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역량기반 기업가정신 교육모델 개발 : K대학의 사례

        이철기,안태욱,이상곤,이상숙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 2020 실천공학교육논문지 Vol.12 No.1

        기업가정신은 사회경제적 혁신의 원동력이며, 경제발전과 고용 창출을 선도하는 역할을 한다. 기업가정신의 중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기업가정신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되고 있으며, 유럽위원회와 OECD를 중심으로 역량모델을 기반으로 기업가정신교육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아직 역량을 기반으로 한 기업가정신교육에 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기업가정신교육의 효과도 낮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외의 기업가정신교육에 대한 사례분석과 기업가정신역량 및 교육모델에 대한 이론 고찰 및 전문가 의견 수렴을 거쳐서 국내 K 대학에 역량기반의 기업가정신교육모델을 개발하였다. 교육모델은 경영학 중심의 이론 교육을 지양하고, 기업가정신 역량개발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학생들의 기업가정신역량의 발전단계를 고려한 교육과정을 제시했다.

      • KCI등재

        프로그래밍 언어 교육현황과 개선제안

        임재열 ( Jae Yeol Rheem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 2011 실천공학교육논문지 Vol.3 No.1

        IT기술의 발달로 SW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서 대학졸업자들의 프로그래밍 능력에 대한 산업체 요구가 점점높아지고 있다. 그 결과로, 시스템 위주의 전자공학 전공 교과목에서도 프로그래밍이 이미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컴퓨터 실습실과 같은 교육환경은 상당히 개선되었고, 교수들이 강의의 질 및 교육 결과를 향상시키고자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프로그래밍 교육에 대한 사회 및 산업체의 요구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것도 현실이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전기전자통신공학부 전자전공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프로그래밍 교육 현황을 소개하고, 프로그래밍 교육의 근간이 되는 1학년 대상 프로그래밍 언어 교육에 대한 문제점을 학생, 교재, 담당교수, 수강학생수 그리고 수업시간 면에서 고찰 한 후, 개선방안을 제안한다. As IT technology improves, software is being more and more important. Industry demands higher level of programming ability from university graduates. As a result, programming related courses already take higher possession of electronics department curricula. But even though the environment likewise computer laboratory is improved as much, and professors have tried to enhance the quality of their lectures and educational results, still programming education does not match the demand of our society and industry. In this paper, we introduce the overview of programming education in electronics department, KUT and discuss problems in programming language education especially for the 1st year students, since programming education to the 1st year university students becomes one of the most important part as it deals with fundamentals on programming language and we suggest its improvement directions in regards with students, teaching materials, professors, class size, and class hours.

      • KCI등재

        이집트의 직업교육 학제 분석을 통한 시사점 도출: 3 연속 사이클 교육과정 운영과 통합 기술교육 클러스터 활용을 중심으로

        이영민,엄기용,최성주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 2019 실천공학교육논문지 Vol.11 No.2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vocational educational system of Egypt, focusing on the effectiveness of the threeconsecutive cycle-based curriculum and integrated technical education clusters (ITECs) in order to suggest some implications forinnovating the current vocational education system of Korea. The vocational education system of Egypt is similar to that of Korea,in terms of general education to go to university and vocational education to go to labor market. However, the Egyptian system isdifferent from the system of Korea in light of the three consecutive cycle-based curriculum that links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vocational education of college level, and advanced 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In addition, the Egyptian system hasadopted the “cluster” approach which integrates technical secondary school, intermediate technical college, and advanced technical college around one physical area so as to promote vocational education in collaboration with regional industries and to guaranteeeducation quality. In the last part, some potential implications were suggested for upgrading the quality of vocational education ofKorea based upon the benchmark results of the Egyptian vocational education system and career development of students.. 이 연구의 목적은 3 연속 사이클 교육과정과 통합 기술교육 클러스터를 기반으로 직업인을 양성하는 이집트의 직업교육 학제를 탐색함으로써 한국 직업교육 체제에 시사점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집트의 직업교육은 진학을 목적으로 하는 일반 보통교육과 노동시장 입직을 목적으로 하는 직업교육의 학제가 이원화되어 운영된다는 점에서 한국의 학제와 체제는 유사하다. 그러나, 중등 직업교육, 고등 직업교육, 대학 수준의 고급 기술교육을 통합한 3연속 사이클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이러한 교육과정운영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동일한 물리적 공간에 집적된 통합 기술교육 클러스터를 활용하며, 일부 유럽 국가들과 협력시스템을 구축하여 직업교육의 품질을 관리하는 점 등에서는 차이가 있다. 본 연구 분석을 통해 이집트의 직업교육 학제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한국 직업교육의 질적 제고를 위한 다양한 혁신방안들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산학 연계 교육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장기현장실습 프로그램의 효과성 분석: 2013년 본 사업 대상

