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오징어 건조 및 조리 중 콜레스테롤 산화물 생성

        양승미,신정혜,강민정,김태훈,성낙주,Yang, Seung-Mi,Shin, Jung-Hye,Kang, Min-Jung,Kim, Tae-Hoon,Sung, Nak-Ju 한국식품영양학회 2001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14 No.6

        Cholesterol oxidation products(COPs) such as 7-ketocholesterol, 7 ${\alpha}$, 7 ${\beta}$-hydroxycholesterol and 25-hydroxycholesterol were analyzed for ensuring the safety of squid during its drying and cooking. In addition. changes of malonaldehyde in squid during its drying and cooking were also investigated. Cholesterol was detected 636.4m9/1009 in fresh sample, which was decreased during its drying and cholesterol contents in dried sample were 468.9mg/100g, 486.8mg/100g, respectively, while COPs contents of sun and hot air dried samples increased about 6.2 times more than those contents of fresh sample. Regardless of cooking methods, the contents of COPs in dried products increased after cooking. Especially, those contents were determined 127.3 mg/g in sun dried samples were cooked by microwave oven. The malonaldehyde contents of dried products increased after cooking, its contents in cooked samples by an microwave oven after sun dried were about 4.3 times more than in control products. In general, a small quantity of COPs were formed in dried samples which were cooked by a steam.

      • 프레임 드로핑을 이용한 MPEG-4 미디어 전송 시의 디지털 저작권 관리를 위한 암호화 기법 연구

        양승미(Seungmi Yang),신동규(DongKyoo Shin),신동일(Dongil Shin),박세영(Seyoung Park) 한국정보과학회 2008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5 No.1

        본 논문에서는 대역폭의 감소를 가능하게 하는 프레임 드로핑을 MPEG-4파일 포맷을 따르는 미디어에 적용 했을 때, 암호화를 통하여 저작권을 보호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프레임 드로핑은 특정 비디오 프레임을 제거함으로써 서버의 과부하를 줄이는 방법이다. 프레임 간의 종속성이 가장 적은 B 프레임을 먼저 제거하고 종속성의 관계에 따라 I, P 프레임 순서대로 제거한다. 드로핑 된 파일을 서버에 저장후 전송하는 방법과 전송 시에 실시간 드로핑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두 가지 방법을 설계하였다. MPEG-4 데이터의 암호화에는 3가지 방법을 설계하였고, 블록암호화 알고리즘은 DES(Data Encryption Standartd)를 사용하였다. 이러한 방법으로 MPEG-4 스트리밍 서비스 시에 서버의 DRM 솔루션을 구현하고, 최적의 방법을 선택하기 위해 드로핑, 암호화, 복호화 및 영상의 품질을 비교하였다.

      • KCI등재후보

        브랜드 명성도가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양승미(Seungmi Yang),송인암(In-Am Song) 한국정보사회학회 2014 정보사회와 미디어 Vol.15 No.3

        이 논문에서는 세 이동통신사업자의 브랜드 명성도에 따라 나누어진 가입자 집단별로 고객 충성도 결정요인에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가설검증을 실시하였다. 브랜드 명성도에 따라 구분된 세 고객집단(고, 중, 저)을 모두 한 번에 비교했을 경우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고객로열티 결정 요인 경로별로 차별성의 존재여부를 검증했을 때는 지각된 결합상품 품질 경로와 대고객 서비스 품질을 제외한 단말기품질, 통화품질, 데이터 서비스품질 요인의 고객 충성도에 대한 영향에 있어서는 집단 사이에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집단을 쌍으로 비교했을 때는 고브랜드 명성도 집단과 중브랜드 명성도 가입자 집단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하지 않는 반면, 두 집단과 저브랜드 명성도 고객집단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차이가 존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국내 이동통신시장에 차별화된 고객집단이 존재하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으며 이동통신 기업은 세분화된 고객집단별로 차별적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필요성이 있음을 이 논문의 연구결과는 시사한다. This paper classifies the sample into three groups―high brand-reputation group, middle brand-reputation group, and low brand reputation group―based on three brand reputation indices, SBS CNBC Brand-Share Index, KS-Premium Brand Index, and National Brand Competitiveness Index. Then, this paper tries to test statistically if brand reputation alters the path coefficient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uslts show that three groups a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from each other, so this paper tests again if each path coefficient is different among the three groups using constrained and unconstrained structural equation models. Outcomes show that even though the null hypothesis that three groups have the same coefficients are not rejected, the three path coefficients for perceived quality of data service, perceived quality of device and perceived quality of call service are proved to be statistically different among the three groups. After comparing three groups together, this dissertation implements pair-wise comparisons among the three groups. When high and middle brand-reputation groups are compared, they did not turn out to be statistically different. When the two groups are compare with low brand-reputation group, however, they turned out to be statistically different. This implies that mobile service providers need to consider customer segmentation when developing marketing strategies.

