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팔도유람을 소재로 한 재담 레퍼토리의 전통과 변용

        송미경 ( Song Mi-kyoung )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011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16 No.-

        This paper inquires closely into the developmental aspects of the Korean witticisms dealing with P'aldoyuram(sightseeing trip throughout Korea) and its problem of tradition and transformation. The Korean witticisms dealing with P'aldoyuram are very appropriate cases for explaining about the issue of tradition and transformation of the folk drama, because there are many transfiguration from the traditional Palt'al(foot puppet performance) to gags with folk songs in the 20th century. At first, the works as the traditional witticisms are P'aldoyuram part in the Palt'al by Lee Dongan and Park Haeil. The purpose of the Lee's wordplay is to set up the spirited entertainment ground for the representative folk songs of Korea's eight provinces and to attract attention to the features and actions of the mask. In Park's scripts, the quantity of wordplays are increased and the distinguishing technique of scolding. Next, the transformed works are the gags with folk songs by the comedy duo Kim Wonho & Son Wonpyeong, Chang Sopal & Ko Chunja, Kim Yeongun & Ko Chunja and Kim Ppeokguk Art Company. It is significant that the work by Kim & Son, P'aldop'unggyŏng, was the first attempt of composing just stories about P'aldoyuram and Chang & Ko's was the first mixed duo in this genre. And the duo Chang & Ko used stories about P'aldoyuram as simple course for wordplays not the main material and expressed women as a sexual object. In Kim & Ko's, previous change deepened and wordplays had no direct relevance to the theme and title of P'aldoyuram increased. Also, there were the political undertones were similar to that of the movie P'aldogangsan in it. Kim Ppeokguk Art Company succeeded Korean witticisms dealing with P'aldoyuram and showed wordplays strengthened local features based on the experiences of nationwide tour concerts. Meanwhile, the aspects of tradition and transformation in the Korean witticisms dealing with P'aldoyuram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witticisms about P'aldoyuram are given more weight in modern gags with folk songs than traditional Palt'al. The conversion into modern gags with folk songs raised the degree of intensive. Second, the male duo of mask performer playing the mask and singing and clown speaking to the mask and inducing that to sing in traditional Palt'al changed the male/female duo chatting each other in modern gags with folk songs. Third, witticisms in traditional Palt'al were supporting devices for highlighting mask's play. But in modern gags with folk songs, witticisms got importance and various techniques, such as scolding, inserting short play, following rhyme, speaking quickly like a rap song, etc., were tried. And, weakened local feature of witticisms reinforced again in the repertories by Kim Ppeokguk Art Company.

      • KCI등재

        기독교방송 녹음 박록주 <춘향가>(1963)의 특징과 판소리사적 의의

        송미경 ( Mik Young Song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4 공연문화연구 Vol.0 No.29