        엄기용 ( Ki Yong Om ),오창헌 ( Chang Heon Oh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 2014 실천공학교육논문지 Vol.6 No.1

        한국기술교육대학교(이하 한기대)는 학부교육과 전일제 근무를 병행하는 기업 연계형 장기실습제도(IPP)를 마련하여 2012년 8월부터 12월까지 시범사업을 운영하였고, 2013년 봄부터 본 사업을 추진하였다. 또한 IPP 프로그램의 실효성을 평가하고 프로그램 운영체계 및 과정에 대한 개선방안을 찾기 위해 Kirkpatrick의 4단계 평가모형에 기반 하여 IPP 성과평가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IPP 성과평가모형을 2013년 본 사업에 적용하여 참여학생들을 대상으로 기업체 파견 전과 후에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IPP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평가하고, 향후 평가체계의 개선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설문조사 분석결과에 따르면, IPP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비전공역량과 직업에 대한 태도를 개선하는데 어느 정도 효과적이었고, 학생들의 기업체 및 업무에 대한 만족도가 매우 높았던 반면, 전공역량과 IPP에 대한 인식 측면에서는 의미 있는 향상이 발견되지 않았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기반 하여 한기대 IPP 프로그램의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KOREATECH has introduced a long-term co-op program called IPP (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to address problems in engineering education of Korea since 2012. In order to evaluate and improve the IPP program, the IPP Center of KOREATECH has developed a comprehensive performance evaluation scheme on the basis of the Kirkpatrick``s four stage performance evaluation model for training program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student questionnaire survey data from the IPP performance evaluation scheme, which was acquired before and after IPP terms in 2013 and measured students`` perceptions on the five aspects of major competencies, non-major competencies, perception of and satisfaction with the IPP program and attitudes to occupation.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IPP program was effective to a certain degree at enhancing non-major competencies and attitudes to occupation of students. Participating students were quite satisfied with their jobs and companies. In the last part, several directions for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the IPP program were discussed.

      • KCI등재

        실천공학 교육 방법론 : 직업훈련교사에 대한 단기교육의 만족도 결정요인 -개도국의 국내초청 직업훈련을 중심으로

        강봉준 ( Bong Jun Ghang ),이우진 ( Woo Jin Lee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 2012 실천공학교육논문지 Vol.4 No.1

        본 연구는 직업훈련교사에 대한 단기교육의 만족도를 결정짓는 요인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위하여 개발도상국 직업훈련교사에 대한 국내초청 단기교육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실증분석은 2008년부터 2011년까지 개발도상국 직업훈련교사들의 직업능력역량 강화를 위하여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주관하는 ``ODA 국내초청 직업훈련 프로그램``에 참가한 개발도상국 직업훈련교사 226명의 설문지에 대해서 실시되었다. 실증분석결과 훈련 전수요조사 정도가 높을수록, 훈련기간이 길수록, 훈련생의 전공과 일치되고 학습수준에 적합할수록 직업훈련 단기교육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ODA 국내초청연수와 직업훈련교사 단기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면, 교육생의 인적특성을 고려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하고, 교육생의 초기 학습 수준과 적성을 반영할 수 있는 세분화된 교육과정개발이 필요하다고 요약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factors determining satisfaction on the short-term training courses offered to vocational school teachers, and to analyze the case of the overseas training for developing countries. An empirical study is performed by surveying 226 trainees having participated in international HRD program of the HRD Korea during 2008∼2011. The results show that the training demand survey, training period and fitting to the trainees` major and the educational level positively affect the satisfaction on the short-term training for teachers of vocational schools.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programs customized to personal attributes and educational level are needed in the ODA overseas training and the short-term training for teachers of vocational schools.

