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식조리사의 해외진출 가능성에 대한 연구

        배혜진,정희선 숙명여자대학교 건강·생활과학연구소 2009 生活科學硏究誌 Vol.- No.26

        The objective ofthis study is to provide a basic material for introducing new career course for Korean chefs trained in traditional Korean cuisine. In the survey, the most popular reason for wishing to go overseas was to have a chance to work abroad, while a lecturer at traditional Korean cooking institution topped the responses for a desired job when getting a job abroad. The survey also revealed that Tokyo, Japan was the most popular foreign city for employment by the student chefs specializing in the field. The most common response for choosing a specific foreign country was because I have much interest in the country and want to live there. The survey illustrated that the most required area in the training courses for traditional Korean cuisine chefs wishing to venture overseas was Development and Training on the Korean food menu and diet to suit foreigners tastes and the most preferred form of teaching was a comprehensive class which includes theory, demonstration, practice and sampling. According to the survey, the most preferred training course was an all-inclusive one, comprising of certification course, overseas event participation and overseas field trip. The survey also revealed that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taking a course was enthusiastic teaching style and preparedness by the lecturer.

      • KCI등재

        대학 글쓰기 진단평가의 실제와 수업 적용 사례 - 비대면/대면 수업의 피드백을 중심으로

        배혜진,전은경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1 리터러시 연구 Vol.12 No.5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diagnostic assessment can lead to effective writing education considering actual cases that ran non-face-to-face/face-to-face writing curricula using the writing basic competency diagnostic assessment developed by K University. K University has diagnosed and assessed basic writing abilities of freshmen through a writing basic competency diagnostic assessment targeting freshmen since the first semester of 2020. According to the writing basic competency diagnostic assessment, in the first and second semester of 2020, “spacing” got the highest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followed by “spelling,” “sentence,” “summary, thesisstatement, paragraph,” and “vocabulary.” It was found that students lacked an understanding of basic writing concepts, such as “summary, thesis statement, paragraph, and vocabulary,” compared to language norms, and failed to apply these to writing. One-time writing basic competency diagnostic assessment has no educational effect. Therefore, K University systematized writing lessons, based writing basic competency diagnostic assessment results to motivate students.They then provided feedback about each item(spacing, spelling, sentence, summary, thesisstatement, paragraph, and vocabulary) for students to improve writing skills on their own. Lastly, they managed diverse curricular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such as an item pool, apost-diagnostic assessment, and a writing clinic so students could improve basic abilities by on their own and become confident about writing. 본 연구에서는 K대학교에서 개발한 글쓰기 기초학력 진단평가 결과를 활용하여 비대면/대면 글쓰기 교과목을 운영한 사례를 통해 진단평가가 효과적인 글쓰기 교육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보이고자 하였다. K대학교에서는 2020학년도 1학기부터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글쓰기 기초학력 진단평가를 실시하여 신입생들의 글쓰기 기초능력을 진단하고 평가하였다. 2020학년도 1, 2학기 글쓰기 기초학력 진단평가 결과 ‘띄어쓰기 > 맞춤법 > 문장 > 개요, 주제문, 문단 > 어휘’ 순서로 정답률이 높게 나타났다. 어문규범에 비해 ‘개요, 주제문, 문단, 어휘’와 같은 글쓰기 기초 개념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글쓰기에 적용하지 못한다는 확인할 수 있었다. 글쓰기 기초학력 진단평가를 일회성으로 시행하는 것은 교육적 효과가 없다. 따라서 K대학교에서는 먼저, 글쓰기 기초학력 진단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글쓰기 수업을체계화하여 학생들에게 학습 동기를 부여하였다. 다음으로 각 항목별(띄어쓰기, 맞춤법, 문장, 개요, 주제문, 문단, 어휘) 피드백을 진행하여 학생들 스스로 글쓰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문제 은행, 사후 진단평가, 글쓰기 클리닉 등 다양한 교과/비교과 활동과 연계하여 학생들 스스로 기초 능력을 향상시키고 글쓰기에대한 자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하였다.

      • KCI등재

        통계적 문제해결 과정 관점에 따른 초등 수학교과서 통계 지도 방식 분석

        배혜진,이동환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16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20 No.1

        본 연구는 통계적 문제해결 과정의 관점에서, 우리나라 초등 수학교과서의 통계 영역 지도 방식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통계적 문제 해결의 4단계 중에서 자료 분석 단계에 대한 집중도가 심한 것으로 드러났고, 문제 설정과 자료 수집, 결과 해석 단계의 비중이 매우 저조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토대로 초등 수학교과서의 통계 영역 교과서 개발과 관련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tatistical units of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upon on the statistical problem solving process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qualitative improvement of developing curriculum and teaching materials. This study analyzed the statistical units from the textbooks of 1st to 6th year along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 analysis frame is based on the 4 phases of the statistical problem solving process: formulate questions, plan and collect data, present and analyze data and interpret data.

