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월단위 토양유실가능성 추정을 위해 개발된 ArcGIS 기반의 모형 적용

        유나영,신민환,김종건,박윤식,Yu, Na Young,Shin, Min Hwan,Kim, Jonggun,Park, Youn Shik 한국농공학회 2017 한국농공학회논문집 Vol.59 No.5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USLE) is used to estimate soil loss solely or employed in any hydrologic models. Since soil erosion has been an issue in South Korea for decades, the Ministry of Environment enacted a law to regulate soil erosion in 2012, which is the Notification of topsoil erosion status. The notification is composed of preliminary and field investigations, the preliminary investigation suggests to use USLE and provides USLE factors. However, the USLE factors provided in the notification was prepared at least 10 years ago, therefore it is limited to reflect recent climate changes. Moreover the current yearly USLE approach does not provide an opportunity to consider seasonal variation of soil erosion in South Korea. A GIS-based model was therefore applied to evaluate the yearly USLE approach in the notification. The GIS-based model employs USLE to estimate soil loss, providing an opportunity to estimate monthly soil loss with monthly USLE factor databases. Soil loss was compared in five watersheds, which were Geumgang, Hangang, Nakdonggang, Seomjingang, and Yeongsangang watersheds. The minimum difference was found at Seomjingang watershed, the yearly potential soil loss were 40.15 Mg/ha/yr by the notification approach and 34.42 Mg/ha/yr by the GIS-based model using monthly approach. And, the maximum difference was found at Nakdonggang watershed, the yearly potential soil loss were 27.01 Mg/ha/yr by the notification approach and 10.67 Mg/ha/yr by the GIS-based model using monthly approach. As a part of the study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potential soil loss can be overestimated in the notification approach.

      • KCI등재

        경기 북부 지역 유통 엽경채류의 농약 잔류량 분석

        유나영,김기유,김윤성,김상태,송서현,임정화,한유리,최희정,김윤호,서정화,최옥경,Yoo, Na-Young,Kim, Ki-Yu,Kim, Yun-Sung,Kim, Sang-Tae,Song, Seo-Hyeon,Lim, Jeong-Hwa,Han, Yoo-Li,Choi, Hee-Jeong,Kim, Youn-Ho,Seo, Jeong-Hwa,Choi, Ok-Kyung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022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Vol.37 No.3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pesticide residues in 160 stalk and stem vegetables marketed in Northern Gyeonggi-do. The QuEChERS method using GC-MS/MS and LC-MS/MS was employed to analyze the residues of 341 pesticides in the samples. The maximum or lower than the residue limit was recorded in 75 samples (46.9%), while 4 samples (2.5%) exceeded the maximum residue limit (MRL). Thirty-nine kinds of residual pesticides were detected including fungicides (14), insecticides (22), herbicides (2), and plant growth regulator (1). Carbendazim and pendimethalin were the most frequelntly detected pesticides. Fenitrothion, procymidone, and diazinon exceeded MRL in garlic chives, and Welsh onion. This indicated that these vegetables along with water celery should be constantly monitored.

      • KCI우수등재

        월단위 토양유실가능성 추정을 위한 ArcGIS 기반의 모형 개발

        유나영,이동준,한정호,임경재,김종건,김기형,김소연,김은석,박윤식,Yu, Na Young,Lee, Dong June,Han, Jeong Ho,Lim, Kyoung Jae,Kim, Jonggun,Kim, Ki Hyoung,Kim, Soyeon,Kim, Eun Seok,Park, Youn Shik 한국농공학회 2017 한국농공학회논문집 Vol.59 No.1

        Soil erosion has been issued in many countries since it causes negative impacts on ecosystem at the receiving water bodies. Therefore best management practices to resolve the problem in a watershed have been developed and implemented. As a prior process, there is a need to define soil erosion level and to identify the area of concern regarding soil erosion so that the practices are effective as they are designed.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USLE) were developed to estimate potential soil erosion and many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models employ USLE to estimate soil erosion. Sediment Assessment Tool for Effective Erosion Control (SATEEC) is one of the models, the model provided several opportunities to consider various watershed peculiarities such as breaking of slope length, monthly variation of rainfall, crop growth at agricultural fields, etc. SATEEC is useful to estimate soil erosion, however the model can be implemented with ArcView software that is no longer used or hard to use currently. Therefore SATEEC based on ArcView was rebuild for the ArcGIS software with all modules provided at the previous version. The rebuilt SATEEC, ArcSATEEC, was programmed in ArcPy and works as ArcGIS Toolset and allows considering monthly variations of rainfall and crop growth at any watershed in South-Korea. ArcSATEEC was applied in Daecheong-dam watershed in this study, monthly soil erosion was estimated with monthly rainfall and crop growth variation. Annual soil erosion was computed by summing monthly soil erosion and wa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approach to estimate annual soil erosion. The annual soil erosion estimated by the conventional approach and by summing monthly approach did not display much differences, however, ArcSATEEC was capable to provide monthly variation of soil erosion.

