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韓國의 三元論的 思惟에 관한 一考

        박태봉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국학연구원 2019 선도문화 Vol.27 No.-

        I will study the SamWon's principles as the Thought structure of the Korean people by studying the origins of Korean culture and thought. I would like to pay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Korean people attach importance to the number of ‘3’. It is assumed that the principle of this SamWon's theory is derived from the geome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circle (π), which is the symbol of the sun, and it is to be revealed through the East and West literature centering on the I Ching(易) of oriental thought. In addition, we have summarized the main characteristics of SamWon's principle in three elements and three levels. In order to formulate the phenomenal system from the one that corresponds to the origin of existence, three elements and three steps are required. By exploring the principles of the SamWon's thought structure inherent to the Korean people, we will expand our understanding of the ideas and culture of Koreans based on them, and the various understandings of the three gods, the three and seven days, the three Taiji, the three times and using in mordern life 한민족 문화와 사상의 원류를 탐구하는 작업으로 한민족의 사유구조로서 삼원론을 고찰하고자 한다. 삼원론의 특성으로 우리 민족이 유독 ‘3(三 )’의 숫자를 중요시한 것에 주목하고자 한다. 이러한 삼원론의 구성 원리는 태양이 상징하는 圓의 기학학적 특성인 원주율(π)에서 유래한다는 점을 가정하고 이를 동양사상의 중심인 易의 이치를 중심으로 동·서양의문헌을 통해 밝히고자 한다. 아울러 삼원론의 주요 특성을 3요소와 3단계로 정리하였는데, 이는 존재의 근원에 해당하는 一物(유·불·선에서는각각 無極而太極, 法身佛, 道)이 현상계를 구성 구현해 내기 위해서는 결국 3요소(3재료, 삼재)와 3단계가 필요하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한민족 고유의 삼원론 사유구조 원리를 규명함으로써 이에 근거한 한민족의사상과 문화 그리고 우리 삶 속에 스며있는 三神, 삼칠일, 삼태극, 삼세번풍습들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현대 생활에 다양한 활용을 넓혀나갈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금강경』과 『도덕경』의 否定 논리 연구

        박태봉(朴泰鳳)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20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83 No.-

