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장유동성 위험과 회사채 신용등급

        안형태,배성미,조문기 한국회계정보학회 2019 회계정보연구 Vol.37 No.3

        The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liquidity risk on the corporate bond ratings. Liquidity risk is defined as a sensitivity of individual stock return to the unexpected change in market liquidity. It also examines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family ownership as well as whether the companies are family business or not. Sample consists of 1,220 listed firm-years for which information on the credit rating is available during 2011 to 2016. The results show that firms with high liquidity risks have lower credit ratings. In addition, the negative effect of liquidity risk on the bond rating is lower (strengthened) for family business and for ones with higher family ownership. The study indicates that liquidity risk is priced as one of the systematic risks and determinants of firm value in Korean stock market. It contributes to the extant literature and the practice by providing various stakeholders concerning corporate bond issuance with the significance of liquidity risk and the impact of family business ownership. 본 연구의 목적은 비기대 시장유동성 변동에 대한 개별기업의 주식수익률 민감도로 정의되는 시장유동성 위험이 회사채 신용등급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함과 동시에, 기업지배구조 요인 중 하나인 가족기업 여부 및 가족기업 소유지분율에 따른 차별적 반응을 검증하고자 하는데 있다. 2011년부터 2016년까지의 유가증권 상장기업 중 회사채 신용등급 정보가 제공된 1,220개 기업-연도 표본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시장유동성 위험이 높은 기업일수록 회사채 신용등급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동성 위험이 회사채 신용등급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은 가족기업 형태의 소유구조를 띄는 기업, 그리고 가족기업 소유지분율이 높은 기업들이 그렇지 않은 기업들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국내 자본시장에서도 시장유동성 위험이 체계적 위험 요소 중 하나로 평가되고 있고, 결국 기업 가치의 결정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실증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또한 우리나라 기업의 특수한 지배구조 형태라고 할 수 있는 가족기업 요인에 따른 차별적 반응을 검증함으로써 회사채 발행과 관련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의사결정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도 그 의의가 크다고 하겠다.

      • KCI등재

        기후변화 위험이 환경․원가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안형태,김재준 한국관리회계학회 2019 관리회계연구 Vol.19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nvironmental and cost efficiency of climate change risk factors measured by carbon emissions, i.e. the effect on the firm’s value. In add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emission trading system. [Methodology] From 2012 to 2017, the analysis was conducted on samples whose carbon emission information was disclosed as targets of ‘Management of Targets for GHGs and Energy’ and the ‘Emission Trading System’ among firms listed on the Korean stock market(KOSPI & KOSDAQ). The climate change risk was measured by dividing carbon emissions by sales, and the environmental and cost efficiency was measured by the DEA model. [Findings] The empirical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We find that, first, firms with high carbon emissions showed low environmental and cost efficiency. Second, environmental and cost efficiency has improved since the implementation of the emission trading system. Thir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emission trading system, the negative impact of carbon emissions on environmental cost efficiency was less. In addition, firms with high carbon emissions have shown greater improvement in environmental and cost efficiency by implementing the emission trading system. [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various useful implications to the academia, industry and regulatory authority. First of all,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it provides a rationale for demonstrating that the climate change risk factors are determinants of firm’s value in Korean capital market. In addition, this study provided empirical evidences on why firm’s active reactive activities according to the climate change is essential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t is also expected to be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d a empirical evidences for the effectiveness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emission trading system by verifying the effect of the system.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탄소배출량으로 측정한 기후변화 위험 요인이 환경․원가효율성, 즉 기업의 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함과 동시에 배출권거래제도의 도입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2012년부터 2017년까지의 한국의 주식시장에 상장된 기업 중 ‘온실가스․에너지목표관리제’ 및 ‘배출권거래제’대상으로서 탄소배출량 정보가 공개된 표본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기후변화 위험은 탄소배출량을 매출액으로 나눈 탄소배출강도로 측정하였으며, 환경․원가효율성은 DEA모형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탄소배출량이 많은 기업들이 환경․원가효율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배출권거래제 시행 이후 환경․원가효율성이 도입 이전 보다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배출권거래제 도입 이전 보다 도입 이후에 탄소배출량이 환경‧ 원가효율성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적게 나타났다. 아울러, 배출권거래제 시행에 따른 환경․ 원가효율성의 개선효과는 탄소배출량이 많은 기업들이 그렇지 않은 기업들보다 더 큰 것으로나타났다. [연구의 시사점] 본 연구의 결과는 학계, 산업계 및 정부기관 등에 다양한 시사점을 제공할것이라 기대된다. 기후변화 위험 요인 또한 기업 가치의 결정요인 중 하나임을 실증하였다는점에서 학문적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또한, 기업들의 적극적인 기후변화 대응 활동은 기업의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필수요소임을 시사하는 실증적 근거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결과가 갖는 의의가 크다고 하겠다. 또한 배출권거래제도의 도입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제도 시행의 실효성에 대한 실증적 근거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도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클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K-IFRS 도입이 정보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안형태,순숴,김명인 대한경영학회 2019 大韓經營學會誌 Vol.32 No.10

