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수리 형태학 기반의 움직임 정보를 이용한 연속영상의 계층적 3차원 분할

        여영준,송근원,박영식,김기석,하영호 대한전자공학회 1997 電子工學會論文誌, S Vol.s34 No.7

        A three dimensional-two spatical dimensions plus time-image segmentation is widely used in a very low bit rate image sequence coding because it can solve the region correspondence problem. Mathematical morphology is a very efficient tool for the segmentation because it deals well with geometric features such as size, shape, contrast and connectivity. But if the motion in the image sequence is large in time axis, the conventional 3D morphological segmentation algorithm have difficulty in solving region correspondence problem. To alleviate this problem, we propose the hierarchical image sequence segmentation algorithm that uses the region motion information. Since the motion of a region in previous level affects that in current level uses the previous motion information to increase region correspondence. Simulation result shows improved performance for sequence frames with large motion.

      • KCI등재

        경영자능력이 내부통제품질에 미치는 영향

        여영준,고창열 한국전문경영인학회 2018 專門經營人硏究 Vol.21 No.4

        This study examines the association between managerial ability and internal control quality. For empirical testing, we measure the managerial ability by Demerjian (2012) model and measure the firms’ internal control quality in consideration of the existence of material weakness(es) in internal control over financial reporting (hereafter, ICFR), targeting the KSE listed firms from 2007 to 2012. As the empirical results, the firms with a relatively high level of managerial ability are less likely to report material weakness(es) in ICFR. In other words, there exist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managerial ability and internal control quality. We also conduct the robustness check on the analysis employing matched sample and we find that the results of this paper are robust to additional analysis.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internal control quality is influenced by the managerial ability.

      • 포스트 코로나 시대 기술변화와 혁신정책 방향성 재정립: 창조적 학습사회 전환을 중심으로

        여영준,Yeo, Yeongjun 기술경영경제학회 2020 기술혁신연구 Vol.28 No.4

        포스트 코로나 시대 전통적 정형화된 업무는 지능화된 기계와 온라인 플랫폼 등 디지털 기술에 의해 대체되고, 디지털 전환 기술과 고숙련 근로자 및 비정형 업무 간 강한 상호 보완관계를 바탕으로 고용 없는 경기회복이 전개될 가능성이 크다. 특히, 우리나라 산업 내 직무 구성을 살펴보면, 반복업무 지수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추세다. 이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 디지털 전환의 가속화에 따른 노동시장에 대한 부작용 및 파급효과가 우리나라 경제체제 내 고착화될 가능성이 큼을 시사한다. 이러한 배경 하, 본 연구에서는 우리 경제사회 시스템의 구조적 변화를 일으킬 디지털 전환의 내재적 속성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바탕으로, 잠재적 위기 극복 및 문제해결을 위한 개념적 틀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포스트 코로나 시대 디지털 기술발전과 학습 간 상호작용에 주목하여, 혁신체제의 구조적 전환을 통한 새로운 균형점으로의 이행을 위한 혁신정책의 역할을 재정립하고자 한다. 이와 함께, 포스트 코로나 시대 우리나라 혁신체제가 미래 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적절한 제도적 요소들로 구성되어 있는지 살펴보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 디지털 전환이라는 기술변화 흐름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미래지향적 혁신정책 수립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routinized tasks in the post-COVID era are to be replaced by digital technologies, while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digital transformation technologies and non-routinized tasks have strong complementarity. In particular, looking at the job composition within Korea's industries, the intensities of routinized works appear to be continuously rising. It suggests that the potential side effects on the labor market caused by the acceleration of digital transformation in the post-COVID era will be greater within Korean innovation system. With this background,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conceptual framework for dealing with potential crises such as, job polarization and widening gaps between workers in terms of economic earnings, based on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inherent properties of digital transformation that will lead to structural changes in our economic and social system. In particular, focusing on the interaction between digital transformation technology and learning in the post-COVID era, this study attempts to redefine the role of the innovation policy for making a successful transition to a new equilibrium state.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s the institutional conditions of the Korean innovation system which affect the creative learning activities of economic actors to draw policy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future-oriented innovation policy. Based on these approaches,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coevolution between the skills demand and skills supply to spur inclusiveness of Korean innovation system in the post-COVID era.

