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치원 교사의 다문화 교육에 대한 생각

        서정아,엄정애 한국교원교육학회 2011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8 No.2

        본 연구는 외국인 노동자 및 이주민 자녀를 가르치고 있는 유치원 교사를 대상으로 다문화 교육에 대한 교사의 생각을 알아보기 위해 진행되었다. 본 연구를 위한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위치한 다문화 교육 경험이 있는 초등학교병설유치원 교사 6명이다. 연구 방법은 개방형 설 문지를 통한 반구조화 질문을 하였고, 의문이 나거나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은 인터뷰를 병 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다문화 교육 하면 떠오르는 유치원 교사들의 생각으로는 난감함, 당황스러움, 모호함, 부담감 등을 이야기하였고, 다문화 교육을 실시했을 때 좋은 점으로는 유아들이 다양성을 느낄 수 있다는 것, 서로의 차이를 인정하고 존중할 수 있다는 것, 다문화 배경을 가진 가정의 유아에 대한 이해심이 많아진다는 것을 이야기하였다. 다문화 교육을 위 한 지원책으로는 다문화 교육에 대한 직전 교육의 확대, 다문화 교육에 대한 현직 교육의 확 대, 다문화 교육 전문가 양성 및 파견, 교사와 다문화 가정간의 의사소통 지원, 다문화 교육 관련 자료의 개발, 다문화 교육과 관련한 지역사회와의 연계 등을 이야기하였다.

