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SCOPUS

        하수슬러지의 농경지 이용

        최의소,박후원,원목 ( Eui So Choi,Hoo Won Park,Won Mok Park ) 한국환경농학회 1995 한국환경농학회지 Vol.14 No.1

        Utilization of municipal sewage sludge(MSS) for agriculture was reviewed in this paper. Sewage sludge applied to rice and corn resulted in higher products of grains which showed lower heavy metal contents at an application rate of 20 to 80 dry ton/㏊ than the cases without sludge application. Most of heavy metals and nitrogen applied remained in soil. Our MSS could be classified as a high-quality sludge with regards to US 503 sludge rule, but this sludge could not be applied under our current regulations, which must be reviewed at intra-governmental levels.

      • KCI우수등재

        도시폐기물의 성상과 생분해정도에 따른 에너지회수공정의 비교

        최의소,박후원,Choi, Eui So,Park, Hoo Won 대한토목학회 1991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11 No.2

        본 연구는 도시폐기물의 성상을 이용하여 에너지회수공정 선택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행되었다. 폐기물은 서울시 강동구 지역에서 채취하여 물리적조성과 화학적조성이 조사되었으며, 혐기성소화실험을 통해 폐기물내의 생물학적 분해불능물질함량을 결정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폐기물의 탄소함량, 수소함량 및 저위발열량은 다음식에 의해 계산되어질 수 있었다; C=0.57VS, H=0.084 VS, HI=49.5VS-(6-0.045 VS)W. 또한 폐기물내의 생물학적 분해불능물질함량은 가연성물질의 58.9%, 전체폐기물의 77.7%로 나타났다. 폐기물의 처리공정중 무게감량이 가장 큰 것은 소각이며 에너지생산량은 연료생산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에너지회수공정의 결정시는 폐기물의 연중 발열량변화, 매립지 확보문제 및 추가환경오염여부등의 제반조건이 충분히 고려되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vide basic data to be necessary for the selection of an energy recovery proces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municipal solid wastes(MSW). The samples were collected at Kangdong-Ku in Seoul and conducted ultimate and proximate analyses. Laboratory scale anaerobic digesters were operated to determine the non biodegradable fractions of the wast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carbon and hydrogen contents, and lower heating values could be calculated from the volatile contents of MSW by the following equations : C = 0.57 VS, H =0.084 VS, and HL=49.5 VS-(6-0.045VS) W. Nonbiodegradable fractions were respectively 58.9% of volatile matters and 77.7% of MSW. Incineration and refuse derived fuel(RDF) processes appeared to be the most efficient processes in terms of weight reduction and energy recovery, But determining the energy recovery processes, the fluctuations of heating values of MSW throughout a year and available landfill site and secondary pollution should be considered.

      • KCI등재

        생활하수의 영양염류 함량에 관한 연구

        최의소,미경,박후원,이호식 ( Eui So Choi,Mi Kyung Park,Hoo Won Park,Ho Sik Lee ) 한국물환경학회 1992 한국물환경학회지 Vol.8 No.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and characterize the nutrient generation rates from domestic water use. The generation rates per capita per day were 8.9 gr T-N and 1.7 gr T-P of which 85% was contributed by nightsoil. It was estimated that the amount of nutrient reached to a municipal plant served by separate sewer system was 5.4 gr T-N/ Capita/d and 0.74 gr T P/Capita/d which were respectively 62% and 44.5% of the amount measured from sources. The proposed nutrient concentrations at municipal plants were 15㎎ T N/ℓ and 3.5 ㎎ T-P/ℓ with combined sewer system, and 27 ㎎T-P/ℓ and 3.8 ㎎ T P/ℓ with separate sewer system.

