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우리나라 교사들의 수업에 대한 성취목표 탐색

        양명희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5 敎育問題硏究 Vol.28 No.2

        교실은 학생들에게 성취의 장인 동시에 교사에게도 자신의 업무를 성공하기 위한 중요한 터전이다.교사가 자신의 수업에 대한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게 되는 과정에서, 서로 다른 목표를 지향할 수 있다. Butler는 성취목표지향성이론을 토대로 하여 교사가 수업을 하는데 서로 다른 성취목표를 지향할 수 있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교사의 성취목표에 대한 연구는 외국에서 진행되었을 뿐 아직까지 우리나라 교사를 대상으로 한 국내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운 실정이다.본 연구는 먼저 Butler가 제안하였던 교수에 대한 성취목표가 우리나라 교사에게도 동일하게 적용가 능한지를 경험적으로 검토하였다. 그 결과 그가 제시하였던 교수에 대한 성취목표가 우리나라 교사들에 게서도 적용가능하지만, 구체적인 결과들에 있어서는 외국과 조금 다른 양상을 보였다. 구체적인 살펴보면 첫째, 우리나라 중고등학교 교사들은 교수에 대해 수행접근목표보다는 숙달목표를 더 지향하는 것 으로 나타났으며 고등학교 교사가 중학교 교사에 비해 수행접근 교수목표를 더 지향하였다. 둘째, 학생의 학습에 대한 성취목표 결과와는 달리, 우리나라 교사들은 교수에 대해 수행회피 목표를 숙달목표만큼 지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교사의 교수에 대한 성취목표는 교사가 자신의 수업에서 사용하는 교수전략이나 교수효능감을 유의하게 예언하였는데 이상의 결과들이 주는 이론적, 실제적 시사점들을 논의하고 있다. It was proposed that achievement goal theory can be applied to conceptualize motivation not only for learning but also for teaching. Past goal research has exclusively focused on students’ achievement goals and thus it has been overlooked that teachers may endorse different types of achievement goals for teaching in their striving to be successful in teaching career. Teachers’achievement goals for teaching have been recently recognized as an important aspect of teacher motivation. This study examined Korean teachers’ achievement goals for teaching and its relation to instructional strategy and teacher-efficacy Five hundred and fifty-eight secondary school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tudy.The responses of 558 secondary teachers to self-report measure of goal orientation for teaching yielded 3 factors reflecting distinct mastery, performance-approach,performance-avoidance goal. This study also examined how secondary school teachers' goal orientations for teaching affect instructional strategy and teacher efficacy. Mastery goal for teaching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both teachers'mastery approaches to instruction and teacher efficacy, while performance-approach goal for teaching predicted performance-approach approaches to instruction strategy and teacher efficacy.Both teachers goal for teaching significantly predicted teachers' instructional strategy and teacher-efficacy, but the impact of mastery goal for teaching was larger than that of performance goal for teaching. Interestingly, Korean teachers had performance-avoidance goal for teaching as much as mastery goal for teaching, but it did not predicted instruction strategies and teacher efficacy. Lastly, it was found that high school teachers perceived more emphasis on the performance approach in the school than did middle school teachers, and that male teachers showed a higher level of performance-approach goal foe teaching than did female teachers.

      • 선택적 함묵 아동에 대한 국내 현장연구 분석

        양명희 광신대학교 2007 光神論壇 Vol.16 No.-

        이 연구의 목적은 선택적 함묵 이동에 대해 최근 16년간 국내에서 실시된 현장 실험 연구 사례들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여 교육 현장에서 교사들의 중재 개발과 사용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 연구의 분석대상 연구는 다음과 같은 기준에 의해 선정되었다: (1) 1990년부터 2006년까지 선택적 합묵 아동에게 실시된 국내연구 (2) 아동에게 중재를 실시한 실험연구. (3) 다른 장애아동이 보이는 함묵증에 관한 연구는 제외(예 : 자폐증, 소아 정신 분열증, 정신지체 등). 선택된 연구는 연구대상의 나이와 성, 선택적 함묵증의 지속기간,중재 전의 구어사용 정도, 중재 이전의 치료경험, 선택적 함묵증을 나타내는 장소, 종속변인과 측정방법, 실험설계, 중재 장소, 중재기간, 중재내용과 중재 참여자, 보고 된 실험결과와 유지 효과 등의 11가지 항목에 따라 분석되었다 . 검토된 16개의 연구 사례들은 실험연구로서 독립변인과 종속변인의 기능적 관계를 입증하는데 많은 문제점을 나타냈지만, 국내에서도 선택적 함묵 아동에 대한 실험연구가 전개되기 시작했음을 밝혀주었다. 또한 중재내용 면에서 외국에서는 행동주의 기법을 중재로 주로 사용하고 있는 반면, 국내의 현장연구에서는 놀이치료나 미술치료를 주로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선택적 함묵증에 대한 보다 나은 체계적 실험연구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일반유아교육기관 교사와 유아특수교육기관 교사의 장애유아 통합교육 연수에 대한 요구조사