      • KCI등재

        영화에서 빛의 현상학, 그 나타남에 관한 연구

        서정아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7 현대영화연구 Vol.13 No.4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aning of light and the philosophical thought in the film through the transition from metaphysical thought to light phenomenon. We will examine how the conversion of thinking about light affects the way of existence of images. In the movie, light has played a role as a symbolic, dramatic, and background effect, whether it is natural scenery or artificial lighting. The metaphysics of light(sacredness, transcendence, the symbol of truth) was the dominant thinking in many films, from silent films to sound movies. Plotinus’ metaphysics and the aesthetics of light in the middle age are situated in this perspective. Metaphysical thought understands light as the fundamental principle of all the phenomena that explain the world. This image of light is regarded as a representative image for the understanding of narrative, and establishes a logical and rational ordering world as a part of meaning system of discourse. However, Dreyer’s Ordet(1955) considers light as a matter of nature and recognizes light as a manifestation of God as light aesthetics, while at the same time explaining light materially and consider a light as a figural. It also splits up the logical semantics of the narrative by imposing contradictory meanings which can not be interpreted as an iconographic method. This explains way in which images of light are not included in the film narrative. Ferrara’s King of New York(1990) reveals conversion of thinking about light in that it perceives light as a material matter, not a mental reality. Light as a material is a physical activity such as wavelength and intensity, movement and diffusion, fullness, void, and permeability, and is a process of movement. Since light is phenomenal, this research is to acquire the analyse the process of light, not semantics. The analysis of the process of meaning reveal the coexistence of heterogeneous images : an iconographic image composed of customary images of the genre, the process of mouvement of images described irrelevant to film narratives, the virtuality of the image, the process of phenomenological(dwell, anxiety, death experience) revealed by the spatiality and planarization of light and by penetrability of light to the body. The material internal movement of light is due to the sudden appearance of non-representative and non-material elements, which can not establish a systematic and integrated discourse, resulting in discontinuity, cracking, and discontinuity. It also reveals the heterogeneous way in which images exist. The heterogeneous way of being is not just coexistence. Heterogeneous images exist in a multi-layered way by supplementing narrative narration, being independent of narrative, anticipating unrealized events, or exposing concealment. Therefore, the way in which heterogeneous images exist can not be defined. This is the way the image exists, and the ‘phenomenology of appearance’ that material images reveal. Research on the phenomenology of light leads to constant reflection on the creative process of film images. 본 연구는 빛의 형이상학적 사유에서 현상학적 사유로의 전이과정을 통해 영화에서 빛의 의미와 철학적 사유와의 상관관계를 고찰한다. 또한 빛에 관한 사유의 전환이 이미지의 존재방식에 어떻게 작용하는가를 밝히려 한다. 영화에서 빛은 자연풍경이든 인위적인 조명이든 상징적, 드라마적, 배경효과로서의 분위기의 역할을 했으며, 무성영화부터 유성영화에 이르기까지 많은 영화에서 빛은 형이상학적으로 사유되었다. 즉, 빛은 신성성, 초월성, 진리로, 어둠은 악, 죽음 등을 상징하는 것으로 인식되었다. 이러한 사유에는 플라톤과 플로티누스의 본질론적 형이상학이 자리하고 있다. 형이상학적 사유는 빛을 존재의 근본원리로 이해하고 실체론적으로 인식함으로써 동일성의 원리에 의해 세계를 설명한다. 빛에 관한 이러한 형이상학적 사유는 영화에서 빛의 이미지의 의미화signification를 추구한다. 즉, 빛을 서사이해를 위한 재현적인 이미지로 간주하여, 통합적인 담론의 부분적인 구성요소로 편입시켜 영화이미지의 논리적, 합리적인 질서의 세계를 구축한다. 그러나 드레이어의 <오데트>(1955)는 빛을 본질론적으로 사유하여 빛의 미학처럼 빛을 신의 현현으로 인식하면서도 동시에 빛을 질료적으로 해석하여 빛에 관한 형상론적인 사유를 열고 있다. 또한 도상해석학적으로 해석할 수 없는 모순적인 의미를 빛에 부여함으로써 서사의 논리적인 의미체계에 균열을 일으킨다. 이를 통해 재현체계에 포함되지 않는 빛의 이미지의 존재방식에 대해 사유하고 있다. 아벨 페라라의 <뉴욕의 왕>은 빛을 정신적인 실체가 아니라 물질적인 질료로 인식한다는 점에서 <오데트>의 연장선상에 있다. 그러나 빛의 이미지에 본질론적인 의미를 제거하고 빛의 의미화가 아닌, 질료적인 빛의 의미생성 과정에 주목한다. 질료로서의 빛은 파장과 강도, 이동과 확산, 충만과 텅 빔, 투과성 등 물질적인 활동이며 내적 운동에 의한 움직임이다. 빛의 물질적인 내적 운동은 서사와 독립적으로 이미지들의 의미망을 생성한다. 이러한 빛의 의미생성 과정에 대한 분석의 결과는 이질적인 이미지들의 공존이다. 장르의 관습화를 따르지만 파편적 이미지들이 도상해석학적 방법으로 인물의 성격화를 형성하거나, 사건과 무관한 영화이미지의 본질(빛과 이미지의 물질적인 토대와의 관계, 이미지의 가상성)을 반성하거나, 발생할 사건을 예고하는 이미지의 잠재성(virtuel)을 일깨우거나, 인물의 공간과 신체에 투사된 빛이 존재론적 ‘분위기’를 형성하여 실존적 상황을 현시하거나 한다. 활동의 과정에 놓인 빛의 이미지는 비재현적, 질료적 이미지들을 갑작스럽게 출현시키고 서사와 독립적으로 형상체계를 구성하여 일관적, 체계적인 담론체계가 아닌 단절, 균열, 비연속성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의 이질적인 존재방식을 드러낸다. 이질적인 존재방식은 단순한 공존이 아니다. 이질적인 이미지들은 서사를 보충설명하거나, 서사에 독립적이거나, 실현되지 않은 사건을 예고하거나, 은폐된 것을 드러내는 식으로 다층적으로 존재한다. 그 때문에 이질적인 이미지들의 존재방식은 규정할 수 없는 것이다. 이것이 빛의 이미지에 대한 분석으로부터 도출된 이미지의 존재방식이며, 물질적인 이미지들이 현시하는 ‘나타남의 현상학’이다. 빛의 현상학에 관한 연구는 영화이미지의 창조적인 발생과정에 대해 끊임없이 성찰하도 ...

