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돌연변이 T7 RNA 증합효소의 머리핀 구조가 만들어지지 않는 인자독립형 전사종결 부위에서의 전사종결에 관한 연구

        신지영,김동희,이상수,Shin, Ji-Young,Kim, Dong-Hui,Lee, Sang-Soo 배재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2004 自然科學論文集 Vol.14 No.1

        T7 RNA 중합효소는 두 종류의 인자 독립형 전사 종결신호를 인지하여 전사연장을 종결하게 되는데 이 중 머리핀 구조가 만들어지지 않는 PHT와 CJ 전사종결 부위는 ‘ATCTGTT' non-template 염기서열 다음에 T염기가 많은 부분이 존재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잇다. 이와 같은 전사종결을 민감하게 인지하는 돌연변이 T7 RNA 중합효소인 X4, X19, BG8과 이와 반대로 둔감하게 인지하는 R173C를 제조하여 전사활성도를 측정하였다. 이결과 야생형 T7 RNA 중합효소에 비해 X4는 8%, X19는 33%, BG8은 34%의 전사활성도를 보여 전사활성도가 상당히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반면에 R173C는 야생형에 비해 112%의 전사활성도를 보여 야생형과 거의 유사한 전사활성도를 보였다. 또한 PTH 및 CJ 전사종결 부위를 전사주형으로 이용하여 전사하였을 때 X4, X19, BG8은 야생형 RNA중합효소에 비해 종결 부위에서의 종결이 증가하였으나 R173C는 거의 PTH 및 CJ 전사종결부위에서 전사종결이 일어나지 않고 전사가 진행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T7 RNA polymerase also recognize intrinsic, hairpin-independent termination signal, a conserved 7-base pair sequence (ATCTGTT in the non-template stand) and U-rich sequence downstream of it. These intrinsic, hairpin-independent termination signal were commonly found in PTH and CJ termination sequences. There are two types of mutant T7 RNA polymerases recognizing sensitively(X3, X19, BG8) of insensitively (R173C) the intrinsic termination signals. We determined the T7 transcription activities of these mutants. Compared to wild-type, mutants X4, 19 and BG8 show highly reduced transcription activities (8%, 33%, 34%). On the other hand mutant R173C shows comparable transcription activity of wild-type (112%). Also transcription termination efficiencies at the PTH or CJ termination signals were determined by using mutant RNA polymerases. Temination of mutnats X4, X19 and BG8 are increased compared to wild-type. On the other hadn mutant R173C proceeds through PTH and CJ termination signals.

      • 염기서열 특이적 전사종결부위에서 T7 RNA 중합효소 전사연장복합체 특성에 관한 연구

        신지영,이상수,Shin, Ji-Young,Lee, Sang-Soo 배재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2004 自然科學論文集 Vol.14 No.1

        박테리오 파아지 T7 RNA 중합효소는 다른 RNA 중합효소와 비교하여 볼 때 보조인자 없이 전사를 진행하는 하나의 subunit로 구성된 RNA 중합효소이다. 전사 진행 단계 중에서 T7 RNA 중합효소의 전사연장을 연구하기 위해 biotin이 결합된 DNA 주형을 streptavidin bead로 고정시킴으로서 T7 RNA 중합효소의 진행과정을 관찰할 수 있었고, 이러한 기작을 이용하여 일련의 활성을 가지는 가장 안정한 전사연장복합체들을 얻을 수 있었다. 전사 연장체들은 16번 염기 위치로부터 18번 염기의 위치까지 방사선 동위원소가 표지되어 있으며 이들 표지된 전사연장복합체들은 단계별로 합성하여 22-40개 핵산잔기들이 합성된 전사연장복합체들을 얻을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전사연장복합체들을 PTH 전사종결 부위가 있는 주형으로 사용하여 야생형 및 R173C 돌연변이 RNA 중합효소를 이용하여 전사연장복합체를 제조하여 비교한 결과 PTH 전사종결에 둔감한 R173C 돌연변이 중합효소의 경우 야생형에 비해 PTH 전사종결부위를 지난 위치에서도 전사연장복합체가 생성되었다. T7 RNA polymerase is a single subunit RNA polymerase able to accomplish whole transcription process without auxiliary factors. In order to study transcription elongation mechanism of phage T7 RNA polymerse, stepwise walking of RNA polymerase was established by immobilizing biotinylated DNA template with streptavidin bead, series of active and stable elongation complexes were obtained, Transcripts were radio isotope labeled at the 16thm 17th and 18th nucleotide residues so stable elongation transcription complex of T7 RNA polymerase containing 22-40 nucleotide residues could be identified. We identified the positions of stablely formed transcription elongation complexes of termination site in intrinsic hairpin-independent PTH terminator sequence through the established stepwise walking of wild-type of mutant R173C T7 RNA polymerases. The results suggest that stable elongation transcription complexes were at the site of passing PTH terminator signal by mutant R173C RNA polymerase.