        본 논문은 동양사상에서 진리 탐구의 방법의 하나인 ‘부정 논리’를 불가와 도가의 대표 경전인『금강경』과『도덕경』을 통해서 고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진리 추구의 방법론으로서의 부정 논리는 이른바 종교 차원에서는 구체적인 수행론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금강경과의 인연과 대의를 추구하는 원불교의 수행론을 예로 들며 진리 자각 및 실천의 논지를 전개하였다. 일반적으로 동양사상에서는 무극과 태극, 도, 법신불, 심, 공과 같은 궁극적인 실재를 교화과정에서 말과 글로 나타내기 위해서 부득이 ‘비(非), 불(不), 무(無)’ 등의 부정사들을 사용하지 않을 수 없는데, 이처럼 부정의 방법을 사용하여 궁극적인 진리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부정 논리’의 개념적 정의이다. 이러한 부정 논리의 구조는 『금강경』5분의 ‘약견제상비상’과 『도덕경』제1장의 ‘도가도비상도 명가명비상명’에 함축되어 있는데, 이를 통해 부정 논리의 특성이 바로 변증법의 원리에 입각하고 있다는 점과 분별적 인식에 대한 지양으로 진리의 자각 및 진리 추구의 실천을 지향한다는 점이다. 특히 본 논문에서 고찰하려는 부정 논리의 실천 개념으로 ‘솔성(率性)’을 들 수 있는데, 동양사상에서의 부정성은 곧『중용』의 이른바 천명지위성이요, 부정성에 즉한 생활이야말로 솔성의 수행 실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과정이 사유의 진행이요 또 실지상에 있어서 수행의 단계로, 이는 원불교의 수행체계에 잘 나타나 있는데 특히 일원상 게송과 공부의 요도인 삼학을 두어 일상생활에서 수행 실천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부정 논리’가 곧 불가의 진여자성이나 도가의 도에 접근하는 진리추구의 수승(殊勝)한 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negative logic", one of the methods of inquiring truth in Oriental history, through the Buddism and Taoism representative sutra(the Diamond Sutra and Tao Te Ching) that deals with awareness and practice of the ultimate reality. In addition, the negative logic as a methodology for seeking truth is shown as a definite theory of practice at the so-called religious level. In this paper, the theory of carrying out Won - Buddhism, which pursues a connection and cause with the Diamond Sutra, developed the argument of truth awareness and practice. In general, in Eastern thought, we cannot help but use negative language such as ‘not(非), no(不), none(無)’, in order to represent this ultimate reality in words and expressions. The structure of this negative logic is embodied in the "Diamond Sutra" Chapter 5 and "Tao Te Ching" Chapter 1, The structure of negative logic is to find the truth through the process leading to ‘affirmativenegative-positive’. The teaching of Buddhism can be said to be sublimation education from discriminating knowledge to wisdom. In order to dispel this discernment, the second stage, denial, is absolutely necessary. As a characteristic of this negative logic, it can be divided into two kinds of ‘logic of dialectic", ‘awakening and practicing the pursuit of truth". The nature of negative logic is based on the principle of dialectic. The second step(反) of dialectic is negative logic. In addition, this negative logic is not only in the method of truth seeking but also in the process of "development-growth-decline-dismantlement", which is the development process of civilization of Toynbee, and the three steps of "separation-initiation-return" of Campbell"s The Hero"s Journey process And the Gennep passage ritual as a three-step process of separation-transitionincorporation. Especially, in Dangun(檀君) records, the founding myth of Korea, three steps of "separation-transfer-integration" of passage ritual are well shown. The second characteristic of the negative logic is awakening and practicing the pursuit of truth. The negative logic in Zen Buddhism can be said to be the only way to expand the ability to practice Buddhist wisdom in the Bodhisattva way, The negative logic of the Sutra and Tao Te Ching has a practical aspect that enables us to realize the transformation of consciousness and awareness of path in our real life. Won-Buddhism is well represent. This is well shown in the Il-Won-Sang"s gesong(偈頌) of Won-Buddhism. and There is a perfect performance system such as Threefold study(三學). Especially, it is emphasized that the negativity in Oriental history is the so-called "nature of heaven(性)" and the life that is imperative to the negativity is the practice of the living up to Heaven-given nature. It is obvious that the negative logic view of this paper is aimed at achieving the state of unrestricted by making good use of truth, not by making no use of knowing the ultimate reality itself, which is called mind or nature.

      • KCI등재

        동·서양 사상에 나타난 圓의 의미 고찰

        박태봉(朴泰鳳)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8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78 No.-