      • 청소년 빅데이터 체계 구축 및 활용방안 연구

        서정아,성윤숙,송태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0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 대상 빅데이터 체계 구축의 가능성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체계 구축을 위한 제안점을 도출함으로써 청소년 빅데이터 체계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함은 물론 정형 빅데이터와 비정형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한 분석을 시도함으로써 청소년관련 이슈에 대해 어떻게 예측이 가능한지를 확인해 보고 청소년빅데이터 체계가 추후 청소년관련 미래변화나 정책수요를 예측하고 위험요소를 조기 발견, 예방하는데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등에 관한 구체적 방안을 도출,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 국내 · 외 문헌 고찰, 빅데이터 분석방법론에 관한 콜로키움, 외국의 빅데이터 체계 구축 및 활용 사례 검토, 청소년 핵심 온톨로지 개발, 빅데이터 체계 구축, 활용 방안 등에 대한 전문가 자문, 전문가 심층면접, 전문가 설문조사, 정책협의회 등을 활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가 심층면접 결과 청소년 빅데이터가 실질적으로 다루어야 할 사안과 관련하여 응답자들은 크게 생애설계적 관점과 생애수정적 관점을 강조하였다. 둘째, 전문가 설문조사 결과 공공 영역 빅데이터 사용시 불편하거나 개선했으면 하는 사항으로 개인정보 보호로 인한 접근의 제한성이 37.5%로 가장 많았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 빅데이터 체계 구축 방안 및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ossibility of establishing a big data system for adolescents, derives suggestions for establishing a system based on the results, and then presents basic data for the establishment of a big data system for adolescents. It also seeks to identify how it is possible to predict important youth-related issues through analysis using structured big data and unstructured social big data. The study then proposes specific measures on how a big data system for adolescents can be used to predict youth-related changes and policy demands in the future, detect risk factors in early stages, and proactively prevent further danger. To this end, a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review, big data analytics colloquium, foreign big data system establishment and utilization case studies, youth-centered ontology development, professional advice on big data system establishment and utilization, expert in-depth interviews, expert surveys, and policy conference were all used as research method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in-depth interviews with experts, respondents placed an emphasis on life design and life modification perspectives with respect to the issues that the big data for adolescents should deal with. Second, the expert survey results showed that the restriction of access due to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accounted for the highest proportion among matters which are inconvenient and need to be improved when using big data in the public sphere, at 37.5%.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proposed methods to establish a big data system for adolescents and its subsequent utilization measures.

      • 사회자본이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서정아,조흥식,장주희,이재연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2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본 연구는 청소년 학교적응에 가족 사회자본과 지역사회 사회자본이 미치는 영향력에 주목한다.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0 2차년도 데이터의 중1패널(중학교 2학년에 해당)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 사회자본은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지역사회 사회자본은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에 들어가기 앞서 학교적응, 사회자본에 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청소년의 학교적응과 가족 사회자본, 지역사회 사회자본의 위계적 관계를 규명하고자 HLM 7.0 for Window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위계적 선형모형 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학교적응에 대한 가족 사회자본의 효과를 살펴본 결과 방임을 적게 경험할수록, 학대를 적게 경험할수록, 부모가 자녀의 친한 친구들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잘 알수록 자녀가 학교에 더 잘 적응함을 알 수 있었다. 통제변인과 관련해서는 아버지의 학력이 높을수록 자녀가 학교에 잘 적응하였다. 둘째, 학교적응에 대한 지역사회 사회자본의 효과를 살펴본 결과 공동체의식이 높은 지역사회일수록 청소년이 학교에 더 잘 적응하였다. 통제변인과 관련해서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아버지들의 평균 학력이 높은 지역사회일수록 청소년들이 학교에 잘 적응하였다. 셋째, 가족 사회자본과 지역사회 사회자본을 동시에 살펴본 결과 가족 사회자본과 관련하여 방임을 경험한 경우가 적을수록, 학대를 경험한 경험이 적을수록, 부모가 자녀의 친한 친구들에 대해 관심을 가질수록, 지역사회의 공동체의식 수준이 높을수록 청소년이 학교에 잘 적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논의 및 정책제언을 실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family social capital and community social capital on youth’s adapting to school. By utilizing the second year data of the 1st year of middle school panel from Korea Youth Panel Survey 2010Data,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linear model analysis were conducted successively on 2056 second-year middle school students living in 93communities, an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xamined. First, what influence does family social capital exert on youth’s adapting to schools? Second, what influence does community social capital exert on youth’s adapting to schools? First, 6.1% of the entire variables of school adaptation were explained by the differences in communities, and the remaining 93.9% were explained by the differences among the individuals. Second,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effects of family social capital showed that the less neglect the students experienced, the less abuse the students experienced, the better the parents knew about their children with the greater interest, the better their children adapted themselves to school. Third,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effects of community social capital showed that the higher the community spirit the communities had, the better the young students in the communities adapted themselves to school. Fourth, the results of examining family social capital and community social capital at the same time showed that, in relation to family social capital, the less neglect the students experienced, the less abuse the students experienced, the greater interest the parents had in the close friends of their children, the better the young students adapted themselves to school. And in relation to community social capital, the level of community spirit was still found to exert positive effects on young students’ adaptation to school.

