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ffects of Structure and Sputtering Parameters on the Device Properties of Tin-Oxide Thin-Film Transistors

        서한별,배병성,방효인,윤의중 한국물리학회 2018 THE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Vol.73 No.3

        We investigated the device properties of sputter-deposited tin-oxide (SnO) thin-film transistors (TFTs) in which the SnOx active layers were deposited by using a SnO sputtering target. The developed SnO-TFTs had a bottom-gate staggered or coplanar structure, which used a heavilydoped Si wafer as a gate electrode and 300-nm-thick SiO2 as a gate dielectric layer. The TFTs with SnOx thin-films deposited using a high radio-frequency (RF) power of 100 W, a very high working pressure of 20 mTorr, and an oxygen ratio of 0% revealed n-type characteristics. The coplanar SnOxbased TFTs showed better n-type characteristics than the staggered ones, which was attributed to the good quality of the sputtered damage-free SnOx films. On the other hand, the staggered TFTs with SnOx deposited at a low RF power of 50 W, a low working pressure of 4 mTorr, and an oxygen ratio of 12% exhibited p-type characteristics, which included an onset voltage (Von) of-1.5 V, a saturated hole mobility of 39 cm2/Vs at gate-to-source voltage (VGS) = −10 V, a sub-threshold swing of 1 V/decade at VGS − Von = −0.5 V, and an on/off ratio of 1.1 × 102. We believe that our results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p-type SnO-based TFTs with good performance.

      • KCI등재

        교사들의 능력주의 신념이 체제 정당화 신념과 사회정의 옹호 교육에 미치는 영향 -90년대생 초등 교사를 중심으로-

        서한별,손준종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22 敎員敎育 Vol.38 No.5

        연구목적 본 연구는 90년대생 초등 교사를 중심으로 교사의 학교 능력주의 신념이 사회체제를 정당화하는신념과 사회정의를 옹호하는 교육 실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전국 10개 시⋅도의 초등 교사 406명의 응답을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학교 능력주의 신념 및 체제 정당화 신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확인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두 변인이 사회정의 옹호 교육 실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중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분석 결과, 90년대생과 다른 연령대 교사 모두 학교 능력주의 신념이 높을수록 체제 정당화신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연령대 교사들은 정치적 성향이 학교 능력주의 신념에 영향을 미치는반면, 90년대생 교사의 학교 능력주의 신념은 정치적 성향을 포함하여 다른 개인적 특성의 영향을 받지않았다. 또한, 다른 연령대 교사들에서 경제 체제 정당화를 매개로 학교 능력주의 신념이 높을수록 사회정의옹호 교육이 낮아지는 매개효과가 나타난 반면, 90년대생 교사들에서는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고 학교능력주의 신념이 높을수록 사회정의 옹호 교육이 높아지는 직접효과만 나타났다. 결론 교육에서 공정성의 원리로 여겨지는 능력주의 신념이 현재의 지배적 체제를 합리화하는 체제 정당화신념과 관련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90년대생 교사들의 학교 능력주의 신념이 체제 정당화를 통하지않고 사회정의 옹호 교육을 증진시키는 것은 능력주의 신념을 통해 체제 정당화 동기가 발현된다고 하여모두 불평등한 사회구조를 정당화하는 결과로 이어지는 것이 아닐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교사들이교육적 신념으로 능력주의의 어떠한 가정을 지지하는지 분별함으로써 그들의 학교 능력주의 신념이 불평등한 구조가 아닌 정의로운 교육을 옹호하는 가치 규범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논의한다.

      • KCI등재

        범죄피해자의 신고와 경찰의 조치 및 검거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문화적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서한별,황의갑 대한범죄학회 2019 한국범죄학 Vol.13 No.2