      • KCI등재

        인플루언서 광고모델 속성이 광고태도에 미치는 인과모형분석: 진정성 지각 매개효과

        여영준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23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24 No.4

        본 연구는 실제 인플루언서를 광고모델로 활용하고자 하는 광고기획자나 광고제작자들에게 모델 선정에 대한 전략을 제안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실제 인플루언서 모델로 ‘이사배’를 선정하고 실험 목적에 맞게 동영상 광고물 4개를 편집하여 실험자극물로 활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첫째, 인플루언서 광고모델 속성이 광고메시지 진정성 지각에 미치는 인과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인플루언서 광고모델에 대해 신뢰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매력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전문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광고 메시지에 대한 진정성을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다만, 특이한 점은 제품관련성 속성의 경우에는 진정성 지각에 미치는 방향성이 역의 관계성을 보였다. 즉, 인플루언서 광고 모델의 활동영역과 광고하는 제품간에 관련성이 높은 경우에는 광고메시지에 대한 진정성 지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플루언서 광고모델 속성이 광고태도에 미치는 인과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델의 신뢰성과 매력성 및 제품관련성 속성은 광고태도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전문성 속성의 경우 광고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인플루언서 광고모델 속성이 광고메시지 진정성 지각을 매개로 하여 광고태도에 미치는 인과관계를 분석한 결과, 광고모델의 신뢰성과 제품관련성 및 매력성의 경우에는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내 보였으며, 전문성 속성의 경우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내 보였다. 본 연구는 광고의 이론가와 실무자들에게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한다. 첫째, 실제 인플루언서를 광고모델로 활용하고자 할 때 중요하게 고려해야만 하는 모델 속성을 추출하고 검증했다는 점에서 그 이론적 가치가 있다. 둘째, 기존의 유명인모델 속성 연구결과와 차별화되게 인플루언서 모델의 경우 제품관련성이 중요한 모델 속성의 구성개념으로 확인되었다는 점이다. 셋째, 광고메시지 진정성 지각에 대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는 점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a strategy for model selection to advertising planners or advertising producers who want to use actual influencer as advertising model. For this purpose, ‘Lee Sa-bae’ was selected as an actual influencer model, and 4 video advertisements were edit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experiment and used as an experimental stimulus. Results of this study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ausal relationship of influencer advertising model attributes on the perception of authenticity of advertising messages, it was found that all of them had a direct effect. That is, the higher the credibility of the influencer advertising model, the higher the attractiveness, and the higher the professionalism,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the authenticity of the advertising message is positively interpreted. However, in the case of product relevance attribute, the direction of authenticity perception showed an inverse relationship. In other words, whe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ctivity area of the influencer advertising model and the product advertised was high, it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perception of authenticity of the advertising message.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ausal relationship of influencer advertising model attributes on advertising attitudes, the reliability, attractiveness, and product relevance attributes of the model directl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advertising attitude. On the other hand, professionalism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advertising attitude. Final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ausal relationship of influencer advertising model attributes on advertising attitudes through the mediating of advertising message authenticity perception, complete mediating effects were found in the case of reliability, product relevance, and attractiveness of advertising models. In the case of professionalism attribute, a partial mediating effect was shown. This study suggests several implications for the theorists and practitioners of advertising. First, it has theoretical value in that it extracts and verifies the model attributes that must be considered important when trying to use an actual influencer as an advertising model. Second, in the case of the influencer model, product relevance was confirmed as a constructive concept of important model attributes to be differentiated from the existing celebrity model attribute research results. Third, the mediating effect on the perception of authenticity of advertising messages was verified.