      • SCOPUSKCI등재

        인삼 조사포닌의 새로운 분리 방법

        신지영,최언호,위재준,Shin, Ji-Young,Choi, Eon-Ho,Wee, Jae-Joon 한국식품과학회 2001 한국식품과학회지 Vol.33 No.2

        인삼의 약리활성 성분인 사포닌 성분의 추출분획 중 ginsenoside 함량을 높이거나 화학적 성분 변화를 줄이거나 또는 추출과정을 간편화하기 위한 새로운 추출 분획 방법을 정립하고 기존의 방법과 화학적 조성을 비교하였다. 인삼사포닌의 분획분리 방법으로서 일반적인 고온 MeOH/n-BuOH추출법(BuOH법) 및 고온 MeOH/Diaion HP-20법(HP-20법) 이외에도 새로운 3가지 방법, 즉 고온 MeOH 추출/cation AG 50W 흡착/$H_2O$ 용출/n-BuOH 추출법(AG 50W법), 상온 MeOH/Diaion HP-20법(상온추출법), EtOAc/n-BuOH 직접추출법으로 조사포닌을 분리하였다. AG 50W법에 의한 조사포닌 중 총 ginsenoside 함량은 61.5%로 가장 높았으며 반대로 단백질과 유리 아미노산 함량은 각각 0.93과 0.19%로 다른 방법에 비해 현저히 낮게 나타났다. 단백질의 함량은 HP-20법에 의한 분리가 14.18%로 가장 높았고, 유리당은 BuOH법이 13.5%로서 HP-20법 및 AG 50W법에 비해 $20{\sim}40$배 높은 것으로 나타나 유리당이 BuOH법에 의한 조사포닌 중 순수사포닌 함유 비율을 낮추는 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연구에서 새로이 정립한 AG 50W법의 경우 prosapogenin의 생성이 많았다. 그 밖에, 사포닌 분석시료의 신속한 조제를 위하여 추출과정을 단축하여 EtOAc/n-BuOH 혼합용매로 직접 환류추출할 경우, ginsenoside $Rg_1$과 Re의 조성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조사포닌의 조제 방법에 따라 ginsenoside, 유리당 및 조단백질 등 화학성분의 조성이 현저히 다르며 실험목적에 따라 적절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In order to increase ginsenoside content, to reduce chemical change, to shorten extracting procedure, new methods of extraction and fractionation of crude ginseng saponin were established and compared for their chemical composition. Those are hot MeOH extraction/n-BuOH fractionation (BuOH method) and hot MeOH extraction/Diaion HP-20 adsorption/MeOH elution (HP-20 method), which are already known methods, and additional three new methods: hot MeOH extraction/cation AG 50W $adsorption/H_2O$ elution/n-BuOH extraction (AG 50W method), cool MeOH extraction/Diaion HP-20 adsorption/MeOH elution (cool extraction method) and direct extraction with EtOAc/n-BuOH (direct extraction method). AG 50W method provided a crude saponin showing the highest content of ginsenosides of 61.5% and the lowest contents of protein and free amino acids of 0.93% and 0.19%, respectively. The protein content was the highest as 14.18% in the crude saponin by HP-20 method, while free sugar content was the highest as 13.5% by BuOH method, indicating that these are factors that lower the rate of ginsenoside in crude saponins by those methods. On the other hand, it was revealed that AG 50W method produced large amount of prosapogenins during the pass through the cation exchange resin (AG 50W) column being strongly acidic. Crude saponin from direct extraction method showed relatively higher composition of ginsenoside $Rg_1$ and Re. The results suggest that contents and composition of ginsenosides and other chemical components in crude ginseng saponin greatly depend on the condition of the extraction and fractionation.