      • KCI등재
      • KCI등재

        반연속 흐름 2단 토양 컬럼에서의 사염화 에틸렌(PCE)의 혐기성 환원탈염소화

        안영호,최정동,김영,권수열,박후원,Ahn, Young-Ho,Choi, Jeong-Dong,Kim, Young,Kwon, Soo-Youl,Park, Hoo-Won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6 지하수토양환경 Vol.11 No.2

        실험실 규모의 반연속 흐름 2단 토양컬럼을 이용하여 사염화에틸렌(PCE)에서 에틸렌으로의 혐기성 환원 탈염소화 반응특성을 조사하였다. 국내의 TCE로 오염된 현장에서 토양을 채취하여 컬럼 반응조에 충진하고, lactate(전자공여체 그리고/혹은 탄소원으로서)와 PCE를 함유한 현장 지하수를 컬럼 반응조로 주입하였다. 운전초기 약 50일 경과기간 동안 유입 lactate와 PCE의 질량비는 620:1이었는데, 이때 PCE에서 cis-DCE로의 불완전한 환원성 탈염소화가 관찰되었다. 그러나 유입 lactate와 PCE의 질량비를 5,050:1로 증가시킨 두번째 운전기간동안 PCE에서 ethylene로의 완벽한 탈염소화를 관찰할 수 있었는데, 이는 초기 운전기간 동안의 적절한 전자공여체의 공급의 중요성을 보여 주었다. PCE에서 cis-DCE로의 탈염소화율은 $0.62{\sim}1.94\;{\mu}mol$ PCE/L pore volume/d이었고, cis-DCE에서 ethylene으로의 탈염소화율은 $2.76\;{\mu}mol$ cis-DCE/L pore volume/d으로 나타났다. 전체 시스템에서의 PCE에서 ethylene으로의 전환율은 $1.43\;{\mu}mol$ PCE/L pore volume/d이었다. 본 실험에서 PCE에서 cis-DCE로의 분해단계에서 수소의 농도는 $10{\sim}64\;mM$, 그리고 cis-DCE에서 에틸렌으로의 분해단계에서 수소의 농도는 $22{\sim}29\;mM$이었다. 본 연구에서의 이러한 긍정적인 실험 결과는 본 연구에서 조사된 TCE로 오염된 지하수의 현장 생물학적 복원을 위해 혐기성 환원 탈염소화 공정의 적용 가능성을 보여준다. Anaerobic reductive dechlorination of tetrachloroethylene (PCE) to ethylene was investigated by performing laboratory experiments using semi-continuous flow two-in-series soil columns. The columns were packed with soils obtained from TCE-contaminated site in Korea. Site ground water containing lactate (as electron donor and/or carbon source) and PCE was pumped into the soil columns. During the first operation with a period of 50 days, injected mass ratio of lactate and PCE was 620:1 and incomplete reductive dechlorination of PCE to cis-DCE was observed in the columns. However, complete dechlorination of PCE to ethylene was observed when the mass ratio increased to 5,050:1 in the second operation, suggesting that the electron donor might be limited during the first operation period. Dechlorination rate of PCE to cis-DCE was $0.62{\sim}1.94\;{\mu}mol$ PCE/L pore volume/d and $2.76\;{\mu}mol$ cis-DCE/ L pore volume/d for that for cis-DCE to ethylene, resulting that net dechlorination rate in the system was 1.43 umol PCE/L pore volume/d. During the degradation of cis-DCE to ethylene, the concentration of hydrogen in column groundwater was $22{\sim}29\;mM$ and $10{\sim}64\;mM$ for the degradation of PCE to cis-DCE. These positive results indicate that the TCE-contaminated groundwater investigated in this study could be remediated through in-situ biological anaerobic reductive dechlorination processes.