        양명희,홍혜경,김현정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09 유아교육학논집 Vol.13 No.3

        본 연구에서는 일반유아교육기관 교사와 유아특수교육기관 교사 426명을 대상으로 장애유아 통합교육 연수에 대한 요구를 조사하고 비교하였다. 질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한 내용에 따라 평균과 표준편차, 빈도를 산출하였으며, 두 집단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χ2검정과 t검정을 사용하였다. 장애유아 통합교육 연수에 대한 교육내용 요구를 조사한 연구결과, 통합교육에 대한 이해, 장애유아 통합교육 필요 및 효과, 장애유아 교육내용, 장애유아의 또래관계지도는 유아특수교육기관 교사들의 요구가 더 높았고, 장애유아에 대한 이해, 장애유아 통합교육과정은 일반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요구가 더 높았다. 또한 일반유아교육기관 교사와 유아특수교육기관 교사의 장애유아 통합교육 연수 진행 방법 요구에서도 연수기간, 교육방법, 연수의 자율 선택 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기초로, 장애유아 통합교육을 위한 유아교사 연수프로그램의 개발과 실시과정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demands for the contents and methods of in-service training of inclusive education between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settings. The 426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settings and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settings were surveyed by using a questionnaire. Data were analyzed by χ2test and t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ome demands for the contents of in-service training of inclusive educatio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settings. Second, demands for the methods of in-service training of inclusive education were also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setting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for developing systematic in-service training of inclusive education were discussed.

      • KCI등재

        베트남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교육 연구 동향 - 교육 내용 및 교수ㆍ학습을 중심으로 -

        양명희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비교문화연구소 2024 비교문화연구 Vol.72 No.-

        본고는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교육 내용과 교수ㆍ학습을 주제로 한 학술지 논문을 질적으로 분석하여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목적으로 한다. 분석 결과 한국어교육 내용에서는 의미와 화용, 문학과 문화에 대한 연구가부족하고, 상대적으로 발음과 문법, 어휘에 대한 연구가 많기는 하나 아직도 더연구되어야 할 주제가 많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교육 내용과 관련한 구체적인교육 방안의 제시나 교육 방법의 검증이 매우 빈약하여 이 부분에 대한 연구가필요함을 알 수 있다. 교수ㆍ학습을 주제로 한 연구는 교육 내용보다 양적 연구가 더 부족할 뿐 아니라, 세부 주제에 있어서도 기능교육과 학습전략, 그리고학습자의 정의적 요인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어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연구 주제와 비교하여 연구해야 할 주제가 산적해 있음을 알 수 있다. 앞으로 한국어교육 발전을 위해서는 다양한 주제의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며 특히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교육과정이나 교재 개발에 대한 연구, 교사 요인에 대한 연구 등이 대폭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present future research directions by qualitatively analyzing academic journal papers that focus on educational content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Vietnamese Korean learners. The analysis reveals a need for further research on meaning, conversation, literature, and culture in Korean education. While there are numerous studies on pronunciation, grammar, and vocabulary education, there are still many other topics that require investigation. The presentation of specific educational measures or the verification of educational methods related to the educational content was found to be lacking. Research 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lacks the same level of research as Korean educational content. Language skill education, strategies, and defining factors of learners are the main areas of research 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the future,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on various topics to advance Korean language education. Specifically, there should be more emphasis on research concerning the curriculum, textbooks, and teacher factors.