        본 연구에서는 1963년 기독교방송에서 박록주의 <춘향가> 완창을 녹음·방송한 경위를 제시하고, 박록주가 남긴 여타 <춘향가> 녹음들과의 비교를 통해 기독교방송 녹음 박록주 <춘향가>의 사설과 장단이 지니는 특징을 고찰했으며, 이로부터 이 자료가 지니는 판소리사적 의의를 밝혔다. 1973년 박록주가 중요무형문화재 판소리 <흥보가> 보유자로 재인정된 후, 그의 판소리 공연 및 음반 녹음, 판소리 전수 활동은 자연스럽게 <흥보가> 위주로 이루어졌다. 그런데 박록주의 일제강점기 유성기 음반 취입 목록이나 경성방송국 방송 기록 등을 살펴보면, 일찍이 <춘향가>가 그의 레퍼토리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음이 확인된다. 이에 일제강점기 유성기 음반에 수록된 <춘향가> 마디소리, 1964년 문화재관리국이 보존용으로 녹음한 입체창 <춘향가>, 1973년에 녹음해 1989년에 아세아레코드에서 제작한 <춘향전> 등 여러 편의 <춘향가> 음원이 남게 되었으나, 정작 박록주의 <춘향가> 한바탕이 온전히 담긴 자료는 찾아볼 수 없었다. 다행히 KBS 자료실에 소장되어 있는 박록주 완창 <춘향가>의 존재를 확인한 필자는 그에 대한 조사를 통해, 이것이 1963년에 기독교방송에서 추진했던 판소리 다섯 마당 완창 방송의 일환으로 그 해 봄에 녹음되어 1964년 4월 20일부터 5월 13일까지 총 12회에 걸쳐 방송되었던 사실을 밝힐 수 있었다. 장사훈이 진행을 맡은 이 기획 프로그램의 회당 방송 시간은 대략 30분 정도였으며, 3~5분내외의 해설·대담과 20~25분 내외의 판소리 연창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리고 최종회인12회 방송의 대담에는 당시 기독교방송 중앙국의 음악과장으로 있었던 최성진이 합류해판소리 다섯 마당 완창 기획에 대해 설명했는데, 이 음원이 현 소장처인 KBS가 아니라기독교방송에서 녹음된 자료라는 정보도 바로 최성진의 대담 중에 언급된 것이다. 다음으로 기독교방송 녹음 박록주 <춘향가>를 박록주가 남긴 여타의 <춘향가>와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1930년대 초반에 녹음된 박록주의 <춘향가> 마디소리 중에 는 기독교방송 녹음본과의 차이가 크거나 기독교방송 녹음본에 아예 없는 대목이 많았으며, 이는 박기홍 또는 송만갑에게 배운 대목으로 추정된다. 반면 1934년 이후에 녹음한 박록주의 <춘향가> 마디소리는 모두 기독교방송 녹음본과 거의 유사한, 정정렬제 소리였다. 그리고 1964년에 녹음한 전수교재용 <춘향가>의 마디소리 가운데 기독교방송 녹음본과 차이를 보이는 대목 대부분은 기독교방송 녹음본의 사설을 축약한 것으로, 정정렬제<춘향가>에서 거의 벗어나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그 외의 차이는 과거 대명창들의 더늠을 구현해달라는 문화재관리국의 요청에 따른 것으로, 박록주는 정정렬제 ‘이별가’에 모흥갑의 더늠 사설을 삽입하거나, 정정렬제 ‘자진 사랑가’를 고수관의 더늠으로 대체함으로써 그에 응했다. 박록주가 1973년에 녹음한 아세아레코드 <춘향전>은 상업적인 음반발매를 목적으로 한 녹음으로, 한 스승으로부터 오롯이 배운 한 바탕의 <춘향가>를 발표하는 데 의미를 두었던 기독교방송 녹음과는 그 성격부터가 다른 것이었다. 이에 박록주는 정정렬에게 배운 ‘자진 사랑가’ 대신 비교적 널리 불렸던 고수관제 ‘자진 사랑가’를 넣고, 5시간여의 <춘향가>를 2시간여로 압축하는 등의 방식으로 대중성을 얻고자 했다. 그리고 녹음 시간 절약을 위해 대폭 축약 또는 생략된 부분이 대체로 이몽룡 중심의 서사라는 점에서, 박록주가 아세아레코드 <춘향전>의 녹음에 있어 춘향 중심의 서사에 더 비중을 두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 논의한 기독교방송 녹음 박록주 <춘향가>가 지니는 판소리사적 의의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이 녹음은 첫째, 근현대 판소리사를 대표하는 여성 명창인 박록주의 유일한 <춘향가> 완창이자, 둘째, 정정렬 바디 <춘향가>를 온전히 담고 있는 또 다른계통의 <춘향가>이고, 셋째, 그동안 판소리 연구에서 크게 주목받지 못했던 기독교방송자료의 가치를 확인시켜주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하겠다. This research inquires closely into the details of Park Rokju’s Chunhyangga recorded by Christian Broadcasting System(CBS) in 1963 and the features of this work by comparing it to Park Rokju’s other Chunhyangga, and establishes its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pansori. After becoming the holder of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Park Rokju had performed, recorded albums, and taught mainly with Heungboga. But records of her album list or radio performance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show that Chunhyangga was in her main repertory. Unfortunately, her whole Chunhyangga work has yet been found. The writer of this article researched Park Rokju’s Chunhyangga recording collected by KBS, and eventually could check out its substance. This recording was recorded in 1963 as part of full-length pansori performance broadcasting by CBS and aired from April 20 to May 13 for 12 times. The length of this program was about 30 minutes composed with 3~5 minutes for interpretation by the presenter Chang Sahun or talk with Park Rokju and 20~25 minutes for performing pansori. In the final, Choi Seongjin, music section chief of CBS, made a guest appearance and explained about full-length pansori performance broadcasting by CBS. The fact that this recording was recorded and broadcasted not by KBS but by CBS was mentioned by Choi. Next, the results, compared Park Rokju’s Chunhyangga with her other Chunhyangga are as follows. Her partial phonograph records in the early 1930’s differs from CBS record Park Rokju’s Chunhyangga. Some parts are in only her partial records, and those parts are thought to be taught from Park Gihong or Song Mangap. On the contrary, her partial phonograph records after 1934 are supposed to be learned from Cheong Jeongryeoland are similar to CBS record. In Chunhyangga teaching materials for intangible cultural asset preservation recorded in 1964, the most part dissimilar to CBS record Park Rokju’s Chunhyangga are contractions, so they are under the Cheong Jeongryeo-je Chunhyangga. The other difference was originated with demands for musical realization of master performer of pansori’s past deoneum. For example, Park Rokju inserted Mo Heunggap’s deoneum lyrics in Cheong Jeongryeol’s Farewell Song. Asia Record Chunhyangjeon was produced for commercial purposes. That in itself was differentiated from CBS record Chunhyangga put meaning to the presentation for a pure full-length Chunhyangga taught from Cheong Jeongryeol. So, Park Rokju condensed 5 hours long work to 2 hours long work and pulled in popular pansori song for its popularity. CBS record Park Rokju’s Chunhyangga has pansori historical significance as the only full-length Chunhyangga recorded by Park Rokju, a representative female pansori master in modern and contemporary pansori history, an another Chunhyangga inherited Cheong Jeongryeol’s wholly, and an works show importance of CBS records that have passed unnoticed.

