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학교상담전문가 윤리세미나: 개인상담 진행 과정 안내자로서의 학교상담 윤리

        손현동 한국카운슬러협회 2014 학교상담전문가 자격연수 Vol.- No.2

        윤리적 상담은 내담 학생에게 도움이 되며, 비윤리적 상담은 학교상담자에게 이익이 된 다는 말이 있다. 학교상담자 윤리는 상담교사가 상담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반드시 알 고 실천해야 하는 행위규범이다. 이는 내담자인 학생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상담교사 자신 을 보호하고 직무수행 갈등을 해결 할 수 있도록 하며, 상담을 진행하는 행동 지침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또한 학교상담자 윤리는 학교상담 전문가의 자율성을 보 장하고 전문직의 지위를 유지시키는 데 이바지한다. 그러므로 상담교사는 윤리기준을 참조 함으로써 윤리적으로 문제가 없는 상담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담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전문상담교사가 학교현장에 배치되고 많은 교사들이 상담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각종 연수와 대학원 과정을 통해 상담을 배우는 인원이 증가하고 있다. 이렇게 학교상담 서비스 가 확대되어 가면서 전문적인 상담활동을 수행하기 위해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할 부분이 바로 학교상담자 윤리이다. 학교상담이 비약적으로 확대될 수 있는 좋은 기회이지만, 학교 상담자들이 윤리적인 상담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다면, 내담자인 학생들에게 도움을 주지 못하고 피해를 줄 수 있다. 그 결과 학교상담자 자신이 위험에 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학 교상담이 전문직으로서의 공신력이 떨어지는 위기를 맞게 될 것이다. 실제 연구를 통해서 도 상담교사들이 윤리지침에 대해 잘 인지하지 못하고 있고(강진령, 이종연, 유형근, 손현 동, 2007), 또한 윤리적 갈등 상황에서 윤리적이지 못한 선택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진령, 이종연, 손현동, 2007). 따라서 상담교사들은 윤리성 확보에 새로운 관심과 열정을 쏟아 윤리 문제에 민감하게 대처해야 하며, 상담교사들의 윤리에 대한 교육과 연구가 한층 더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하지만 윤리적 위반을 피하기 위해서 잘못된 행위에 대한 비난을 두려워하여 움츠러들기 보다는 윤리기준을 숙지해서 익숙해짐으로써 지속적으로 상담교사 자신의 행동이 윤리적인 가의 여부를 판단해야 한다. 상담윤리는 상담교사들에게 두려움을 심어주기 위해서라기보 다는 상담의 진행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갈등들을 해결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한 것이 다. 또한 상담 윤리는 상담을 어떻게 진행해 가야 하는가에 대한 지침을 제공해 주고 있다. 상담을 시작하기 전

      • KCI등재SCOPUS
      • KCI등재

        물질남용 예방과 상담에서 학교상담자의 윤리적 고려

        손현동 사단법인 미래융합기술연구학회 2021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7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literatures on the ethical factors that school counselors should consider when preventing and counseling students’ substance abuse. As a result, ethical factors to be considered were found in the areas of prevention, assessment, and counseling. In each area, the important ethical considerations were identified and discussed. The common ethical considerations were related to confidentiality and its breaches. Confidentiality starts to be considered from prevention activities. And in counseling activities, considerations on confidentiality breach and responsibilities for parents are includ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clarified and discussed the ethical factors that should be considered by school counselors in a situation where there are no established ethical regulations or provisions of the law in relation to substance abuse. 이 연구의 목적은 학교상담자들이 물질 남용에 대한 예방과 상담 시 고려해야 할 윤리적 요소가 무엇인지를 고찰하는 것이다. 그 결과 고려되어야 할 윤리적 요소는 예방, 사정, 상담 장면에서 찾을 수 있었다. 각 장면에서 중요한 윤리적 고려 요소가 무엇인지 밝혔으며, 공통적으로 중요한 윤리적 고려는 비밀보장과 그 예외와 관련된 것이었다. 비밀보장에 대한 고려는 예방활동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하며 상담 활동 시에는 비밀보장의 예외, 그리고 부모에 대한 책임까지도 고려해야 한다. 이 연구는 아직까지 물질 남용과 관련해 학교상담자들이 지켜야 할 윤리규정이나 법 조항이 정비되지 않은 상황에서 학교상담자들이 고려해야 할 윤리적 요소가 무엇인지 밝히고 논의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KCI등재후보

