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일부 농촌지역 노인들에서 Edinburgh 파행 설문지를 이용한 말초동맥질환 유병률

        손지연,김귀연,이종영,김두희,Son, Ji-Yeon,Kim, Gui-Yeon,Lee, Jong-Young,Kim, Doo-Hie 대한예방의학회 1995 예방의학회지 Vol.28 No.2

        말초동맥질환 유병률을 조사하기 위하여 경상북도 경산군 남산면과 진량면 53개 리의 65세 이상 노인 803명을 방문 면담 조사하였다. 조사 도구로는 Edinburgh 파행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더불어, 성별, 연령, 흡연 습관에 관하여 질문하고, 신장과 체중을 측정하여 체질량 지수로 치환하고, 혈압을 측정하였다. 말초동맥질환의 유병률은 9.0%이며 남자는 8.5%, 여자는 9.3%로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그리고, 전형적 파행은 3.9%이고, 비전형적 파행은 5.1%이고 증상의 정도를 보면 1도는 4.4%, 2도는 4.6%이었다. 연령에 따른 말초동맥질환의 유병률을 보면 $65\sim69$세는 7.7%, $70\sim74$세는 9.5%, $75\sim79$세는 9.7%, 80세 이상은 9.8%로 연령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은 있으나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 말초동맥질환의 유병률은 수축기 혈압이 160mmHg 이상군에서는 18.9%로 160mmHg 미만군의 7.9%보다 유의하게 높았고(p<0.05), 체질량 지수가 20미만군에서는 15.1%이고, $20\sim25$ 미만군에서는 10.3%, 25 이상의 비만군에서는 2.8%로 체질량 지수가 증가함에 따라 유병률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흡연군에서는 8.8%, 비흡연군은 9.0%로 흡연에 따른 말초동맥질환의 유병률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우리나라 농촌지역 노인들에서의 말초동맥 질환의 유병률이 9.0%로 말초동맥질환이 우리나라에서도 중요한 노인보건문제로 추후 이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Peripheral arterial disease(PAD) is a major health problem in the elderly population, so prevalence of PAD is investigated using Edinburgh claudication questionnaire. Subjects were over 65 years old in the kyeongsan county. The prevalence of PAD was 9.0% in total population(8.5% in men, 9.3% in women). definite claudication was 3.9%, atypical claudication was 5.1%. and, grade 1 was 4.4%, grade 2 was 4.6%. The prevalence of PAD was increased with age but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 was no difference of PAD by gender and smoking. PAD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ystolic blood pressure positively. But, unexpectedly, PAD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BMI negatively. PAD are important elderly health problem in the our country. So the etiology and preventive methods of PAD will be researched on our country population.

      • 제조+AI로 실현되는 미래상: 자율공장

        손지연,김현,이은서,박준희,Son, J.Y.,Kim, H.,Lee, E.S.,Park, J.H.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21 전자통신동향분석 Vol.36 No.1

        The future society will be changed through an artificial intelligence (AI) based intelligent revolution. To prepare for the future and strengthen industrial competitiveness,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implementing various policies and strategies to utilize AI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which is the basis of the national economy. Manufacturing AI technology should ensure accuracy and reliability in industry and should be explainable, unlike general-purpose AI that targets human intelligence. This paper presents the future shape of the "autonomous factory" through the convergence of manufacturing and AI. In addition, it examines technological issues and research status to realize the autonomous factory during the stages of recognition, planning, execution, and control of manufacturing work.

      • 이동 네트워킹 환경을 위한 프록시 기반 적용 기법

        손지연,원유재,박준석,김명규,한동원,황승구,Son, J.Y.,Won, Y.J.,Park, J.S.,Kim, M.G.,Han, D.M.,Hwang, S.K.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00 전자통신동향분석 Vol.15 No.1

        이동 네트워킹 환경에서 프록시의 적용은 메모리 요구량의 감소, 성능 향상, 비용과 활용도 측면에서의 효율성 등 많은 점에서 효용성이 입증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프록시를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적응 기법들을 조사.분석하고, 아울러 프록시를 적용하는 데 있어서의 이슈가 되는 문제들을 살펴봄으로써 이동/무선 환경에서 프록시를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동적 멀티미디어 그룹 통신을 위한 신뢰성 있는 다자간 전송 프로토콜 (ReMP)의 성능 분석

        손지연,원유재,오수형,임경식,황승구,Son, Ji-Yeon,Won, Yu-Jae,O, Su-Hyeong,Im, Gyeong-Sik,Hwang, Seung-Gu 한국정보처리학회 1998 정보처리학회논문지 Vol.4 No.1

