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자발달과정을 설명하는 범언어적인 이론과 문자간 철자발달의 비교연구 Review

        양민화 한국특수교육학회 2006 특수교육학연구 Vol.41 No.3

        한글은 표음문자체계(alphabetic orthographic system)이다. 표음문자는 글자가 말소리를 표시하도록 만들어진 문자체계를 일컫는 것으로, 글자가 의미를 표시하는 표의문자와 구분되는 개념이다. 대표적인 표의문자로서 중국의 한자가 있고, 우리나라의 한글이나 미국과 영국이 쓰는 영어, 히브리어, 일어 등이 표음문자에 속한다. 표음문자들은 소리를 표시하는 글자를 가진다는 공통점을 가지고는 있지만, 표음문자들 간의 서로 다른 특성 또한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같은 표음문자를 배우기 때문에 한국 아동이 한글을 배우는 과정과 미국의 아동이 영어를 배우는 과정에는 공통점이 있기도 하지만, 한글과 영어의 고유한 특성 때문에 다른 발달양상이 관찰되기도 한다. 언어마다 다른 문자지식의 발달의 양상을 아는 것은 영어를 비롯한 다른 나라의 문자교육에 관련된 논문을 읽을 때 큰 도움이 된다. 또한 언어의 국경을 넘어선 범언어적인 이론과 규칙에 대한 이해는 우리나라 아동의 철자발달을 연구하고 설명하는 데 중요한 토대가 된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표음문자들 사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설명하는 이론들 중에서 아동의 문자 발달의 차이를 잘 설명하는 최근의 이론들을 짚어보고, 여러 다른 문자들의 철자발달과정을 비교하여 밝힌 논문들을 review하기로 한다.

      • KCI등재

        한글 철자 발달검사(Korean Developmental Spelling Assessment: KDSA)의 개발과 신뢰도 연구

        양민화,라종민,이애진,김보배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9 No.3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diagnostic instrument to assess children’s developmental level of spelling abilities, which can be used to identify students with writing disability. Based on a rigorous review of previous research and three pilot studies, the Korean Developmental Spelling Assessment (KDSA) was developed. The KDSA comprised of two spelling tests: the phonological feature test and the morphological feature test. The phonological feature test assessed students’ abilities in spelling five phonological features: liaison, initial consonants/principal vowels, aspirated/ tense consonants, final consonants, and w/y glides. Moreover, the morphological spelling feature test assessed students’ abilities in spelling six morphological features; simplification of final consonants, co-articulated tensification, co-articulated aspiration, consonant assimilation, compound consonants, and compound vowels. The KDSA was standardized with 1,049 students across the county. The results of point-biserial correlation, polychoric correlation, Cronbach’s alpha coefficient, and split-half correlation revealed that the KDSA is a highly reliable measure.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또래아동들과 철자능력 수준을 비교하여 쓰기학습장애 학생을 진단할 수 있고, 동시에 아동의 철자 발달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먼저 문헌분석을 통해 한글 철자 발달단계를 구성하는 철자유형을 선정하였다. 3차례에 걸친 예비검사를 통해 철자 발달단계를 구성하는 철자유형들을 검증하고 각 유형을 효율적으로 검사하는 단어들을 선정하여 최종문항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KDSA는 25문항의 음운유형 검사지와 30문항의 형태소유형 검사지로 구성되었다. 음운유형 검사에서는 연음, 기본초성/기본모음, 기본종성, 거센소리/된소리초성, w/y계열모음의 5개 철자유형에 대한 철자능력을, 형태소유형 검사에서는 대표음, 경음화, 이중모음, 격음화, 겹받침, 자음동화의 6개 철자유형에 대한 철자능력을 측정하도록 설계되었다. KDSA는 전국 1,049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표준화되었으며, 검사의 신뢰도 추정을 위해 문항내적일치 신뢰도를 분석하였다. 문항내적일치 신뢰도를 보여주는 양적적률상관계수 결과와 다분상관계수 결과, 크론파흐 알파계수, 그리고 반분신뢰도가 모두 높게 나타나 KDSA는 전반적으로 신뢰도가 높은 검사임이 증명되었다.