      • KCI등재

        알파걸 탐색과 학습관련 심리적 특성 분석

        양명희,이경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09 교육과학연구 Vol.40 No.3

        In this study, we examine α-girls in Korea and investigate their cognitive and affective characteristics in academic settings. We set up criteria to screen α-girls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analyzed their achievement, academic motiv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The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data of KEDI from 2005-2007 was used for this purpos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ased on Kindlon's criteria, 7.8% of Korean female students were classified as α-girls. Second, the initial value of academic achievements of an α-girl were high, and their growth rates were positive in comparison to groups of other high achievers. Third, they scored high not only on external motivation but also on intrinsic motivation. They participate actively in their learning activities and regulate their cognition, motivation and behavior to achieve their goals. To validate our selection criteria for α-girls, we analyzed their mathematical abilities, relationships with their parents, and attitudes toward child-rearing. The results confirmed Kindlon's claims that an α-girl is a female student who has supportive parents. We then discussed the implications of our results. 본 연구는 Kindlon이 제시하고 있는 알파걸의 존재를 우리나라 상황에서 경험적으로 검증해보고, 이들이 학습 상황에서 어떠한 인지적, 정의적 특성을 보이는지를 구체적으로 탐색하는데 주목적을 두었다. 문헌검토를 통해 알파걸의 선정기준을 확인하고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한국교육종단연구 1~3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총 6,065명의 학생의 성취도, 학습동기, 자기주도적 학습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Kindlon의 선정기준을 적용한 결과 우리나라 여학생의 7.8%가 알파걸로 분류되었다. 둘째, HLM 분석결과 알파걸의 학업성취도의 초기값이 높으며 성적우수집단에 비해 학업성취도의 변화에 있어 더 높은 성장률을 보여주었다. 셋째, 알파걸은 학습활동을 통해 보상을 얻고자하는 도구적 동기 뿐 아니라 학습에 대한 내재적 동기도 높은 특징이 있었다. 또한 자신의 학습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자신의 인지, 동기, 행동을 스스로 조절하는 자기조절 능력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알파걸 선정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수학효능감, 부모의 지원, 양육태도 등이 추가로 분석되었는데, 알파걸은 높은 교육열을 가진 부모로부터 전폭적인 학업적, 정서적 지지를 받고 있는, 건강한 학업정서를 지닌 여학생이라는 Kindlon의 주장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들이 학습 상황에서 시사하는 바가 논의되고 있다.

      • 성경적 결혼의 원리

        양명희 광신대학교 2006 光神論壇 Vol.15 No.-

        인간관계에서 나타나는 문제의 원인을 유년시절에서 찾으려는 노력은 정신의학, 심리학, 아동학, 교육학 동에서 꾸준히 이루어져왔다. 유년시절의 정서와 정신건강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이동 자신 뿐 아니라 아동 주위의 모든 사람에게 어려웅을 주고 성인기까지 영향이 지속되며, 그들과 그들 자녀의 안녕까지 해치게 된다(Bowlby , 198 13 ;린다 왕클리, 1996), 이렇듯 어린 시절의 정서와 정신건강의 중요성이 인식되면서, 어린 아동의 정서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계속적으로 그 출현율이 증가하고 있는 정서 및 행동장애아동의 대부분이 안정되지 못한 가족에서 나오고 있다(Bennathan, 1991; 린다 원클리, 1996; 요한 크리스토프 아놀드, 200 1). 이때 안정되지 못한 가족 관계는 반드시 부모와 자녀의 관계만을 뭇하는 것이 아니다. 부모와 자녀의 관계도 결국은 가족의 핵심이 되는 부부관계에서 나오는 것이다. 그러므로 안정된 가족관계의 핵심 또한 안정된 부부관계에서 출발한다고 할 수 있다. 남녀노소 대부분의 사람들이 자신들이 알고 있는 것 보다 자신들의 부모가 훨씬 더 많이 사랑하고 사시는 모습을 어려서부터 보고 자랄 수 있었다면 현재의 자신의 모습은 더욱 긍정적인 모습으로 변해 있을 것이라는 말에 동의한다. 이는 자녀의 인생에 부부된 부모 두 사람의 관계가 얼마나 큰 영향을 주는지를 보여준다. 때문에 아동이나 성인의 정신건강문제를 예방하는 측면과 이미 나타난 아동이나 성인의 정신건강문제의 기본적 해결이라는 측면에서 건강한 부부관계를 회복하는 것은 대단히 중요하다. 이 글의 목적은 성경적 결혼의 원리를 제시하여 결혼한 모든 부부들과 예비부부들에게 건강한 부부관계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고, 어려움이 있는 부부들에게 회복의 길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자기조절학습 척도 개발 및 구조 검증 -동기조절과 정서조절을 중심으로-