        ReMP(Reliable Multipeer Protocol)는 멀티미디어 그룹 통신을 지원하기 위해 설계된 신뢰성 있는 다자간 전송 프로토콜이다ㅣ. 본 논문에서는 ReMP가 제한된 환경에서도 올바르게 동작함을 증명하였으며, 호스트에서의 처리량 관점에서 데이터 전송에 대한 성능 분석을 시도하였다. 또한 이를 토대로 ReMP는 성능이나 메모리 요구량 관점에 비추어 볼 때, 다른 비교 대상 프로토콜들보다 광범위한 용도의 멀티미디어 그룹 통신에 적용되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 스마트 홈 클라우드 기술동향

        손지연,박준희,문경덕,박광로,Son, J.Y.,Park, J.H.,Moon, K.D.,Park, K.R.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11 전자통신동향분석 Vol.26 No.6

        스마트 홈 클라우드 기술은 스마트 홈과 클라우드가 융합된 기술로 개인과 가정에서 생성되고 소비되는 컴퓨팅 자원과 콘텐츠들을 외부 서버 또는 다른 가정과 필요할 때 결합하고 공유하여 서비스로 제공하는 기술이다. 클라우드 기술이 접목되면서, 기존 서버 방식으로 제공되던 스마트 홈 서비스들이 비용이나 자원의 효율화 측면에서 클라우드 기반의 서비스로 대체될 수도 있고, 완전히 새로운 유형의 스마트 홈 서비스들이 창출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에서는 스마트 홈 클라우드를 구축하기 위한 다양한 유형들을 소개하고, 클라우드 기반으로 제공될 수 있는 스마트 홈 서비스들을 제시하였다. 이와 관련한 국내외 시장 및 산업 현황들을 파악함으로써, 향후 도래할 스마트 홈 산업의 미래 모습을 전망해보고자 한다.

      • KCI등재

        아시아의 ‘상흔’ 겹쳐보기 ―오키나와전투와 한국전쟁을 둘러싼 문학적 응전방식

        손지연 ( Son Jiyoun ) 한국비교문학회 2019 比較文學 Vol.0 No.78

        이 글의 관심은 오키나와전투와 한국전쟁으로 인한 상흔에 누구보다 민감하게 반응해 온 메도루마 슌(目取眞俊)과 전상국의 작품을 아시아의 ‘상흔’이라는 점에서 겹쳐보려는 데에서 출발하였다. 두 작가의 대표작이라 할 수 있는 『기억의 숲』과 『아베의 가족』, 이 두 작품 사이에는 전쟁이 남긴 상흔, 그 중에서도 미군(미국인)에 의한 자국 여성의 강간사건을 주요 모티프로 삼고 있는 점을 비롯해 여러 유사한 접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것은 무엇보다 나카자토 이사오(仲里效)와 메도루마 슌의 최근 대담에서 환기시킨 바 있는, “식민지적 신체성” 혹은 양석일이 말한 “아시아적 신체”라는 측면에서 볼 때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다른 한편으로는, 오키나와전투(沖繩戰)를 기점으로 선명해진 오키나와 공동체 내부의 균열과 모순을 드러내는 메도루마 식 방식과 한국전쟁이 배태한 우리 안의 균열과 모순을 드러내는 전상국 식 방식에서 차이를 보였다. 특히, 미군(미국인)의 폭력에 대응하는 방식이 그러한데, 메도루마의 경우, 전시-전후로 이어지는 폭력적 전쟁 시스템을 고발하는 ‘미군(미국) 비판’에서 출발하여 ‘오키나와 공동체 비판’이라는 회로를 경유해 전쟁의 상흔이 각인된 전후적 신체에 대한 이해(‘심부통각’)로 사유를 심화·확장시켜 간 반면, 『아베의 가족』의 경우는, 미군(미국인)에 대한 혐오와 경멸을 여과 없이 표출한다거나, 동료 병사와 무고한 민간인을 사살하는 김상만의 행위를 ‘죄의식-구원’이라는 틀 안에 가두어 버림으로써 사사화(私事化)해버린다거나, 미군(미국인)에 의한 폭력(강간)뿐만 아니라 우리 안의 은폐된 폭력(강간) 또한 드러내보이고자 했음에도 성찰의 깊이를 갖지 못한 한계 등을 노정하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두 작품은 아시아의 ‘상흔’이 겹쳐지는 지점과 엇갈리는 지점, 더 나아가 공통의 ‘상흔’을 분유(分有)함으로써 폭력의 가능성을 불가능성으로 바꿔가는 문학적 응전의 가능성을 충분히 보여주었다는 데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The interest of this writing started from attempt to overlap Medoruma Shun’s sensitive response on scar caused by Battle of Okinawa and Korean war more than anyone, and Asia’s ‘Scar’, a work of Jeon, Sang-Gook. A point of contact could be observed among main motives from above two authors’ renowned works, ‘Forest of Memory’ and ‘The Family of Abe’, which described the scar left by war, especially the rape incidents committed by US military. Above all, it will be easier to understand looking at it from the aspect of ‘Colonial Physicality’ or ‘Asian body’ as Yang Suk il out it, which were refreshed through recent talk between Nakazato sao and Medoruma Shun. There was a difference, however, in the way of Medoruma, that reveals the crumbling of inner community of Okinawa contradiction became vivid by the battle of Okinawa, and the way of Jeon Sang Gook who revealed the crumbling among ourselves by Korean war. The way of responding on American’s violence was especially like that, in case of Medoruma, while initiating the ‘Critisizing US’ that accuses the violent war system after the war-postwar, bypassing the circuit called ‘Critisizing Okinawa Community’ and extended the reason by understanding body carved with scars of war, in case of ‘Family of Abe’, it either expresses hatred towards Americans, personalizes Kim Sang Man’s killing of civilians and comrades by trapping it in the frame of ‘guilt-salvation’, or points out the limits not being able to deeply regret though it tried to reveal not only the violence by the Americans but also the one in us. Despite that, it was meaningful to know where these two works overlap in ‘Asian Scar’ or where they don’t, and further by sharing the common suffering, they showed the possibility of literature responding that changes the possibility of violence into impossibility.