      • KCI등재

        평생 능력 개발 : 과학기술인력의 재교육,계속교육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요구분석

        조현정 ( Hyun Jung Cho ),김병근 ( Byung Keun Kim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 2010 실천공학교육논문지 Vol.2 No.2

        본 연구는 과학기술인력에 대한 재교육·계속교육 요구를 분석하여, 과학기술인력에 대한 기존 교육의 체계화 및 신규 프로그램을 발굴하고, 더 나아가 과학기술 인력 재교육·계속교육에 대한 정책 추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문헌조사를 통해 과학기술인력 재교육 계속교육의 필요성 및 기존 산업현장의 요구를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한 후, 대학 및 출연(연), 그리고 민간기업 연구소의 연구 인력을 대상으로 재교육·계속교육의 시행 현황 조사 및 시행 프로그램에 대한 중요도·만족도 조사를 통해 기존의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교육 대상자의 요구를 분석하고, 교육 활성화 장애 요인 및 개선요인을 조사하여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재교육·계속교육 프로그램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과학기술인력의 재교육·계속교육에 대한 정부 지원의 필요성 및 지원내용의 중요성에 대한 조사를 통해 과학기술인력에 대한 정부 지원 정책에 대한 요구를 분석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1)to analyze a needs of re-education & continuous education for R&D human resources 2)to systemize the existing education program and 3)to provide useful implications to help the politics for re-education & continuous education for R&D human resources. The survey to R&D human resources in universities, government-supported research institutes and industries was conducted for analyzing the needs of R&D human resources for the existing education programs through investigation for the current state and importance & satisfaction level for the existing program. For proposing the effective education program, the barrier and improvement factors of re-education program were examined as well. In addition, the needs for the government support policies for re-education program were also analyzed.

      • KCI등재

        실천공학 교수법 : 직접교수법에 의한 기초공학(물리학)에서 학습장애자 교육

        황운학 ( Un Hak Hwang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 2015 실천공학교육논문지 Vol.7 No.2

        이 연구는 직접교수법을 적용해 기초공학의 일부인 물리학 수업에서 발생하는 교육장해학생에 대한 교육을 다루었다. 이 직접교육이란 교육자가 수업방향을 분명히 잡고 강력하게 이끄는 것이 중요한 교육요소인 방법론이다. 임의의 학생 100명에 대해 문제해결에 대한 이해력, 추리력, 기억력, 문제해결속도를 측정하여 20명(20%) 학생이 기초공학장애자로 나타났다. 한편, 직접교육을 통해 표본그룹(41명)의 중간고사와 기말고사에서 각각 53.7%와 61.0%의 성적을 거두어서 13.6% 증가를 보여주었으나 성적 50% 이하인 하위 그룹은 각각 29.8%와 28.2%를 거두어 오히려 감소하였다. 그러나 특별히 성적 최하위 20%인 8명의 학생을 학습장애자로 선정하여 별도로 여가의 직접교육을 수행하였고 이들은 중간고사 및 기말고사 평균점수는 각각 18.9%와 25.5% 로써 6.6% 증가를 보여주어 학습장애자들에 대한 직접교육이 실효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The Direct Instruction (DI) was applied to the learning-disabled in the basic engineering education (especially, physics education). The DI is specified as an educational method in which the instructor strongly controls during the whole process of the entire course. The tests of understanding, reasoning, memory, and problem-solving speed showed that 20 students (20%) out of random 100 students are learning-disabled. The average points of mid-term and final exams were 53.7% and 61.0% respectively for a certain 41-students class. However, in this class, for the lower point students who obtained less than 50% points, the average points of mid-term and final exams were 29.8% and 28.2% respectively, which showed decreased. From this lower point group, the 8 students (20% students of 41 students) were selected as the learning-disabled. With additional DI studies provided, the average points of mid-term and final exams for the learning-disabled were 18.9% and 25.5% respectively, which showed 6.6% increase that means the DI for the learning-disabled was effective.

