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전학을 이용한 사상의학 임상연구 동향 분석

        박준형,박지은,이슬,이용재,이정윤,Park, Junhyung,Park, Jieun,Lee, Seul,Lee, Yong-jae,Lee, Jeongyun 사상체질의학회 2021 사상체질의학회지 Vol.33 No.3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current clinical Sasang constitutions studies by using genetic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in a better direction of research. Methods Research articles on genetics of the clinical Sasang constitutions studies were extracted from six databases. The articles were classified were published year, published journals, and the types of studies. Subjects of research and experimental methods for the genetic research were summarized. Results A total of 43 selected research articles were published from 1996 to 2020 and more than half of them were published in Journal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and Journal of Korean Oriental Medicine. There were three main types of researches. The three types of researches were for investigating a genetic indicator for classification of Sasang constitutional type, confirming a relationship between pathological gene and Sasang constitutional type, and checking a hereditary of Sasang constitutional type. But these studies did not yield clear results illustrating a relationship between Genetics and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Discussion In this study, the necessity of the follow up studies to demonstrate a relationship between Genetics and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was confirmed.

      • KCI등재

        소나무, 벚나무, 느티나무 단근 후 연고 처리에 따른 발근 비교

        박준형,김지연,권시균,김해랑,권준형,이하림,김다원,마지원,김판기,고상현,김기우,Park, Junhyung,Kim, Jiyeon,Kweon, Si-Gyun,Kim, Haerang,Kwon, Junhyung,Lee, Harim,Kim, Dawon,Ma, Jiwon,Kim, Pan-Gi,Koh, Sang-Hyun,Kim, Ki Woo 한국산림과학회 2019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8 No.2

        본 연구에서는 뿌리 수술과 수목 이식 현장에서 단근 부위에 처리하는 뿌리연고에 대한 상처 반응 및 세근 발달을 3종의 수종에서 비교하였다. 2014년 5월부터 2016년 11월까지 경상북도 상주시에 식재된 소나무, 벚나무, 느티나무 성목에서 직경 2~4 cm에 해당하는 뿌리를 절단하고 상처 부위를 바셀린과 유기질 비료로 연고 처리하여 6개월이 경과한 후, 시료를 채취하여 세근 생장량을 조사하였다. 단근 후 세근 발달은 전반적으로 느티나무와 벚나무에서 우수하였지만 소나무에서는 저조하였다. 세근 생장량은 느티나무에서 단근과 유기질 비료 처리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벚나무에서는 처리별로 뚜렷한 효과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는 단근과 상처 처리에 대한 세근 발달이 수종별로 상이하므로 단근 후 수종별로 처리방법의 세분화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aim of our study was to compare the wound responses and fine root development after root cutting and wound dressing among different tree species. The roots (2~4 cm in diameter) of mature Pinus densiflora, Prunus serrulata var. spontanea, and Zelkova serrata grown in Sangju, South Korea, were cut every 6 months from May 2014 to November 2016. The cut roots were subjected to pastes of vaseline and organic fertilizer. Six months after cutting, fine root development in the cut roots was examined.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fine root development in P. serrulata and Z. serrata; however, the development was rarely observed in P. densiflora. Zelkova serrata showed the highest fine root development among the three species in both the control and organic paste treatment group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fine root development were observed in P. serrulata among the treatment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different tree species exhibit different responses to wound dressing after root cutting, which suggests that specific treatments must be applied to specific tree species.

      • KCI등재

        비만에 대한 음식 공급원별 섭취량의 영향

        박준형(Junhyung Park),곽창근(Chang Keun Kwock),이민아(Min A Lee) 한국농업경제학회 2012 農業經濟硏究 Vol.53 No.4

        Debate over the association between food away from home and obesity has not been resolved yet. Some studies suggested that there are significant effects of different sources of foods on Body Mass Indices, and others refuted the result. Therefore we present new evidence how the male and female obesity are related with the different sources of foods. Our result shows that male obesity is strongly related with quantity of food at home (p < 0.01) and food away from home(p < 0.01) while none of the foods shows relationship with female obesity. Food away from home has significantly higher odd ratio of male obesity prevalence thatn that of food at home. We also found that more energy dense and larger quantity of food away from home cause male obesity. And this result suuports the expansion of nutrition labeling at restaurants.

