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소아 침습성 폐구균 감염증의 역학적 특성과 임상 양상

        송은경,이준호,김남희,이진아,김동호,박기원,최은화,이환종,Song, Eun-Kyung,Lee, Jun-Ho,Kim, Nam-Hee,Lee, Jin-A,Kim, Dong-Ho,Park, Ki-Won,Choi, Eun-Hwa,Lee, Hoan-Jong 대한소아감염학회 2005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Vol.12 No.2

        목 적 : 폐구균은 소아에서 침습성 감염을 일으키는 중요한 원인균의 하나이나 국내에는 소아 침습성 감염 양상에 대한 연구가 극히 제한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소아에서 발생한 침습성 폐구균 감염증의 역학적 특성, 임상 양상, 사망률 등을 파악하고, 침습성 폐구균 감염증을 일으킨 균의 혈청형 및 항생제 감수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 법 : 1985년 10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19년간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에서 미생물학적으로 확인된 침습성 폐구균 감염증으로 진단받았던 16세 이하의 환자 192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의무 기록을 분석하였다. 분리된 모든 균주에 대하여 oxacillin disc 확산법으로 페니실린 감수성을 검사하였고 125균주에서 혈청형을 결정하였다. 결 과 : 19년간 192명의 환아에서 194례의 침습성 폐구균 감염이 확인되었으며, 면역기능 저하가 동반되지 않은 환자가 43%, 기저질환에 의한 면역 기능 저하가 동반된 환자가 57%였고, 20%가 병원 감염이었다. 면역 기능이 정상인 환자에서 균혈증이 27%, 수막염이 39%, 균혈증 또는 농흉이 동반된 폐렴이 26%, 봉와직염 등 연조직 감염이 4%, 골 및 관절의 감염이 4%였으며, 연령별로는 2세 이하가 60%, 2세에서 5세 이하가 27%, 5세 이상이 13%를 차지하였다. 기저 질환에 의한 면역 저하가 동반된 환자에서는 균혈증이 55%, 뇌수막염이 3%, 균혈증 또는 농흉이 동반된 폐렴이 16%, 복막염이 22%, 봉와직염 등 연조직 감염이 3%, 골 및 관절의 감염이 1%였으며, 연령별로는 2세 이하가 25%, 2세에서 5세 이하가 23%, 5세 이상이 52%를 차지하였다. 125균주의 혈청형을 분석하였고 이중 23F, 19F, 14, 6B, 6A, 9V, 19A형이 73%를 차지하였다. 사망률은 7%이었으며, 이중 면역저하가 동반된 경우가 62%였다. 전체적으로 페니실린 내성률은 65%였다. 결 론 : 폐구균은 소아에서 다양한 종류의 침습성 감염을 일으키며, 주로 봄에 많이 발생하였고, 면역 기능이 정상인 소아에서는 주로 5세 이하에서 발생하나 면역 기능 저하 환자에서는 연장아에서도 흔히 발생하였다. 7가 단백 결합백신에 포함된 혈청형은 66%(교차반응 포함 시 79%)였고, 최근 수년 사이에 페니실린 내성균주의 빈도는 90% 이상으로 매우 높았다. Purpose : To characterize the epidemiology and clinical features of invasive pneumococcal infections in Korean children. Methods : One hundred ninety four cases of invasive pneumococcal infections diagnosed at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Children's Hospital from October 1985 to December 2003 were analysed retrospectively. All isolates were screened for resistance to penicillin by oxacillin disc diffusion test. Serotypes were determined for 125 isolates. Results : The types of infection were bacteremia without focus 84/194(43%), meningitis 36/194(19%), pneumonia with bacteremia 36/194(19%), peritonitis 24/194(12%), other focal infections 3/194(2%). Fifty seven percent(110/194) of the episodes developed in the immunocompromised and 20%(37/194) were nosocomially acquired. The patients younger than 2 years of age was 60% in the immunocompetent patients and 25% in the immunocompromised patients. The overall case fatality rate was 7%. All the isolates by 1988 were susceptible to penicillin screened by oxacillin disk. Penicillin resistance was first detected in 1989(20%), and then increased rapidly; 89% in 1995, 69% in 1996, and 80~100% thereafter. The seven most frequently isolated serotypes were 23F, 19F, 14, 6B, 6A, 9V and 19A, which accounted for 70% of total isolates. Conclusion : S. pneumoniaeis an important cause of morbidity and mortality in children. Invasive infections caused by S. pneumoniae most often occurred in infants and young children, while they are frequent in older immunocompromised children as well. This is the largest case series on invasive pneumococcal infections in Korean children.