      • KCI등재

        녹색성장 개별법에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에 대한 소고

        양승미(Yang, Seung Mi) 한국지방자치법학회 2011 지방자치법연구(地方自治法硏究) Vol.11 No.4

        녹색성장의 개념은 환경(Green)과 성장(Growth)이라는 두 가지 개념을 모두 포괄하는 것이다. 기존의 경제성장패러다임을 환경친화적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에너지, 환경 관련 기술사업에서 신기술을 발굴해내고 기존사업과의 상호융합도 시도하여 새로운 성장동력과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으로 연결될 수 있다. 녹색성장 관련한 문헌들에서는 국가수준 내지는 국제적 수준에서 배출권 거래제도, 환경오염 저감 기술 개발을 통한 경제성장 등을 검토하는 것이 발견된다. 본고에서는 ‘경제성장’과 ‘환경’의 두 가지 이슈를 모두 내포하고 있는 녹색성장의 법정책적 구현을 위해서, 관련 개별법 분야에서 지방자치단체가 어떠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해서 시론적 검토를 하고자 하였다. 우선 녹색성장에 대해서 지방자치단체가 일정한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국가와 지방 자치단체의 입법분담의 체계가 확립되어야 할 것이다. 환경분야에서 환경권 또는 재산 권에 대한 규율을 조례로 규정하는 경우 입법분담의 측면에서 상하한도를 허용하거나 한시적 적용 등 지방자치단체의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규율형식이 도출될 수 있어야할 것이다. 대기 분야에서는 핵심과제인 ‘저탄소’와 관련된 구체적인 기준이 대기오염 관련 개별환경법과 연계되어야 한다. 에너지 분야에서는 각 지역의 자연적 지형이 좌우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다양성을 고려할 수 있는 조례제정위한 지방자치단체의 권한 강화되 어야 한다. 물관리 및 토양관리 분야에서도 녹색성장을 위한 환경보전과 경제성이 동시에 고려되어야 한다. 온난화 등 전지구적 환경문제는 기후변화협약 등 국제사회의 공동의 대처로 그 범위와 깊이가 확장되고 있으나, 이를 보다 구체화시켜 집행할 수 있고 지구적 환경문제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게 되는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에 보다 주목하여야 할 것이다. 종래 ‘인간 대 국가 또는 국제사회’의 환경법상의 행위자에 대한 고려는 지방자치와의 관계 에서 ‘주민 대 국가 또는 국제사회’의 측면으로 이해될 필요가 있다. 녹색성장은 거시적 관점에서 환경과 보전을 동시에 고려하는 최근의 환경법의 기조를 반영하고 있다. 경제발전의 측면과 환경보전이 서로 대치되는 개념이 아님을 전제로 하고 있는 것으로, 이러한 녹색성장의 환경법정책의 기조는 다른 환경분야의 법제 에도 반영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그 세부화 과정에서 조례를 통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이 보다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Green Growth is all about rethinking growth and how we can grow more sustainably. Today, people are looking for ways to revive and reinstate traditional cultural values in ways that promote the sustainable, eco-efficient use of natural resources and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enterprises. This Article is intend to research the role of local government in the policy of Green Growth on every field of environment law. First of all, the assignment of legislative authority in the environment law is enhanced. It will be various rule-methods to manage and control the local environment level of accepting the standard as maximum and minimum. In the atmosphere environmental field, the standard of low- co2 in the Low-co2 Green Growth Law is connected to each atmosphere environmental law. The specialty of each local government is reflected in the recycle energy field. The wide environmental problems of global warming is treated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ies and nations, but the powerful role of local government should be reviewed because it will enforce concretely. It will be necessary to consider by the view of citizen v. nation or international community. Green Growth cover on the trend of recently environmental law. It means that Green Growth should take the balance of concepts of economic development and environment preservation by the local autonomy law.