      • KCI등재

        두 가지 장비를 이용한 각막곡률 및 각막고위수차의 비교

        신지영,이민영,정소향,Ji Young Shin,Min Young Lee,So Hyang Chung 대한안과학회 2014 대한안과학회지 Vol.55 No.12

        Purpose: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s of keratometry and corneal high order aberrations (HOAs) between the Keratron Scout videokeratoscope and the Pentacam HR Scheimpflug camera. Methods: From December 2012 to February 2013, keratometry and corneal HOAs were determined using the Keratron Scout videokeratoscope and Pentacam HR Scheimpflug camera in 23 healthy individuals (46 eyes). Results: Average keratometry showed high correlation with 95% confidence interval -0.155 ± 0.37 between the Keratron Scout and Pentacam HR. When comparing HOAs of the Keratron Scout and total corneal HOAs of Pentacam HR, total root-meansquare (RMS), and spherical aberration were positively correlated between the 2 devices (r = 0.67, <EM>p </EM>< 0.001 and r = 0.74, <EM>p</EM> < 0.001, respectively). When comparing HOAs of Keratron Scout and anterior corneal HOAs of Pentacam HR, total RMS, spherical aberration and coma were positively correlated between the 2 devices (r = 0.62, <EM>p </EM>< 0.001, r = 0.81, <EM>p </EM>< 0.001, and r = 0.52, <EM>p</EM> = 0.047, respectively). Conclusions: Although the 2 devices are based upon different principles, the Keratron Scout videokeratoscope and Pentacam HR Scheimpflug camera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in keratometry, total RMS, spherical aberration, and coma. Both devices may be useful for clinical applications. J Korean Ophthalmol Soc 2014;55(12):1758-1764

      • 약강구조를 포함하는 영어단어에 대한 영어학습자의 약음절 지각과 반응시간(I)

        신지영,김기호,김희성,Shin Ji-Young,Kim Kee-Ho,Kim Hee-Sung 대한음성학회 2006 말소리 Vol.57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how Korean learners perceive an English weak syllable in words containing WS syllable pattern. According to the automated discrimination task using E-Prime, the ratio of correct answer(%) and reaction time of the stimuli with same syllable patterns were respectively higher and faster than those with different syllable patterns. Specifically, in the stimuli with different syllable patterns, the frequency(familiarity) of stressed word succeeding weak syllable and whether the weak syllable had coda in it were two important factors in distinguishing between a word with and without weak syllable. Even though the high English proficiency Koreans had faster reaction time than the low English proficiency Koreans, all Korean learners had a difficulty in perceiving the weak syllable at the beginning of a word.

      • KCI등재후보

        호흡기 ; 만성 기침 환자에서 Modified ECRHS 설문을 이용한 천식진단의 유용성에 대한 연구

        신지영 ( Ji Young Shin ),이정은 ( Jeong Eun Lee ),박지원 ( Ji Won Park ),정선영 ( Sun Young Jung ),유수진 ( Su Jin Yoo ),윤지현 ( Ji Hyun Yoon ),박희선 ( Hee Sun Park ),김선영 ( Sun Young Kim ),김주옥 ( Ju Ock Kim ) 대한내과학회 2009 대한내과학회지 Vol.77 No.6