      • KCI등재후보

        대학생 멘토링을 통한 읽기 중재 프로그램이 학습부진 학생의 읽기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양민화,서유진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09 특수교육 Vol.8 No.1

        이 연구는 방과 후에 대학생 멘토들이 읽기 프로그램을 중재하였을 때 학습부진 중학생 멘티들의 읽기 능력이 향상될 수 있는 지를 살펴보았다. 서울 소재 한 중학교와 대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학습부진 중학생과 대학생들이 각각 멘티와 멘토로 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이 연구의 읽기 중재 프로그램은 Howard Street와 Book Buddies 읽기 프로그램에서 그 기본 체계를 차용하였고, National Reading Panel 보고서에서 제안된 효과적인 읽기 교수를 위한 주요 활동들로 구성되었다. 또한 읽기 유창성과 읽기 이해 지도에 초점을 맞추어, 성인-학습자 반복 읽기, 시나리오 읽기, 내용 조직도 만들기, 요약하기의 4가지 활동을 중심으로 진행하였으며, 대학생 멘토와 중학생 멘티를 1:1로 짝지어 개별 교수하였다. 10주간 동안 10회기의 읽기 중재 프로그램에 모두 참여한 9명의 중학생 멘티의 사후 검사 결과를 살펴보면 읽기 유창성 검사에서 텍스트를 소리 내어 읽을 때의 평균 정확성과 평균속도가 향상되었고, 소리 내지 않고 텍스트를 읽을 때의 평균 속도 또한 향상되었다. 더불어 읽기 이해 검사점수도 향상되었다. 이 연구 결과는 대학생 멘토링을 통해 읽기 중재 프로그램을 교수하였을 때 중학교 학습부진 학생들의 읽기 유창성과 읽기 이해 능력이 향상 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끝으로 대학생 멘토링을 통한 중재 프로그램을 활성화시키기 방안들과 차기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Instructional effectiveness of an intervention program, designed for middle school students with learning difficulties was investigated in this paper. This newly developed intervention program can be characterized by several traits: (1) It was an individual instruction program delivered by college students; (2) the intervention was delivered as an after school program on Saturdays; (3) two volunteer reading programs, 'Book Buddies' and 'the Howard Street' was modeled after for the lesson structure of this program; and most importantly, (4) the program included instructional activities that have been proved to be effective by the previous reading intervention studies and reports. Participants were college students and middle school students and every middle schoolers was paired with one or two college students. The intervention was continued for ten weeks, one session per week for two and a half hours. In order to find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vention program, we conducted an reading inventory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The results of nin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10-week reading intervention and took the posttest indicated that the intervention was effective to improve the reading fluency and comprehension performance of students with learning difficulties. The limitation of the study includes the low attendancy rate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lack of fidelity check on the intervention delivery.

      • KCI등재후보

        대학생 멘토링 프로그램 운영과정에서의 멘토·멘티·교사의 요구와 지원방안 분석

        양민화,이애진,손정원,정혜림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1 특수교육 Vol.1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needs and wants of the participants in a college student mentoring program which was designed to improve academic performance of learning disabilities. Authors of this study conducted surveys and interviews with mentors, mentees and school teachers prior to and after an college student mentoring program. The results of the analyses revealed most needs of college teachers(mentors) and middle school students(mentees) had met in this program. However, school teacher support system that provides rewards for their effort to deliver an effective mentoring program was not ensured. The general education teachers were found to be suffering under lots stress due to extra workload resulted by the mentoring program. Based on results, the authors suggested that current administrational strategy around mentoring program should be reformed. The human resource to support learning disabilities such as learning disability teacher, literacy coach, and reading specialist needs be placed in local schools in order to provide more stable and effective learning disability programs. 본 연구는 학습부진 학생의 학업성취를 목적으로 하는 대학생 멘토링 프로그램의 운영상의 문제점을 분석하기 위해 프로그램 참여자인 멘토-멘티-교사의 요구와 제안을 다각적인 관점에서 조사하였다. 세 집단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초기와 종료 후 사전, 사후로 나누어 설문조사와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들이 참여한 대학생 멘토링 프로그램은 이전 멘토링 프로그램의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던 점들을 개선하기위해 지도·감독과 멘토 연수 등의 다양한 관리체계가 구축된 프로그램이었다. 연구 결과, 멘토는 교수학습능력을 성장시킬 수 있는 체계적인 관리시스템과 보상에 대해 만족을 나타냈으며, 멘티는 성적향상 뿐만 아니라 멘토와의 정서적 관계에 대해서도 만족을 경험한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교사 인터뷰 결과 멘토링 업무가 인센티브나 지원이 부족한 과중한 업무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었으며 이는 본 프로그램을 운영했던 대학 운영진의 개선만으로는 해결 될 수 없는 대학생 멘토링제도 자체의 맹점임이 드러났다. 연구자들은 외국의 대학생제도 운영의 요건 중 하나인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학교의 전담교사 마련이 멘토링 문제의 근본적 해결책임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직접교수를 통한 요약하기 전략 교수가 읽기장애 학생들의 설명글 이해에 미치는 효과