      • KCI등재

        대구 지역의 ‘신방언’ 실현 양상 연구 - ‘오→우’ 고모음화를 중심으로 -

        배혜진 한국방언학회 2016 방언학 Vol.0 No.24

        ‘New dialect’ is a new type of dialect, which differs from the words used among the previous generation and is used among relatively young speakers. ‘o →u’ vowel rising originated from the central area and was a phonological phenomenon with low productivity in the dialect of Daegu, where is a southern area. However, ‘o→u’ vowel rising is being realized productively among the young generation in Daegu, recently. With the collapse of regional disparity, a leveling phenomenon is appearing among dialects and especially, this centers around the young generation. Dialect leveling increases growth potential of new dialect.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generational aspects of realization of ‘o→u’ vowel rising as a ‘new dialect’ appearing in Daegu.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o→u’ vowel rising as a ‘new dialect’ was hardly realized in lexical morpheme, but had high productivity in grammatical morpheme. On the contrary, ‘o→u’ vowel rising was slightly realized only in some lexical morpheme among typical older people. Also, it was productively realized in both lexical morpheme and grammatical morpheme of regional dialect of the central area, where ‘o→u’ vowel rising originated from. The reason why the power of new dialect is spreading and growing in Daegu is because of the hidden dignity of the central dialect and the positive perceptions of ‘o→u’ vowel rising, such as ‘politeness, intimacy, and kindness’. 지역 간 격차가 허물어지면서 방언들 사이에 평준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이는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방언 평준화는 ‘신방언(new dialect)’의 성장 가능성을 높이는 주요한 요인이 된다. 이전 세대에서 사용하던말과 차이가 있는 어형으로 상대적으로 젊은 화자들이 일상어로 사용하는 새로운 방언형을 ‘신방언’이라고 한다. ‘오→우’ 고모음화는 그 개신지가 중부 지역으로 남부 지역인 대구 지역어에서는 생산성이 낮은 음운 현상이었다. 하지만 최근 대구 지역의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오→우’ 고모음화가 생산적으로 실현되는 양상을 보인다. 본고에서는대구 지역의 노년층 화자들과 달리 쓰임이 확산되고 있는 ‘오→우’ 고모음화를‘신방언’으로 파악하고 그 실현 양상이 어떠한지 세대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신방언으로서의 ‘오→우’ 고모음화는 어휘 형태소에서 거의 실현되지않았지만 문법 형태소에서 높은 생산성을 보였다. 대구 지역의 전형적인 노년층에서는 ‘오→우’ 고모음화가 일부 어휘 형태소에서만 미약하게 실현된 것과 차이를 보인다. 또한 ‘오→우’ 고모음화의 원래 개신지였던 중부 지역에서는 어휘 형태소와문법 형태소 모두에서 생산적으로 실현되는 것과도 비교해볼 수 있다. 대구 지역에서 ‘오→우’ 고모음화가 신방언으로 세력을 확산하여 성장하고 있는 것은젊은 세대들이 느끼는 중앙어에 대한 ‘숨겨진 위신(covert prestige)’과 더불어‘오→우’ 고모음화 자체에 대한 ‘[공손, 친근, 친절함]’이라는 긍정적인 인식이작용했기 때문이다.