      • 고랭지 흙탕물 발생지역의 모니터링 결과를 이용한 시공간 변화분석

        유나영 ( Nayeong Yu ),신민환 ( Minhwan Shin ),금동혁 ( Donghyuk Kum ),임정하 ( Jungha Lim ),김종건 ( Jonggun Kim ),( Sumin Woo ),( Kyoungjae Lim ) 한국농공학회 2020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0 No.-

        고랭지밭에서 강우시 배출되는 비점오염물질은 하류 수계의 수질 및 수생태계에 다양한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비 점오염물질의 관리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강원도 내 고랭지밭은 급경사지에 분포해 있어 토양유실이 지속되고 있으며, 하류수계에 탁수관리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랭지 흙탕물 발생지역의 모니터링 결과를 이용하여 강우량과 강우강도의 특성에 따른 시공간 변화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비점오염원관리지역 중 토사유 출 저감을 목적으로 선정된 골지천 유역과 인북천 유역 만대지구, 인북천 유역 가아지구, 내린천 유역 자운지구를 대상으로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모니터링은 2017년부터 2019년까지 10개 모니터링 지점에 대하여 총 173개의 강우사상을 조사하였으며, 모니터링 결과를 10 mm 이하, 10∼30 mm, 30∼50 mm, 50 mm 이상의 강우계급으로 구분하였다. 조사된 강우계급별 횟수는 10 mm 이하 2회, 10∼30 mm 40회, 30∼50 mm 27회, 50 mm 이상 104회이다. 선행무강우일수는 0.04∼15.0일(평균 3.5일)이며, 강우량 8.0∼396.5 mm(평균 71.0 mm), 평균강우강도 0.3∼12.8 mm/hr(평균 2.7 mm/hr), 최대강우강도 1.5∼68.5 mm/hr(평균 15.1 mm/hr)로 다양한 범위의 강우특성을 조사하였다. 강우계급별 평균 유출량은 10 mm 이하 615,703 m<sup>3</sup>, 10∼30 mm 1,846,017 m<sup>3</sup>, 30∼50 mm 2,328,027 m<sup>3</sup>, 50 mm 이상 7,944,362 m<sup>3</sup>로 나타났으며, 토양유실과 관련된 SS 항목의 강우계급별 평균 EMC 농도는 10 mm 이하 58.6 mg/L, 10∼30 mm 229.2 mg/L, 30∼50 mm 326.8 mg/L, 50 mm 이상 592.9 mg/L로 나타났다. 강우계급별 유출량과 SS EMC 농도를 결과를 보면 강우량이 증가할수록 유출량은 증가하고, SS 항목의 EMC 농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면적이 비슷한 골지천 유역과 내린천 유역의 유사 강우량의 SS 항목의 EMC 농도를 비교한 결과 EMC 농도가 1.8∼3,605.8%까지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총 강우량이 유사하게 발생하더라도 선행무강우일수나 최대강우강도가 상이하며, 상류유역의 영농활동이나 토양특성 등에 의한 차이인 것으로 보여진다. 연구결과와 같이 고랭지 흙탕물 발생지역의 강우에 의한 시공간 변화는 강우량과의 상관성은 있으나, 선행무강우일수와 강우강도에 큰 영향을 받으며, 강우특성에 따라 다양한 결과를 보이고 있어 신뢰성 있는 자료를 얻기 위해서는 장기간의 모니터링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 KCI우수등재

        저수구역 경작지 토양의 유기물 및 영양염류 용출특성 분석

        유나영 ( Yu Nayeong ),신민환 ( Shin Minhwan ),임정하 ( Lim Jungha ),금동혁 ( Kum Donghyuk ),남창동 ( Nam Changdong ),임경재 ( Lim Kyoungjae ),김종건 ( Kim Jonggun ) 한국농공학회 2021 한국농공학회논문집 Vol.63 No.1