        양민화,김보배,이애진,강소영,정혜림 한국학습장애학회 2016 학습장애연구 Vol.13 No.2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rect Instruction(DI) of a summarizing strategy designed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Applying DI, a simple summarizing strategy; called “five important words” was taught to improve LD students’ reading comprehension of expository texts. Four students with reading disabiliti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an AB single subject design was applied. The results of retelling and CBM comprehension measures showed that LD students who received DI summarization intervention increased their abilities in reading comprehension with expository texts. Students who had high vocabulary scores presented particularly fast acquisition rates of the strateg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can learn to apply meta-cognitive strategies in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time when the strategy is simple and taught in an explicit manner. 본 연구에서는 직접교수를 통한 요약하기 전략 교수가 읽기장애 학생들의 설명글 읽기이해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4명의 읽기장애 학생들을 대상으로 AB 설계의 단일대상연구를 실시하였다. 참여자들에게 중요단어기법을 활용한 단순화된 요약하기 전략을 중재하였으며, 중재 결과 모든 참여자가 다시 말하기와 읽기이해 과제에서 향상된 점수를 보였다. 또한 중재 이후에도 중재 단계와 비슷한 점수를 보이며 그 효과성이 유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직접교수를 통한 요약하기 전략 중재가 읽기장애 학생들의 설명글에 대한 이해능력을 향상시키는 데에 효과적임을 증명한 것이다. 특히 어휘 수준이 높았던 학생들의 경우 다른 학생들에 비해 요약하기 전략을 빠르게 습득하고 적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읽기장애 학생들에게도 읽기이해 전략을 단순하고 명시적으로 교수하다면 단기간 안에 습득하고 적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연령에 따른 난독현상의 특성 차이 탐색: 초등학생, 중고등학생, 대학생 성인의 난독현상 비교

        양민화,김보배 한국학습장애학회 2022 학습장애연구 Vol.19 No.3

        Korean research initiatives and educational policies related to dyslexia currently tend to cater to elementary school children. However, the impact of dyslexia is lifelong; that is, individuals with dyslexia experience constant difficulties regarding literacy-related skills throughout their school-going age and adulthood. This study compares literacy-related skills in three age groups of students with dyslexia: sixth graders at elementary school, secondary school students, and college students. Herein, participants were administered word reading, reading fluency, reading comprehension, and spelling tasks along with letter knowledge, working memory, and listening comprehension tests. Surprisingly, the study results revealed that scores in reading comprehension, listening comprehension, and spelling were similar in all three age groups. College students presented superior word recognition, reading fluency, phonological processing speed, and working memory compared with sixth graders and/or secondary school students. These results imply that literacy-related skills, especially those relatively more cognitively demanding, do not improve easily in students with dyslexia in the absence of systematic intervention to support their learning. To our knowledge, this investigation is the first to observe differences in the educational needs of Korean dyslexic students across age groups. Future studies should investigate the educational needs of secondary and postsecondary students with dyslexia to properly support them in overcoming their lifelong struggles with dyslexia. 본 연구는 난독현상을 보이는 초등학교, 중고등학교 학생들과 대학생 성인의 읽기, 쓰기 능력을 비교하였다. 초등학교 10명, 중고등학교 9명, 대학생 성인 10명을 대상으로 읽기, 쓰기 및 관련 영역의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결과 세 집단은 읽기이해, 듣기이해, 철자 검사 결과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단어읽기, 읽기유창성, 음운처리속도, 문장 따라 말하기 검사에서는 대학생 난독성인이 다른 연령그룹의 난독학생들보다 높은 수행 수준을 보여주었다. 검사결과를 종합해 보면 대학생이 된 난독 성인들에서는 일부 향상된 능력이 관찰되었지만 전반적으로 초등학교 6학년부터 성인기 초기에 이르기까지 읽기 및 쓰기 능력에서 난독현상은 지속성이 높다고 볼 수 있었다. 특히 상위인지를 필요로 하는 읽기나 듣기이해능력과 철자 영역에서 지속적인 어려움이 관찰되었다. 연구자들은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다양한 연령대에서 난독현상의 지속성을 데이터를 통해 증명하였다. 국내에서도 난독현상이 초등 이후에 사라지거나 저절로 나아지는 것이 아니라는 근거를 제시함으로써 난독 지원 체계가 중등학년과 대학으로 확대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하였다.