      • KCI등재

        조세쟁송제도 개정방향에 대한 시론

        양승미(Yang Seung-Mi) 행정법이론실무학회 2014 행정법연구 Vol.- No.39

        조세행정법 분야는 전통적으로 행정법의 가장 전형적인 권력적 행정작용으로 인식되어 왔으며, 일반행정법 이론이 공유되며, 행정쟁송분야의 법령은 조세행정분야에도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이 글에서는 2013년도 행정소송법 개정안의 쟁점을 중심으로 납세자의 권리구제 강화차원에서 조세쟁송의 개정방향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행정소송법 개정안의 원고적격 확대방향이 조세 관련 소송에서도 적용된다면 일정한 이해관계 있는 제3자의 소송의 제기가 가능할 수 있다. 행정소송법개정안의 원고적격확대는 조세관련소송의 원고적격 확대에도 직ㆍ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본다. 또한 행정소송법 개정되어 의무이행소송이 조세분야에서 제기되면 거부처분에 대해 보다 적극적인 구제가 가능해질 것이며, 거부처분의 범위를 재고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현재 도입되지 않은 가처분제도가 행정소송에 도입되면 특히 환급결정과 관련해서 주요한 구제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행정소송법 개정안이 통과되면 종래 활성화되지 못한 당사자소송이 보다 강조되어 이해조절적 분쟁해결을 향한 행정소송법 발전에도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본다. 이번 개정안에는 포함되지 못하였으나 명문으로 조세불복에 조정이나 화해제도를 도입하는 방안이 모색될 필요가 있다. 한편 행정심판법과 국세기본법 간에도 심판의 유형, 재조사결정 등 권리구제의 준사법화 강화의 관점에서 그 범위와 근거규정이 명확하게 제시되어야 한다. 행정소송법의 전면적인 개정은 행정법각론에 해당하는 조세쟁송제도에도 주요한 영향을 미칠 것이 예상된다. 국민의 권리구제강화의 관점에서 조세쟁송제도에 대한 개정방향에 대해서 행정법적 연구가 보다 활성화되어야 할 것이다. It has been traditionally considered the most typical and powerful as the action in the field of tax administration. As the common theory of administration is influenced on laws and regulations of tax administrative dispute, it would be also significant on the field of tax administration. In this paper, I would focus on the key issues of administrative litigation revised items of 2013, and examine the direction for the improvement of tax disputes resolution system to strengthen th taxpayers’ right. If the trend of expanding to ‘standing to sue’ is applied to tax litigation, it can be increased the ratio to filing a lawsuit of the third party more than before. It is seemed for the expanding to ‘standing to sue’ of the revised bill of administrative litigation law to have an important bearing on the tax litigation system reform. And if ‘lawsuit of duty performance’ is acted in the field of tax litigation, it can be promotive to the aggressive relief from the refusal disposition. The scope of the refusal disposition should be reconsidered. If provisional disposition system is introduced, it is possible to be the primary remedy in connection with the determination of the refund. And, if administrative litigation law amendment passes, party suit that was not activated traditionally would be emphasized more, and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the development of administrative litigation method for understanding regulatory dispute resolution. It has not been included in the draft revision of this time, but there is a need to plan to introduce a settlement system and the adjustment of the tax appeal. On the other hand, in relations of the basic law of national tax and the administrative appeals law, the grounds specified range of the types of trial decision, ‘reinvestigation decision’ and so on, must be clearly presented within the framework of the constable legal review of the right relief

