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비전형형 선천성 부신 증식증으로 오인된 난소의 Sertoli-Leydig cell tumor 1예

        송하도,이성자,한은진,양지훈,공성열,김대영,김성훈,임창훈,한기옥,윤현구,박소영 대한내과학회 2011 대한내과학회 추계학술대회 Vol.2011 No.1

        난소 종양은 부인암중 가장 많은 사망의 원인 질환이다. Sertoli-Leydig cell tumor는 Sertoli cell과 Leydig cell이 다양한 비율로 섞여 다양한 분화도를 보이는 매우 드문 난소의 악성 종양이다. 이는 성선의 기질에서 기원하며 Leydig cell에서 분비되는 testosterone의 증가로 약70~85%에서 특징적인 남성화 현상이 2차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남성화의 증상은 희소월경 또는 무월경, 유방위축, 여드름, 다모증, 음핵비대증, 목소리의 남성화 변성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남성화를 보일 수 있는 다른 질환으로 다낭성 난소 증후군이나 비전형형 선천성 부신증식증등이 있다. 21-hydroxylase 결핍에 의한 비전형형 선천성 부신 증식증은 CYP21A2 gene에서의 돌연변이에 의한 상염색체 우성 질환으로 안드로겐 과일을 보이는 여성에서 0.6%~9%의 유병율을 보인다. 본 예는 2년여의 2차적인 무월경을 주소로 남성화 증상을 보이는 27세여환에서 비전형형 선천성 부신 증식증 소견으로 호르몬 검사, 복부-골반 컴퓨터 단층촬영과 자기공명영상 등을 시행하였다. 호르몬 검사에서 testosterone 2.74 ng/ml(정상범위 0.06-0.77 ng/ml), 유리 testosterone 4.95 pg/ml(정상범위 0.06-2.57 pg/ml)로 증가하였고 재검에서도testosterone 3.88 ng/ml, 유리 testosterone 5.69 pg/ml로 증가하였다. 기저 17-hydroxyprogesterone 2.14 ng/ml로 증가하지 않았다. 21-hydroxylase결핍에 대한 ACTH 자극 검사는 hydroxyprogesterone 기저치 4.9 ng/ml, 60분후 4.5 ng/ml, Androstenedione 기저치 373 ng/dl, testosterone 기저치 4.34 ng/ml, 60분후 4.15 ng/ml를 보였다. 복부-골반 컴퓨터 단층촬영에서 우측 자궁 부속기에서 3.5 cm 크기의 낭성 병변이 보여 자기공명영상 시행하여 우측 난소에서 2.73×2.98×2.97cm 크기의 단방성 낭성 종괴를 확인하였다. 남성화 증상과 호르몬 검사 및 방사선학적 검사로서Sertoli-Leydig cell tumor로 진단하였다. 수술 후 병리검사상 intermediate Sertoli-Leydig cell tumor로 확진되었다. 수술 후 5일째 testosterone0.29 ng/ml로 정상화되었고 8개월째 외래 경과 관찰 중이다. 남성화의 임상 증상을 보이는 경우 glucocorticoid 결핍보다는 androgen 과잉으로 나타날 수 있는 부신 질환과 남성 호르몬을 분비하는 종양간의 감별이 필요하다. 이중 Sertoli-Leydig cell tumor와 비전형형 선천성 부신 증식증은 모두 드문 질환이면서 유사한 임상 양상인 남성화를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오인될 수 있다. 남성화를 주소로 비전형형 선천성 부신증식증으로 오인되었다가 호르몬 검사 및 자기공명영상 등을 통하여 Sertoli-Leydig cell tumor로 진단하여 수술한 드문 예를 보고하는 바이다.

      • KCI등재

        임신 중 호전된 갑상선기능저하증 1예

        송하도,한은진,이성자,양지훈,박소영,김성훈,한기옥,윤현구,임창훈 대한내분비학회 2012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ol.27 No.4

        Hypothyroidism should be treated in pregnancy, because it has been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adverse pregnancy complications,as well as detrimental effects upon fetal neurocognitive development. The goal of L-thyroxine (LT4) treatment is to normalize maternal serum TSH values within the trimester-specific pregnancy reference range. 50% to 85% of hypothyroid women being treated with exogenous LT4 need to increase the dose during pregnancy. In this study, we report a case of a 29-year-old woman with hypothyroidism who had been in remission and discontinued LT4 treatment during her pregnancy. Three months after delivery she had a relapse of hypothyroidism and was retreated with LT4. Many factors can influence the gestational requirement for LT4,therefore maternal serum TSH should be monitored and the LT4 dose should be adjusted in pregnant patients with treated hypothyroidism.