      • KCI등재

        특성화고 인공지능학과 개편에 따른 인공지능 교육과정 개편 방안 연구

        구은희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 2024 실천공학교육논문지 Vol.16 No.1

        세계적으로 인공지능의 발전으로 삶이 크게 변하고 있다. 교육 분야에서는 AI를 적극 활용하고 다양한 지식을 융합하는 창의적 융합형 인재 양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발맞추어 초, 중, 고, 대학, 대학원 교육에서도 인공지능 교육에 대한 패러다임이변화되고 있다. 인공지능 선도학교와 특성화 고교는 학생들의 인공지능 소양을 키우는 데 힘쓰고, 대학에서는 소프트웨어 과목에 인공지능을 통합하거나 새로운 인공지능 학과를 설립하여 인재를 양성하고 있다. 인공지능 융합 교육 대학원에서는 다양한교과목의 선생님들을 교육시켜 인공지능 기술을 교과에 적용하려는 국가차원의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특성화 고교도 학생들의 특성과 진로에 맞춰 인공지능에 대한 기술 인재 양성을 위해 학과를 개편하고 있다. 현재 교육 과정은 주로 인공지능의 기본 개념과 기술에 중점을 두고 있으나, 실제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우기에는 부족한 측면이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인공지능 선도 학교, 인공지능 융합 고등학교, 인공지능 고교, 대학의 인공지능 학과, 그리고 인공지능 융합 교육 대학원의 필수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여 특성화고등학교에서 인공지능 교육을 실시할 때 필요한 교육과정을 제시하려고 한다. 이를통해 조금 더 발전된 특성화고 인공지능과의 교육과정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The advance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on a global scale is significantly transforming life. In the field of education, there is astrong emphasis on actively utilizing AI and fostering creatively integrated talents with diverse knowledge. In alignment with thistrend, there is a paradigm shift in AI education across primary, middle, high school, as well as university and graduate education. Leading AI schools and specialized high schools are dedicated to enhancing students’ AI capabilities, while universities integrateAI into software courses or establish new AI departments to nurture talent. In AI-integrated education graduate programs, nationalefforts are underway to educate instructors from various disciplines on applying AI technology to the curriculum. In this context,specialized high schools are also restructuring their departments to cultivate technological talent in AI, tailored to students’ charac-teristics and career paths. While the current education focuses primarily on the fundamental concepts and technologies of AI, thereis a need to address the aspect of developing practical problem-solving skills. Therefore, this research aims to compare and analyzeessential educational courses in AI-leading schools, AI-integrated high schools, AI high schools, university AI departments, andAI-integrated education graduate programs. The goal is to propose the necessary educational courses for AI education in specializedhigh schools, with the expectation that a more advanced curriculum in AI education can be established in specialized high schoolsthrough this effort. AI into software courses or establish new AI departments to nurture talent. In AI-integrated education graduate programs, nationalefforts are underway to educate instructors from various disciplines on applying AI technology to the curriculum. In this context,specialized high schools are also restructuring their departments to cultivate technological talent in AI, tailored to students’ charac

      • KCI등재

        정규 공학교육과 평생교육의 통합교육과정에 따른 효과 분석

        장규영 ( Kou Young Jang ),권오영 ( Oh Young Kwon ),임경화 ( Kyung Hwa Rim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 2011 실천공학교육논문지 Vol.3 No.2

