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OCR을 이용한 자동차 번호판 인식 시스템

        박혜지(Hye-Ji PARK),이상훈(Sang-Hun Lee),이영학(Yeung-Hak Lee) 한국정보기술학회 2022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Vol.2022 No.12

        광학 문자 인식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을 자동차 번호판 문자 인식에 활용하여 발전된 교통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OCR은 문자 탐지(text detection)와 문자 인식(text recognition)으로 나누어진다. 문자 탐지 과정은 자동차 번호판 문자의 특징을 통해 문자 영역만을 추출하고 문자를 직선으로 정렬하였다. 문자 인식 과정은 노이즈, 저해상도, 색상 등의 간섭 요인을 이미지 필터링으로 최소화한 후, 가공된 번호판 이미지에서 문자로 인식되는 정도가 특정 임계점 이상인 문자만을 추출하도록 설계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자동차 번호판 문자를 탐지 및 인식하는 시스템으로 총 3종류의 번호판을 이용하여 실험을 통해 인식 정확도를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정지한 자동차의 정확도는 81%, 움직이는 자동차의 번호판은 70%, 간섭 요인이 없는 인조 번호판은 92%의 정확도를 나타내었다.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OCR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can be used for license plate character recognition to build an advanced transportation system. OCR is divided into text detection and text recognition. In the character detection process, only the character area was extracted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cense plate characters and the characters were aligned in a straight line. After minimizing interference factors such as noise, low resolution, and color through image filtering, the character recognition process is designed to extract only characters whose degree of recognition as characters from the processed license plate image is above a certain critical point. In this paper, a system for detecting and recognizing vehicle license plate characters was tested on three types of license plates and the recognition accuracy was compared.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accuracy of a stationary car was 81%, the license plate of a moving car 70%, and an artificial license plate without an interference factor obtained an accuracy of 92%.

      • KCI등재

        어선원의 자아존중감,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박혜서 ( Park Hye Seo ),현미열 ( Hyun Mi Yeul ) 한국간호과학회 정신간호학회(구 대한간호학회정신간호학회) 2016 정신간호학회지 Vol.25 No.4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examine the relation of self-esteem, stress, social support, and quality of life on fishermen`s and to identify factor influencing quality of life.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120 the fishermen`s who trained at the sailors educational institution located in Busan, Korea.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 quality of life show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tress.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 that significant variables influencing the quality of life are stress, self-esteem, social support, and job satisfaction. And these variables explained 62.7% of the varience in quality of life. Conclusion: The study results suggest that stress is the main factor influencing fishermen`s quality of life and therefore a variety of interventions designed to lower stress levels are needed. In addition, comprehensive programs that can increase the levels of fishermen`s self-esteem, social support, and job satisfaction need to be implemented.

      • KCI등재

        위탁아동 친부모의 자녀위탁보호에 대한 의미 탐색 -van Manen의 현상학에 근거하여-

        박혜지(Park, Hye ji),이정화(Lee, Jeong hwa) 한국아동복지학회 2021 한국아동복지학 Vol.70 No.1

        본 연구는 자녀를 위탁가정에 맡긴 친부모들을 대상으로 자녀위탁의 의미에 대해 탐색하기 위해 실시되었으며, 가정위탁 보호체계에 진입해 있는 사례 중, 자녀 위탁 기간이 2년 이상이고, 연구 참여에 자발적으로 동의한 참여자 7명을 최종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참여자들과의 면담내용에서 결집된 의미 단위들을 중심의미로 구성하고, 이를 다시 드러난 주제, 본질적 주제로 범주화한 후, van Manen(2015)이 제시한 4개의 실존체, 즉 몸성, 공간성, 관계성, 시간성 차원으로 나누어 기술하였다. 결집된 본질적 주제는 “몸성: 부서진 패잔병, 덫으로부터의 탈출”, “공간성: 외딴방에서 나의 영토 건설, 외면과 애정의 긴장”, “관계성: 핏줄의 야누스적 역할, 동전의 양면인 면책지대, 애증의 삼각관계”, “시간성: 자식의 흔적 붙잡기, 망각의 게으름을 일깨우는 아이, 희망의 그림 그리기”로 명명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위탁아동의 친가정 복귀에 대한 규정 마련, 친부모 역할의 명시적 정립, 친부모-자녀 간 질적 시간 확대를 위한 예산 지원, 친부모에 대한 체계화된 교육 프로그램 제공, 친가정 복귀 시 정착금 지급, 그리고 친가정 개입을 위한 아동보호 전담요원과 가정위탁센터 간의 긴밀한 협력 등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meaning of foster care for biological parents who have entrusted their child to foster families. Among the cases in the foster care system, seven biological parents who have more than two years of entrustment period for their children and voluntarily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Central meanings were developed through the semantic units collected in interviews with the participants. After the units were categorized as an exposed topic and an essential topic, they were then described in terms of the four real entities presented by van Manen(2015): ‘Lived body, Lived space, Lived human relation, and Lived time.’ The essential topics are named as follows: “Lived body: broken remnants; escape from the trap”, “Lived space: construction of my territory in the solitary room; tension in avoidance and affection”, “Lived human relation: Janusian role of the blood relationship; the immunity zone-sides of the coin; love-hate triangle”, “Lived time: catching traces of their children; a child who awakens the laziness of forgetfulness; drawing a picture of hope.” Based on the results,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regulations for the return to birth family, explicit establishment of biological parental roles, budget support to expand quality time between biological parents and their children, structured education programs for biological parents, resettlement funds upon returning home, and close cooperation between child protection workers and the foster care center for birth family intervention.