      • SCOPUSKCI등재

        Crystal Structures of Ni2$^{2+}$ - and Tl$^+$ - Exchanged Zeolite X, $Ni_{17}Tl_{58}Si_{100}Al_{92}O_{384} and Ni_{12}Tl_{68}Si_{100}Al_{92}O_{384}$

        송미경,윤보영,김양,Song, Mi Gyeong,Yun, Bo Yeong,Kim, Yang Korean Chemical Society 2001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Vol.22 No.2

        The crystal structures of fully dehydrated Ni2+- and Tl+ -exchanged zeolite X (Ni17Tl58-X, and Ni12Tl68-X; X=Si100Al92O384) have been determined by single-crystal X-ray diffraction techniques in the cubic space group Fd3 at $21(1)^{\circ}C$ (a=24.380(4) $\AA$, 24.660(4) $\AA$, respectively). Their structures have been refined to the final error indices R1=0.037 and R2=0.043 with 485 reflections, and R1=0.039 and R2=0.040 with 306 reflections, respectively, for which I >36(I). In Ni17Tl58-X, 17 Ni2+ ions per unit cell were found at only two sites: 15 at site I at the center of the hexagonal prism (Ni-O=2.203(9) $\AA)$ and the remaining 2 at site II near single six-oxygen rings in the supercage (Ni-O=2.16(3) $\AA).$ Fifty-eight Tl+ ions were found at five crystallographic sites: 28 at site II (Tl-O=2.626(8) $\AA)$, 2 at site I' in the sodalite cavity near the hexagonal prism (Tl-O=2.85(1) $\AA)$, another 2 at site II' in the sodalite cavity (Tl-O=2.77(1) $\AA).$ The remaining 26 were found at two nonequivalent Ⅲ' sites with occupancies of 23 and 3. In Ni12Tl68-X, 12 Ni2+ ions per unit cell were found at two sites: 10 at site I (Ni-O=2.37(2) $\AA)$ and the remaining 2 at site II (Ni-O=2.13(2) $\AA).$ Sixty-eight Tl+ ions were found at five crystallographic sites: 28 at site II (Tl-O=2.63(1) $\AA)$, 12 at site I' (Tl-O=2.62(1) $\AA)$, 2 at site II' (Tl-O=3.01(2) $\AA)$, and the remaining 26 at two III' sites with occupancies of 23 and 3. It appears that Ni 2+ ions prefer to occupy site I and II, in that order. The large Tl+ ions occupy the remaining sites, I', II, II' and two different III' sites. In both crystals, only the Ni2+ ions at site II were reduced and migrated to the external surface of zeolite X when these crystals were treated with hydrogen gas.

      • KCI등재

        다항 로짓 회귀모형에서의 그룹화 전략을 이용한 적합도 검정 방법 비교

        송미경,정인경,Song, Mi Kyung,Jung, Inkyung 한국통계학회 2013 응용통계연구 Vol.26 No.6

        Several goodness-of-fit test statistics have been proposed for a multinomial logit regression model; however, the properties of the proposed tests were not adequately studied. This paper evaluates three different goodness-of-fit tests using grouping strategies, proposed by Fagerland et al. (2008), Bull (1994), and Pigeon and Heyse (1999). In addition, Pearson (1900)'s method is also examined as a reference. Simulation studie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four methods in terms of null distribution and power. A real data example is presented to illustrate the methods. 지금까지 제안되어 있는 다항 로짓 회귀모형의 적합도 검정 방법들에 대하여 저자들이 제안한 방법들이 타당한지를 확인하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여러 검정 통계량들 중 그룹화 전략을 이용한 통계량들 (Fagerland 등, 2008; Bull, 1994; Pigeon과 Heyse, 1999)을 선정하였고, 이러한 통계량의 기반이 되는 피어슨 ${\chi}^2$ 통계량 또한 같이 비교하였다. 제안된 분포가 모의실험의 상황 하에 얻어지는 귀무분포와 유사한지, 그리고 부적절한 모형의 판별을 적절히 수행하는지에 대하여 확인하였으며, 실제 자료에 세 가지 방법을 적용한 결과를 비교, 평가하였다.