      • KCI등재

        마이너리티의 언어와 신체 -사키야마 다미에서 한림화까지-

        손지연 ( Son¸ Ji-youn ),김동현 ( Kim¸ Dong-hyun ) 한국일본근대학회 2021 일본근대학연구 Vol.- No.74

        이 글의 관심은 제주문학과 오키나와문학이 표준어 문학장에 대응하는 양상들을 살펴보려는 데에서 출발하였다. 제주문학과 오키나와문학을 함께 살펴보는 이유는 언어적 위계가 일국적 차원의 특수하고 개별적 차원의 문제가 아니라는 점을 규명하기 위해서다. 특히 제주어와 오키나와어는 각각 표준어라는 상징 언어와 다른 독특한 언어체계를 구축해왔다는 점에서 좋은 비교 대상이 되는데, 이를테면 한림화와 사키야마 다미의 작품에서 구현되고 있는 언어의 위계 극복, 언어적 실천 문제가 그것이다. 무엇보다 표준어라는 자명한 세계를 거부하고 이질적인 발화들로 가득한 지역어의 존재를 확인시켜 주는 점에서 두 작가가 공명하는 바가 크다. 두 작가의 작품을 비교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유의미한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즉 누가 말하는가, 누가 기억하는가를 둘러싼 기억투쟁이 ‘제주와 오키나와의 기억투쟁’이었던 점은 분명하나, 제주와 오키나와의 기억투쟁을 (여성)수난사적 관점에서 바라보는 것은 오히려 국가의 기억이 지니고 있는 폭력성을 지역 안에서 되풀이하는 일이 될 수 있으며, 여성을 비롯한 소수자의 언어를 대상화하지 않고 주체적 선택과 자율적 의지를 표출했던 아우성으로 기억할 때 제주와 오키나와의 기억은 한층 더 풍부해질 수 있으리라는 사실이다. The interest in this article began attempting to examine aspects of Jeju literature and Okinawa literature responding to the standard language literature books. The reason for looking into Jeju literature along with Okinawa literature is to investigate that the linguistic rank is not a special and individual problem at the national level. Jeju and Okinawa, especially, are good comparison targets for having established unique language systems differ from the symbolic language of the standard language, respectively, for example, it is the matter of overcoming the rank of language and linguistic practice embodied in the works of Hanlimhwa and Tami Sakiyama. Above all, the two writers resonate greatly as rejecting the self-evident world of standard language and confirming the existence of a local language full of heterogeneous uttering. After comparing the works of the two writers, the following meaningful conclusions were obtained. That is, it is clear that the memory struggle surrounding who speaks and who remembers was a “memory struggle between Jeju and Okinawa” but looking at the memory struggle between Jeju and Okinawa from a (female’s) historic perspective of suffering can be a repetition of the violence of the nation’s memories in the region, and it is a fact that memories of Jeju and Okinawa can be even more enriched when remembered as an outcry that expressed independent choices and autonomous wills without targeting the languages of women and other minoriti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