      • 인터넷 기사 분석을 통한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인식의 변화추이와 영향요인 분석

        박혜랑 ( Park Hyerang ) 고려대학교 정보문화연구소(구 고려대학교 언론연구소) 2017 커뮤니케이션 科學 Vol.33 No.1

        통일은 우리민족의 숙원이다. 통일 이후 마주할 사회혼란을 줄이기 위해서 우리나라 국민이 북한주민에 대해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고, 이러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 파악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11-2015년 기간 동안 인터넷에 업로드 된 북한이탈주민 관련 기사로부터 남한의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인식과 인식의 변화 경향을 파악하고, 이러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분석결과에 나타난 특징은 1)북한이탈주민 관련 기사에서 긍정단어보다는 부정단어의 사용이 많았으며, 2)북한이탈주민은 정치분야의 기사에서 가장 빈번하게 언급되고 있고, 3)기사에서 부정단어가 많이 나타나는 경우는 남북한 간의 정치적 문제가 발생한 시기에 집중되어 있었다는 점이다. 이 연구의 분석결과는 많은 선행연구와 마찬가지로 한국사회에서 북한이탈주민과 북한정권을 동일시하는 경향이 있고, 북한과의 정치적 관계가 한국사회의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는 통일 이전에 남북간의 화해와 협력관계의 설정과 유지가 통일 후 안정적인 국가의 유지에 중요한 과제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The greatest problem after re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will be the integration of two societies. To minimize the future social confusion it might be important to find the factors that affect the South Koreans’ negative perception to the Nort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outh Koreans’ impressions to the North Korean defectors settled in South Korea and to find the influencing factors to the impressions. The frequency of positive and negative words used in the online press during 2011 to 2015 was analyzed. The online news articles are categorized to 4 groups-political, social, international and cultural issues- and analyzed separately.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articles on North Korean defectors, negative words were used more than positives. Second, the defectors are most frequently mentioned in the political field. Third, negative expressions were concentrated at the time of the political conflicts between the two Korea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establishment and maintenance of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the two Koreas during the pre-unification period can be an important key to a stable nation after unification. It was discussed that the ways to establish the systems for the peaceful coexistence of two Koreas.

      • KCI등재

        탈북청소년교육 연구동향

        박혜랑(Park Hyer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4

        2000년대 이후 가족단위 탈북의 증가와 함께 국내 학교 재학 탈북청소년의 수 도 점점 증가하고 있지만, 탈북청소년들은 아직도 학교생활을 해 나가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탈북청소년의 교육관련 연구는 학업성취 등 일부 주제에 편중되어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관련 연구의 추이와 동향 파악은 향후 탈북청소년교육관련 연구의 방향 설정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탈북청소년교육 관련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그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탈북청소년교육의 연구주제는 ‘학교’와 ‘학습’이 전체 연구의 절반 이상 차지하고 있었으며, 연구방법으로는 질적연구 방법의 비중이 양적연구보다 압도적으로 높았다. 탈북청소년교육 주제에 양적연구와 질적연구가 균형있게 수행되기 위해서는 교육부나 국책연구소에서 관련 자료를 수집하고, 공개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탈북청소년의 교육문제는 더이상 학교나 교육만의 문제가 아닌 여러 사회적인 주제들과 연결되고 있어서 교육 이외 분야에서의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Since the 2000s, the number of North Korean migrant students has increased in South Korea. But North Korean migrant adolescents still face difficulties in school. The result of analysis of research trend in North Korean migrant students’ education will provide som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on North Korean refugee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 analyzing researches related to education of North Korean migrant adolescents. School and learning were the topics which accounted for more than half of the whole study. The proportion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overwhelmingly higher than that of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Educational problem of North Korean Migrant adolescents is no longer solely a matter of school but is connected with various social themes, so research in other fields is required.