      • KCI등재후보

        청소년 후기 말기 암 환자의 정서적.영적 돌봄을 위한 의미요법 CD 프로그램 개발

        강경아,김신정,송미경,Kang, Kyung-Ah,Kim, Shin-Jeong,Song, Mi-Kyung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09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2 No.2

        목적: 본 연구는 청소년 후기 말기 암 환자의 전반적인 경험을 이해하고 총체적인 고통을 경감하도록 돕는 정서적, 영적 돌봄 프로그램인 CD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방법: 2006년 11월 1일부터 2007년 10월 30일까지 Keller와 Song의 ARCS이론과 Kang의 멀티미디어 코스웨어 설계 과정을 응용하여 플래쉬 도구를 활용한 CD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의미요법 프로그램명은 "청소년 후기 암 환자를 위한 "내 삶의 보물찾기""이었다. 프로그램 개발은 <계획>, <설계>, <개발>-CD프로그램, 사용자(간호사)용 교육지침서 및 학습자용 교육용 책자, <평가>의 4단계를 통해 이루어졌다.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된 의미요법 CD 프로그램은 총 5개의 비밀을 찾는 과정으로 교육시간은 각 차시별로 $15{\sim}20$분으로 구성되었으며. "비밀"로 명명된 각 차시별 구성은 의미요법에 대한 프로그램의 제작목적을 알려주는 <처음>과 6컷 만화를 통한 동기유발을 유도하기 위한 <마음열기>, 각 차시별 교육목적과 의미요법 교육이 진행되는 영상물 상영 <알아보기>, 교육 내용에 대한 카타르시스를 위한 <웃음 송>, 교육내용을 자신에게 직접 적용해 보는 <경험하기>, 메인화면으로 돌아갈 수 있는 <끝>의 6단계로 이루어졌으며, 교육용 소책자(의미노트)를 제공하여 반복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청소년 말기 암환자가 있는 임상현장인 병원학교 혹은 지역사회 어느 곳이든지 컴퓨터가 가능한 곳에서는 사용할 수 있도록 CD로 만들어졌으며, 프로그램은 신규 간호사도 사용하기 편리하게 자동과 수동 양방향의 기능을 가지고 매체조작이 용이하도록 제작되었다. 교육지침서는 전체 내용을 손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웃음 송>에 대한 저작권 등록은 완료된 상태로 전국의 소아 청소년 종양병동에서 무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결론: 본 프로그램은 간호사들이 교육에 대한 큰 부담없이 의미요법 프로그램을 쉽게 진행할 수 있도록 제작되어 있어 임상에서 청소년 후기 말기 암 환자의 정서적, 영적 간호중재 방법으로 유용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말기 암환자 뿐 아니라 청소년 후기에 만성 및 불치의 질병으로 고통을 받는 대상자에게도 적용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D program of applied logotherapy for psycho spiritual care of late adolescents with terminal cancer. Methods: Keller & Song's ARCS theory and a model for developing learning materials was applied to develop this program composed four distinct phases: planning, designing, developing, and evaluation stages. Results: This program was entitled 'Finding meaning in my life' and consisted of 5 sessions and its educational contents were made up as follows: "First Secret" is 'learning three natures of the human mind', "Second Secret" is 'learning creative values first method to find meaning of life', "Third Secret" is 'learning experiential value as second method to find meaning of life', "Fourth Secret" is 'learning attitudinal value as third method to find meaning of life', and "Fifth Secret" is 'Becoming the master of my life'. The sub-menu was made up of 'Beginning', 'Opening mind', 'Learning'. 'Laughing Song', 'Experiencing'. Conclusion: This CD program applied logotherapy with flash animation technique as an emotional and spiritual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for easier and more scientific application in pediatric oncology and hospice care area.

      • KCI등재후보

        학령후기 말기 암 환아의 삶의 질 증진을 위한 의미요법 CD 프로그램 개발

        강경아,김신정,송미경,Kang, Kyung-Ah,Kim, Shin-Jeong,Song, Mi-Kyung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08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1 No.2

