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담도를 침범한 간세포암에서 TACE 시행 후 CCRT 및 HAIC로 부분 반응을 보이는 증례

        송명은 ( Myung Eun Song ),이상헌 ( Sangheun Lee ),김미나 ( Mi Na Kim ),이동준 ( Dong Jun Lee ),김범경 ( Beom Kyung Kim ),김승업 ( Seung Up Kim ),박준용 ( Jun Yong Park ),안상훈 ( Sang Hoon Ahn ),전재윤 ( Chae Yoon Chon ),한광협 ( 대한간암학회 2013 대한간암학회지 Vol.13 No.2

        A 63-year-old man patient was referred for treatment of infiltrative hepatocellular carcinoma with hilar invasion after transarterial chemoembolization. Serum alkaline phosphatase and bilirubin were elevated liver dynamic CT showed infiltrative type mass in left hepatic lobe and right hepatic dome with hilar invasion and left intrahepatic duct dilatation. Also CT showed obliteration of left portal vein and metastasis of lymph node around common bile duct. He was diagnosed as hepatocellular carcinoma (UICC stage IV-A BCLC stage C). With the percutaneous transhepatic biliary drainage and the concurrent chemoradiation therapy and the 4th cycle of hepatic arterial infusion chemotherapy for infiltrative mass viable tumor was decreased in resectable size at eight months from initial diagnosis.

      • KCI등재
      • SCOPUSKCI등재

        젊은 나이에서 발생한 대장게실염의 임상 양상과 치료 결과

        송명은 ( Myung Eun Song ),정성애 ( Sung Ae Jung ),심기남 ( Ki Nam Shim ),송은미 ( Eun Mi Song ),권경주 ( Kyoung Joo Kwon ),김혜인 ( Hye In Kim ),윤소윤 ( So Yoon Yoon ),조원영 ( Won Young Cho ),김성은 ( Seong Eun Kim ),정혜경 ( Hy 대한소화기학회 2013 대한소화기학회지 Vol.61 No.2

        목적: 젊은 성인환자에서 대장게실염의 임상 경과와 적절한 치료 방법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 중에 있다. 이번 연구의 목적 은 젊은 환자에서 고령 환자에 비해 게실염의 임상 양상과 중증도, 치료 방법, 예후의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3월부터 2011년 4월까지 이대목동병원 에서 게실염으로 진단받고 입원치료를 받은 총 368명의 환자 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하였다. 40세 이하 그룹과 40세 초과 그룹으로 나누어 게실염 진단 당시 임상 양상, 중증도, 재발 여부, 치료 방법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총 368명의 환자 중 40세 이하 그룹은 206명이었고, 40세 초과 그룹은 162명이었다. 40세 초과 그룹에서 40세 이 하 그룹보다 중증도가 심하게 나타났다. 입원기간 동안에 수 술을 필요로 하는 환자들은 40세 초과 그룹(15.4%)에서 40세 이하 그룹(4.4%)보다 유의하게 많았다(p<0.001). 재발 환자 중에서 치료방법의 두 군 간 차이는 없었다. 재발로 재입원한 경우는 두 군 간에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다변량 분석에서 는 좌측 게실염이 중증도가 심해지고(OR, 14.651; 95% CI, 4.829-44.457), 응급수술을 하게 되는(OR, 13.745; 95% CI, 4.390-43.031) 독립된 위험인자였다. 결론: 젊은 환자에서 발생한 대장게실염은 치료 관리에서 나 쁜 예후 인자가 아니다. 젊은 게실염 환자는 위중하고 치명적 인 임상 경과를 보이지 않으므로, 게실염의 치료에 있어서 연 령보다는 내원 당시 게실염의 중증도, 게실의 위치, 재발 유무 를 살펴 치료 방침을 정하는 것이 필요하다.목적: 젊은 성인환자에서 대장게실염의 임상 경과와 적절한 치료 방법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 중에 있다. 이번 연구의 목적 은 젊은 환자에서 고령 환자에 비해 게실염의 임상 양상과 중증도, 치료 방법, 예후의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3월부터 2011년 4월까지 이대목동병원 에서 게실염으로 진단받고 입원치료를 받은 총 368명의 환자 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하였다. 40세 이하 그룹과 40세 초과 그룹으로 나누어 게실염 진단 당시 임상 양상, 중증도, 재발 여부, 치료 방법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총 368명의 환자 중 40세 이하 그룹은 206명이었고, 40세 초과 그룹은 162명이었다. 40세 초과 그룹에서 40세 이 하 그룹보다 중증도가 심하게 나타났다. 입원기간 동안에 수 술을 필요로 하는 환자들은 40세 초과 그룹(15.4%)에서 40세 이하 그룹(4.4%)보다 유의하게 많았다(p<0.001). 재발 환자 중에서 치료방법의 두 군 간 차이는 없었다. 재발로 재입원한 경우는 두 군 간에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다변량 분석에서 는 좌측 게실염이 중증도가 심해지고(OR, 14.651; 95% CI, 4.829-44.457), 응급수술을 하게 되는(OR, 13.745; 95% CI, 4.390-43.031) 독립된 위험인자였다. 결론: 젊은 환자에서 발생한 대장게실염은 치료 관리에서 나 쁜 예후 인자가 아니다. 젊은 게실염 환자는 위중하고 치명적 인 임상 경과를 보이지 않으므로, 게실염의 치료에 있어서 연 령보다는 내원 당시 게실염의 중증도, 게실의 위치, 재발 유무 를 살펴 치료 방침을 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Background/Aims: The clinical course and the most appropriate management of colonic diverticulitis in young patients are currently unresolved.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young patients (≤40 years) with older patients (>40 years) regarding clinical characteristics of acute colonic diverticulitis and to determine whether differences exist in treatment outcome. Methods: Three-hundred sixty eight patients presenting with acute colonic diverticulitis from March 2001 through April 2011 at Ewha Womans University Mokdong Hospital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The differences in clinical characteristics, treatment modality and recurrence between each group were analyzed. Results: Two-hundred and six patients were aged 40 years or younger and 162 patients were older than 40 years. The older group was diagnosed more frequently with severe diverticulitis. Surgical treatment was significantly more frequent in the older group than in the younger group (15.4% vs. 4.4%, p<0.001).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reatment modality between the two groups in patients with recurrence. The difference in recurrence between group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multivariate analysis, left colonic diverticuliti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evere diverticulitis (OR, 14.651; 95% CI, 4.829-44.457) and emergency surgery (OR, 13.745; 95% CI, 4.390-43.031). Conclusions: When patients with colonic diverticulitis are treated conservatively, young age is no longer an independent risk factor for subsequent poor outcome. Diverticulitis in young patients does not have a particularly aggressive or fulminant course. Therefore, we recommend that diverticulitis management should be based on the severity and location of the disease, and not on the age of the patient.