        목적: 만성 기침은 임상에서 매우 흔한 증상이나 시간적, 비용적 문제 때문에 원인 질환을 정확히 진단하고 치료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저자들은 천식의 유병률의 연구에 사용되었던 ECRHS 설문에 후비루 증후군과 위식도역류에 관한 내용을 추가하여 만성 기침의 원인 중 천식 환자를 진단하는데 설문지를 통한 진단방법이 어느 정도 유용한 지를 평가하였다. 방법: 2004년 10월부터 2008년 3월까지 만성기침을 주소로 충남대학교병원 호흡기내과 외래를 방문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대상 환자들에게 modified ECRHS 설문과 기관지 유발시험을 시행하고 그 결과를 임상의에 의한 진단결과와 비교하였다. 결과: 대상군에서 기관지 유발시험을 통하여 천식으로 진단받은 경우는 1,518명 중 511명이었다. 천식양 증상 각각에 따른 비교 위험도를 비교하였을 때 천명의 비교 위험도가 2.966으로 가장 높았으며 운동 후 호흡곤란이 2.415, 휴식 시 호흡곤란이 2.211로 높았다. 하지만 기타 위식도 역류증이나 후비루 등은 비교위험도가 각각 1.107, 1.116으로 낮았다. ROC curve를 통해 분석한 결과, 8개 설문내용 중 응답한 천식양 증상의 개수가 다섯 개일 때 ROC curve의 면적이 0.533으로 천식 진단에 대한 유용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ROC curve를 통해 분석한 결과, 설문 결과와 임상의에 의한 천식진단의 관계는 ROC curve의 면적이 0.631이었고, 기관지 유발 검사상 양성을 보인 경우 천식 진단과의 관계는 ROC curve의 면적이 0.618로 나타났다. 결론: 저자들은 만성 기침 환자를 대상으로 modified ECRHS 설문을 시행하여 분석한 결과, 천식양 증상의 빈도가 높을수록 천식일 확률이 높아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기도의 과민성도 반영할 수 있으며 실제 환자의 치료를 결정하는데 도움이 될 만한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Background/Aims: Chronic cough may be the only manifestation of asthma. This study prospectively evaluated the validation of a modified European Community Respiratory Health Survey (ECRHS) questionnaire (including postnasal drip and GERD) in patients with chronic cough. Methods: We recruited patients with a chronic cough exceeding 8 weeks from Oct. 2004 to March 2008. The patients had undergone an assessment using the modified ECRHS questionnaire, methacholine challenge test, chest PA, and PNS series, as well as the MAST and skin prick test in some patients. Results: A total of 1518 patients were recruited. A total of 511 patients (33.6%) were physician diagnosed with asthma. Wheezing (53%, odds ratio [OR]: 2.989), nocturnal cough or dyspnea (57.3%,OR: 1.751), resting dyspnea (43.8%, OR: 2.216), post-exercise dyspnea (63.4%,OR: 2.297), esophageal reflux symptoms (34.1%, OR: 1.107) and postnasal drip (13.1%, OR: 1.116) are symptoms that have been reported. As the number of asthmatic symptoms included in the questionnaire increased, the number of patients diagnosed with asthma by a physician increased. The correlation between bronchial hyperresoponsiveness (BHR) and physician diagnosed asthma was evaluated by the area under the receiver operator characteristic (ROC) curve. The questionnaire was more correlated with BHR than with physician diagnosed asthma (area: 0.852 vs. 0.631). Conclusions: The Modified ECRHS questionnaire is an available method to assist in the diagnosis of asthma and to evaluate BHR in patients with chronic cough. (Korean J Med 77:734-740, 2009)

      • SCOPUSKCI등재

        노인 폐결핵의 특징

        신지영 ( Ji Young Shin ),정선영 ( Sun Young Jung ),이정은 ( Jeong Eun Lee ),박지원 ( Ji Won Park ),유수진 ( Su Jin Yoo ),박희선 ( Hee Sun Park ),김주옥 ( Ju Ock Kim ),김선영 ( Sun Young Kim )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10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69 No.3

        Background: Pulmonary tuberculosis remains a health concern in Korea despite major progress in the development of new strategies for diagnosing and treating tuberculosis. In particular, the diagnosis of newly developed pulmonary tuberculosis is on the rise in elderly person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linical, radi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reatment outcomes of pulm onary tuberculosis in the elderly.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113 young (<65 years old) and 112 elderly (≥65 years old) pulmonary tuberculosis patients diagnosed at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etween January 2007 and December 2008 were reviewed. Results: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prevalence of typical symptoms between the younger and the elderly group. Dypsnea was the only symptom that occurred more frequently in the elderly group (16.8% vs 5.5%, p=0.008). On radiological study, pneumonic infiltration type was more common in the elderly group (28.6% vs 16.8%, p=0.035). Sputum Acid fast bacilli smear positivity rate was similar between the 2 groups. Elderly patients with anti-tuberculosis medication had more frequent adverse drug reaction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2 groups in the number of patients required to stop medication due to an adverse drug reaction. There were more patients lost to follow-up in the elderly group (22/112, 19.6% vs 11/113, 9.7%, p=0.036). Conclusion: The majority of elderly patients did not complete the treatment, resulting in a poorer outcome. Therefore, we need to make an effort to support the continued screening of elderly patients by making this economically feasible.