        Soils in agricultural lands contain large amount of organic matter and nutrients due to the injected fertilizers and manure. During heavy rain, surface water and base runoff pollutants flows into a nearby stream or lake with eroded soil from agricultural lands. On the other hands, agricultural lands near the lake are inundated due to the increase of the water level in the lake, leading to organic matter and nutrient release from the inundated soil. In this study, releasing rates of nutrient salts and organic substances were analyzed for the soil in the agricultural land, where cultivation activities has been carried out and periodically flooded, to account for the possibility of contamination from the inundated agricultural land in reservoir areas The experiment results have shown that COD was released from the soil in anaerobic conditions, and T-P was released in both anaerobic and aerobic conditions. However, in the case of T-N, it was found that the runoff by soil was not made before the rainfall occurred, and when the soil was impound due to rainfall, the elution occurred under the aerobic condition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account for the effect of flooded agricultural lands on the water quality in the lake, and this could be reflected in an efficient agricultural non-point pollution management policy. In order to determine the precise releasing rate for each agricultural land, it is believed that the leaching experiment for paddy fields and grasslands are needed.

      • 영주댐 유사조절지의 영양염류 및 유기물 용출 특성 분석

        유나영 ( Nayeong Yu ),신민환 ( Minhwan Shin ),금동혁 ( Donghyuk Kum ),우수민 ( Sumin Woo ),김종건 ( Jonggun Kim ) 한국농공학회 202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2 No.-

        영주댐은 낙동강 갈수기 하천유지용수 확보, 낙동강 본류와 내성천 연안지역의 홍수재해방어, 경상북도 북부지역의 안정적인 용수공급을 위해 건설되었으며, 특히, 낙동강 본류의 수질 개선을 위한 하천유지용수 공급이 주요목적이다. 그 중 유사조절지는 영주댐 상류에 건설된 인공구조물로 내성천 특성상 모래 침식의 우려가 있기 떄문에 모래 차단댐의 역할을 수행하여 하상변화 등을 최소화하여 내성천의 수질을 유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설치되었다. 그러나, 댐 건설로 인한 하류로의 모래 이동량 감소로 인해 내성천의 특징인 모래 하상이 파괴되고 하류의 수질이 오염되고 있다는 우려가 높다. 따라서, 유사조절지 내 퇴적토와 현장수를 통해 퇴적토에서 용출될 수 있는 영양염류 및 유기물의 용출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용출실험은 유사조절지를 대상으로 홍수기 전과 후 퇴적토와 현장수를 채취하여 호기성과 혐기성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분석 항목은 COD<sub>Mn</sub>과 T-N, T-P, TOC 4개 항목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홍수기 전실험 결과 용출특성은 호기조건에서 T-N 항목만 (-)음의 값으로 나타났으며, 혐기조건에서는 모두 (+)양의 값을 나타냈다. 홍수기 후 실험결과 용출특성은 호기조건에서 TOC를 제외하고 모두 (-)음의 값으로 나타났으며, 혐기조건에서는 T-N 항목만 (-)음의 값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와 같이 COD<sub>Mn</sub>, T-P, TOC 항목은 홍수기 전·후 혐기조건에서 용출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T-N 항목은 홍수기 전 혐기상태에서 용출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사조절지 퇴적토의 영양염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홍수기 전·후 토양을 채취하여 농도를 분석한 결과 T-N과 COD<sub>Mn</sub>, T-P 항목은 홍수기 전 대비 농도가 감소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TOC 항목은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석결과를 통해 얻은 유사조절지의 현장수 용출특성과 홍수기 전·후 퇴적토 농도변화는 유사조절지의 효율적인 수질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유사조절지 후 영주댐 호내에서도 오염물질의 내부기작으로 인한 수질변화가 일어나기 때문에 영주댐의 효율적인 수질관리를 위해서는 유사조절지 외 영주댐 호내의 용출특성 분석 등 영주댐 전 구간에 대한 수질변화 특성을 파악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월단위 토양유실량 추정을 위한 ArcGIS 모형 적용