      • KCI등재

        고주파절제술 후 발생한 지연성 간농양-횡행결장 누공 1예

        이동준 ( Dong Jun Lee ),송명은 ( Myung Eun Song ),박준용 ( Jun Yong Park ),안상훈 ( Sang Hoon Ahn ),한광협 ( Kwang Hyub Han ),김도영 ( Do Young Kim ) 대한내과학회 2014 대한내과학회지 Vol.86 No.6

        초음파 가이드를 이용한 고주파 열치료는 간세포암 치료에 있어 효과적이고 안전한 치료방법이다. 비록 간세포암의 최선의 치료법은 수술적 절제이나 고주파 열치료는 이러한 수술을 대체할 수 있는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고주파 열치료의 잠재적 합병증으로 간농양, 복수, 흉수, 피부 화상, 저산소증, 기흉, 간피막하 혈종, 혈복강, 간부전, 종양 파종, 담도 병변 등이 있다. 본 증례에서는 매우 드문 합병증으로 간세포암에 대해 고주파 열치료 후 지연형으로 발생한 간농양-횡행결장 누공을 보고 하는 바이다. 환자는 경피적 농양배액술 및 항생제 치료 후 간의 부분절제와 결장을 포함한 누공의 절제를 통하여 성공적으로 치료되었다. 본 증례의 희소성으로 인하여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Percutaneous radiofrequency thermal ablation (RFA) performed under ultrasound guidance is a safe, effective therapeutic modality for managing liver malignancies. Although surgical resection remains the treatment of choice for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RFA has emerged as a reliable alternative. Potential complications of RFA include liver abscess, ascites, pleural effusion, skin burns, hypoxemia, pneumothorax, subcapsular hematoma, hemoperitoneum, liver failure, tumor seeding, and biliary lesions. Here, we report a rare complication after RFA for HCC: a delayed liver abscess and transverse colonic fistula. The patient was treated successfully with percutaneous abscess drainage, antibiotics, liver segmentectomy, and segmental resection of the fistula and involved colon. Due to its rarity, we report this case and review the literature. (Korean J Med 2014;86:722-727)

      • 캡슐내시경과 단일풍선 소장내시경으로 진단된 공장의 간질종양 1예

        송도경,심기남,태정현,김경진,송명은,송하응,윤혜원,정가영,정정화 이화여자대학교 의과학연구소 2012 EMJ (Ewha medical journal) Vol.35 No.2

        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s (GISTs) are common mesenchymal tumors that arise in the wall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We report a case of obscure gastrointestinal bleeding due to a GIST of the jejunum successfully documented by videocapsule endoscopy (VCE) and single-balloon enteroscopy (SBE). A 36-year-old man with hematochezia was referred for further evaluation of no evidence of bleeding focus on esophagogastroduodenoscopy and colonoscopy. A VCE showed a suspicious ulcerative hyperemic mass that located in about 1 hour apart from duodenal second portion. SBE revealed a nonbleeding 4×2 cm mass with an ulcer at the proximal jejunum. The patient underwent laparoscopic resection without complication. Histological examination revealed a well circumscribed, dumbbell-shaped firm mass comprised of spindle cells.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for CD 117 was diffusely positive, whereas staining for S-100, CD 34 and MIB-1 was all negative. It was confirmed to be a low-grade GIST at the proximal jejunum.

      • 안내염과 대장암이 동반된 재발성 간농양

        전승정,김태헌,류민선,오다연,송명은,이신아,류재인,김혜인,문일환,유권 이화여자대학교 의과학연구소 2011 EMJ (Ewha medical journal) Vol.34 No.2

        The causes of pyogenic liver abscess has been known as biliary tract disease or intrabadominal infection but the large proportions of the patients has no apparent underlying disorders. Recently colonic mucosal lesions were reported in patients with cryptogenic liver abscess and it has been suggested that colonic mucosal break may play a role in developing liver abscess in otherwise healthy patients. We experienced a patient of severe recurrent liver abscess complicated with endophthalmitis only 3 months after successful treatment of initial cryptogenic liver abscess and a polypoid colon cancer was discovered by chance. It seems prudent to proceed colonoscopic examination in patients with cryptogenic liver abscess especially when it is recurr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