      • KCI등재

        해방 전후 `소문`에 나타난 복수의 시간성과 이족(異族) 갈등 -안회남과 염상섭의 귀환/이주 단편 소설을 중심으로-

        신지영 ( Shin Ji-young )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16 사이 Vol.21 No.-

        본 논문은 1945년 전후를 배경으로 귀환/이주를 다룬 안회남과 염상섭의 단편에 나타난 `소문`의 양상을 살펴본다. 이를 통해, 주권권력이 제국-식민지 질서에서 냉전-국민국가 질서로 변화한 이 시기가 사람들의 구체적인 삶 속에 어떤 의미를 지녔는가를 질문한다. 대상 텍스트는 조선인 탄광 징용 노동자들의 귀환/이주를 다룬 안회남의 단편「탄갱」, 「철쇄 끊어지다」, 「섬」이다. 또한 만주에서 해방을 맞이하고 북한을 거쳐 서울에 도착하기까지의 경험을 토대로 쓴 염상섭의 해방 직후 단편 「혼란」, 「모략」, 「해방의 아들」이다. 안회남의 소설이 큐슈(일본)→조선의 방향성을 지닌다면 염상섭의 소설은 안동(만주)→사리원(북한)→서울(조선)을 지닌다는 점에서 1945년 전후에 일어난 남북 두 방향에서의 `이주/귀환`을 대비시킨다. 자전적 기록문학의 특성을 띠는 이 소설들에는 `소문`이 풍부하게 나타난다. 이때 소문이 사실로 사실이 소문으로 변형되거나, 사실과 소문이 뒤섞이면서 길항한다. 소문의 이러한 작용들은 해방을 전달받고 전달하며 의미를 변형시키며 주인공들의 귀환/이주나 경로를 좌우한다. 또한 소문이 발생하는 양상들을 살펴보면 그 안에는 당대의 상황적 감정적 진실이 포함되어 있다. 소설 속 주인공들이 해방에 걸었던 국가적으로 회수되지 않는 희망, 주권권력이 변화하는 시기에 이족들간의 접합점/충돌면마다 확산되었던 인종공포, `조선인`이라는 정체성이 불안정하게 흔들리고 겹쳐지면서 일어났던 `정체성-스위치` 등이 그것이다. 특히 남쪽으로부터의 귀환/이주가 민족간의 인종공포를 확산시킨 면이 강했다면, 북쪽으로부터의 귀환/이주는 남북 이데올로기가 뒤섞이면서 민족 간의 정체성 스위치가 일어난다. 이 `들려온 해방`을 둘러싸고 무수히 다양하게 나타났던 이러한 `듣는 행위=해석/변형행위`와 흔들리는 정체성의 양상을 보면, 주권권력의 단일한 목소리나 국민국가로 규정된 정체성은 성립 불가능해진다. 오히려 `이 경험을 무엇이라고 부를 수 있을까`라는 수행적 질문을 계속하면서 당대 텍스트 속에 나타난 소문들을 들음으로써 1945년을 전후한 시기의 상황적 감정적 진실에 보다 구체적으로 접근해 갈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looks into the nature of rumors found in the short stories of An Hoe-nam and Yom Sang-sop written about departures and returns in the time period surrounding 1945. By doing so, the aim is to shed light on the transition from the ordering of sovereign power under an imperial structure to the Cold War system built around the nation-state, and what impact this had on the lives of individuals. The literary texts examined here are An Hoe-nam`s short stories “T`angaeng” [Coal Pits], “Cholswae kkunojida” [Broken chains], and “Som” [Island] that mainly deal with the departure and return of Koreans who were forced into labor in Japanese coal mines. Among Yom Sang-sop`s works, the main focus is on “Hollan” [Chaos], “Moryak” [Plot], and “Haebang ui adul” [Sons of Liberation], each based on Yom`s experience of becoming aware of Korea`s liberation while in Manchuria, then travelling via North Korea and eventually arriving in Seoul. While movement in An`s work takes place from Kyushu to Choson, Yom`s work move from Andong, Manchuria, through Sariwon in North Korea, to Seoul, juxtaposing the two different directions of movement in returns and departures before and after 1945. Autobiographical in nature, each novel is rich in rumors. Facts morph into rumors, joining the two in an impossible competition. As the news of liberation passes through this conduit of rumors and is then passed on, meaning is changed and the rumors determine the route of departures and returns the characters decide to take. The creation of the rumors themselves also reveals the situational and emotional truth of the times. This truth included the hope that each character had in the country`s liberation but was never fulfilled by the nation, the fear of other races that spread through every meeting point between different ethnicities at a time of great change in national power structures, and identity switches that occurred as the Korean national identity faltered and overlapped with others. While departures and returns from the south played a role in spreading racial fear among peoples, movement to and from the north combined identities and led to the switching of identities between people of different ethnicities. With rumors, the act of listening then becomes synonymous to the act of interpretation and manipulation, which was a common phenomenon that surrounded the “rumored” liberation, alongside frequently observed identity switches. Considering these patterns, it would have been impossible for the sovereign power to take on a single unified voice, and to establish a fixed identity as a nation state. The alternative option is to continue asking the performative question of “what should this experience be called?” and listen to the rumors found in the text written during the times, which will allow a closer and more detailed access to the situational and emotional truth of the period before and after 1945.