        목적: 본 연구는 학령기 후기 말기 암 환아의 삶의 질 증진을 위한 의미요법 CD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방법: 학령기 후기(만 $10{\sim}12$세) 말기 암 환아의 삶의 질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방법론적인 연구로서 연구기간은 2006년 1월 1일부터 2007년 11월 30일 이었다. 교육내용은 Frankl의 의미요법의 이론적 틀과 치료기법을 근간으로 구성하였고, 교육매체개발은 Keller 와 Song의 ARCS 이론을 적용하였으며, Dick와 Cray가 제시한 프로그램 개발과정을 응용하였다. 개발된 의미요법 프로그램명은 [마음 속 보물찾기]였다. 결과: 총 5차시의 교육과정으로 구성되었으며 교육시간은 각 차시별로 $15{\sim}20$분용으로 5차시 교육내용의 주제는 삶의 본질적 특성, 창조적 가치, 경험적 가치, 태도적 가치, 자기주도적인 삶에서 선택과 책임의 중요성의 내용을 다루었다. 각 차시의 세부교육내용은 처음, 무엇일까, 여행가기, 웃음 송으로 진행되며, 교육자용 지침서는 알쏭달쏭(동기유발을 위한 6컷 만화), 각 차시별 교육내용(무엇일까, 여행가기, 웃음 송), 체험하기(퀴즈 및 정답, 체험하기내용)를 포함하고 있으며, 교육용 책자(환아용)는 CD를 통한 각 차시 교육 후 교육내용을 자신에게 직접 적용해 보는 체험하기 단계에서 활용되는 책자이다. 또한 이 교육용 책자에는 각 차시 마지막 부분에 마음 속 보물찾기 CD에서 각 차시 마다 소개된 웃음 송 악보를 넣어 환아들이 언제든지 따라 부를 수 있도록 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학령기 후기 암 환아 교육프로그램은 간호사외에 호스피스 영역의 전문종사자들이 암 환아들의 정서적, 영적돌봄을 위해 현장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제작되었으며, 교육자들을 위한 교육지침서와 환아들을 위한 교육용 책자도 동시에 개발하여 그 활용의 용이성을 최대한 높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D program of applied logotherapy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older school-age children with terminal cancer. Methods: Keller's ARCS (Attention, Relevance, Confidence, Satisfaction) theory and a model for developing learning materials (Dick and Cray) were applied to develop this program which comprised four distinct phases: planning, developing, applying, and evaluation stages. Results: This program was entitled 'Finding treasures in my mind' and consisted of 5 sessions, and its educational contents were made up as follows: "Treasure One" is 'learning three natures of the human mind', "Treasure Two" is 'learning creative value as first method to find meaning of life', "Treasure Three" is 'learning experiential value as second method to find meaning of life', "Treasure Four" is 'learning attitudinal value as third method to find meaning of life', and "Treasure Five" is 'Becoming the master of my life'. The sub-menu was made up of 'Beginning', 'What is it?', 'Travelling'. 'Laughing Song', and 'End'. Conclusion: This CD program is an applied logotherapy with flash animation technique as an emotional and spiritual intervention program for easier and more scientific application in pediatric oncology and hospice area.

      • KCI등재

        정응민 창 ‘이별가’로 본 보성소리 <춘향가>의 한 연원

        송미경(Song Mi-kyoung) 한국구비문학회 2020 口碑文學硏究 Vol.0 No.56

        본 논문에서는 정응민 창 ‘이별가’를 현전 보성소리 <춘향가>의 전승자인 정권진, 성우향, 조상현, 성창순이 부른 ‘이별가’, 서편제 계열 <춘향가>의 전승자인 정광수, 김화선, 정정렬, 박록주가 부른 ‘이별가’와 비교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박유전-정재근-정응민으로 이어진 서편제 계열 <춘향가>가 보성소리 <춘향가>의 한 연원이 되었음을 밝혔다. 정응민이 1961년에 녹음한 ‘이별가’는 ‘창조-중모리-중중모리-중모리’로 구성되는 7-8분가량의 소리이다. 보성소리의 대부로 일컬어지는 명창임에도 그의 육성 녹음 자체가 드문 현실을 고려할 때, 이는 매우 귀중한 음원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정응민 창 ‘이별가’에 나타나는 사설상 특징은 현전 보성소리 <춘향가>의 ‘이별가’보다 현전 서편제 <춘향가>의 ‘이별가’와 유사한 면모를 보인다. 정응민에 앞서 보성소리의 기초를 마련한 인물이 정재근이므로 그 특징도 그에게서 비롯된 것일 가능성이 큰데, 여기서 주목할 점은 정재근의 출신지인 나주가 김창환 가(家), 정창업 가(家), 정재근 가(家)의 세 걸출한 명창 가문이 판소리 전통을 형성․확산한 지역이자, 서편제 <춘향가>가 주로 전승된 곳이었다는 사실이다. 그렇게 나주에 전승된 서편제 <춘향가>의 흔적이 정재근을 거쳐 정응민 창 ‘이별가’에 남게 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물론 서편제 계열 <춘향가>가 보성소리 <춘향가>의 한 기반이 되었음은 선행 연구를 통해 이미 논의된 부분이나, 이번에 정응민 창 ‘이별가’라는 실제적인 자료에 근거해 그 사실을 구체적으로 재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정응민이 ‘이별가’에 남은 서편제 <춘향가>의 흔적을 계속 그대로 두기만 하지 않았음을 함께 기억할 필요가 있다. 생의 마지막 순간까지 보성소리 <춘향가>를 끊임없이 갈고 다듬었을 정응민의 노력을, 이 ‘이별가’를 통해 다시금 확인할 수 있다. This paper revealed that Seopyonje Chunhyangga, passed down following the lineage from Park Yu-jeon to Jeong Jae-geun to Jeong Eung-min has become a source of building Boseongsori Chunhyangga. To prove this, Farewell song sung by Jeong Eung-min was compared to Farewell song sung by Jeong Eung-min’s disciples, such as Jeong Gwon-jin, Sung Woo-hyang, Cho Sang-hyun, and Sung Chang-soon, and Farewell song sung by the Seopyonje Chunhyangga s pansori singers, such as Jeong Gwang-su, Kim Hwa-seon, Jeong Jeong-ryeol, and Park Rok-joo. Recorded by Jeong Eung-min in 1961, the Farewell song consists of the rhythm of Changjo, Jungmori, Jungjungmori, and Jungmori, which has a playback time of about seven to eight minutes. Although Jeong is considered the founder of Boseongsori, his vocal recording itself is very rare, making it a very valuable music source. However, some of the characteristics of Jung s 1961 recording of the Farewell song are more similar to the Farewell song of the current Seopyonje Chunhyangga than the one sung by Jeong s disciples. Jeong Jae-geun is the one who laid the foundation of Boseongsori before Jeong Eung-min. Hence, it is quite likely that the characteristics were derived from Jeong Jae-geun. What is noteworthy is that his hometown of Naju was where the family members of three prominent pansori master singers, Kim Chang-hwan, Jeong Chang-eup, and Jeong Jae-geun created and popularized the tradition of pansori, and the Seopyeonje Chunhyangga, which was largely passed down. The traces of Seopyonje Chunhyangga, performed in Naju was retained in Jeong Eung-min s Farewell song recorded in 1961, through Jeong Jae-geun. Of course, the fact that the Seopyonje Chunhyangga has become a foundation for Boseongsori Chunhyangga has already been discussed in prior studies, but this paper specifically reaffirmed the fact based on actual data of the Farewell song sung by Jeong Eung-min. However, it is important to remember that Jeong did not let go of the traces he received from Seopyeonje Chunhyangga until the end. The efforts of Jeong, who had constantly refined Boseongsori Chunhyangga until the end of his life, can be confirmed again through the Farewell song of the current Boseongsori Chunhyangga.

