, H.T.,Suh, O.S.,Lee, S.C.,Kim, J.S.,Lee, D.H. 한국축산환경학회 2008 축산시설환경학회지 Vol.14 No.3

        본 조사는 우리나라 한우농가의 지역별, 사육규모별 축사시설 현황을 파악하고자 전국 9개도의 한육우 50두 이상 사육농가 7,433호를 대상으로 축사시설 실태를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사육규모별 한육우 농가의 사육 마리수는 50두 이상 7,443호의 전업농가에서 736,164 마리를 사육하였으며 농가당 평균 사육두수는 99마리 이었다. 2. 한육우의 축사의 건축 시기는 평균 건축연도가 1998년이었으며 농가당 축사면적은 $1,396.9m^2$이었다. 3. 우사의 건축형태는 톱밥우사 87.1%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계류식과 톱밥 운동장을 활용하는 농가가 9.8%, 후리스톨 3.0%, 기타 2.9%이었다. 4. 규모별 우사의 건축형태는 차이가 크지 않았으며 톱밥우사는 $50{\sim}99$두 농가의 경우 86.5%, 200두 이상 89.1%이었으며 계류식+톱밥운동장을 활용하는 농가는 $50{\sim}99$두 농가가 10.1%, 200두 이상은 7.8%로서 규모가 클수록 약간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5. 지역별 우사 바닥의 형태는 깔짚이 94.7%로 모든 지역에서 스크레이퍼에 비하여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6. 우사 바닥의 형태는 규모에 관계없이 깔짚을 선호하는 경향이었으며 스크레이퍼는 $5.1{\sim}6.6%$로 낮은 반면 깔짚은 $93.6{\sim}94.8%$로 높았다. 7. 우사 지붕의 재질은 슬레이트 32.2%, 판넬 13.7%,강판 12.2%, 갈바륨 10.2%, 칼라강판 9.7%, 썬라이트 8.9%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8. 규모별 우사 지붕의 재질은 슬레이트의 경우 평균 32.2%이었으나 200두 이상 대규모 농가에서 슬레이트 비율은 22.5%로 낮은 비율을 보였다. 9. 우사 외벽 재질의 종류는 윈치커튼(55.6%)을 활용하거나 개방식 (47.6%)이 비슷한 분포를 보이고 있었으나 윈치커텐이 약간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10. 소규모 농가는 개방형이 48.9%로 200두 이상 대규모 농가 42.4%에 비하여 높았으나 윈치커튼은 200두 이상 대규모 농가에서 59.8%로 원치커텐 54.1%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다. 11. 우사 시설의 사용년수에 있어서 사료 자동급여기와 방서시설은 6년 정도 사용하였으며, 급수기와 전기시설은 8년 정도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housing types of Korean native cattle and beef cattle farms in Korea. The farm sized over 50 heads of cattle, 7,433 farms were surveyed. Regarding housing types for Korean native cattle and beef cattle, litter barn, freestall, mooring+litter ground and others accounted for 87.1, 9.8, 3.0, and 2.9 %, respectively. Most of Korean native cattle and beef cattle farms (94.7%) used litter floor rather than scraper. As for roof types, slate, panel, iron plate, galvanized plate, colored iron plate and sunlight represented 32.2, 13.7, 12.2, 10.2, 9.7, and 8.9 %, respectively. Open side wall type and winch curtain were 55.6, and 47.6 %, respectively. Bigger farms seemed to used more winch curtain than open style. Utilization period of automatic feeder, waterer, electric facility, and cooling facility was 6.7, 8.0, 8.5, and 6.0 years, resp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