        More than 150 countries around the world have adopted IFRS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 hereafter “IFRS”) or have decided to switch to IFRS. Since 2011, all listed companies in Korea have been required to prepare financial statements in accordance with K-IFRS (Korean IFRS). Academic research on IFRS adoption and implementation has mainly focussed on the economic consequences of the adoption of IFRS. Prior studies show that IFRS adoption in financial reporting improves financial statement comparability among the countries that have used their local accounting standards, thus decreasing the information asymmetry, which leads to the enhancements in information environment. In this contex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Korean capital market effect as a result of K-IFRS implementation in terms of the information role of new accounting standards. Specifically, our study examines whether K-IFRS adoption affects the information environment that can be defined as information asymmetry from the perspective of various stakeholders in Korean capital market. Furthermore, we consider firm characteristics variables that could affect the relation between K-IFRS adoption and information asymmetry as moderating variables such as firms size, audit quality and analyst coverage. The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e listed firms for the period from 2005 to 2016 by utilizing the bid-ask spread, the daily volatility of the stock return rate, the dispersion of analysts’ earning forecasts, and the aggregate information environment index. The empirical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We find that, consistent with our expectations, the levels of information asymmetry in Korean capital market has decreased significantly since the K-IFRS adoption in terms of all four measurements of information asymmetry: the bid-ask spread, the daily volatility of the stock return rate, the dispersion of analysts’ earning forecasts, and the aggregate information environment index. This results indicate that the enhancements in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levels of accounting information as a result of K-IFRS application generate the reduction in information asymmetry, thus leading to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information environment in Korean capital market. We Also, find that the positive effect of K-IFRS on information variables are more pronounced with larger firm-size, more analysts following and higher audit quality. This suggests that firm-size, the number of analysts following, and the degree of audit quality play significant roles as moderating factors in the relation between K-IFRS adoption and information environ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several useful implications to the academics, practitioners, regulatory authorities, etc. First of all,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on the effect of K-IFRS in the sense that it reinvestigates the effectiveness of K-IFRS adoption in the capital market by extending the sample period enough to substantially increase the validity of the empirical tests, thus solving the problem of generalizing the test results. Also, this study provides more rigorous evidence on the effect of K-IFRS on information environment in Korean capital market by exploring various perspectives of stakeholders including investors, financial analysts, auditors, regulators, etc. In addition, given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Korean business environment that ‘chaebol’ groups have large influences on, unlike other European countries, our study based on the Korean capital market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in the literature on the effectivenss of K-IFRS. 본 연구의 목적은 K-IFRS의 도입이 정보비대칭으로 정의될 수 있는 정보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자본시장의다양한 이해관계자 측면에서 심층적으로 검증하고자 하는데 있다. 2005년부터 2016년까지의 유가증권시장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매수-매도 호가 스프레드, 연간 일별 주식수익률변동성, 재무분석가 이익예측 분산 그리고 정보환경지수 변수를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K-IFRS 도입 이후 자본시장에서의 정보비대칭 수준, 즉 매수-매도 호가 스프레드, 연간일별 주식수익률변동성, 재무분석가 이익예측 분산 그리고 정보환경지수가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K-IFRS 도입으로 인한 회계정보의 양적․질적 수준의 향상을 바탕으로 정보비대칭을 감소시켜정보환경의 개선으로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계․산업계․국가기관 등에 다양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먼저, 재벌그룹이라는 고유한 기업문화를 갖고 있으며 법․제도적 장치에 있어서도 유럽기업들과 큰 차이를보이는 한국 기업들을 대상으로 자본시장에서의 IFRS 도입의 효과를 정보환경을 중심으로 재검증하였다는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또한, 2005~2016년으로 그 분석 대상을 확장함과 동시에 조기도입과 도입유예문제의 통제 그리고 기업 규모, 감사인 규모 및 재무분석가 수에 따른 조절효과를 다각도로 검증함으로써, 선행연구들이 갖고 있는 K-IFRS의 도입효과에 대한 일반화의 한계점을 어느 정도 극복하였다는 점에서도그 의의가 크다고 하겠다. 아울러, 다양한 이해관계자 측면에서의 정보환경 대용치를 활용하여 K-IFRS 도입효과를 분석함으로 인하여 자본시장 참여자들 및 규제당국 등의 의사결정자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끝으로, IFRS 도입으로 인하여 기대되는 회계정보의 유용성 향상에도 불구하고, 일각에서는 그 기대효과에대하여 여전히 의문이 제기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국가기관 등 정책입안자들에게도 K-IFRS 도입이라는정책의 실효성에 대한 실증적 근거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전이중통신에서 단말 간 협력을 이용한 효율적인 패킷 전송 요청 기법