      • KCI등재

        흑마늘 추출물을 첨가한 돈육햄의 품질특성

        양승미 ( Seung Mi Yang ),신정혜 ( Jung Hye Shin ),강민정 ( Min Jung Kang ),성낙주 ( Nak Ju Sung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구 한국농산물저장유통학회) 2011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Vol.18 No.3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qualit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pork ham with various levels of black garlic extracts. Pork ham manufactured from black garlic extracts with 15 brix (1% (H1), 1.5% (H2), 2% (H3)) and 30 brix (0.2% (H4), 0.5% (H5), 1% (H6)) were stored for 28 days at 8±1℃ and analyzed with an interval of 7 days. In the sensory evaluation, the garlic odor was increased as the garlic extract adding level larger, whereas color, flavor, juiciness, texture and acceptability were no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The pH values of pork products were increased as the level of black garlic extracts increased. The shear force value of groups (H4~H6) with the addition of 30 brix extracts addit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groups with 15 brix extracts addition (H1~H3) throughout the storage period. Furthermore, the TBARS (thiobarbutric acid reactive substance) content of the pork ham containing various levels of black garlic extract were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s storage period increased. Thus, black garlic extracts have a potential application for the pork products to inhibit of lipid oxidatio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발자크의 『세라피타』와 『사막 속 정념』에 나타난 신비의 공간 연구

        양승미(Yang, Seungmi)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9 외국문학연구 Vol.- No.73

        발자크의 『세라피타』와 『사막 속 정념』은 『인간극』에 속하는 작품 중 프랑스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장소를 배경으로 하는 두 소설이다. 본 논문은 프랑스 역사의 서기관이 되고자 했던 발자크가 『세라피타』와 『사막』에서 프랑스 땅을 벗어날 수밖에 없었던 이유를 해명해보려 했다. 우선 발자크가 몸소 겪은 19세기의 프랑스 파리는 의심과 불신에 잠식되어 있었다. 『황금 눈의 여인』에서 파리는 황금과 쾌락을 향한 인간의 욕망으로 들끓는 지옥과도 같은 장소이고 『현대사의 이면』에서는 소외 계층의 가난을 토대로 삼는 타락한 파리 문명이 신의 말씀을 따 르는 이들을 후미진 구석으로 몰아낸다. 따라서 프랑스 파리는 신의 신비를 다룬 『세라피타』와 『사막』에 적절한 공간적 배경이 될 수 없었다. 발자크는 신성한 이야기가 펼쳐질 수 있는 이국의 공간으로 노르웨이와 이집트를 고른다. 노르웨이는 스베덴보리와 같은 위대한 신지학자가 나올 수 있는 풍토가 갖춰진 북방의 나라로서, 이집트는 초기 그리스도교 사막 수도자들이 은거했던 거룩한 동방의 나라로서 상징적 의미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었다. 발자크는 신비의 흔적이 남은 두 장소를 신성을 느낄 수 있을 만한 공간으로 구성한다. 수직으로 뻗은 노르웨이의 산과 이집트 사막의 아득한 수평선은 신의 무한성을 느끼게 하고, 두 공간을 지배하는 정적은 인간이 성찰하는 가운데 신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게 한다. 바다의 모티프를 중심으로 이집트의 사막과 노르웨이의 풍경이 하나로 합쳐지면서 발자크만의 신성한 공간이 드러난다. Honoré de Balzac’s La Comédie humaine is primarily studies of French society in the nineteenth century. However, on such few occasions as in the novels Séraphîta or Une passion dans le désert , he branches out into mystical and transcendental themes. The settings of these stories are not inside the borders of France, for France in the era was full of doubt and disbelief, which made it impossible for the author to speak about mystical experiences. The story of Séraphîta takes place in Norway of northern Europe, the home of great theosophists such as E. Swedenborg, and Une passion dans le désert in the Egyptian desert, where the anchorites of early Christianity devoted themselves to God. In this study, I examine the ways in which Balzac constructs a sacred space where one can experience God’s presence.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의 복지분야 자치입법에서 지방자율성 강화방안

