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디그나가의 언어철학

        배경아 한국불교학회 2016 韓國佛敎學 Vol.78 No.-

        Dignāga (ca. 480-540) defines the meaning of a word as a universal concept called ‘the exclusion of others’ (anyāpoha). According to him, verbal cognition is not a means of cognition separate from inference (anumāṇa), because both cognition and inference enlighten us about an object by a process of excluding all contrary particulars. But the theory of anyāpoha isn’t accepted by realists who regard the meaning of a word as the real entity. Kumārila (ca. 600-660) of the Mīmāṃsā School reinterprets Dignāga’s apoha theory on the basis of nonexistence (abhāva) and real elements. According to Kumarila, ‘the exclusion of others’ (anyāpoha) equates to nonexistence. It is not total nothingness because it signifies a certain kind of existence. That is because nonexistence has some other thing as its locus and exists in dependence on it. Some current scholars see Kumārila (ca. 600-660)’s criticism as supporting their philosophy of language. They claim that anyāpoha can not be established without ultimate reality on the basis of Kumārila’s view. They say anyāpoha can not be fundamentally established and has no place in a philosophy of language. This opinion could be accepted under the premise that Kumārila’s criticisms were right. But it remains to be seen whether Kumārila’s criticism is right or not. Because it isn’t appropriate for Kumārila, a realist, to criticize Dignāga, who declared that the real world consists only of absolutely unique individuals (svalakṣaṇa) not the universality called word-ness. (I don’t know what “word-ness” is but maybe that doesn’t matter.) Dignāga thinks that a word, or linguistic item refers to its own object (svārtham) to the exclusion of others (anyāpohena). And the referent is limited by a word as the result of a conceptual accumulation of the sensory components accepted in the totality of worldly discourse. Namely, whether a word or its own object can be described only on the basis of a custom of language. Dignāga never identifies the universality with a real entity. Actually, it is consistent with the general Buddhist view that a word does not denote ultimate reality. Dignāga lays out a logical basis for the position that verbal cognition (śābda) does not recognize a real entity as having an inherent existence. 디그나가(Dignāga ca.480-540)는 언어의 의미대상을 타자의 배제(anyāpoha)라고 하는 보편개념으로 규정한다. 그의 입장에서 언어는 추리의 증인이 그렇듯이 타자의 배제를 통해 대상을 이해시키기 때문이다. 그러나 타자의 배제라고하는 부정적인 논법은 언어의 대상을 실재하는 것으로 보는 인도의 보편실재론자들에게는 용인될 수 없는 것이었다. 실재론적인 관점에 의하면 하나의 언어에 의해 표현될 수 있는 헤아릴 수 없이 많은 개체들에는 그 언어로 표현되어질 만한 공통의 속성이 실재하고 언어는 바로 그 각각의 개체에 실재하는보편적인 속성을 지칭하기 때문이다. 특히 미망사 학파의 대표적인 논사 꾸마릴라(Kumārila ca. 600-660)는 비존재와 실재의 관점에서 디그나가의 아뽀하론을 재해석하고 비판한다. 예컨대 디그나가가 말하는 소가 아닌 것의 부정(apoha)은 말 등의 비존재(abhāva)이고이 경우 비존재가 비실재(avastu)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꾸마릴라에게 비존재란 어떤 장소 혹은 토대에 기반 해서 없다고 인식되는 것이므로 존재의 상대적인 것으로 인식되는 실재이기 때문이다. 결국 디그나가가 ‘소’라고 하는말의 대상으로 상정하는 ‘소가 아닌 것의 배제’는 꾸마릴라의 입장에서는 소의 보편적 특성(牛性)에 다름 아니다. 아뽀하라고 하는 비존재는 보편의 속성을 갖고 하나하나 각각의 소에 내재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한 꾸마릴라에게개념지란 반드시 외계에 존재하는 것을 대상으로 삼기 때문에 타자의 배제라고 하는 비존재, 혹은 소의 보편적 특성(牛性)은 개념에 대응하는 보편으로 외계에 실재한다. 꾸마릴라의 이와 같은 비판은 현대의 몇몇 학자들에게도 여전히 유효한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그들은 꾸마릴라와 마찬가지로 타자의 부정을 비존재로규정한다. 불교에서 말하는 아뽀하론이 비존재인 한 그것은 또 다른 형태의실재일 뿐이고 만일 외계의 대상에 속하는 실재가 아니라면 아뽀하론 자체는무의미해질 것이라는 입장이다. 아무것도 없다면 언어가 지칭할 대상도 없을것이기 때문이다. 그들은 아뽀하론을 꾸마릴라의 견해에 기반 해서 실재론적으로 해석했기 때문에 보편실재론으로 귀결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비판은 꾸마릴라의 디그나가 비판이 옳다는 전제하에서만 성립 가능한 것이다. 실재론자인 꾸마릴라가 비실재론자인 디그나가의 언어철학을 실재론적으로 해석하고 비판하는 것이 과연 타당할 수 있는가 하는점을 다시 고찰해 볼 필요가 있다. 디그나가에게 언어는 타자를 배제하는 부정적인 방식으로 자신의 의미대상을 지칭하고 그 대상은 인간의 언어관습에의해 습득된 언어의 범주 안으로 한정된다. 언어든 언어의 대상이든 모두 언어의 세계에서만 설명 가능한 것이다. 즉 디그나가는 언어가 대상을 지칭하는부정적인 방식과, 한정하는 것과 한정되는 것의 범주를 언어의 세계에 국한함으로써 어떠한 실재성의 가능성도 용납하지 않았다. 사실 언어가 궁극적인 진리를 지칭할 수 없다는 것은 불교의 일관된 입장이다. 디그나가는 ‘타자의 배제’라고 하는 보편개념을 통해 언어지가 완전히 독립적이고 개별적인 대상을인식할 수 없다는 것을 분명히 함으로써 그 선언의 논리적인 근거를 제시한것이다.