        대학부설 평생교육기관은 성인교육의 기회를 확대하고 대학의 교육적 기능을 사회에 환원한다는 취지하에 전국각 대학에서 활성화 되고 있으나, 평생교육기관에서 시행되고 있는 직업능력개발 프로그램은 대학의 인프라를 활용한 교육과 질적 수준을 공유하지 못하고 있어 정규교육으로 인정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평생교육원의 문제점을 탈피하여 대학의 질 높은 교육의 공유를 통한 재직자 직업능력개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활용하여 대학생들이 방학 중에 직업능력개발을 위한 최신기술교육 프로그램에 재직교원과 같이 참여하는 교육과정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교육에 참가한 대학생 설문조사를 통하여 제안된 교육 형태의 교육적 효과를 확인하였고, 향후 직업능력개발 프로그램과 접목된 미래 공학교육의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Continuing Education institutions of the university will be activated to increase opportunities for adult education and to give educational functions of the university back to society, but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conducted by institutions does not recognize as a formal education because those programs do not share the quality of education using the university`s infrastructure. In this paper, by breaking away from the issues of Continuing Education, we develop the incumbent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through the sharing of high-quality education programs of university, and analysis the effectiveness of those programs in which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 during their school vacation. The proposed programs was to verify the educational effect through survey of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roposed training. Grafting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onto future engineering education of university would like to be introduced.

      • KCI등재

        산학 연계 교육 : 한국형 듀얼 시스템(K-Dual 시스템)의 구축 및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이문수 ( Moon Su Lee ),이우영 ( Woo Young Lee ),오창헌 ( Chang Heon Oh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 2013 실천공학교육논문지 Vol.5 No.2

        본 논문에서는 한국기술교육대학교가 새롭게 제시하는 한국형 듀얼 시스템인 K-Dual 시스템의 개념과 세부모델들에 대해 제안하고 주요사항에 대해 논의한다. K-Dual 시스템은 기존의 우리나라에서 다양한 형태로 진행되어 오고 있는 일학습 병행관련 제도들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이들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 운영하기위해 한국의 실정에 맞게 대한민국 교육시스템에 적합하게 설계한 한국형 일학습 병행 모델로 크게 Academic 트랙과 Vocational 트랙의 2가지 트랙에 IPP, W3 및 기업대학형의 3가지 유형으로 정의된다. Academic 트랙의 경우에는 선진학 후취업 모델로 대학에 진학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현장실습교육을 강화함으로써 향후 취업 시 현장 적응력을 극대화시키고 취업과 연계하여 취업률 및 취업의 질/업무 만족도를 향상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반면 Vocational 트랙의 경우 기업체의 재직자를 대상으로 일정기간의 경력을 취득한 후 연계된 대학 또는 전문대학의 정규교과과정과 함께 일정한 산업체 현장실무/실습 교육(예, 기업체 멘토의 지도하에 진행되는 프로젝트 수행 등) 학점을 이수하면 대졸 또는 전문대졸 학위를 취득하는 형태(선취업 후진학 모형)로 교과과정은 대학과 기업체가 공동으로 설계 및 운영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K-Dual 시스템이 성공적으로 정착되어 운영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기업의 대학교육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와 열린 마음가짐이 필요하며, 대학은 체계적인 학사시스템 설계 및 온/오프라인 교육센터 등 인프라 구축이 선행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정부도 참여기업 및 대학을 위한 제도적 재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아야 할 것이다. In this paper, we proposed a new Korean Dual system, K-Dual System, and discussed the concepts and details about three submodels of the system, IPP, W3 and corporate university models. Propose K-Dual system is a new and unique educational model that combines academic study and industrial work in order to solve the various problems of existing work-study parallel educational systems in Korea. K-Dual System has two tracks, Academic and Vocational tracks. Academic track has a long-term field experience training program, IPP program. On the other hands, Vocational track can be divided into two sub-models and those are W3 and corporate university. Finally, we summarized several key points for the successful setup and operation of K-Dual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