        유나영 ( Na Young Yu ),신민환 ( Min Hwan Shin ),홍다정 ( Da Jung Hong ),김종건 ( Jong Gun Kim ),박윤식 ( Youn Shik Park ) 한국농공학회 2017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7 No.-

        범용토양유실공식은 장기간 동안의 연평균 토양유실량을 산정할 수 있는 경험적인 모형이며, 토양유실량 예측을 위하여 강우침식능인자(R factor), 토양침식성인자(K factor), 경사장·경사도인자(LS factor), 지표피복인자(C factor), 경작방법인자(P factor)의 5개 인자를 필요로 한다. 5개 인자를 이용하여 본 연구에서는 개발된 ArcSATEEC 모형에 적용하여 4대강 유역의 월별 토양유실량 추정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또한, 과거(최소 5년 이전) 강우 자료에 의해 구축된 강우침식능인자 사용과 연평균 토양유실량을 예측하는 ‘표토의 침식현황에 관한 고시’(Ministry of Environment, 2012)를 이용하여 토양유실량을 추정하였으며, 두 가지 방법에 의해 추정된 토양유실량을 비교하여 ‘표토의 침식량 산정 방법’의 예비조사방법 활용에 대한 검증을 하고자 하였다. ArcSATEEC 모형의 적용을 위해서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 섬진강 등에 대한 30 m 격자를 가지는 공간자료를 구축하였다. 수치표고모형은 국립지리원에서 제공하는 수치지도(1:5,000)를 이용하였고, 토양도는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에서 제공하는 개략토양도(1:50,000)를 이용하였으며, 토지이용도는 환경부 환경공간정보서비스에서 제공하는 2005년 대분류 토지피복도(1:25,000)를 이용하였다. ArcSATEEC 모형에 의한 월별 토양유실량 예측치를 고시에 의한 토양유실량과 비교한 결과, 한강유역에 대해서는 124.4%, 낙동강 유역에 대해서는 153.1%, 금강 유역에 대해서는 17.3%, 영산강 유역에 대해서는 17.6%, 섬진강 유역에 대해서는 16.5% 크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른 값의 차이로는 실제 현장에서 발생하는 토양유실량에 대해 어떤 방법이 더 타당한지를 단정할 수는 없으나, 강우침식능인자의 위치적인 차이와 최근 강우자료를 고려하여야만 좀 더 설득력 있는 결과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현재 시행 중인 정책에서 제시하고 있는 방법과 비교하여 최대 55%(한강유역) 크게 토양유실량이 예측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토양유실량 예측에는 최근의 자료를 사용해야 하며, 본 연구의 결과와 같이 계절적인 영향을 고려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저수구역 내 경작지의 영양염류 및 유기물 용출 특성 분석

        유나영 ( Nayeong Yu ),최유진 ( Yujin Choi ),임정하 ( Jungha Lim ),금동혁 ( Donghyuk Kum ),신민환 ( Minhwan Shin ) 한국농공학회 2019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9 No.-