      • KCI등재

        직접교수가 학습기술과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양민화,홍연구,최기 한국학습장애학회 2013 학습장애연구 Vol.10 No.3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effects of a Direct Instruction program on learning skills and learning motivation. Direct Instruction(DI) is known as one of the most effective instructional method for learning disabilities but its influence on learning skills and motivation is still in debate. The participants of this project was 26 middle school students who were found to have learning difficulties. Sixteen of the participants received DI at least for one semester (10 sessions) during two years of the DI project, and the other ten students were participated as a comparison group. Survey about learning skills and learning motivation was conducted before and at the end of the two-year DI project. The result of repeated measure mixed within-between ANOVA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DI group and comparison group on learning skills, especially on self-regulation, class-listening, and reading skill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found regarding learning motivation.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growth in learning skills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This relationship suggested the effect of DI on learning skills would help students to succeed in academic achievement. 본 연구는 학습부진 및 장애 학생들에게 가장 효과적인 교수방법 중의 하나인 직접교수법이 학습기술과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 위하여 설계되었다. 연구에 참여한 학생은 26명이었으며 이들 중 10명은 직접교수에 참여하지 않은 대조그룹이었고 16명은 2년 동안의 직접교수 프로그램에 참여한 그룹이었다. 직접교수 프로그램이 진행된 사전과 사후의 학습기술과 학습동기의 변화를 반복측정을 적용한 혼합분산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학습기술 중에서 참여집단의 자기관리, 수업참여, 읽기기술이 비교집단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반면 학습동기는 비교집단과 참여집단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학습기술 중에서 자기관리, 과제수행, 쓰기기술은 학업성취와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는데, 직접교수가 영향을 미친 학습기술과는 다소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직접교수가 학습기술의 향상을 가져옴을 보여주었으며 학습동기까지 영향을 미치기가 어려움을 시사하였다.

      • KCI등재

        학습장애 학생의 학교폭력 상황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대처

        양민화,이애진,김보배 한국학습장애학회 2016 학습장애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학습장애 학생이 경험하는 학교폭력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대처방법을 밝히 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학습장애 학생을 가르쳐 본 경험이 있는 교사 5명을 대상으 로 학습장애 학생들에게 행해지는 학교폭력영상을 보여주고, 반구조화 된 면접을 실시하였 다. 면접 결과, 학습장애 학생의 학교폭력 피해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심각성과 느낌, 장애 이해, 가해자 대처, 피해자 대처의 4개 주요범주, 13개 하위범주로 도출되었다. 연구결과를 통해 교사들이 학습장애에 대해 어느 정도 이해하고 있었으며, 학습장애 학생들이 경험하는 학교폭력 피해의 심각성도 인식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장애의 특징으로 인해 폭력사건 처리에 어려움이 있음을 피력하면서도 어떻게 그 어려움을 극복하고 있는지는 피 상적으로 답하거나 혹은 답하지 못한다는 점은 우려스러운 결과였다. 또 폭력상황을 처리함 에 있어 상담교사 등 여타 전문가에 의지하는 비중이 크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사들이 학습장애 학생이 학교폭력에 연루되었을 때 그 폭력에 적절히 대처하고 추 후 폭력을 예방할 수 있도록 준비시킬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