      • KCI등재후보

        참빛광역시 초등학교 사회과수업안 쓰기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송하인(Song, Ha In) 한국사회과수업학회 2020 사회과수업연구 Vol.8 No.1

        요약 : 본 연구는 현재 변화하고 있는 초등학교 교사의 사회과수업안 쓰기 실태와 특징을 지역의 사회과수업문화와 관련지어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과거에 형식화된 수업안을 써왔던 한 학교의 교사와 현재에 자유스럽게 수업안을 쓰는 한 학교의 교사를 사례로 선정하여 사회과수업안을 쓰는 목적, 방법, 어려움 등을 비교하면서 탐구하였다. 연구결과 참빛부초에서 사회과수업안을 쓰는 과정은 도제식이며, 약 40년 동안 하나의 사회과수업안 형식을 세밀하게 만들어왔다. 또한 수업안의 내용은 사회과의 특성이 잘 드러나도록 구성하였다. 이에 비해 혁신학교인 행복초등학교는 사회과수업안 작성과정이 민주적이었고 다양한 형식의 사회과수업안을 쓰고 있었다. 사회과수업안의 내용은 교과의 특성을 살리기 보다는 교과간 통합을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이러한 변화과정을 종합해보면 사회과수업안은 더 이상 수업자의 수업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가 아니라 자신의 수업을 성찰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되어지고 있었다. 하지만, 수업안 쓰기에서 개인적인 면이 강조됨으로써 타인과 이야기할 수 있는 대화의 장이 확보되지 않아 사회과수업전문성 신장에 효과적으로 사용되지 못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observe constantly changing reality and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teachers’ way of writing class teaching plans in connection with the regional class culture. In order to do so, comparison of purpose, method and difficulty in writing teaching plans between precedents of a teacher in a school writing a standardized plan and a teacher from another school freely writing his/her own plan. The result showed that writing a teaching plan in a standardized school is an apprentice education and contained detailed contents of the plan for 40 years. Also, it restructured the content of the plan based on the textbook. On the other hand, the school that allows teachers to freely write the plan was democratic in its process and had various types of plans. The content of the plan integrated topics rather than centering on the textbook. The contents of the social studies class plan were composed mainly of interdisciplinary integration rather tha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chool. Combining these changes, social studies class plan were no longer used as a tool to evaluate a classmate’s class, but as a tool to reflect on one’s class. However, the emphasis on personal aspects in the writing of the class proposal did not secure a venue for dialogue with others, which was not effectively used to enhance the professionalism of social studies