      • KCI등재

        코로나19 유행에 따른 보건소 진료량 변화분석

        박혜기 ( Hyeki Park ),양유선 ( Yu Seon Yang ) 대한보건협회 2021 대한보건연구 Vol.47 No.3

        연구목적 : 한국은 코로나19 유행기간 동안 보건소의 건강증진사업과 진료서비스를 긴급히 축소하고 의료진을 방역 업무에 배치하였다. 이 연구는 코로나19 대응이 보건소의 진료제공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8년 12월부터 2020년 8월(85주)까지 국민건강보험과 의료급여 청구 자료를 사용하였다. 코로나19 유행 전, 확산기, 회복기의 세 단계를 기준으로 단적절 시계열 분석을 시행하였으며, 지역별 차이를 확인하기 위한 시도별 하위 그룹 분석 또한 수행되었다. 주요결과 : 코로나19의 발생(β: -64,448, P value <0.0001)과 확산(β: -7,346, P value: 0.0003)이 보건소 이용량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료량은 사회적 거리두기를 완화한 시점에(β: 27,650, P value: 0.0176) 증가했으며, 이후에도 점차 증가했다(β: 8,507, P value <0.0001). 결론 : 코로나19 유행에 따라 보건소에서 의료 서비스 제공량이 감소했으며, 유행이 약화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완전히 회복되지 않았다. 이는 보건소의 의료제공에 공백이 존재했음을 의미하며, 보건소의 주요 이용자인 취약 계층을 위한 지원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Background : In the Republic of Korea, medical personnel at the Public health centers (PHCs) were urgently deployed to the quarantine while the healthcare projects and medical treatments are scaled back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impact of COVID-19 response on the number of visits at PHCs. Materials and methods : The Republic of Korean National Health Insurance and Medical Aid claims data between December 2018 and August 2020 (85 weeks) were used. Interrupted time series and segmented regression model was conducted for statistical analysis by three stages (pre-wave period, the spreading period during the wave and recovery period). Subgroup analysis was performed based on the regions. Results : The results showed that the outbreak (β: -64,448, P value < 0.0001) and the spreading (β: -7,346, P value: 0.0003) of COVID-19 decreased the number of visits. The volume increased when the social distancing was eased (β: 27,650, P value: 0.0176), and gradually increased (β 8,507, P value < 0.0001). Conclusion : In conclusion, the COVID-19 pandemic decreased the volume of healthcare services at PHCs. However, it was not fully recovered again despite the weakening of the prevalence, implying that the vacuum of healthcare has existed at PHCs. The findings suggest the importance of alternative supports for healthcare for the vulnerable, who are the main user of health centers.

      • KCI등재

        하브루타 학습법을 활용한 온라인 토론이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박혜서(Park, Hye-Seo),오윤희(Oh, Yun-Hee),이정은(Lee, Jung-Eun),임연길(Lim, Yeon-Gil) 한국웰니스학회 2021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6 No.4

        본 연구는 5주간의 하브루타를 활용한 온라인 토론을 적용한 후 의사소통능력, 자기주도학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교육 프로그램은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하여 질문중심, 친구가르치기, 논쟁중심 하브루타 방식으로 짝을 지어 토론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대상자들은 일 지역의 2학년 간호대학생으로 선정하였으며 2020년 10월에 사전조사하고 5주간 교육 프로그램 진행 후 2020년 12월에 사후조사 하였다. 본 연구에서 하브루타 활용 온라인 토론 전과 후의 의사소통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유의하게 상승하였다. 비록 항목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교육 프로그램 적용 후 사후조사에서 모든 항목이 증가하여 긍정적인 양상을 볼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를 통하여 하브루타를 활용한 온라인 토론은 간호대학생에게 학습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교육방법임을 제시하고 있다. 향후의 연구에서는 교육 프로그램의 장기적인 적용기간, 학업의 정의적인 요소, 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 연구 등을 포함한 연구들이 진행될 필요성을 가지고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he Havruta-based online debate on communication competency, self-directed learning, and academic self-efficacy in nursing students. We used a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Data were collected using structured online questionnaires from November 2020 to December 2020 in 81-second grade nursing college students attending a university in A city. The paired t-test analyzed a difference between pre-and post- Havruta-based online learning. In the result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munication ability and self-directed learning, although it showed a post-intervention increase. However, it had a notable increase in academic self-efficacy. With this result, we hope this study can guide the development of a Havruta-based nursing education program. Also, applying various teaching methods to nursing education programs could be considered to enhance communication competency and self-directed learning for nursing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