      • KCI등재

        장르 전환 및 매체 수록에 따른 박동진제 춘향가 소리 대목의 변이 양상

        송미경(Song, Mi-kyoung) 우리말글학회 2018 우리말 글 Vol.78 No.-

        본 논문에서는 박동진제 춘향가 소리 대목의 변용 양상을 장르 전환 및 매체 수록의 맥락에 따라 고찰하고 그 주요한 특징을 밝혀보았다. 보다 확장된 관점에서 박동진제 춘향가 전승의 문제를 다뤄보고자 1969년 박동진의 완창 춘향가 공연 실황 기본 자료로 삼고, ‘판소리-음반’ 양식의 SKC 〈인간문화재 박동진 판소리 대전집 춘향가〉(1988), ‘창극-음반’ 양식의 힛트레코드 〈춘향전〉(1979), ‘오디오드라마-음반’ 양식의 아세아레코드 〈춘향〉(1968)를 대상 자료로 선정하여 비교 검토하였다. 장르 전환 및 매체 수록에 임하는 박동진의 태도나 방식은 그가 전통의 ‘판소리-공연’ 양식에 대해 가졌던 것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그는 기본적으로 판소리와 타 장르 간 구도에서 판소리를 우선시했기 때문이다. 박동진제 춘향가의 장르 전환 및 매체 수록 전승에 나타난 특징을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르 전환과 관련해서는 우선 창극 장르의 연출 방식을 고려해 판소리의 음악적 맛과 대사 전달의 간극을 적절히 조절하여 주는 도창을 선보인 점을 주목할 만하다. 창극이나 오디오드라마로의 장르 전환을 위해 기존의 박동진제 춘향가에 없는 사설을 새로 지을 때는 넉자화두를 원칙으로 하였으며, 그 외에는 기존의 사설을 축약해 그대로 불렀다. 오디오드라마는 판소리나 창극과 달리 드라마의 대사가 중심이 되고 노래(창)가 부수적인 역할을 하는 장르이기 때문에, 이 점을 고려해 음악적 밀도가 높은 더늠만 부분창 형태로 취입하는 전략을 택했다. 한편 오디오드라마의 극적 특징을 강화하는 차원에서 마지막 대목을 교환창과 합창으로 구성하는 변화를 시도하기도 했다. 둘째, 매체 수록과 관련해서는 무대 위 공연을 ‘눈으로도’ 보고 ‘귀로도’ 듣는 것이 아니라, 스튜디오에서 녹음된 음향을 ‘귀로만’ 듣는 창극 음반의 향유 방식을 고려해 도창과 창, 도창과 대사를 효과적으로 구분 짓는 표지를 마련한 점이 특징적이다. 오디오드라마-음반의 마지막 대목을 교환창과 합창으로 구성한 것 역시 일종의 듣는 재미를 고려한 방식이라 할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d the variation of Chunhyangga by Park Dong-jin according to the context of genre and media conversion and identified its key characteristics. Here, from an expanded viewpoint, I tried to deal with the problem of Chunhyang-ga. Park, Dong - jin`s Chunhyangga performance materials(1969) was used as a basic data, and SKC 〈Inganmunhwajae Park, Dong-jin Pansori Daejeonjip Chunhyangga〉(1988) as a pansori-record data, Hit Record 〈Chunhyangieon〉(1979) as a Changgeuk-record data, and Asia Record 〈Chunhyang〉(1968) as a audiodrama-record. Park`s attitude and method of converting genres and media was not much different from what he had about the traditional pansori-performance style. Park Dong-jin basically puts Pansori at the forefro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nsori and other genres.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genre conversion and media of Chunhyang by Park Dong-jin. First, when it comes to genre conversion, it is noteworthy that the art of making a genre of Changgeuk has been shown to properly adjust the musical taste of pansori and the gap between lines. In order to turn the genre into a Changgeuk or an audio drama, the new four-letter composition was used as a rule when it was written by Park Dong-jin. Since audio drama is a genre where lines of drama is central and songs play a secondary role, he chose to adopt a strategy that allows for a sub-window with a high density of music.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enhance the dramatic character of an audio drama, he attempted to change the composition of the last part into an one-to-one singing and a chorus. Second, when it comes to media content, it effectively distinguishes lead songs, songs, lead songs and lines by considering the way a Changgeuk record, which is recorded in the studio is enjoyed by ear, not by eye or ear. The composition of the last part of the audio drama - one-to-one singing and a chorus - is also a way of considering the fun of listening.