      • KCI등재

        유아의 우울과 정서이해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 연령차와 성차를 중심으로

        송하 한국유아교육학회 2011 유아교육연구 Vol.31 No.4

        본 연구는 유아의 우울이 정서 이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또한 성과 연령이 이 두 변인간의 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만 4-6세 유아 92명이 어머니와 함께 실험실을 방문하여 자유놀이 시간을 가진 후, 소아우울척도와 정서 이해능력을 측정하는 손 인형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정적 정서에서 연령차가 유의하였으며 슬픔에 대한 이해에서는 여아의 집단에서만 연령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우울과 정서 이해와의 관계는 유아의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만 4세 에서는 우울이 정적 정서와 부적 상관이 있었으나, 5, 6세 집단에서는 우울이 부적 정서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우울과 정서 이해와의 관계는 남아 집단에서 더 뚜렷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정서 이해의 발달적 특성과 정서적 사회화 과정을 바탕으로 논의되었다. 또한 정서적 특성을 토대로 유아의 우울을 발견하고 다룰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emotion understanding of preschool children. The influence of age and gender on this relationship was also examined. Ninety-two children 4, 5, and 6 years of ag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children and their mothers were interviewed in a laboratory setting using a child depression inventory and a puppet task. Results reveal significant age and gender differences in emotion understanding. Older children showed higher levels of understanding of positive emotions than did younger children, and girls understood sadness better than did boys. In addition, depression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understanding of positive emotions in younger children, but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understanding of negative emotions in older children. Especi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the understanding of anger was significant only for boys, not for girls. These results are discussed on the basis of the development and the socialization of emotion. Suggestions for educators and future study are presente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코로나19 상황에서 초등학교 사회과 원격수업 컨텐츠 제작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송하인(Song Ha-in)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21 사회과교육 Vol.60 No.2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해 일어난 초등학교현장의 사회과원격수업 컨텐츠 제작과정을 내러티브 방법을 통해 심층적으로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원격수업 컨텐츠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교사이면서 제작자인 참여자들은 교과서를 최대한 충실하게 반영하였다. 또한 사회과교과관을 갖고 수업의 흐름, 발문구성, 지역교과서 삽입에 중점을 두고 수업을 구성하였다. 이후 원격수업 저작툴을 사용하여 12-15분 분량의 영상을 제작하였다. 이 과정에서 원격수업과 사회과수업의 특성에 대한 이해를 하였고 사회과수업의 획일화에 대한 우려를 나타내었다. 참여자들의 제작과정을 통해 앞으로 바람직한 사회과원격수업 컨텐츠 제작을 위한 제언을 해보면 자료의 저작권확보, 원격수업의 형태에 맞는 사회과교육과정 재구성, 사회과기능학습장제공, 사회과수업구성능력에 치중하기가 있다. 본 연구는 제작자와 사용자의 경험을 교차하여 살펴봄으로써 원격수업 컨텐츠 제작에 대한 다양한 목소리를 담지 못한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depth process of producing contents for social studies and distance learning at school sites caused by COVID-19. In the process of producing distance learning content, participants, both teachers and producers, reflected the textbook as faithfully as possible. They also had social studies textbook. They organized classes focusing on the flow of classes, the composition of pronunciations, and the insertion of local textbooks. Afterwards, 12-15 minutes of video was produced using a distance learning authoring tool. In this process, they understood the characteristics of distance learning and social studies classes and expressed concerns about uniformity of social studies classes. Suggestions through these production processes were focused on securing copyrights of materials, reorganizing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the form of distance learning, providing social studies skill textbook, and organizing social studies classes. This work has limitations in that it does not contain a variety of voices for distance learning content production by cross-examining the creator and user experience.

      • KCI등재

        사례지역을 활용한 초등 세계지리수업의 자기연구

        송하인(Song, Ha-in)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8 사회과교육 Vol.57 No.2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삶과 비교적 거리가 먼 초등 세계지리 수업을 교사가 어떻게 하면 재미있고 친근하게 구성할 수 있는가를 탐색해보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세계지리 교수학습의 동향을 파악하고 실제 현장에서 수업을 실행하고 있는 교사가 연구자가 되어 수업을 구성 및 실행해보면서 이 과정에서 부딪히는 문제점을 자기연구방법으로 파악하였다. 그 결과 초등 사회교과서 세계지리 부분의 내용구조가 한 차시의 수업으로 전개하기에 내용이 과다하다는 것과 교사가 실제로 수업을 40분 단위에 맞게 그 내용을 구조화, 세분화 하는 것이 수업구성에서 가장 어렵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수업의 실행과정에서 학생이 어떻게 세계를 인식해가는 지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써 학생에 대한 피상적인 이해가 이루어진다는 것을 교사 스스로 알게 되었다. 본 연구는 기존의 관념적이고 탈 현장적인 연구를 지양하고 실제 현장에서 세계지리 수업을 담당하는 초등교사들의 실천적 지식을 지향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으며, 본 연구를 바탕으로 보다 많은 세계지리 교수학습에 관한 현장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해본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way how teachers should plan and carry out intimate world geography classes in elementary schools that most students are unfamiliar with. First, current trend of teaching and learning was identified. By planning and carrying out classes, a current elementary school teacher utilized self-study method after a researcher recognized and identified problems. It was found that an hour was insufficient to cover given contents of elementary world geography textbook. It was also quite difficult to organize contents and fit it to a 40-minute class. In addition, elaborated analysis on how students recognized the world was not performed, leading to superficial understanding of student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uggests importance of practical knowledge of elementary teachers of world geography, different from previous abstract or non-fieldbased research. Based on these findings, additional research is needed to understand teaching and learning of world geography in more detai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