      • KCI등재

        부유물질 포함 시료의 총 유기탄소(TOC) 분석을 위한 시료 전 처리 방법에 대한 연구

        김소희 ( So-hui Kim ),박후원 ( Hoo Won Park ),정현미 ( Hyen-mi Chung ),정동환 ( Dong-hwan Jeong ),허진 ( Jin Hur ),신현상 ( Hyun-sang Shin ) 한국환경분석학회 2016 환경분석과 독성보건 Vol.19 No.2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pretreatment on TOC measurement for samples containing high concentration of suspended solid organics.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in various treatment conditions (ultrasonic type and sonication time, dilution ratio and particle size for sieving etc.) with influents and effluents of eight sewage and/or livestock manure samples having a range of suspended soil (SS) concentrations (10~6,500 mg/L). At TOC concentration range over 200 mg/L, the probe-type sonicator (for 5 min in 200 mL) was more effective in reducing particle sizes of SS and increasing measured TOC value, compared to bath-type one (for 60 min in 2.0 L). TOC of the samples sieved by particle size of 200 μm was 10~20% higher than that of 100 μm, but similar to that of 300 μm, which suggest that either of 200 or 300 μm in size for sieving could be applied. Dilution of samples followed by sieving produced higher TOC values than the dilution after sieving procedure, and the difference was widen as the dilution ratio decreased (1/50 → 1/200). From the results, we suggest that the pretreatment procedures with ultrasonic crushing, dilution and sieving can effectively be applied to analyze TOC for high concentration of suspended solid-containing samples.

      • KCI등재
      • 관로, 관망 : 하수관거 배출 유형별 오염부하 산정

        하준수 ( Joon Su Ha ),김성원 ( Sung Won Kim ),박후원 ( Hoo Won Park ),재형 ( Jae Hyung Park ),소윤수 ( Yun Soo So ),김영배 ( Young Bae Kim ) 대한상하수도학회 2007 공동추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07 No.-

        한강수계의 효율적인 수질관리를 위해서 보다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추진될 수 있는 중장기적인 기술지원체계의 확립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으며 특히, 하수관거의 배출 형태에 따른 오염부하 및 물수지에 대한 체계적인 검토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천 지역의 처리구역에 포함된 처리 분구별로 연속유량과 건기 및 강우시의 수질조사를 수행함으로서 조사구역의 불명수를 중심으로 하수관거 배출 유형별 오염 부하를 산정하였다. 하수관거 중심의 오염부하 수지 구성요소는 오염발생원 부하, 부정류 유입부하 (I/I)와 유출부하 (SSOs) 및 누수부하와 처리장 유입부하로 고려하였다. 발생원 오염부하는 생활계 오염부하를 기준으로 산출하였으며, I/I 및 SSOs는 실측자료 및 물수지 산정시 도출한 비율을 고려하여 산출하였고 하수처리장 유입부하는 처리장 운영자료를 분석하여 산출하였다. 건기시 분류식 오수관거의 물질수지 산정결과 BOD 기준으로 유입부하가 5,229.7kg/d, 유출부하가 5,548.5kg/d로 유입량이 318.8kg/d 적게 산정되었다. 이는 하수처리장의 유입자료와 실측된 I/I 및 누수 유량과 부하는 2006년의 자료를 사용한 반면 처리구역의 인구현황 및 발생원의 배출부하는 2005년 자료를 사용한 결과 발생된 시간적 오류로 사료된다. 강우시 처리장 유입부하는 누적강우량 10.5mm를 초과 강우사상에 유입한 하수량과 부하를 적용하였다. 강우 유입수에 의한 유입부하는 문헌자료(KEI, 2002)의 EMC 자료를 이용하고 물수지에서 산정된 발생량(7,526 m3/일)을 기준으로 유추하였다. 우기시 분류식 오수관거의 물질수지 산정결과 유입 부하가 5,055.7kg/d, 유출부하가 5,371.0kg/d로 유입량이 315.3kg/d 크게 산정되는데, 이는 발생원의 배출부하에 관련된 오류뿐만 아니라 하수관거에 침전된 퇴적물이 강우에 의해 하수처리장으로 유입되면서 나타난 차이도 반영된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사염화에틸렌(PCE)으로 오염된 국내 4개 지역 지하수 내 생물학적 PCE 탈염소화 활성 및 미생물 군집의 비교

        김영,김진욱,하철윤,권수열,김정관,이한웅,하준수,박후원,안영호,이진우,Kim Young,Kim Jin-Wook,Ha Chul-Yoon,Kwon Soo-Yeol,Kim Jung-Kwan,Lee Han-Woong,Ha Joon-Soo,Park Hoo-Won,Ahn Young-Ho,Lee Jin-Woo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5 지하수토양환경 Vol.10 No.2