        호소 농경지의 비료살포 및 영농활동과 초지 등의 토양에 포함된 영양염류는 용출을 통하여 호내로 유입되어 내부부하를 가중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저수구역 내 경작지에서 용출될 수 있는 영양염류의 양과 용출조건을 파악하는 것은 호소의 수질관리 측면에서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저수구역 내 경작지로부터 발생하는 오염가능성을 예측하기 위하여 저수구역 내에서 영농활동이 이루어지는 지역을 대상으로 영양염류 및 유기물의 용출속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용출실험은 저수구역 내 강우 발생 전 경작지 시료(A, B)를 채취하여 호기성과 혐기성 실험을 실시하였다. 농경지 침수에 의한 토양의 용출속도를 재현하기 위하여 1차 실험에서는 강우 전 현장수, 2차 실험에서는 강우 후 현장수를 이용하여 실험하였으며, 3차 실험에서는 현장수와 증류수에 따른 용출반응 속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1차 실험 결과 A-1 경작지의 COD와 T-P 항목의 용출속도는 호기성과 혐기성 모두 (+)양의 값, T-N 항목의 용출속도는 호기성과 혐기성 모두 (-)음의 값을 나타냈다. B-1 경작지의 COD 항목의 용출속도는 호기성에서 (-)음의 값, 혐기성에서 (+)양의 값을 나타냈으며, T-P와 T-N 항목의 경우 A경작지와 동일한 결과가 나타났다. 2차 실험 결과 A-2 경작지의 COD와 T-P 항목의 용출속도는 A-1과 동일하게 호기성과 혐기성 모두 (+)양의 값을 나타냈으며, T-N 항목의 용출속도는 호기성에서 (+)양의 값, 혐기성에서 (-)음의 값을 나타냈다. 3차 실험 결과 현장수의 혐기성에서 T-N 항목의 용출속도가 (-)음의 값을 나타냈으며, 그 외 현장수의 T-N 항목의 호기성과 COD와 T-P 항목의 호기성과 혐기성, 증류수의 COD와 T-P, T-N 항목의 호기성과 혐기성 모두 (+)양의 값을 나타냈다. 또한, 토양시료의 영양염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3차 용출실험 전·후 토양을 채취하여 분석한 결과 현장수와 증류수 그리고 호기와 혐기 조건에서 질소와 인의 함유량이 감소하여 토양의 용출이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저수구역 내 경작지와 현장수를 이용한 용출특성 분석 결과 COD 항목의 경우 혐기조건에서 모두 농경지 토양의 용출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T-P의 경우도 혐기와 호기조건에서 모두 용출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질소계열의 경우 강우가 발생하기 전(1차 실험)에는 토양에 의한 용출이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강우가 발생(2차 실험)하여 토양이 저류되면 호기성 조건에서 용출이 발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결과를 통해 얻은 용출특성은 침수된 경작지가 저수구역 내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효율적 농업비점오염 관리정책에 반영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며, 경작지별 용출속도를 산정하기 위해 농경지 외에 추가적으로 논과 초지를 대상으로 한 용출실험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한국인의 행복 개념 탐색연구

        유나영(Yu, Na-Yung),정여진(Jeong, Yeo-Jin),김비아(Kim, Bi-A),정영숙(Chong, Young-Sook),신현정(Shin, Hyun-Jung)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5 한국민족문화 Vol.55 No.-

        한국인이 생각하는 행복은 무엇인가? 미국에서 제안한 행복 개념은 문화보편적으로 한국에서도 적용 가능한가? 행복에 관한 국내 연구는 미국학자들이 제안한 행복 개념의 틀을 사용하여 발전해 왔다. 그러나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행복 개념에 대한 질적 연구들과 비교문화 연구들은 미국학자들이 제안한 행복 개념을 한국인에게 문화보편적으로 적용하기 어려울 가능성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의 행복 개념이 미국인의 행복 개념과 다를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하여 설문지 응답을 통한 조사연구를 수행하였다. 설문참가자들은 미국과 한국에서 만들어진 행복 측정 설문지에 자신의 행복에 대해 응답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법으로 설문지 응답을 분석한 결과, 미국의 행복 개념은 정서적, 심리적, 사회적 요인으로 구성되는 반면, 한국의 행복 개념은 정서적, 심리적, 관계적, 사회적, 그리고 사회경제적 요인으로 세분화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미국인의 행복 개념에는 나타나지 않은 가족관계 요인과 사회경제적 요인들(경제력, 종교, 외모, 건강, 여가)이 한국인의 행복 개념에는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심리적 요인과 사회적 요인은 미국의 행복 개념에서보다 한국의 행복 개념에서 축소되어 나타났다. 종합논의에서는 연구 결과를 통해 한국 사회의 행복을 재조명하고 한국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What is the meaning of happiness in Korea? Is the concept of happiness proposed in the United States applicable to Korean culture as well? Studies on the happiness in Korea has advanced using the framework proposed in United States. However, qualitative studies and cross-cultural studies using Korean participants suggest that concept of happiness is not universal.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that Korean and American embrace different concept of happiness, we conducted a survey study. Undergraduate participants in this study rated their happiness in surveys made in the United States as well as in Korea.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at the happiness in the United States is composed of emotional, psychological, and social factors; while the happiness in Korea consists of emotional, relational, psychological, social, and socioeconomic factors. Specifically, family relations and socioeconomic elements such as financial means, religion, appearance, health, and leisure were recognized as important factors in the concept of happiness in Korea, though the same elements were not important factors in the concept of happiness proposed in United States. On the other hand, importance of psychological and social factors were reduced in the concept of happiness in Korea compared to that in United States. The ways to rethink and change concept of happiness in positive way were discussed in the general discussion s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