      • KCI우수등재

        [한국근대Ⅰ] ‘근대’를 포섭한 ‘전통’의 시각과 ‘사실’을 전유한 ‘역사’들에 대한 재고

        박준형(Park, Junhyung) 역사학회 2020 역사학보 Vol.0 No.247

        According to the “Review and Outlook” articles published over the past 10 years, the latest research trend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Criticism on the West-centered perspective, emphasis on the emphasis (oncontinuity between pre-modern and modern times, emergence of the East Asian viewpoint, increased interest in people who have crossed the borders, and the progress of empirical research. The papers reviewed in this study published between 2018 and 2019 also fall into this category. However, this paper deals with somewhat relatively observable features. First, it stresses the point of view of “tradition” and “its modern reinterpretation” and even introduces studies on the notion of “modern” which is involved in “tradition.” Second, it asserts that there is rising interest on how historical events are represented beyond faithful reproduction. Third, there are also attempts to target the researcher him/herself based on questions about the existing historical descriptions. Based on the reviews discussed above, it is suggested that new research themes that reflect the present should be discovered rather than just blindly following the forms of modern historical studies that are deeply entrenched in current history and the modern nation building process.

      • 협업 필터링을 활용한 학사관리 시스템

        박준형 ( Junhyung Park ),최예린 ( Yelin Choi ),이하연 ( Hayeon Lee ),금종민 ( Jongmin Keum ),김영종 ( Youngjong Ki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2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9 No.1

        협업 필터링은 사용자들간의 집단 지성에 기반한 추천 알고리즘이다. 다양한 시스템에 쓰이고 있는 협업 필터링과 그 장단점에 대해서 알아본다. 그리고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학사 관리 시스템에 협업 필터링을 적용한 새로운 학사관리 시스템을 제안한다.

      • KCI등재

        일본 동양사학의 계보와 ‘실증’주의의 스펙트럼 -이케우치 히로시(池內宏)의 ‘만선사(滿鮮史)’ 연구를 중심으로-

        박준형 ( Park Junhyung )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18 한국문화연구 Vol.34 No.-

        본 논문은 이케우치 히로시(池內宏)의 ‘만선사’ 연구를 중심으로 근대 일본의 동양사학의 계보를 재검토한 것이다. ‘전후 조선사학’을 이끈하타다 다카시는 전전의 동양사학, 특히 ‘만선사’를 인간 부재의 역사학이라 비판하고, 나아가 실증에만 천착하는 순수 학문의 존립 가능성에까지 의문을 제기하였다. 이때 대표적 인물 중 하나로 꼽았던 것이 자신의 스승이기도 했던 이케우치 히로시이다. 이케우치를 중심으로 일본 동양사학의 계보를 작성해 보면, 그 시원은 시라토리 구라키치(白鳥庫吉)와 루드비히 리스(Ludwig Riess)를 매개로 랑케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이 계보를 따라 근대 과학으로서의 ‘실증’주의가 일본에 수용되었는데, 시라토리는 랑케의 ‘실증’주의뿐만 아니라 그의 역사철학을 통해 천황제 국가 일본을 국민국가로 진화하는 역사적 존재로 자리매김하고자 했다. 시라토리는 학문에 있어서도 오로지 학문을 위해 탐구를 행하는 순수성뿐만 아니라 국가의 필요에 봉사할 수 있는 실효성을 강조했으며, 이러한 이중적 태도는 일본동양사학의 제2세대인 이케우치와 이나바 이와키치(稻葉岩吉)에게 각각 계승되었다. 즉 이나바는 정세적 요구에 응답하는 차원에서 학문을 수행하려했던 데 반해, 이케우치는 학문의 실효성 자리를 나름의 ‘합리주의’로 대체하면서 자신만의 ‘실증사학’을 발전시켜 나갔다. 하타다 다카시(旗田巍)는 이케우치의 ‘합리주의’를 “일종의 논리학”이라고 비판했으나, 이케우치를 떠나 만철에 입사하여 그가 담당했던 일 또한 실증을 위한 현지 조사였다. 이처럼 ‘실증’주의는 다양한 논의들과 결합하면서 폭 넓은 스펙트럼을 형성하였다. 따라서 ‘실증’주의의 경계는 애매모호할 수밖에 없으며, 그 경계를 긋는 행위 자체가 사실은 정치적일 수 있는 것이다. This article reviews the genealogy of Oriental History in modern Japan, focusing on Ikeuchi Hiroshi(池內宏)’s studies of Manchurian-Korean History (滿鮮史). Hatada Takashi(旗田巍) who led the study of Korean history in post-war Japan, criticized Oriental History which was studied during the pre-war era, especially the specialty of Manchurian-Korean History. Further, he questioned the academic integrity that strives only for actual, empirical proof. Incidentally, it was Takashi’s teacher, Ikeuchi Hiroshi, who he presented as one of the representatives. The origin of Japanese Oriental History’s genealogy centering on Ikeuchi Hiroshi can be traced back to the famous German historian, Leopold von Ranke, through the works of Ludwig Riess and Shiratori Kurakichi(白鳥倉吉). As is well recognized, historical factualism as a scientific approach entered Japan through this genealogical route. By using historical factualism, informed by von Ranke’s historical philosophy, Shiratori tried to position the Japanese Empire as an historical entity that evolved into a nation state. Even from an academic perspective, Shiratori emphasized academic integrity in the study of history to meet the needs of the state in addition to study for purely academic purposes. Shiratori’s dual perspective was passed on to Ikeuchi and Inaba Iwakichi(稻葉岩吉), the second generation of Japanese Oriental History specialists. While Inaba attempted to pursue academic tasks within the context of the political situation, Ikeuchi developed his own factual history by replacing the effectiveness of the academic approach with rationalism. Hatada criticized Ikeuchi’s rationalism as being closer to logic than history, but his work, when he joined the South Manchuria Railway Co., LTD(南滿洲鐵道株式會社), was a field survey completed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empirical proof. In this way, historical factualism, which was combined with various discourses, formed a broad spectrum. Therefore, its boundaries were ambiguous, and the act of drawing those boundaries could be based on political factors.