        양명희,정윤선 한국청소년학회 2013 청소년학연구 Vol.20 No.1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revised-scale of self-regulated learning (SRL) to capture more precise phenomena of SRL. For this purposes, a number of recent literature were reviewed. These studies have focused on different aspects of the SRL process and used different components of the SRL. It is partly because researcher use of different theoretical paradigm to describe and explain self-regulated learning. Recently, motivational regulation and emotional regulation were suggested as important components of SRL. The model for this study integrated these components suggested in recent studies in self–regulated learning. As a result, 4 dimensions were specified; cognitive, motivational, behavioral and emotional regulation. Following the conceptual framework in this study, self-regulated learning instrument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A pilot test was taken by 151 middle school students and 175 high school students to select good items. In this process 99 items were selected. Data were collected with revised SRL instrument. Subjects were 944 students. The reliability of SRL instruments was adequate (α=.95). The results in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First of all,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with 108 items. As a results, 99 items were selected. Using 99 item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The overall fit measure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uch as TLI, CFI, RMSEA were acceptable. Secondly, the results of 4 dimensional model suggested in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empirical data strongly support the conceptual model of this study. Thirdly, high level of SRL students reported high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They spent more time on their studying. The importanc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practical instrument which captures whole picture of self-regulated learning. 자기조절학습은 학습의 질적인 차이를 드러내는 중요한 특성으로 많은 연구자들의 관심을 받아왔지만 ‘자신의 학습을 조절하는 능력’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해서는 의견을 달리하고 있다. 최근 동기조절을 새롭게 개념화하려는 노력과 함께 학업상황에서의 정서조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자기조절학습에 대한 재개념화가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동기조절과 정서조절을 포함하는 새로운 자기조절학습 측정도구를 개발하는데 주목적을 두고, 자기조절의 대상을 인지, 행동 뿐 아니라 동기와 정서 차원을 포함하는 4차원으로 확장하여 모형을 제안하고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자기조절학습에 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문항을 추출하였으며 예비검사에 총 108개 문항이 사용되었다. 326명의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자기조절학습 측정도구는 4개 차원, 14개 요인이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최종 99개 문항이 본 검사 문항으로 선정되었으며 944명의 중․고등학생들에게 본 검사를 실시하였다. 전체 구조모형을 검증한 결과 4개 차원, 14개 요인으로 구성된 구조모형이 우수한 적합도를 나타냄으로써 본 연구가 제안한 자기조절학습 개념모형이 실제자료와 잘 부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외적타당도 검증결과 학업성적이 높을수록 자기조절학습 또한 높았으며, 학습에 투자하는 시간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을 바탕으로 한 논의들이 제시되어 있다.

      • KCI등재

        태도의 요인구조에 대한 경험적 접근: 수학에 대한 태도를 중심으로

        양명희 한국교육학회 2004 敎育學硏究 Vol.42 No.2

        This study is an attempt to explore empirically the structure of attitude toward Math in order to make it's concept clear. It further aims to find out how the attitude toward Math is related with other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achievement score, self-regulated learning, school adjustment, self-concept and attitude toward school. For this purposes, a number of literatures are reviewed. Following the conceptual framework of this study, instrument of attitude toward Math i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Various variables identified in previous studies on attitude toward Math are included. Data are collected using the scale of attitude toward Math and other psychological tests. Subjects are 524 students from 6 different schools in Seoul area. The reliability of the attitude toward Math is adequate (.94). The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veals that theoretical and latent constructs which compose attitude toward Math have 3 factors, emotional, behavioral, and cognitive factors. The attitude toward Math has strong influence on cognitive outcome, Math achievement score.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t is also revealed that 53.3% of the attitude toward Math is predicted from other affective variables, self-regulated learning, school-adjustment, self-concept and attitude toward school. It shares some communality and specialty with these affective variables. It is expected that the scale of attitude toward Math in this study provides the empirical basis for the future study. 본 연구는 ‘수학에 대한 태도’를 구성하고 있는 태도의 요인구조를 확인하여 태도라는 개념 속에 함의된 태도의 본질적 특성을 경험적으로 탐색하는데 주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우선 수학에 대한 태도 관련 연구들을 검토하면서 선행 연구들이 수학에 대한 태도를 측정하기 위해 어떤 변인들을 활용하였는지를 확인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검사지를 제작하였으며 초중고 524명을 대상으로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수학에 대한 태도가 정서성, 행동성, 인지성이라는 세 요인으로 뚜렷하게 분리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들 세 요인 중 정서성이 수학 성적에 가장 많은 기여를 하고 있었으며 세 요인은 전체 수학 성적의 20% 가량을 설명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수학에 대한 태도는 다면적 구인이므로 태도를 측정함에 있어서 정서적 특성에 치우치기보다 인지성, 행동성도 고려할 것을 논의하였고 이러한 요인 구조가 국어, 영어와 같은 다른 영역에서도 일반적이고 안정되게 존재하는지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를 제안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