      • 섬유소 분해효소 생성을 위한 Trichoderma viride 조절 변이주의 개발

        송은경,허태린,이세영,Song, Eun-Kyong,Huh, Tae-Lin,Lee, Se-Yong 생화학분자생물학회 1982 한국생화학회지 Vol.15 No.3

        구성변이주와 높은 섬유소 분해력을 갖는 돌연변이주를 검색하는 데 이용되는 평판배양법을 써서 Trichoderma νiride의 조절 변이주를 선별하고자 하였다. U.V.를 돌연변이 유발원으로 사용하여, U.S. Army Natick Laboratory균주로써 높은 섬유소 분해력을 갖고 있는 Trichoderma νiride QM9414로부터 2%의 glucose존재하에서도 높은 섬유소 분해력을 나타내는 돌연변이 균주 70개를 선별해서 액침배양한 결과 이들 중 대부분이 glucose에 의해 repression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돌연변이 균주의 하나인 L40은 오랜동안의 액침 배양 후에도 높은 섬유소분해력을 보여주었으며, 섬유소 분해효소 생성에 있어서 glucose에 의해 비교적 repession을 덜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이주 L40과 변이주 L40에 의해 생성된 섬유소 분해효소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1. 결정형 섬유소인 Avicel을 유도기질로 사용하여 섬유소 분해효소를 유도하였을 때 결정형 섬유소 분해력인 cotton activity가 약 47 % 증가하였으며 효소 유도시간도 모균주인 QM9414보다 상당히 단축되었다. 비결정형 섬유소 분해력인 CMC activity와 cellobiose를 glucose로 분해하는 ${\beta}$-glucosidase activity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2. Avicel을 유도기질로 사용하여 섬유소 분해효소를 유도하였을 경우 돌연변이 균주인 L40이 모균인 QM9414보다 glucose에 의해 repression을 덜 받았다. 3. 비결정 섬유소인 carboxymethyl cellulose로 섬유소 분해효소를 유도했을 때는 섬유소 분해효소의 활성이나 시간이 모균주인 QM9414와 거의 비슷했다. 4. Cellobiose로 섬유소 분해효소를 유도했을 때 돌연변이주 L40의 결정형 섬유소분해력이 모균주 QM9414보다 약 40%증가하였고 효소 유도시간도 약간 단축되었으며 비결정형 섬유소 분해력인 CMC activity도 약간 증가하였으나 유도시간에는 변화가 없었고 ${\beta}$-glucosidase activity는 그 역가에 있어서나 유도시간에 있어서 별다른 변화가 없었다. 5. 변이주인 L40이 모균인 QM9414에 있어서 섬유소 분해효소의 효소적 특성과 성장상의 특정의 차이점은 없었다. An attempt were made to isolate regulatory mutants of Trichoderma viride using a plating technique devised to screen constitutive cellulase mutants and high cellulase producing mutants. With U.V. mutagenesis, 70 mutants which exhibited high cellulase activity in the presence of 2% glucose were initially isolated from Trichoderma viride QM9414, a high celluase producing U.S. Army Natick Laboratory Strain. Upon continuous culture in the liquid medium, however, most of these mutants. were reverted to the glucose sensitive strain. One of the mutant, L40, was stable even after long period of culture in the liquid medium and still showed a high cellulase activity and relative insensitivity to glucose for cellulases produc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tant L40 and cellulases produced by this mutant were as. follows: 1. When cellulases were induced by Avicel, a crystalline cellulose, the mutant L40 produced approximately 47 % higher cotton activity than the parental strain QM 9414. The induction time for the cotton activity was also shortened appreciably in. the mutant. CMC activity and ${\beta}$-glucosidase activity, however, were not changed in their total activity or induction time. 2. The cellulases induction by Avicel were less sensitive to glucose in mutant L40 than in the parental strain QM9414. 3. When cellulases were induced by carboxy methyl cellulose, a noncrystalline cellulose, there were no appreciable changes in cellulases activities, nor in induction times. 4. When cellulases were induced by cellobiose, the mutant L40 produced approximately 40 % higher cotton activity than the parental QM9414 and the induction time was shortened appreciably in the mutant. The CMC activity was also changed in the mutant but no change in ${\beta}$-glucosidase activity was observed. 5. The enzymic properties of cellulases and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mutant L40 and the parental QM9414 were the same.

      • SCIESCOPUSKCI등재

        섬유소 분해효소 생성을 위한 Trichoderma viride 조절 변이주의 개발

        송은경,허태린,이세영 ( Eun Kyong Song,Tae Lin Huh,Se Yong Lee ) 생화학분자생물학회 1982 BMB Reports Vol.15 No.3