      • KCI등재

        3D 게임에서 '비행' 행위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 연구 : 3D MMORPG Aion을 중심으로

        배경,김규정,김인섭 한국게임학회 2012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Vol.12 No.6

        본 연구는 3D게임의 완성도와 사용자의 플레이 욕구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몰입요소들 중 사용자 이동시스템을 서비스하고 있는 게임에서 이동수단의 하나인 '비행' 행위에 따른 사용자의 심리적 반응을 분석하였다. 게임 내 이동시스템 종류인 포탈, 탑승물, 소환, 추적 등의 사용자 이동 구도를 살펴보고, 비행시스템이 존재하는 게임에서 사용자들에 미치는 영향과 기준을 통해 Aion 게임을 대상으로 객관적인 설문통계 방법을 이용하여 비행 이동이 사용자들에게 심리적으로 미치는 영향과 요인들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렇게 분석된 결과를 토대로 게임에서의 비행 이동이라는 요소, 각 게임 별 비행 이동시스템 구조와 각 배경그래픽이 게임 사용자의 심리적 행동이나 반응 요소, 사용자가 게임 속 가상세계의 지형에 따른 비행을 하고 싶은 충동성, 비행 시스템에 대한 사용자의 의존성 그리고 비행과정에서의 비행 행동과 배경이 되는 가상세계의 표현 수준에 따른 몰입감(沒入感) 등의 특징을 밝혀낼 수 있었으며, 이용시간, 연령층, 레벨에 따라 비행행동 반응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research aimed to analyze the way of how flying movement system and background graphic in MMORPG, which provides movement system, influences on users' psychological behavior in order to enhance user's participation and the completion level of 3D game. This research also analyz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user's response to the flying movement and other movement structure in game such as things to board, summons, portal, chase, and etc. With this comparative analysis, this study could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er's desire to fly according to the virtual world' topography in game, the necessity of flying movement for fast movement, the dependence of user on flying system, the immersion according to behavior in process of flying, and expression level of virtual world, and etc. The survey through the case research of MMORPG Aion selected for this research showed flying movement system can have suitable quality by applying users' playing time and absorption in flight process, users' impulse following game level, and users' need to fly as a convenience of flying properly.

      • 생태학적 지각이론의 공간적 특성을 반영한 재활공간설계

        배경,김영석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08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0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healthcare facilities as ecological architecture. The physical environmental health of human mainly depends on the quality of architectural natural environment. so it is very important to prepare rehabilitation landscape environment on the healthcare setting. this study proceeds to search planning factors of healthcare facilities in ecological architecture through study of Ecological Theory of Perception. It also explain the important of ecological planning methods, and suggest a way of architectural planning oh healthcare facilities in future, through the study of the feature and analysis of application methods. The future rehabilitation hospital should provide reduction of the effect on environments, increasing amenity, rehabilitation landscape. To create healthcare facilities ecological is essential not only to human but also human survival.

      • KCI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