        현행법에 나타난 학교상담자의 비밀보장과 그 한계 고찰

        손현동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07 청소년상담연구 Vol.15 No.2

        School counselors are facing ethical dilemmas related to confidentiality most commonly. It is necessary for school counselor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thical and legal codes about the confidentiality. So this study was to review legal codes related to school counselors' confidentiality and its limitation. By exploring legal codes regulating the confidentiality and its limitation, it was found that school counselors have legal responsibilities as well as ethical ones. Next, legal codes related to the limitation of the confidentiality was reviewed. The reviewed categories were 'responsibilities to parents/guardians', 'duty to warn', 'duty to report' which included child abuse, sex crimes, officially designated infectious diseases, and 'testimony in cour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esponsibility to report the contents of the counseling to the parents/guardians and the duty to warn were not regulated in the current laws. But the duty to report was an legal responsibilities of the school counselors though it was not written in the ethical codes. This study will enlarge the interes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thical and legal codes and will help school counselors solve ethical dilemmas related to confidentiality. 학교상담자들이 가장 많이 겪고 있는 윤리적 갈등 중 하나가 비밀보장과 관련된 것이다. 비밀 보장 뿐 아니라 그 한계 상황에서 보다 효율적인 대처를 할 수 있기 위해서는 관련된 법률은 어떤 것들이 있고 어떻게 규정하 고 있는지에 대해 알 필요가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내담학생의 사생활 보호를 위해 비밀을 엄수해야 한다는 법 규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고, 다음으로 비밀보장의 한계와 관련 있는 ‘학생의 권리와 학부 모 권리 간의 갈등’, 명백한 위험으로부터의 타인을 보호해야 하는 ‘경고의 의무’, 아동학대․성범죄․전염성 질 병에 대해 학교상담자에게 법으로 명시한 ‘신고 의무’, 학교폭력 상담 결과에 대한 ‘보고의무’, 그리고 ‘법정 증언’ 의 순서로 관련법을 고찰하고 논의하였다. 연구 결과 학교상담자는 ‘내담학생의 비밀 보장’의 책임에 대해서는 현행 법률로 명확하게 규정되어 있었다. 하지만 학부모의 상담 기록에 대한 권리와 경고의 의무에 대해서는 현 행 법률로 규정한 바는 없었다. 그리고 신고의 의무는 윤리강령에서 규정하고 있지 않는 경우가 있으나 법률적 인 책임이 있음을 밝혔다. 이 연구의 결과는 앞으로 윤리와 법률과의 관계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는데 기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학교상담자들의 비밀보장과 관련된 윤리적 갈등 해소에 도움을 줄 것이다.

      • KCI등재

        학교상담 수퍼비전 모형 구안

        손현동,강진령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07 교육과학연구 Vol.38 No.2

        전문상담교사의 전문성 신장과 효율적인 업무 수행을 돕기 위해 학교상담의 특성과 전문상담교사들의 독특한 역할을 고려한 학교상담 수퍼비전 모형이 구안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전문상담교사를 위한 학교상담 수퍼비전 모형을 구안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퍼비전 모형에 대한 문헌고찰을 통해 학교상담 수퍼비전 모형 구안의 방향을 설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모형을 구안하였다. 구안된 학교상담 수퍼비전 모형의 구성은 전문상담교사의 수퍼비전 목표, 수퍼비전 과정, 수퍼바이저의 역할·양식, 수퍼비전 방식을 포함하는 것이며 발달단계에 따라 개입방법이 선택되어지는 것으로 이루어져있다. 이 모형은 발달모형에 근거하고 있다는 점과 수퍼비전 목적과 목표, 수퍼비전 과정, 개입방법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통합적인 모형이라는 점이 특징이다. 구안된 학교상담 수퍼비전 모형은 학교상담의 특성과 전문상담교사들의 역할을 고려한 것으로, 전문상담교사들의 전문성 향상과 발달을 돕고, 효율적인 업무수행을 도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o help school counselors enhance expertise and deliver a service effectivelyit is necessary to construct a school counseling supervision model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school counseling and the peculiar roles of school counsel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struct a school counseling supervisionmodel for school counselors. To achieve this purpose, the principles ofconstructing a model was established by reviewing literature about counselingand school counseling supervision model. And then based on these principles, aschool counseling supervision model was constructed. The school counseling supervision model presented in this study consists offour phases(entry, preparatory, implemental, terminal), and each phases hassubordinate stages. The constructed school counseling supervision model hascharacteristics that it is grounded on the developmental models and containssupervision purpose and objects, process, and intervention methods. Theconstructed supervision model is expected to help school counselors' professionalimprovement and their personal growth.