      • KCI등재

        부산지역 대학생들의 어휘 표준어화와 언어 태도

        배혜진 한국어문학회 2019 語文學 Vol.0 No.144

        This study is to identify in what ways language standardization is developing in view of the standard language-based education and media development that is encouraging a standard language, and the ways in which the language attitudes of speakers using dialects have a continuous and comprehensive influence on the dialects.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134 speakers in their twenties in Busan, who were selected using the judgement sample method. The standardization of Busan dialect vocabulary and their language attitudes were analyzed. The survey showed that out of forty-one dialect vocabulary items related to ‘human body’ and ‘food’ the only items of which over 50% of Busan speakers in their twenties were aware were ‘ko-kku-nyeong, gung-di-i, kko-rang-nae, dan-sul, jeong-gu-ji, and nu-run-bap’. This suggests Busan dialect vocabulary is rapidly being standardized. The survey on language attitudes was conducted to understand how the speakers perceive the Busan dialect and the standard language as a mother tongue dialect, and what kind of attitude they take in selecting languages. Speakers apply intellectual and emotive values towards language. It was found that the speakers in their twenties in Busan belonged to the ‘confidence-type’ with high intellectual and emotive values towards the Busan dialect as a mother tongue dialect. Nevertheless, there is a high rate of standardization of dialect vocabulary, and the disappearance of dialect can be attributed to the standard language-oriented teaching style. To solve this problem, we need to look at the language from an eco-linguistic perspective. 본 연구는 표준어 중심의 교육과 미디어 발달로 인해 표준어의 세력이 강해지면서 표준어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방언을 사용하는 화자들의 언어 태도가 방언에 지속적이고 전체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사실을 확인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이를 위해 판정추출법으로 선정한 134명의 부산지역 20대 화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부산방언 어휘의 표준어화와 그들의 언어 태도를 살펴보았다. 부산지역 20대 화자들에게 ‘인체’와 ‘음식’ 방언 어휘 41개의 의미를 물어보는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인지도가 50% 이상인 방언 어휘들은 ‘코꾸녕, 궁디이, 꼬랑내, 단술, 정구지, 누룬밥’에 불과했다. 이를 통해 부산방언 어휘들이 빠른 속도로 표준어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언어 태도에 대한 설문조사는 모방언으로서의 부산방언과 표준어를 화자들이 어떻게 인지하고 있으며 언어 선택 상황에서 어떠한 태도를 취하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화자들은 언어에 대해 지적ㆍ정적가치를 가지게 되는데, 부산지역 20대 화자들은 모방언으로서의 부산방언에 대한 지적ㆍ정적가치가 높은 ‘자신감형’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방언 어휘들의 표준어화가 높은 비율로 나타나 방언이 소멸되는 것은 표준어 중심의 교육 방식에 그 원인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생태언어학적 관점으로 언어를 바라볼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전공 지식을 활용한 과정 중심 글쓰기 수업 모델 및 사례 연구

        배혜진,권동우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19 리터러시 연구 Vol.10 No.5

        Current general writing classes of colleges aim at process-based writing, but in reality, they are result-oriented, based on sequential writing. This causes a doubt about writing and the writing process among learners. In order to promote sequential writing, which is the essential purpose of process-based writing education in the general writing class, a consideration for a specific teaching model, its design and a practical alternative should be carried. As part of this consideration, this study suggests a process-based writing instruction using the Writing Across of Curriculum. This study aims to demonstrate that the use of knowledge of majors among learners for an academic discourse community makes it possible to attend classes actively and ultimately facilitates a sequential writing instruction, which is oriented in process-based writing education. For achieving this purpose, this study suggests a process-based writing teaching model using the Writing Across of Curriculum, according to the ADDIE model, which is a basic model of instructional design in the ISD model. Moreover, this study verifies that the teaching model using the Writing Across of Curriculum in general writing classes of colleges can lead to sequential process-based writing by showing real application cases in classes. 현재 대학의 교양 글쓰기 강좌는 과정 중심 글쓰기를 지향하면서도 현실적으로는 순차적 글쓰기를 통한 결과중심주의의 경향을 띈다. 이는 글쓰기 학습자들에게 글쓰기와 글쓰기 과정의 필요성에 대한 의문을 낳게 한다. 따라서 교양 글쓰기 수업에서 과정 중심 글쓰기 교육의 본래 목적인 순환적 글쓰기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구체적인 수업 모델과 그에 따른 설계는 물론, 현실적인 대안에 대한 고민이 뒤따라야 한다. 본고는 이러한 고민의 일환으로 전공 지식을 활용한 과정 중심 글쓰기 교육을 제안한다. 본고는 학문적 담화 공동체로 구성된 학습자들의 전공 지식 활용이 능동적인 수업 참여를 유도하고 궁극적으로는 과정 중심 글쓰기 교육에서 지향하는 순환적 글쓰기 교육이 가능함을 보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ISD 모델 중 교수 설계의 기본 모형인 ADDIE 모형에 따라 전공 지식을 활용한 과정 중심 글쓰기 수업 모델을 제시하였다. 나아가 대학 교양 글쓰기 수업에 전공 지식을 활용한 글쓰기 수업 모델이 순환적 과정 중심 글쓰기를 이끌어 낼 수 있음을 실제 수업 적용 사례를 통해 입증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한 자기표현 글쓰기 교육 사례 및 운영 방안 -SNS와 OVP 글쓰기를 중심으로