        안형태,이하림 한국통신학회 2024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49 No.4

        최근 급격히 증가하는 무선 통신의 트래픽에 비해, 무선랜의 가용 주파수 대역은 현저히 부족하다. 따라서 주파수 대역의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전이중(full-duplex) 라디오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전이중 라디오는 송신중에 발생하는 자기 간섭 신호를 잡음단계까지 제거함으로써, 같은 주파수 대역에서 신호를 동시에 송수신할 수있는 무선 기술이다. 하지만 기존 무선랜은 반이중 라디오를 기반으로 설계되었기 때문에, 전이중 라디오를 활용할 수 없다. 따라서 전이중 라디오를 활용하기 위해 새로운 MAC(medium access control) 프로토콜들이 제안되고있으며, 많은 연구에서 스케줄링(scheduling) 기반의 동작 방식을 채택했다. 스케줄링 기반 MAC 프로토콜에서access point(AP)는 각 단말에 슬롯(slot)을 할당하고, 단말은 할당된 슬롯에서 패킷 전송을 요청한다. 이를 통해AP는 단말들의 패킷 전송 요청을 파악하여 각 단말의 패킷 전송을 스케줄링하여 통보하면, 단말들은 스케줄링에따라 패킷을 전송한다. 따라서 충돌 등 단말 간의 채널 접근 경쟁으로 낭비되는 채널 시간 없이 효율적으로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하지만 단말의 숫자가 증가할수록, 단말의 패킷 전송 요청을 확인하기 위한 슬롯의 시간도 비례해서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스케줄링 기반 MAC 프로토콜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단말 간 협력을 이용하여 전송 요청 확인에 필요한 슬롯을 절반으로 감소시키는 기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은 가장 대표적인스케줄링 기반 MAC 프로토콜인 Janus를 기반으로 제안된 기법의 동작 방식을 설명하고, 분석 모델과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된 기법의 성능을 평가한다. In contrast to the rapidly increasing wireless communication traffic, the available frequency spectrum for wirless local area networks(WLANs) is significantly limited. Therefore, full-duplex radio technology that can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frequency spectrum is attracting attention. Full-duplex radio is a wireless technology that can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simultaneously in the same frequency spectrum by eliminating self-interference signals that occur during transmission. However, because existing WLANs are designed based on half-duplex radio, they cannot utilize full-duplex radio. Therefore, to utilize full-duplex radio in WLANs, a new medium access control(MAC) protocol is required. Several full-duplex MAC protocols have been proposed, and many studies have adopted a scheduling-based operation. In scheduling-based MAC protocols, an access point(AP) assigns a slot to each node, and a node having data to transmit requests packet transmission through the assigned slot. The AP realizes which nodes have data to transmit and schedules their packet transmission, and the nodes transmit packets according to the scheduling. This allows efficient packet transmission without wasting channel time, such as collisions. However, as the number of nodes increases, the slot time to confirm a node's packet transmission request also increases proportionally. To solve this problem, we propose a scheme to halve the number of slots required to confirm packet transmission requests by exploiting inter-node cooperation. This paper describes the operation of the proposed scheme based on Janus, the most representative scheduling-based MAC protocol, and evaluates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scheme through analytical models and simulations.