      • KCI등재

        아동과 청소년의 흡연 관련 연구 동향 분석: 학술지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

        손현동 한국융합학회 2019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ublication trend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smoking-related researches published in Korean academic journals. Three hundred fifty papers published until 2018 were analyzed by focusing on the publication year, research participants, research themes and research methods. As a result, smoking-related research on children and adolescents increased sharply from 1995 to 2000, and the trend continued. The main research participants were general children and adolescents and the most frequently studied themes were 'Associated Factors,' 'Intervention,' 'Prevalence,' 'Prevention,' 'Characteristics,' 'Law and Policies,' 'Scales,' 'Review and Theories' respectively. The most frequently used research method was the quantitative method. Moreover, the most common data gathering method was using questionnaires, and the number of papers which used panel data was gradually increasing. Future studies were suggested to explore a broader range of themes, and a balanced research approach was also recommended using both qualitative and mixed methods. 이 연구는 아동과 청소년의 흡연과 관련된 연구 중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연구의 동향을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논문 선정, 분류 유목 결정, 평정지침서 작성, 논문 분석, 코딩, 코딩 결과 분석의 절차를 거쳤다. 분석대상은 2018년까지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중 선정 기준에 부합한 350편의 논문이며, 발표 연도, 연구대상, 연구주제, 연구방법에 초점을 두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아동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흡연 관련 연구는 1995부터 2000년 사이에 급격하게 증가하였으며, 그 추세가 유지되었다. 주된 연구 대상은 일반 아동과 청소년이었으며, 가장 많이 연구된 주제는 ‘관련 요인’, ‘개입’, ‘실태’, ‘예방’, ‘특성’, ‘법과 정책’, ‘척도’, ‘개관과 이론’의 순이었다. 연구방법은 양적연구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고, 자료는 연구자가 직접 질문지를 활용해 수집하는 형태가 가장 많았으며 점차 패널 데이터의 활용 사례가 늘고 있었다. 향후에는 더 다양한 주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질적 및 혼합 연구 방법을 포함한 균형 잡힌 연구 방법도 제안되었다.

      • KCI등재

        학교상담자의 전문성 수준에 따른 윤리적 갈등상황에 대한 개념화 차이 분석

        손현동,진명식,유형근 한국상담학회 2008 상담학연구 Vol.9 No.4

        이 연구의 목적은 학교상담자의 전문성 수준에 따라 윤리적 갈등 상황에 대한 개념화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73명의 학교상담자를 대상으로 2개의 윤리적인 갈등사례를 제시하고 각 사례별로 윤리적인 문제를 정의하기 위한 개념도를 작성하도록 하였으며, 개념도 작성 전후에 각 사례별로 대처방안을 기술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개념 수의 평균이 숙련, 중급, 초급 학교상담자 집단 순으로 나타났으며, 숙련 집단이 초급․중급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개념의 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교상담자가 발달해 감에 따라 더 많은 윤리적 인지구조를 형성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대처방안의 수와 내용 측면에서 발달 수준별로 대처방안의 개수 뿐 아니라 내용과 다양성 측면에서 차이를 보였다. 이런 결과는 학교상담자의 전문성 수준에 따라 윤리적 갈등상황을 개념화하고 대처방법을 고안해 가는데 있어 발달해간다는 것을 경험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학교상담자의 이런 발달 특성은 학교상담자 윤리 교육과 윤리적 갈등 상황에 대한 수련감독에 있어 어떻게 발달 특성을 고려해 접근해야 하는지에 대한 의미 있는 몇 가지 시사점을 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nd analyse the difference of conceptualization on ethical conflict situation in accordance with the expertise level of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Two ethical conflict cases were distributed to 73 school counselors. And researchers let them draw cognitive maps identifying ethical problems and describe alternatives to handle the cases. The results shows that the number of concepts in the cognitive map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expertise levels. This result means that school counselors form much more ethical cognitive structures as they develops their expertise. And results also shows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alternatives and the aspects of contents and diversity according to the expertise levels. These results imply how to approach to the ethical education for the school counselors considering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 KCI등재

        중독 상담자의 다중 관계에 대한 윤리적 고려

        손현동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3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9 No.1