      • KCI등재

        영화 <모란봉>(1958)과 음반 < Corée Moranbong >(1960) 수록 <춘향전>을 통해 본 1950년대 북한 창극의 실제적 양상

        송미경 ( Song Mi-kyoung ) 한국공연문화학회 2021 공연문화연구 Vol.- No.43

        영화 <모란봉>은 1958년, 아르망 가티, 크리스 마커, 클로드 란츠만, 프랑시스 르마르크, 장 클로드 보나르도가 조선필름의 초청으로 떠났던 북한 여행의 산물이다. 그러나 여러 정치적인 이유로 영화는 바로 개봉되지 못했고, 2010년에야 다시 발굴되어 주목을 받았다. 영화는 한국전쟁을 배경으로 한 영란과 동일의 서사가 저 멀리 조선의 고전 춘향전 속 춘향과 몽룡의 서사와 포개어지는 구성을 취하고 있다. 이때 조선의 고전은 두 주인공의 서사와 시간대를 공유하는 극중극 <춘향전>의 형태로 재현되며, 두 서사는 총 6개 장면에서 포개어진다. 영화에는 두 겹의 중층적인 액자가 존재하는데, 1950년대의 북한을 배경으로 펼쳐지는 영란과 동일의 서사가 가장 바깥에 있다면, 그 안에 창극 <춘향전>의 제작진과 배우들이 만들어 가는 서사가 있고, 가장 안쪽에 온전한 작품으로서의 창극 <춘향전>이 배치된다. 영화 가장 바깥의 액자에서는 동일이 주인공이지만, 안쪽 두 겹의 액자에서는 창극 <춘향전>과 함께 성장하는 배우이자 창극 <춘향전>의 등장인물인 영란이 중심이다. 다음 이 영화의 OST 음반으로는 프랑스에서 1960년 발매된 < Corée Moranbong >, 1970년 발매된 < Musique De Corée >, 그리고 일본에서 1968년 발매된 <朝鮮の伝統音楽-唱劇 「春香伝」と伝統楽器-> 3종이 있다. < Corée Moranbong >은 영화 <모란봉>의 음악으로만 구성된 반면, 이후 나온 두 음반은 평양국립방송을 통해 수집 및 녹음한 곡을 추가로 포함하였다. 다만 일본에서 발매된 음반에는 영화 <모란봉>에 관한 정보가 전혀 남아 있지 않다. 정황상 음반사나 음반 해설지의 필자도 영화 <모란봉>의 존재를 미처 확인하지 못했을 가능성이 크며, 영화의 개봉 자체가 금지되었던 배경 때문에 의도적으로 관련 내용을 배제한 것일 수도 있다. 본고에서 영화 <모란봉> 또는 OST 음반에 수록된 창극 <춘향전>의 세부 장면 <이별가>, <십장가>, <춘당시과>, <박석티>, <옥중가>를 분석한 결과를 1950년대 북한 창극계의 변화와 관련해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950년대 북한 창극 <춘향전>의 정립 과정을 확인하였다. 1955년에 『조선창극집』을 통해 정리된 희곡이 1956년∼1958년 사이『조선민족음악전집(창극 및 민족가극편)1: 창극 <춘향전>(초고)』에 이르러 실연 가능한 창극 형태로 정착하였고, 영화와 음반에 수록된 부분은 1950년대 말 그 완성판의 한 예시에 해당한다. 1960년대 이후 <춘향전>은 더 이상 기존의 판소리식 창극으로 공연되지 않았기에, 영화 <모란봉>과 음반 < Corée Moranbong >은 창극 <춘향전>과 그 음악을 오롯이 담아낸 거의 마지막 기록물이 된다. 둘째, 1950년대 북한 창극계의 탁성 논쟁과 관련한 창극 배우들의 대응 양상을 확인하였다. 1959년까지도 북한에서는 탁성을 둘러싼 비판의 목소리와 이것도 민족적 특징이라는 옹호의 목소리가 어느 정도 공존했다. 맑고 높은 성음의 구사로 탁성 제거에 일정한 성과를 보인 신우선, 분명한 변화를 보이지만 상황에 따라 발성을 달리한 공기남, 탁성을 적극적으로 제거하지는 않았으나 그것이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배역을 선택한 조상선, 당이 요구하는 발성법을 일부 수용하면서도 자기 원 음색을 유지하고자 하였던 임소향, 이들의 판단과 대처는 영화 <모란봉>과 음반 < Corée Moranbong > 속 소리에도 오롯이 반영되어 있었다. 한편 조상선과 임소향은 그들의 소리를 계속 해 나갈 수 있는 배역을 보장받았지만, 영화 <모란봉>에 나타난 선택/배제의 양상은 이와 별개로 1950년대 월북국악인들에게 요구되었던 탁성 제거 지침과 그대로 연결된다. The film Moranbong is the product of a trip to North Korea in 1958, when Armangati, Chris Marker, Claude Lantzmann, Francis Lemarck and Jean-Claude Bonardo left at the invitation of Joseon Film. However, for political reasons, the film was not immediately released, and it was not until 2010 that it was rediscovered and received attention. The movie consists of the narratives of Young-ran and Dong-il, set in the Korean War, that are folded into the narratives of Chunhyang and Mongryong in the classic Chunhyangjeon of Joseon. At this time, Joseon's classics are reproduced in the form of the drama Chunhyangjeon, which shares the time zone with the two main characters, and the two narratives are covered in a total of six scenes. There are two layers of middle-story frames in the movie, and if the same narrative is set in North Korea in the 1950s, there is an epic produced by the producers and actors of the Changgeuk Chunhyangjeon and the Changgeuk Chunhyangjeon as a complete work. In the outermost frame of the movie, Dong-il is the main character, but in the inner double frame, Young-ran, who is an actor growing up with the Changgeuk Chunhyangjeon and a character in the Changgeuk