      • KCI등재

        벤처투자 확대 따른 거시경제적 효과 분석 연구: 사회회계행렬 승수효과 접근을 중심으로

        여영준,곽기현 한국혁신학회 2020 한국혁신학회지 Vol.1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quantify the macroeconomic impacts of venture capital expansion focusing on Korean economy. For the analysis, this study has conducted a SAM multiplier analysis to identify how the venture capital expansion would affect industrial outputs, value-added composition, and total economic outputs via multiplier effects and relevant direct and indirect paths. Based on the SAM multiplier analysis, it is found that the returns to venture capital investments of Korea can be getting lower, as the size of venture capital investments is getting larger. In addition, it is found that the increased inefficiency in the formation of knowledge capital serves as the underlying key factor that lowers the rate of returns on venture capital investments. In particular, it is found that if expansion of venture investment in the Korean economy is introduced, production-induced effects in sectors with relatively low knowledge intensity may be further expanded, resulting in enlarged inefficiencies in knowledge accumulation. Those findings suggest that even though the venture capital fund is expanded, the Korean economy potentially has structural problems in stimulating knowledge capital accumulation and creating spillover effects within economic system. Accordingly, it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seek policy alternatives to improve the returns on venture capital investment at the national level based on the policy goal of ‘innovation and productivity growth’. 본 연구에서는 지식기반 사회회계행렬을 구축하고, 승수효과 분석 방법론을 활용하여, 우리나라 경제체제 내 벤처투자 확대에 따른 생산유발 및 소득유발 효과를 실증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벤처투자 규모가 확대될수록 더욱 높은 수준의 경제성장 효과가나타남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시나리오 간 투자 수익률을 비교 분석하였을 때에는, 벤처투자 규모가 확대될수록 낮은 투자 수익률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벤처투자 규모가 증대할때 투자 수익률이 낮게 형성되는 기저요인은 지식자본 형성 확대에 있어서 비효율성이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되기 때문임을 파악하였다. 특히, 우리나라 경제체제 내 벤처투자 확대가이행될 경우, 상대적으로 지식 집약도가 낮은 부문의 생산활동이 더욱 확대되어, 간접적효과로서 지식자본 축적 및 경제체제 전반의 혁신 잠재력 확충에 있어 비효율성이 발생할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경제체제 내 벤처투자 증대에 따른 거시경제적 측면 투자 비효율성이 발생하는 중요한 원인이 벤처투자에 의한 지식자본 축적 및그에 따른 외부효과 창출에 있어 구조적 한계점을 지니고 있기 때문임을 파악할 수 있었다. 그에 따라,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우리나라 벤처투자 관련 정책에서 ‘혁신과 생산성 향상’이라는 정책목표를 바탕으로, 벤처투자 확대에 따른 거시경제적 차원의 투자수익률 개선을위한 정책적 대안 모색이 이뤄질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승수효과분석으로 살펴 본 연구개발(R&D) 투자의 명과 암

        여영준,정성문 한국혁신학회 2019 한국혁신학회지 Vol.14 No.2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ical innovation, labor market, and income distribution with considerations of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Korean economy, to address the intrinsic propertie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as one of the underlying causes for conflicts between growth and distribution within the knowledge-based economy. In this study, we use a knowledge-based SAM to quantitatively analyze the direct and indirect growth and distribution effects of the investments in R&D focusing on Korea. Based on a constructed SAM dataset, this study has conducted a SAM multiplier effect analysis to identify how the increased innovation activities in the economic system with additional R&D investments would affect the industrial outputs, value-added composition, and income distribution via multiplier effects and relevant direct and indirect paths within the national economy, by comparing with the scenario of increasing physical capital investment with the same amounts. Based on the key findings of the SAM multiplier analysis, it is found that in the case of the Korean economy, technological innovation represented by R&D investment can lead to increases in output and gross income growth, but may have negative impacts on income distribution in the economic system by further inducing relative demand for high-skilled labor and physical capital.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Korean economic structure has an inherent possibility that leads to skill-biased and capital-biased technological progress by creating differential demand among the factors of production in the factor input market when there is an expansion of technological innovation through additional R&D investments. Those findings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to investigate what types of policy design and implementation can be used to achieve both objectives of growth and distribution within a knowledge-based economy, not solely stressing out the quantitative expansions of R&D investments. Furthermore, it is also highlighted that innovation policy design needs to be pursued with comprehensive and structural approaches, given that economic growth and distribution are the outcomes of complex interactions among the many institutional sectors within the economic system. 2000년대 초반부터 이어져온 기술혁신 주도 경제성장은 최근 저상장 추세의 장기화, 양극화 및 소득 불평등 확대 등의 문제와 연결되면서 위기를 맞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위기의원인을 단순히 혁신주도 성장때문이라고 단정지을 수는 없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혁신정책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해, 기술혁신에 따른 경제성장과그 이면의 불평등 확대가 경기순환적인 현상이기보다는 기술진보의 내재적 속성으로 인한구조적 문제임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경제체제를 묘사하는 사회회계행렬를 구축하고, 승수효과분석을 통해 기술혁신, 노동시장, 그리고 소득분배간 관계를 구조적으로 파악하고자 했다. 이를 통해 기술혁신이 성장과 분배 사이의 충돌을초래할 수 있음을 경계하는 최근 다양한 연구들의 주장 속 핵심 기저요인으로서 제기되는요소편향적 기술진보가 우리나라 경제체제에서 구조적으로 발현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 경제체제의 경우 R&D 투자로 대변되는 기술혁신은 경제체제 내산출량 증대 및 총소득 증대 효과가 나타났다. 하지만, 혁신 및 지식집약적 산업의 성장을바탕으로 고숙련 노동 및 물적자본에 대한 상대적 수요를 더욱 유발함으로써, 경제체제 내소득 분배에 있어서는 부정적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경제 구조가 R&D 투자 증대를 통한 기술혁신의 확대가 있을 때, 생산요소 시장에 있어생산요소 간 차별적 수요를 형성함으로써, 숙련편향적, 그리고 자본편향적 기술진보를 일으킬 수 있는 구조적 속성을 내재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향후혁신정책을 설계하는데 있어서는 기술혁신을 바탕으로 한 성장잠재력 확대를 위한 정책 대안 모색과 더불어, 성장과 분배 간 상충관계를 고려한 정책 설계 역시 중요함을 시사한다. 이미 저성장 현상과 한정된 자원 분배가 고착화되고 있는 가운데, 향후 기술혁신 주도 성장을 위해서는 포용적 성장의 틀에서 혁신정책의 역할과 방향에 대해 모색할 필요가 있음을본 연구는 시사한다.