        This study assesses the effects of the sociocultural factors of the Behavior of Law Theory by Donald J. Black on crime victimization report, police action, and police arrest of perpetrators in South Korea. From the viewpoint of the Behavior of Law Theory, the law is a form of social control carried out by the governing body of the state. Sociocultural factors based on the Social Geometric Model included in this study are Vertical Dimension, Morphological Dimension, Organizational Dimension, Culture, and Social Control. This study combined the National Crime Victimization Survey data from 2010 to 2016 conducted by the Korean Institute of Criminology in order to estimate the effects of sociocultural factors on legal behaviors. The dependent variables of this study included crime victimization report, police actions, and arrest of perpetrators.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set up based on four sociocultural dimensions : Vertical Dimension, Morphological Dimension, Culture, and Social Control. Control variables included the use of the perpetrator’s weapon, victim injuries, and the severity of the crim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ge of victim based on the Vertical Dimension variabl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rrest of offenders. Employment status based on the Morphological Dimens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olice actions, the victim-offender relationship (relativ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rime victimization report, and the victim-offender relationship (other relation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olice action. Educational level based on cultural thesis did not appear to be significant on any behaviors of law. Finally, alcohol abuse based on the social control thesis had a significant effects on crime victimization report, police action, and arrest of offenders. Implications for policy and research were discussed based on the findings. 본 연구는 법의 역할과 적용에 대한 회의론적인 시각이 팽배한 우리사회의 분위기 속에서 도널드 블랙이 주장하는 법행동이론에서 제시하는 사회문화요인에 의한 설명이 국내에서도 적용될 수있는지를 검토해보고자 하였다. 법행동 중 선행연구에서 자주 다루는 범죄신고 뿐만 아니라 경찰의 조치와 가해자의 검거까지를 포괄적으로 범주에 포함시켜 법행동의 다각적인 측면을 사회문화적 견지에서 이해하고자 하였다. 도널드 블랙은 법 작용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사회기하학이론으로 접근하여 종적분화, 횡적분화, 조직, 문화, 사회통제 등의 사회문화적 견지에서 설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형사정책연구원의 「전국범죄피해조사」자료 중 2010년부터 2016년 범죄피해 데이터를 통합하여 종적분화, 횡적분화, 문화, 사회통제 등 총 네 가지 요인에 대한 검증을 시도하였다. 분석결과, 종적분화요인으로 피해자 연령은 가해자 검거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횡적분화요인으로 고용상태는 경찰의 조치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고, 피해자와 가해자와의관계가 친인척인 경우와 기타 아는 사람인 경우가 범죄피해 신고는 물론 경찰의 조치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문화가설에 따른 교육수준 변인은 범죄 피해신고, 경찰의 조치, 가해자 검거 중 어느 법행동에도 유의미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반면에 사회통제가설변인 중에서 가해자 음주 여부는 범죄피해 신고, 경찰의 조치, 가해자 검거 모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정책과 후속연구를 위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 KCI등재

        처벌의 공정성에 대한 인식이 법위반 합리화에 미치는 영향 - 형사사법기관에 대한 신뢰도의 매개효과 -

        서한별,황의갑 한국경찰연구학회 2019 한국경찰연구 Vol.18 No.1

        Despite the importance of improving the social atmosphere of law obedience, we do not know much about the factors of citizens’ willingness to obey the law. Based on the procedural justice perspectives, this study assessed the effect of perceptions of fairness of crime punishment on rationalization of law violation among Korean citizens. Our attention has been given to the mediating role of citizens’ confidence in the criminal justice system. The results revealed that perceptions of fairness of criminal punishment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rationalization of law violation. However, perceptions of fairness of criminal punishment directly improved confidence in the criminal justice institutions. Furthermore, perceptions of fair ness of criminal punishment had an indirect effect on rationalization of law violation by improving confidence in the criminal justice system. Implications for policy and future resesear were discussed based on the findings. 국민의 형사사법기관에 대한 신뢰와 법 집행에 대한 공정성 인식이 중요시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형사사법기관에 대한 신뢰도는 물론이고 법 집행 공정성에 대한 인식이 높지 않은 것이 우리사회의 현주소임을 부인하기 어렵다. 그동안의 형사사법기관 인식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경찰 기관에 집중되어 있으며 형사사법기관의 공정성 인식과 준법의식에 대한 경험적 연구는 많지 않다. 본 연구는 절차공정성 이론과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법위반 합리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5대 범죄 처벌과 화이트칼라 범죄 처벌에 대한 공정성 인식으로 제시하고 형사사법기관에 대한 신뢰도가 양자의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한국형사정책연구원에서 진행한 「법집행의 공정성에 대한 국민의식 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5대 범죄 처벌과 화이트칼라범죄 처벌에 대한 공정성 인식이 형사사법기관에 대한 신뢰도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쳤으며 형사사법기관에 대한 신뢰도가 법위반 합리화에 미치는 영향도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5대 범죄 처벌과 화이트칼라 범죄 처벌에 대한 공정성 인식은 법위반 합리화에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으나 형사사법기관에 대한 신뢰도를 매개로 한 간접적인 효과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 완전매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형사사법기관에 대한 신뢰도가 법위반 합리화에 지대한 역할을 한다는 점과 처벌의 공정성에 대한 인식이 형사사법기관에 대한 신뢰도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간접적으로 역할을 한다는 구조적 관계를 보여주었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정책대안과 후속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논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