Chunhyangjeon, is the center. The following three OST albums are Corée Moranbong released in France in 1960, Musique de corée released in 1970, and 朝鮮の伝統音楽-唱劇 「春香伝」と伝統楽器- released in 1968 in Japan. While Corée Moranbong consists only of the music from the film Moranbong, the two subsequent albums included additional songs collected and recorded by Pyongyang National Broadcasting System. However, there is no information about the movie Moranbong on the album released in Japan. Under the circumstances,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author of the record label or music commentary has not confirmed the existence of the movie Moranbong, and may have intentionally excluded related contents due to the background of the film's ban on its release.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detailed scenes of the Changgeuk Chunhyangjeon, Farewell Song, Sipjang-ga, Chundangsigwa, Bakseokti and Prison Song in the movie Moranbong or OST album in the 1950s are as follows. First,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North Korean Changgeuk Chunhyangjeon in the 1950s was confirmed. The play, compiled in 1955 through the Joseon Changgeuk Collection, was settled in the form of a Changgeuk that can be performed in the late 1950s by the Changgeuk Chunhyangjeon between 1956 and 1958. Since the 1960s, Chunhyangjeon has no longer been performed as a traditional pansori-style Changgeuk, so the film Moranbong and the album Corée moranbong are almost the last records to capture the Changgeuk Chunhyangjeon and its music. Second, we confirmed the responses of the actors to the controversy over Takseong in the North Korean creative world in the 1950s. Until 1959, there was a voice of criticism surrounding Takseong and a voice of advocacy that it was also a national characteristic. Shin Woo-sun, who almost eliminated Takseong with clear and high-pitched phrases, air man who chang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who chose Takseong but did not actively remove Takseong, Lim So-hyang, who tried to maintain his own tone while accepting some of modern vocalization. Although Cho Sang-sun and Lim So-hyang were also guaranteed roles to continue their voices, the selection/exclusion patterns in the movie Moranbong were linked to the Takseong removal guidelines required by North Korean musicians in the name of Dang and People in the 1950s. Second, Changgeuk actors' response to the controversy over the turbidity of the North Korean Changgeuk community in the 1950s was confirmed. Until 1959, there were voices of criticism and support surrounding Taksung in North Korea. Shin Woo-sun, who showed consistent performance in removing turbidity with clear, high-pitched vocal sounds, Gong Gi-nam, who did not actively remove turbidity depending on the situation, Cho Sang-sun, who accepted some of the vocalization required by the party, while maintaining his original tone. On the other hand, Cho Sang-seon and Lim So-hyang were guaranteed roles to continue their sounds, but the selection/exclusion patterns of Moranbong was independently linked to the guidelines for removing turbidity that the Gugak musicians who crossed to North Korea had been asked f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