        배혜진 한국교양교육학회 2021 교양교육연구 Vol.15 No.4

        This study started from recognizing the fact that writing education for self-expression using an online platform is necessary for those university students who have been engaging in routinized, non-face activities due to COVID-19, and who have thus become very familiar with communication via an online platform. As things are, writing education as a university liberal arts subject has limitations for students who are not only familiar with writing in a digital world, so to speak, but who are expected to respond to our rapidly changing society using only traditional writing educational methods.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this study first emphasized the necessity of writing education for self-expression using an online platform that would serve as a window for communication. Secondly, this study proposed cases of writing education for self-expression using an online platform operated as a non-curricular program at University A. Participating students were highly satisfied with the topic of the non-curricular program, the content of the program operation, and the educational method of the program itself. In addition, the students were also highly satisfied with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program after they completed it, stating that their future participation would instill in them a sense of empowerment. These results show that writing education for self-expression using an online platform can contribute to the writing confidence of learners in various communication areas. Also, this study emphasized that non-curricular programs for self-expression using an online platform can be expanded to incorporate traditional university writing subjects, and further presented curriculum and operation plans to operate within current curricular writing subjects.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해 비대면 활동이 일상화되고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의사소통이 익숙해진대학생들에게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한 자기표현 글쓰기 교육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시작하였다. 대학 교양 과목으로서 글쓰기 교육은 변화하는 사회에 대응해야 하는 디지털 원주민인 대학생들에게기존의 전통적 글쓰기 교육 방법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첫째, 디지털 원주민인 대학생들에게 그들의 소통 창구인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한 자기표현 글쓰기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둘째, A대학에서 비교과 프로그램으로 운영한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한자기표현 글쓰기’ 사례를 제시하였다. 참여한 학생들은 비교과 프로그램의 주제, 프로그램 운영 내용및 교육 방법에 높은 만족도를 보였고 나아가 프로그램 참여 후 역량 강화와 활용 가능성에도 높은만족도를 보였다. 이를 통해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한 자기표현 글쓰기 교육이 학습자들의 글쓰기 자신감과 다양한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음을 알았다. 마지막으로,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한 자기표현 글쓰기 비교과 프로그램을 대학 글쓰기 교과로 확장할 수 있음을 강조하고 교과 과목 내에서 운영할수 있는 커리큘럼과 운영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Analgesia; Patient controlled analgesia; Postoperative pain; Risk factors

        배혜진,김주현 기초간호학회 2014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ol.16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Ankle Pump Exercise on lower limb edema and pain of operating room nurses. Methods: This research was arranged on the basis of the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design. The participants were 41 nurses working in the operating room in ‘S’ hospital in Seoul and ‘H’ hospital in Guri City, Korea.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20 to September 30, 2012. Edema of the lower extremities was measured in terms of the girths of ankles and calves. Pain of the lower extremities was measured in terms of VAS (Visual Analogue Scale) for pain. Th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using the chi2(p) and t-test, repeated measures ANOVA, and a paired t-test. The SPSS Win 20.0 program was used for analysis. Results: Hypothesis 1 –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lower extremity edema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 was partially supported. Hypothesis 2 –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lower extremity pain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 was supported.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positive practical effects of the Ankle Pump Exercise in reducing the circumference of both ankles, reducing the circumferential edema of both calves, and alleviating the pain of nurses in the operating room. Based on these findings, application of the Ankle Pump Exercise can be considered as an effective method to prevent nurses’ health problems in the lower extremities that can be induced by their work during surgical operations.

      • KCI등재

        대구 지역 어두경음화의 사회언어학적 고찰

        배혜진,이혁화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0 민족문화논총 Vol.46 No.-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at Word-initial tensification according to age groups, gender groups, social classes, speech styles at Daegu. This study shows that, first, Word-initial tensification has high tendency to be more used by the younger age, but be more used by the older age on specific vocabulary at Daegu. Second, Word-initial tensification has high tendency to be more used by women and casual speech style at Daegu. It is unique to be visible the realization rate where the woman is higher than male, which means that innovator of Word-initial tensification at Daegu is women. Finally, it isn’t a big difference to Word-initial tensification according to social classes. It can be concluded that Word-initial tensification at Daegu is maintained or developed with the homogeneity across various social class. 본 연구에서는 어두경음화의 개신지라고 할 수 있는 남부지방 중에서도 대구 지역의 어두경음화 현상이 세대별, 성별, 사회계층별, 말투별로 어떠한 분포를 보이는지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대구 지역의 어두경음화 현상은 대체적으로 연령이 낮을수록 높은 실현율을 보였지만, 특정한 어휘에서는 오히려 연령이 높을수록 높은 실현율을 보이기도 하였다. 또 대구 지역의 어두경음화 현상은 남성보다는 여성에게서, 형식적인 말투보다는 일상적인 말투에서 높은 실현율을 보였다. 특히 남성보다 여성에게서 어두경음화가 높은 실현율을 보이는 것이 특이한데, 이를 통해 대구 지역 어두경음화의 개신지가 여성임을 알 수 있다. 반면 사회계층에 따른 어두경음화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는데, 이를 통해 대구 지역 어두경음화 현상이 다양한 사회계층에 걸쳐 진행 중에 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