        본 논문은 원불교의 교명(敎名)에 있는 ‘원(圓)’ 의미를 동·서양 사상을 통해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경전에는 ‘원불교’라 교명(敎名)을 정하면서 ‘원(圓)’의 의미를 분명히 밝혔지만 원의 진리는 드러낼 수도 말로도 표현하기 어려워 인류 정신문화사에서 동·서양에 걸쳐 사용되고 나타난 사례들을 살펴보고 그 의미들을 비교해보는 것도 원의 특성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데 필요한 과제일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원불교경전의 ‘원(圓)’에 중심을 두고 원의 진리가 우주만유의 본원으로서 우주만유를 통해 무시광겁에 은현 자재해 왔으며, 이러한 우주만유에 작용하는 진공묘유의 조화정신인 순환불궁, 원만구족 등 원의 특성을 넓게 드러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동양사상과 철학의 근거인 역의 원리를 중심으로 원의 의미와 특성을 구체적으로 규명하였다. 역의 이치야 말로 우주만물의 생성 변화하는 원리이고 이는 원의 속성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역에서는 ‘천도(天道)를 원(圓)’이라 하여 이를 명확히 언급하고 있다. 천지의 큰 덕인 생(生)을 영원히 반복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원운동을 통해 종(終)하는 데서 다시 시(始)하여 순환하여야 가능하다고 했다. 천지의 운행이 순환운동의 원운동이어야 순환불궁(循環不窮)할 수 있으며 천체에서도 지구를 포함하여 일월성신들이 모두 원의 모양을 띠고 있는 것이다. 서양사상에서의 원의 의미 또한 동양 사상에서 나타난 원의 의미와 유사점이 많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정통학문은 아니지만 서양 비학(秘學)에서 원의 함의는 동양사상과 일치하였고, 심리학 분야에 있어서는 동·서양 사상이 소통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동·서양 사상에 공통적으로 나타난 원의 상징과 쓰임은 원불교경전에서 언급한 대로 우주만유의 본원이자 인간의 본성을 의미하며, 더 나아가 생명의 생성 변화하는 작용면에서도 머무름이 없이 주기적으로 순환하여 생명을 완성시키는 ‘순환론적 생명관’을 나타내고 있다. 결론적으로 하늘이 만물을 낳는 지공무사한 큰 덕이야말로 바로 일원대도의 본체이며, 이 큰 덕을 영원히 작동하는 원만구족한 원의 진리가 천지대도의 정법임을 동·서양 사상에 나타난 ‘원(圓)’의 함의에서 찾을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일상생활에서 지속적으로 원상(圓相)의 원만한 대도를 닮아가고 원상에 합치되는 생활을 하자는 것이 바로 원불교의 신앙이자 수행이 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Won-Buddhism"s Circle" through Eastern and Western thought. While defining the teaching of the "Won-Buddhism" is clear, but it has been poorly supported research widely. The truth of ‘Circle’ can not be expressed or expressed in words, so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cases that have been used in the history of human spiritual culture from east to west. Therefore, in this paper, we try to reveal the true meaning of "Circle" by looking at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the circle of the East and the West, focusing on the "Circle" of Won-Buddhism and the process of creation and change of all things in the universe. To do this, we intend to clarify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the circle based on the "book of Change". This is because it is the changing principle of creation of all things in the universe. In the book of Change, It is made clear that The principle of Heaven is called ‘circle’. In order to repeat birth, which is the great virtue of heaven, forever, it is necessary to circulate through the circle movement again. In other words, the circle emphasizes that the movement is imminent. All of the operations of the heaven and earth are carried out in circular motion, and all the structures of all things are circle, and the forms of the planets including the earth are in the circular form. The symbol and the use of the "circle" in the East and Western thought mean the origin of life and human nature in the essence side, and furthermore, it means the "cyclical life view" in the operation side. In conclusion, the great virtue of heaven that gives birth to all things is the very essence of the truth of the Circle fullness, which operates the great virtue for eternity, can be seen from the implication of "circle". I hope that academic research that broadens understanding of this will be activated.

      • KCI등재

        知訥과 少太山의 생애와 사상 비교 연구

        박태봉 보조사상연구원 2020 보조사상 Vol.56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the Life and Thoughts of the Jinul(1158~1210)and Sotansan(1891-1943). There are many ancient Buddhist priests in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m, but they have brought new breakthroughs through the association for the practice of Buddhist reform. In particular, I can not help but pay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fe and thought of the two people. I can see that I can find the spirit and ideas that connect with each other while deeply researching them. Jinul is a Korean Buddhist with a history close to 1700. It is one of the two major mountain ranges of Korean Buddhism together with Wonhyo. In this paper, we will focus on the point that the Buddhist reform movement and The Sutra of the Diamond Sutra. Therefore, in this paper, In order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we need a link in various fields. The objective was to focus on objective documents and materials, such as those written directly by the author. As Sotansan promulgated in『Daejonggyeon』in Chapter 10, "Daejongsa said, I have opened many recollections Several(多生), but since this recollection is the biggest one" Since mid-Goryeo, Jinul has tried to clarify the muddy atmosphere of the mission conflict and the covetousness of the world and to preserve Jeong Hye-ssu(定慧雙修) as the principle of execution and to set up the Jeong hye-Association(慧慧結社) to practice it, In order to complete the vow over the past 700 years, to come to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and to open the biggest recollections and to open the Il-Won-sang truth. In the future, I hope that this study will lead to a more logica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fe, seeking for truth and the principle of execution, and the method of execution between the two of them. Because these academic attempts can close to truth which is difficult to explain. 본 논문은 불일보조국사 지눌국사(1158~1210)와 원불교를 창시한 소태산대종사(1891~1943)의 생애와 구도과정, 그리고 주요사상 등을 비교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 불교사에서 기라성 같은 고승들이 많았지만 두 분의 특이점은 불교개혁을 이루고자 결사를 통해 획기적인 새로운 전기를 마련한 점이다. 특히나 두 분의 생애와 사상의 유사점에 주목하지 않을 수 없는데, 두 분의 저술을 천착하면서 상통하는 구도과정과 사상을 찾을 수 있었다. 지눌국사는 1700년에 가까운 역사를 지닌 한국불교에서 원효성사와 함께 한국불교의 양대 산맥이라 할 수 있고, 소태산대종사는 후천문명을 여는 주세불로 신앙되고 있는 분으로 두 분의 연관성을 고찰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분야에서 연결고리가 필요한데 본 논문에서는 특히 개인의 구도과정 보다는 불교개혁의 결사를 한 점과 금강경을 立法으로 정혜쌍수, 돈오점수와 지행일치의 수행체계를 수립한 점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아울러 본 논문에서는 두 분의 저서를 중심으로 객관적인 문헌과 자료를 전거로 삼았다. 소태산대종사께서『대종경』부촉품 제10장에서 언급하신 “내가 다생 겁래로 많은 회상을 열어 왔으나 이 회상이 가장 판이 크다”고 한 것처럼 고려 중반 이후 禪敎 갈등과 현세의 탐욕에 물든 혼탁한 분위기를 정화하고 정법안장 열반묘심을 재현하기 위해 그 수행원리로 정혜쌍수를 제시하고 이를 실천하기 위해 定慧結社를 세운 지눌국사의 대발원이 700여년을 뛰어 넘어 조선 말기 대개벽기에 새로운 주세불로서 가장 큰 회상을 열고 一圓相의 진리를 굴린 소태산대종사로 이어지는 것이다. 앞으로 두 분의 일생과 구도과정 그리고 수행법과 불교개혁을 위한 결사에서의 유사점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져 이에 대한 보다 실증적인 규명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고압 가공송전선로의 극저주파자기장 환경영향평가 방법표준화에 관한 연구