        양승미(Seung-Mi Yang) 한국지방자치법학회 2022 지방자치법연구(地方自治法硏究) Vol.22 No.4

        해석론적 관점에서 복지분야 자치입법에서 지방자율성은 침익적 분야에서보다 더 확장될 수 있으며, 자치입법으로서 조례와 의회법률의 관계는 수익적 사항에 있어서는 서로 경합하는 관계가 아니며, 상호 보완, 발전할 수 있는 관계이다. 복지분야에서 사회복지법제는 사회보장에 관한 기본법으로서, 사회보장기본법, 사회보장급여의 이용ㆍ제공 및 수급권자 발굴에 관한 법률이 있으며, 세부 분야로는 공공부조법, 사회보험법, 사회서비스법이 있으며, 공공부조법과 사회보험법 분야의 경우 국가사무로 보아야 하고 그 재정부담도 국가의 책임이 원칙이라고 할 것이다. 한편 사회서비스분야에 있어서는 자치사무로 보아야 하고 그 재정부담도 지자체의 책임이 원칙이라고 할 것이다. 다만 각각의 복지사업별로 국가가 전국동일의 최저기준을 규율하여야 하는지, 지역의 다양성, 요보호자의 특성 등을 반영해도 되는지에 대한 검토, 보편복지와 선별복지의 고려, 현물급여와 복지서비스 제공의 기준 검토 등이 자치입법의 지방자율성 강화를 위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입법론적 관점에서도 규율형식에서 조례로의 직접 위임의 확대, 규율범위에서의 규율밀도 완화, 자율성, 탄력성 강화, 규율과정에서의 절차적 협의 강화, 위임사무의 재정분담 비율에 대한 필수적 협의 도입 등을 통해 복지분야 자치입법에서 지방자율성이 확대될 수 있다. 복지분야 자치입법의 지방자율성 강화를 위한 과제로 지방자치단체의 실제 집행에서의 어려움 및 개선사항을 즉시적, 상시적으로 반영하여 개선하는 bottom-up 방식의 법령개정이 제도화될 필요가 있다. 또한 자율성 강화와 함께 책임성을 강화하는 제도도 마련되어야 하며, 지자체의 복지분야에서 자치입법역량, 집행역량의 강화도 중요하다. 4차 산업혁명시대에 공공데이터의 활용을 통해, 복지분야 일선기관으로서 지방자치단체의 복지데이터는 정책환류의 중요한 소스가 될 것이다. 복지분야는 전통적으로 지방자치제도가 그 제도적 강점을 보여줄 수 있는 분야로 논의되어 왔으나, 실제 사회복지법체계의 현실은 주로 기관위임사무로서, 그것도 시행령과 시행규칙에서 세부적인 사항까지도 대부분을 규정하고 있다. 국가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주민의 복지향상을 위해, 지방자치단체가 복지사무에서 보다 주도적이고 실질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복지분야별, 개별법령별, 재정분담을 고려한 사업별로 자치입법의 자율성을 강화하여, 조례를 중심으로 한 법체계로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From an interpretive point of view, local autonomy in welfare sector self-government legislation can be expanded more than in the intrusive sector. As self-governing legisl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dinances and parliamentary laws does not compete with each other in terms of benefits, but is a mutually complementary and mutually evolving relationship. In the field of welfare, the social welfare legislation is the basic law on social security, and there are the Basic Law on Social Security, the Act on the use and provision of social security benefits, and the discovery of beneficiaries. The detailed fields include public assistance law, social insurance law, and social service law. In the case of the public assistance law and social insurance law, it should be regarded as a state task, and the financial burden should be said to be the state's responsibility in principle. On the other hand, in the field of social service, it should be regarded as a self-governing task, and in principle, the local government should be responsible for the financial burden of social service. However, it should be reviewed whether the state should regulate the national minimum standard for each welfare project, whether it is appropriate to reflect the diversity of the reg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son in need of a guardian, etc. Standards for universal welfare, selective welfare, in-kind benefits and welfare services should also be considered. From a legislative point of view, it is necessary to expand direct delegation from disciplinary form to ordinance, reduce the density of discipline in the scope of discipline, strengthen autonomy and elasticity, strengthen procedural consultation in the regulatory process, and introduce essential consultation on the ratio of financial sharing of entrusted affairs. It will strengthen the local autonomy of self-governing legislation. The bottom-up method of legislative revision, which immediately and constantly reflects and improves the difficulties and improvements in actual execution of local governments, must be institutionalized. In addition to strengthening autonomy, a system that strengthens accountability should be established. It is also important to strengthen self-governing legislative capacity and enforcement capacity in the welfare field of local governments. Through the utilization of public data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welfare data of local governments in the welfare field will become an important source of policy feedback. Welfare has traditionally been discussed as an area where local autonomy can show its institutional strengths. However, the reality of the actual social welfare law system is mainly agency-delegated affairs, and it also stipulates most of the details in the rules of the central government. To secure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improve residents' welfare, local governments should be able to play a more leading and practical role in welfare affairs. The autonomy of self-governing legislation should be strengthened by welfare field, by individual statute, and by project considering financial sharing. In order to expand autonomy in the welfare sector, the legal system centered on ordinances should be improv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