        An attempt were made to isolate regulatory mutants of Trichoderma viride using a plating technique devised to screen constitutive cellulase mutants and high cellulase producing mutants. With U.V. mutagenesis, 70 mutants which exhibited high cellulase activity in the presence of 2% glucose were initially isolated from Trichoderma viride QM9414, a high celluase producing U.S. Army Natick Laboratory Strain. Upon continuous culture in the liquid medium, however, most of these mutants. were reverted to the glucose sensitive strain. One of the mutant, L40, was stable even after long period of culture in the liquid medium and still showed a high cellulase activity and relative insensitivity to glucose for cellulases produc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tant L40 and cellulases produced by this mutant were as. follows: 1. When cellulases were induced by Avicel, a crystalline cellulose, the mutant L40 produced approximately 47 % higher cotton activity than the parental strain QM 9414. The induction time for the cotton activity was also shortened appreciably in. the mutant. CMC activity and β-glucosidase activity, however, were not changed in their total activity or induction time. 2. The cellulases induction by Avicel were less sensitive to glucose in mutant L40 than in the parental strain QM9414. 3. When cellulases were induced by carboxy methyl cellulose, a noncrystalline cellulose, there were no appreciable changes in cellulases activities, nor in induction times. 4. When cellulases were induced by cellobiose, the mutant L40 produced approximately 40 % higher cotton activity than the parental QM9414 and the induction time was shortened appreciably in the mutant. The CMC activity was also changed in the mutant but no change in β-glucosidase activity was observed. 5. The enzymic properties of cellulases and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mutant L40 and the parental QM9414 were the same.

      • 사례보고-미국의 학교도서관 미디어의 달

        송은경,Song, Eun-Gyeong 한국도서관협회 2006 圖協會報 Vol.47 No.4

        현재 미국 데이비슨 초등학교에서 도서미디어 교사로 활동하고 있는 송은경씨가 4월 학교도서관 미디어의 달과 관련해 미국의 도서미디어 교사의 자격과 역할, 학교도서관 미디어의 달 활용방법, 학교도서관 미디어의 달의 각종 행사를 소개해 주었다. 우리나라 학교도서관 활성화에 좋은 참고가 되기를 바란다.

      • KCI등재

        실용음악전공자의 미술치료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 경험의 구조와 변화과정을 중심으로 -

        송은경(Song, Eun-kyoung),원희랑(Won, Hee-rang) 한국미술치료학회 2022 美術治療硏究 Vol.2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실용음악전공자의 미술치료 경험의 구조와 변화과정을 알아보는 것이며, 연구방법은 Strauss와 Corbin(2008)의 근거이론 연구방법론에 따랐다. 연구 참여자는 이론적 표집방법에 따라 선정한 개인미술치료를 12회기 이상 경험한 실용음악전공자 9명으로, 25세~30세의 남성 3명과 여성 6명이다. 자료수집을 위해 2019년 6월부터 9월까지 개인별 심층면접을 실시하였고 1회당 평균 100분이 소요되었다. 자료분석 결과, 249개의 개념과 72개의 하위범주, 23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연구결과, 실용음악전공자의 미술치료 경험의 구조에서 인과적 조건은‘뮤지션의 불안 요소’, ‘삶의 혼란’, ‘심리적 도움 구하기’이며, 맥락적 조건은 ‘초심을 지키며 뮤지션의 보람 느끼기’, ‘미술치료에 대한 호기심과 주춤거림’, ‘낯선 미술’, ‘상처 직면의 어려움’, 중심현상은 ‘미술이 나의 존재를 드러냄’이었다. 중재적 조건은 ‘마음이 안정되는 상호작용의 장소’, ‘즐거움과 편안함을 주는 미술’, ‘직면과 통찰의 미술치료’ 등이며, 작용/상호작용은 ‘미술로 있는 그대로의 나 만나기’, ‘나의 본질을 발견하는 미술치료’, ‘미술로 성장의 길 가기’, ‘삶의 중심에 서기’ 등이다. 결과는 ‘이상적 뮤지션으로 살기’, ‘깊어지는 음악세계’, ‘참된 자기애’ 등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e and change process of the art therapy experience among applied music majors. This study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grounded theory research procedure proposed by Strauss and Corbin (2008). Participants were nine applied music majors who experienced art therapy as the theoretical sampling method. The participants were aged 25 to 30 years and included three males and six females. Data were collected via in-depth interviews from June to September 2019. Each interview lasted for an average of 100 minutes.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led to 249 concepts, 74 subcategories, and 22 categories. The causal conditions were “anxious of musician,” “confusion of life” and “seeking for a psychological help.” The contextual conditions included “keeping the beginning, and feeling the worth of musicians,” “the curiosity and hesitance of an art therapy,” “unfamiliar art,” and “difficulty and discrepancy of facing hurts.” The central phenomenon was found to be “art revealing my existence.” The intervening conditions were “the place of interaction where my mind can relax,” “art giving joy and comfort,” “art of confrontation and insight,” and so on. The actions/interactions were “encountering myself by art,” “go to the path of growth with art,” “standing at the center of life,” and so on. The results were “living as an ideal musician,” “extended music world,” and “true narcissism,” and so on. The change processes were “objectively look” for the first state “separation and conflict of values,” for the second state, “strengthen of inner power” for the third state, and “integration” for the fourth stage. This study advanced through each step to arrive at the result.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