      • KCI등재

        도시화와 주체의 문제

        신지영(Shin, Ji-Young) 새한철학회 2013 哲學論叢 Vol.73 No.3

        봉건시대에 도시는 해방의 상징이었으나, 현대의 도시는 빈곤과 착취의 공간으로 인식되고 있다. 도시 인구가 비도시 인구를 초과한 오늘날, 해방과 착취라는 이중성을 가지고 있는 도시는 우리 삶의 터전이라고 할 수 있다. 데이비스, 하비, 코소, 네그리, 하트, 비르노 등은 도시의 이러한 이중성 위에서 도시를 둘러싼 진단과 전망을 내놓고 있는데, 이들이 직간접적으로 근거로 삼거나 대립각을 세우는 철학자가 들뢰즈이다. 들뢰즈의 존재론으로 부터 추출할 수 있는 개념들과 존재들은 다음과 같은 질문을 유도한다. 도시는 유목적 노동자들, 빈민들, 혈거민들을 유발하는데, 이들은 들뢰즈적 의미의 유목민인가? 유목민은 저항적 주체인가, 도시의 패배자인가? 들뢰즈적 의미의 긍정의 철학은 빈곤과 착취를 그대로 긍정하는것이 아닌가? 우리는 이러한 문제를 둘러싸고 이들이 벌이는 논쟁을 들뢰즈를 참조하면서 따라가 보고, 도시화 시대에 가능한 새로운 윤리-정치의 영역이 무엇인지 규명해보고자 한다.

      • KCI등재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혁신형 사회적 기업 비즈니스 모델 개발

        신지영(Ji Young Shin),문정빈(Jon Jungbien Moon),문재윤(Jae Yun Moon) 한국경영학회 2013 Korea Business Review Vol.17 No.4

        본 연구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조림활동을 하는 사회적 기업 ‘TREE PLANET’에 관한 사례이다. TREE PLANET은 ‘환경보호’ 혹은 ‘조림’이라는 공통된 관심사를 가진 소비자, 기업, NGO와 같은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매개로 상호보완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모델을 구축하였다. 즉 환경보호에 관심이 있는 일반 소비자들은 TREE PLANET 게임 안에서 현실에 심어질 가상의 나무를 기르고, 기업 고객들은 광고비를 지불하여 게임 속에서 기업의 친환경 이미지를 광고한다. 또한 기업의 광고비는 NGO들에게 전달되어 현실의 공간에서 지속적인 조림활동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이 TREE PLANET은 모바일 게임을 통해 조림활동의 비용을 획기적으로 낮춤으로써, 가상의 공간에 존재하는 나무를 조림활동을 통해 현실의 공간에 기르는 비즈니스 모델을 성공적으로 구현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조림활동이라는 사회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새로운 형태의 혁신형 사회적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에 대해 살펴보는 좋은 사례이다. TREE PLANET, established in 2009, offers a new model of a social enterprise, pursuing a social goal via a smart phone application. The TREE PLANET app is a mobile game whose objective is for players to plant and grow virtual trees, which are directly linked to real-world afforest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is innovative social venture business model. Theoretically, this case study provides a model of internalizing positive externality by reducing transaction costs in afforestation. In practice, TREE PLANET is considered a new business model in the social venture field. Therefore, TREE PLANET represents an illustrative case of a social enterprise based on an innovative business mod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