      • KCI등재

        기업교육 컨텐츠 개발 연구 – 중국 진출을 위한 CSR 전략을중심으로

        안형태,김지영,명재규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 2018 실천공학교육논문지 Vol.10 No.2

        China evaluates corporate management activities based on the policies and assessment criteria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based on the national development plan goals. This assessment should be understood in advance as a key issue for Korean companies into the Chinese market. Therefore, this research was presented to analyze the process, trends and related systems of CSR based on Chinese political specialties. Through this is aimed at utilizing this study as a CSR implementation strategy and CSR training frame for companies considering to China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ality of CSR in China and applying it to business strategy. 중국은 국가의 발전계획 목표를 바탕으로 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정책과 평가기준으로 기업의 경영활동을 평가하고있다. 이러한 평가는 중국 시장에 진출해 있거나 또는 진출을 희망하는 한국 기업들에게 매우 중요한 이슈로서 중국의 CSR 발전과정 및 특징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는 중국의 정치적 특수성을 기반으로 한 CSR 발전과정과 동향, 관련 제도 및 기업사례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중국사회와 대중이 요구하는 CSR에 대한 이해와 경영전략으로활용하고자 하는 기업들을 위하여 CSR 이행전략의 제시와 CSR 교육 프레임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What Determines the Corporate Response Level to Climate Change?

        안형태,최재훈,최현수,김종대 한국상업교육학회 2018 상업교육연구 Vol.3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various corporate characteristics that influence the corporate response level to climate change. We classified corporate characteristics into financial structure, governance structure and stakeholder pressure, and disclosure of climate change information and related environmental risks, and analyzed each characteristic’s impact on corporate reactions to climate change. The sample included 250 Korean companies that participated in the CDP survey and agreed to the survey information disclosure between 2011 and 2013.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suggest a greater level of corporate response to climate change from companies that are larger in size and have lower leverage ratio and greater growth potential. In terms of governance structure and stakeholder pressure, the presence of board members making environmental decisions, high minority shareholder ratio, and low greenhouse gas emission per revenue have resulted in higher response levels to climate change. Additionally, companies that voluntarily published sustainability reports show a higher response level to climate change. The result indicates that sizable companies with financial stability and higher growth potential, acknowledged by the capital market, are more active in responding to climate change. Moreover, management attitude has a direct relationship with corporate response level to climate change. Diversified ownership among various stakeholders acts as pressure on making environmental decisions, and companies whose activities are more exposed to outside stakeholders are involved in more activities to satisfy stakeholder expectations. Finally, external stakeholders regard emission per revenue, that is, carbon intensity, not the absolute amount of emission, as corporate risk, and thus, companies actively engage in resolving the risks related to carbon intensity.

      • 온실형 스마트팜에서 환경 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습도 센서 예측 모델

        안형태(Hyeongtae Ahn),수용(Su-Yong An),김재영(Jae-Young Kim),이철원(Cheol Won Lee) 한국통신학회 2021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6

        스마트팜은 정보통신기술을 바탕으로 시공간의 제약 없이 영농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첨단화된 농장이다. 온실형 스마트팜은 온실 내∙외부의 다양한 센서를 활용하여 온실 환경을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필요한 온실제어를 실행시킨다. 온실내부습도는 온실제어를 결정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이며, 온도, 광도, 외부기상 등 온실 환경과 환기창, 커튼, 유동팬, 보일러 등 구동기의 작동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본 논문은 특정 온실 내부습도 센서의 측정값을 나머지 센서들의 측정값과 구동기들의 작동 상태 정보로 예측할 수 있는지 확인한다. 다중선형회귀분석(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을 활용하여, 해당 내부습도 센서의 측정값을 종속변수로 설정하고, 나머지 센서들의 측정값과 구동기들의 작동 상태 정보를 설명변수로 설정하여 온실에서 수집된 환경 데이터를 학습한다. 다중선형회귀분석으로 추정된 내부습도 센서 예측 모델은 내부습도와 나머지 환경 요소 및 구동기 작동 간의 복합적인 관계해석에 활용되며, 디지털 트윈의 가상화된 스마트팜에서 내부습도의 중요 모델로 사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