      • KCI등재

        중학생의 물리량 어림 능력과 논리적 사고력의 상관 관계

        서정아,조광희 한국물리학회 2010 새물리 Vol.60 No.2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어림 능력과 논리적 사고력 사이의상관 관계를 조사하고 어림 능력을 논리적 사고력의 관점에서분석하였다. 어림 능력 평가 문항은 총 24문항의 차수 어림 문항이었다. 평가 문항의 물리량은 길이, 질량, 부피, 속력이었으며 물리량별로 각각기본 어림 4문항과 페르미 어림 2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논리적 사고력평가를 위하여 GALT 축소판을 이용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 지역의중학교 3학년 남학생 84명이었다. 연구 결과, 물리량별 기본 어림 능력의정답률은 길이, 질량, 속력, 부피 순이었다. 페르미 어림의 정답률은전체적으로 기본 어림의 정답률보다 낮았다. 기본 어림 능력을 인지 발달수준별로 비교하였을 때 형식적 조작기 학생들의 기본 어림 능력이구체적 조작기나 과도기의 학생들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어림 능력과논리적 사고력 사이에 상관이 있었는데, 특히 기본 어림 능력과 변인통제 논리 사이의 상관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 연구를 통해 학생들의어림 능력이 논리적 사고력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어림과제 풀이가 학습자의 논리적 사고력 형성에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발견하였다.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abil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to estimate physical quantities and their ability to think logically. The estimate-ability questionnaire consisted of 24items about the physical quantities such as length, mass, volume,and speed. Each quantity was assessed by using four basic estimate problems and two Fermi problems. For the investigation of logical-thinking ability, a reduced GALT version was used. Eighty-four ninth graders in the Seoul area participated in this survey. From the result, we found that students got the highest score when estimating the length, followed in order by mass, speed,and volume. The scores on the Fermi problems were lower than those on the basic estimate problems. In solving basic estimate problems,students with formal thought ability did significantly better than those with lower cognitive development stages. In conclusion,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basic estimating ability and logical thinking, especially control of variables in reasoning. We discussed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청소년정책 대응 방안 연구

        서정아,성윤숙,홍순구,권일남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1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본 연구는 코로나 19 사태 등 국가재난 상황이 청소년과 청소년이 처한 환경을 급격하게 변화시켰으며 청소년정책 및 서비스체계의 기존운영, 정책 방향을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변화, 적응시켜야 할 당위성과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는 점에 근거하여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진취적, 선제적,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청소년정책 패러다임 변화 방향과 비전을 제시하고, 국가재난 상황과 변화하는 미래에 능동적으로 적응 변화하는 증거기반적 청소년 정책 대응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방법으로 포스트코로나와 청소년정책에 관한 이론적 고찰, 정책분석방법론 콜로키움 개최, 외국사례 및 국제기구 사례 검토, 비정형, 정형 빅데이터를 활용한 정책 의제 도출, 청소년 설문조사, 청소년 현장 및 학계 전문가 심층면접 등을 활용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하향식(Top-down) 청소년정책 위주에서 상향식(Bottom up) 청소년정책 확대로의 변화, 미래의 중요한 키워드로써 상호간의 ‘협력’ 강조, 위기로 체득된 경험의 체계화, 제도화, 청소년정책 추진과 관련하여 국가, 지자체, 현장, 지역사회가 해야 할 일에 대한 숙고를 통한 명확한 역할 분담, 쇼크 독트린(shock doctrine)의 포스트코로나 시대로의 지속 지양, 미래를 기술 중심으로 바라보는 시각의 한계 지각: 지향점이 아닌 수단으로써 과학기술, 데이터 기반 행정으로의 전환 등을 제안하였고 정책적, 실천적 측면의 세부 정책과제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presented a direction and vision of the youth policy paradigm that proactively, preemptively, and actively responds to the age of post-COVID-19 and an evidence-based plan for youth policies that are adaptively changing in the face of national disaster and the future. It is based on the fact that national disasters, including the COVID-19 pandemic, have rapidly changed the youth and their lives. The study presents that it should be necessary and imperative for the existing direction of youth policies and the service system to be proactively transformed and adapted. The research methods employ theoretical reviews on post-COVID-19 and youth policies, holding a policy analysis methodology colloquium, reviewing the cases of foreign countries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drawing policy agendas using unstructured and structured big data, surveys on the youth, and in-depth interviews with field and academic experts. Based on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it suggested various to-do lists and detailed policy tasks in the practical aspect: the change from top-down youth policy to bottom-up youth policy, emphasis on mutual “cooperation” as important keywords in the future, systematization and institutionalization of experiences learned through crisis, clear role sharing of state, local governments, field, and community by seriously considering their missions in terms of youth policy promotion, preventing shock doctrine from continuing in the post-COVID-19 era, recognizing the limits of viewing the future as technology-oriented, technology as an instrument rather than a goal, and transition to a data-based administ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