        성애,정준식,태봉,정민주,김부경,이종천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18 환경영향평가 Vol.27 No.6

        극저주파자기장 노출에 대한 사회적 갈등은 계속되는 전력 수요의 증가와 고압송전선로의 증설로심화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그러나 현행 환경영향평가법상 이에 대한 구체적 작성규정이나 지침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극저주파자기장의 주요 발생원이라 할 수 있는 고압 가공송전선로를 대상으로 환경영향평가 사례분석, 현장측정 및 전문가 자문을 통하여 환경영향평가 방법에 대한 표준화 연구를 수행하였다. 극저주파자기장의 환경영향평가의 문제점과 개선해야 할 사항을 도출하고, 이를 반영하여 환경영향평가 방법을 제안하였다. 주요내용으로는 환경영향평가의 현황조사-영향예측- 저감방안마련-사후환경영향평가계획의 각 단계에서 거리와 전류량에 영향을 받는 극저주파자기장의 물리적 특성을 고려한 계획수립 및 결과분석 과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 내용을 기반으로 환경영향평가 실무에 적용시킬 수 있는 ‘전력선에 대한 극저주파자기장 공정시험방법(안)’과 ‘전력선에서의 극저주파자기장 측정기록표’를 마련하였고, 29개 항목의 극저주파자기장 점검표를 작성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극저주파자기장의 장기적 노출에 대한 인체유해성이 불명확한 현 시점에서 송전선로 피해와 갈등을 최소화하고 합리적 방안을 도출하는 환경영향평가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Social conflicts with extremely low frequency magnetic field(ELF-MF) exposures are expected to exacerbate due to continued increase in electric power demand and construction of high voltage transmission lines(HVTL). However, in current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EIA) act, specific guidelines have not been included concretely about EIA of ELF-MF.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a standardization study on EIA method through case analysis, field measurement, and expert consultation of the EIA for the ELF-MF near HVTL which is the main cause of exposures. The status of the EIA of the ELF-MF and the problem to be improved are derived and the EIA method which can solve it is suggested. The main contents of the study is that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ELF-MF affected by distance and power load should be considered at all stages of EIA(survey of the current situation - Prediction of the impacts - preparation of mitigation plan ? post EIA planning). Based on this study, we also suggested the ‘Measurement method for extremely low frequency magnetic field on transmission line’ and ‘Table for extremely low frequency magnetic field measurement record on transmission lin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the EIA that minimizes the damage and conflict to the construction of transmission line and derives rational measures at the present time when the human hazard to long term exposure of the ELF-MF is unclea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