        본 연구는 사염화에틸렌(Perchloroethylene) 또는 트리클로로에틸렌(Trichloroethylene)으로 오염된 국내 지하수 내에 국외에서 보고된 환원성 탈염소화 미생물의 존재 유무와 사염화에틸렌의 생물학적 탈염소화 활성도를 평가하였다. 마이크로코즘 테스트(microcosm tests)는 4개의 오염지역(창원 A, 창원 B, 부천 및 양산) 지하수와 다양한 전자공여체 (sodium lactate, sodium propionate, sodium butyrate, sodium fumarate)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단일 전자공여체 와 창원 A 혹은 창원 B 지하수를 주입한 전 마이크로코즘에서 사염화에틸렌 완전 탈염소화 분해 시 발생하는 최종 산물인 에틸렌이 배양 90일 후에 검출되었고, 부천 혹은 양산 지역의 지하수를 주입한 마이크로코즘에서는 배양 90 일 후 시스-1,2-디클로로에틸렌(cis-1 ,2-Dichloroethylene)만이 검출되었고, 염화비닐(Vinyl chloride) 과 에틸렌은 검출되지 않았다. 완전 탈염소화 생분해가 확인된 창원 B 지역 지하수와 불완전 탈염소화 생분해가 확인된 양산 지역 지하수 내 미생물 군집을 비교하기 위해 분자생물학적 방법을 이용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창원 B 지역 지하수의 클론 라이브러리(Clone library)에서 사염화에틸렌 완전 탈염소화 미생물, uncultured bacterium clone DCE47과 매우 유사한 염기서열 클론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양산 지역의 클론 라이브러리에서는 기존의 염화에틸렌 탈염소화 미생물과 유사한 염기서열 클론이 확인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국내 일부 지역의 지하수 내에 사염화에틸렌을 완전 탈염소화하여 무해한 에틸렌으로 분해하는 미생물이 존재함을 확인하였고, 적절한 전자공여체를 공급하는 경우 그 분해 활성도가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는 사염화에틸렌 혹은 트리클로로에틸렌으로 오염된 국내 지하수를 경제적인 공법인 환원성 탈염소화 생물학적 공정으로 복원할 수 있는 기능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라고 사료된다. In Korea,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microbial perchloroethylene (PCE) and/or trichloroethylene (TCE) dechlorination activity and identification of microorganisms involved in PCE reductive dechlorination at a PCE-contaminated aquifer. We performed microcosm tests using the groundwater samples from 4 different contaminated sites (i.e. Changwon A, Changwon B, Bucheon and Yangsan) to assess PCE reductive dechlorination activity. We also adapted molecular techniques to screen what types of known reductive dechlorinators are present at the PCE-contaminated aquifers. In the Changwon A and Changwon B active microcosms where potential electron donors such as sodium propionate, sodium lactate, sodium butyrate, and sodium fumarate, were added, ethylene, an end-product of complete reductive dechlorination of PCE, was detected after a period of 90 days of incubation. In the Bucheon and Yangsan active microcosms, cis-1,2-dichloroethylene (c-DCE) was accumulated without the production of vinyl chloride (VC) and ethylene. Molecular techniques were used to evaluate the microbial community structures in the Changwon B and Yangsan aquifer. We found two sequence types that were closely related to a known PCE to ethylene dechlorinator, named uncultured bacterium clone DCE47, in the Changwon B site clone library. However, in the Yangsan site clone library, no sequence type was closely related to known PCE dechlorinators reported. It is plausible that microorganisms being capable of completely dechlorinating PCE to ethylene may be present in the Changwon B site aquifer. In this study we find that complete PCE reductive dechlorinators are present at some PCE-contaminated sites in Korea. In an engineering point of view this information makes it feasible to apply a biological reductive dechlorination process for remediating PCE- and/or TCE-contaminated aquifers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