        Although addiction counselors are more likely to have ethical dilemmas due to multiple relationships than other counselors, there is a lack of clear ethical guidelines or research on thi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ssues that can cause ethical dilemmas in relation to multiple relationships in addiction counseling and to identify appropriate guidelines accordingly. As a result, 38 ethical considerations were extracted and classified into six categories: 1) revealing to the client that the counselor himself is a recovery ('self-disclosure'), 2) counselor and client participating together in a self-help group ('participation in self-help group'), 3) counselor's relapse ('relapsing counselors in recovery'), 4) recovering counselor's excessive desire to intervene in client healing ('excessive intervention'), 5) thinking that the experience and the client's recovery experience would be the same ('overidentification with the client'), 6) hiring a former client as an employee ('employmen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s the unique issues that addiction counselors may experience in relation to multiple relationships and suggests guidelines accordingly, which will be helpful in ethical education for addiction counselors in the future. 중독 상담자는 다른 상담자에 비해 다중관계로 인한 윤리적 갈등의 소지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명확한 윤리적 지침이나 연구가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중독 상담에서 다중 관계 문제를 유발할 수 있는 요인이 무엇인지 밝히고 그에 따른 적절한 대응 방법이 무엇인지 확인하고자 통합적 문헌고찰 방법을 사용하여 총 10개의 연구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38개의 윤리적 고려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6개의 범주로 분류되었다. 1) 상담자 자신이 회복자임을 내담자에게 밝힘 ('자기 공개'), 2) 상담자와 내담자가 함께 자조집단에 참여 ('자조 모임 참여'), 3) 상담자의 재발 ('회복 중인 상담자의 재발'), 4) 회복 중인 상담자의 내담자 치유에 대한 과도한 개입 욕구 ('과도한 개입'), 5) 상담자의 회복 경험이 내담자의 것과 같다는 생각('내담자와의 과동일시'), 6) 이전 내담자를 직원으로 고용 ('고용'). 이 연구에서는 다중 관계와 관련해 중독 상담자들이 겪을 수 있는 독특한 요인이 무엇인지를 밝혔다는 점과 그에 따른 대응 방안에 대해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향후 중독 상담자들을 위한 윤리 교육에 도움이 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초등학생의 집단따돌림 예방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사례 연구

        손현동,김숙희,김은실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14 초등상담연구 Vol.13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집단미술치료가 초등학생들의 집단따돌림 예방에 미치는 효과를 사례분석을 통해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전라남도 농어촌의 초등학교 5학년을 대상으로 집단따돌림 가해/피해 척도 사전검사를 실시하여 피해 척도가 10이상이고 가해 척도가 3 이상인 학생 3명을 가해/피해 대상으로, 가해 척도가 7 이상인 학생 3명을 가해 대상으로 하여 남녀를 구별하지 않고 모두 6명으로 선정하였다. 개발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1회기에 50분씩 총 12회기에 걸쳐 실시하였다.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신뢰감 형성하기’, ‘긴장이완’, ‘자기탐색’, ‘자기 수용’, ‘자아 존중감 향상’, ‘대인관계 향상’ 등의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연구도구는 집단따돌림 가해/피해 척도 설문지와 집단따돌림 방관자적 태도 측정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설문지에 대한 양적 분석과 더불어 행동 관찰과 그림 분석을 통한 질적 분석을 통해 사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집단따돌림 가해/피해 척도 점수와 집단따돌림 방관자적 태도 점수에서 변화를 가져왔다. 그리고 행동 관찰과 그림 분석 결과에서도 정서적인 안정, 자기수용을 통한 자존감 향상, 대인관계 개선이라는 심리 및 행동적 변화를 보였다. 이는 집단미술치료가 집단따돌림 가해/피해 학생에게 가해/피해 행동 감소와 집단따돌림 방관자적 태도 변화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으며, 또한 원만한 또래 관계를 유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집단따돌림 예방에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a group art therapy program on prevention of bully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a case study.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 group art therapy program was developed. It consisted of 12 sessions including ‘trust building’, ‘relaxation of tension’, ‘self-exploration’, ‘self-acceptance’, ‘self-esteem improvement’, ‘interpersonal relationship improvement’. 6 elementary school 5th graders(3 offender/victims, 3 offenders) participated in a 12 session program. As a result of administering the program, it showed a positive effect on decreasing both school bullying behaviors and bystander’s attitude. And behavior observation and picture analysis showed changes in improving emotional stability, self-esteem by self-acceptanc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 findings of this study imply that group art therapy programs are effective to prevent bully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