      • SCOPUSKCI등재

        포스트 코로나 시대 기술변화와 혁신정책 방향성 재정립: 창조적 학습사회 전환을 중심으로

        여영준,Yeo, Yeongjun 기술경영경제학회 2020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28 No.4

        포스트 코로나 시대 전통적 정형화된 업무는 지능화된 기계와 온라인 플랫폼 등 디지털 기술에 의해 대체되고, 디지털 전환 기술과 고숙련 근로자 및 비정형 업무 간 강한 상호 보완관계를 바탕으로 고용 없는 경기회복이 전개될 가능성이 크다. 특히, 우리나라 산업 내 직무 구성을 살펴보면, 반복업무 지수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추세다. 이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 디지털 전환의 가속화에 따른 노동시장에 대한 부작용 및 파급효과가 우리나라 경제체제 내 고착화될 가능성이 큼을 시사한다. 이러한 배경 하, 본 연구에서는 우리 경제사회 시스템의 구조적 변화를 일으킬 디지털 전환의 내재적 속성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바탕으로, 잠재적 위기 극복 및 문제해결을 위한 개념적 틀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포스트 코로나 시대 디지털 기술발전과 학습 간 상호작용에 주목하여, 혁신체제의 구조적 전환을 통한 새로운 균형점으로의 이행을 위한 혁신정책의 역할을 재정립하고자 한다. 이와 함께, 포스트 코로나 시대 우리나라 혁신체제가 미래 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적절한 제도적 요소들로 구성되어 있는지 살펴보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 디지털 전환이라는 기술변화 흐름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미래지향적 혁신정책 수립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routinized tasks in the post-COVID era are to be replaced by digital technologies, while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digital transformation technologies and non-routinized tasks have strong complementarity. In particular, looking at the job composition within Korea's industries, the intensities of routinized works appear to be continuously rising. It suggests that the potential side effects on the labor market caused by the acceleration of digital transformation in the post-COVID era will be greater within Korean innovation system. With this background,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conceptual framework for dealing with potential crises such as, job polarization and widening gaps between workers in terms of economic earnings, based on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inherent properties of digital transformation that will lead to structural changes in our economic and social system. In particular, focusing on the interaction between digital transformation technology and learning in the post-COVID era, this study attempts to redefine the role of the innovation policy for making a successful transition to a new equilibrium state.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s the institutional conditions of the Korean innovation system which affect the creative learning activities of economic actors to draw policy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future-oriented innovation policy. Based on these approaches,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coevolution between the skills demand and skills supply to spur inclusiveness of Korean innovation system in the post-COVID er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