      • KCI등재

        하타다 다카시와 ‘전후 조선사학’의 가능성

        박준형 ( Park Junhyung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7 人文論叢 Vol.74 No.4

        이 글은 하타다 다카시의 조선사학을 일본의 전후 공간이라는 콘텍스트 속에서 재조명한 것이다. 한국전쟁이 한창이던 1951년에 하타다다카시는 전후 최초의 한국사 통사인 『조선사』를 내놓았다. 이 책의 서문에서 하타다는 전전의 조선사학을 인간 부재의 역사라고 비판하고, 조선민족을 주체로 한 새로운 역사서술을 주창했다. 이는 가해책임의 망각 위에 성립해 있던 전후 일본사회에 국경 밖 타자와의 대면을 촉구하는 목소리이기도 했다. 나아가 하타다는 일본인의 왜곡된 조선관이 야말로 그 실현을 가로막는 근본 원인이라고 보고, 그러한 인식의 기원까지 거슬러 올라가 학문과 권력 간의 유착관계를 폭로하였다. 동시에 그는 권력과 분리된 순수 학문의 존재 가능성에도 의구심을 품었다. 종래 연구자들은 학문의 순수성을 지키기 위해 학문 및 자신으로부터 사상까지 소거했으나, 사상 없는 학문은 오히려 권력과 무책임하게 결합해 갔다. 이에 하타다는 학문과 사상의 통일을 주장했다. 연구자들의 현실사회 복귀와 사회적 책무의 실천을 통해서만 총체적 미래에 대한 전망이 가능할 것이라고 여겼기 때문이다. ‘조선민족’을 역사 서술의 주체로 내세운 하타다의 전후 조선사학은 배타적 내셔널리즘과의 혼동이 우려될 뿐만 아니라, 가해자인 하타다와 피해자인 조선인 사이의 공감 가능성도 계속해서 의심을 받았다. 그러나 역사인식의 패러다임 전환이 요구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하타다의 전후 조선사학도 사후적인 평가를 넘어선 다시 읽기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역사가의 신체성을 받아들이고 스스로를 대상화하는 과정을 통해서야 하타다의 가능성도 재발견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reviews Hatada Takashi’s studies of Korean history in the context of “Postwar” Japan. His first book Korean History, was published in 1951, when the Korean Peninsula was embroiled in war. In his book, Hatada criticized studies on Korean history from the “Prewar” era for not considering “human presence,” and insisted on a new historical description centered on the Korean Nation. He urged the “Postwar” Japanese society that forgot about Japan’s colonial responsibility to acknowledge its victims beyond national borders. Furthermore, Hatada revealed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a and power, and questioned if academics can exist apart from reality. Because the scholars of the “Prewar” era abandoned their thoughts for the goal of protecting academic purity, which only nurtured an irresponsible attitude that could combine with any form of power. Finally, Hatada asserted unification between thought and academics, and attempted to raise social responsibility among scholars by bringing them back to reality. Although Hatada’s studies were not only confused with ex-clusive nationalism, but also suspected of expressing empathy with Korean people, his thought process above will enable a revaluation of his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