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일·중 상호 이해를 위한 문화 다양성 수업 실천 분석 연구 : 인간관계에서의 생활습관 문화를 중심으로

        김다원,허신혜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2012 국제이해교육연구 Vol.7 No.2

        본 연구는 한·일·중 학생들의 가족관계와 친구관계를 중심으로 하는 생 활습관 문화 인식 결과 자료를 활용한 수업 실천 사례 분석이다. 본 수업의 특징은 다음 2가지였다. 첫째, 관용과 배려의 태도를 길러 상호이해의 기반 을 마련하고자 문화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함께 살펴보는 문화다양성 수업으 로 진행하였다. 둘째, 학생들의 일상생활과의 연계성을 높이고 사회적 적실 성을 제고해 줄 문화 요소로서 인간관계와 생활습관 문화를 대상으로 하였 다. 구체적인 수업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 후, 일본과 중국에 대 한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도가 향상되었다. 흥미와 관심도의 향상은 양국에 대한 지적 확장 및 공동의 문제 해결을 위한 심리적 기반이 될 것이다. 둘 째, 문화다양성 교육의 영역을 전통 문화와 산업 관련 생활 모습 중심에서 인간관계와 생활습관 문화라는 일상생활 영역으로의 외연적 확장을 가져왔다. 셋째, 동아시아 지역에 대한 관점의 변화이다. 공통의 문화를 지닌 동 아시아 문화권 지역이면서 동시에 다양한 생활 문화가 발달할 수 있는 지리 적 지역으로서의 인식이다. 이러한 사실은 본 수업이 한·일·중 상호 이해 를 위한 마음의 문을 열어주고 동시에 동아시아 문화 다양성 수업을 위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해 주는 데 의의가 있음을 대변한다.

      • KCI등재

        역량 함양 중심 교육과정에서 지리 지식에 대한 논의: 초・중학교 지리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김다원 한국지리학회 2023 한국지리학회지 Vol.12 No.2

        This study considered powerful knowledge, including geography content knowledge, thinking concept knowledge, and behavior knowledge as the knowledge required in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The contents of the 2022 revised geography curriculum were examined. This resulted in the following results. First, in terms of the contents of the geography curriculum, although it includes learning contents related to some learner experiences in the lower elementary grades, the academic contents of geography were mainly included. Second, in the contents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it was possible to acquire knowledge of the concept of thinking strengthening the process and skills. However,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method of selecting and presenting systematic geographical thinking concepts rather than simply providing learning opportunities for various skills. Third, the 2022 revised curriculum included behavior knowledge objectives. However, there are research tasks to construct behavioral knowledge in connection with contents of geography education and social and personal values.

      • KCI우수등재

        스마트 글래스의 광업 분야 활용을 위한 특징과 적용사례 분석

        김다원,백지은,최선한,손한암,하완수,최요순 한국자원공학회 2019 한국자원공학회지 Vol.56 No.5

        In this study, the features and applications of smart glass for utilization in the mining industry were analyzed. The main and most representative commercial products of smart glass were reviewed based on the existing literature. Moreover, smart-glass applications in various fields, such as health care, tourism, education, and logistics, were analyzed. Although several cases of using virtual- or augmented-reality technology in the mining industry have been reported, no smart-glass applications have been presented yet. Smart glass is a technology that has the potential to dramatically change the work patterns of workers. In the future, when this technology is introduced to the mining industry, it will be useful in improving productivity and safety.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글래스의 광업 분야 활용을 위해 기술의 특징과 다양한 활용사례를 분석하였다. 문헌조사를 통해 스마트 글래스의 원리와 대표적인 제품들의 특징을 정리하였고, 의료, 관광, 교육, 물류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활용사례를 분석하였다. 광업 분야에서는 가상현실이나 증강현실 기술을 활용한 일부 사례들이 보고되었으나, 스마트 글래스를 활용한 사례는 현재까지 발견할 수 없었다. 스마트 글래스는 작업자들의 업무 패턴을 획기적으로 바꿀 수 있는 잠재력이 있는 기술로서 향후 광업 분야에 도입할 경우 현장의 생산성과 안전성 개선을 위해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개인별 책무성 강화에 따른 협력학습의 긍정적 상호 의존성 효과 분석

        김다원 한국교양교육학회 2014 교양교육연구 Vol.8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collaborative learning and to analyze its effect. Positive interdependence is a factor to maximize the benefits of collaborative learning by activating positive interaction between the team members. Thus, I devised a method for forming a positive interdependence. The results are listed below. First, with the analysis on the process of collaborative activities, strengthening the individual accountability of final challenge promoted their enegetic communication between team members and enhanced their interaction. Second, with performing individual accountability, individual role for the final challenge was carried out actively. Third, the result showed that satisfaction on problem solving was very high 88% of the responses and showed that the students were satisfied. The team member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their active accountability performing, the significance and value of collaboration, and the effect of collective intelligence in reviews. In conclusion, strengthening their accountability of team members in the problem solving process of team project is to recognize the positive interdependence and to promote their enegetic interaction between the team members. 본 연구의 목적은 협력학습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방안 모색과 그 효과 분석이다. 긍정적 상호의존성은 팀원 간 긍정적 상호 작용을 활성화하여 협력학습의 장점을 극대화할 수 있은 요인이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긍정적 상호의존성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을 생각하였다. 그 방법으로 최종과제에 대한 개인별 책무성 강화 방법을 활용하였다. 다음은 연구 결과이다. 첫째, 팀원 간 협력적 활동 과정에 대한 분석을 보면, 최종 결과물에 대한 개인 책무성 강화 방식이 팀원 간 적극적인 의사소통과 상호작용을 강화시켰다. 둘째, 팀원들의 개인 책무성 면을 보면, 실험반의 경우 모든 팀원이 공동으로 자료 조사, 의견제시, 그리고 집단지성을 활용하여 과제를 해결해 가는 전체 과제에 대한 개인별 역할 강도가 강하게 작용했음을 보여주었다. 셋째, 팀 과제 해결에 대한 만족도 결과를 보면, 실험반의 경우 88% 학생들이 만족한다는 반응을 보였으며, 팀 활동 후기에서도 개인 책무의 중요성 인식, 협력 활동의 의의와 가치에 대한 인식, 집단 지성 효과에 대한 인식 등 협력학습의 가치와 효과에 대한 긍정적 반응을 풍요롭게 서술하였다. 결론적으로, 팀 과제 결과에 대한 개인의 책무성 강화는 과제 해결 과정에서 팀원 간 긍정적 상호의존성을 인식하게 하여 긍정적 상호작용을 이끌어내는 데 영향을 주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 KCI등재

        21세기 국제이해교육을 위한 홀리스틱 페다고지 모형개발

        김다원,이경한,현덕,강순원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2018 국제이해교육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21세기 글로벌 시대정신을 함의한 틀로 국제이해교육을 재개념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교육현장에 적용 가능한 새로운 홀리스틱 페다고지를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 델파이 조사, 국내외 관계자 심층인터뷰(FGI), 현장 참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일련의 세부연구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는 21세기 국제이해교육을 위한 홀리스틱 페다고지를 다음과 같이 개발하였다. 첫째, 21세기 국제이해교육의 지향점은 ‘글로컬 시민성 함양’이다. 21세기 사회는 세계화의 연장선상에서 그간의 세계화가 다소 일방적인 방향의 영향력이 있었던 데 반해, 오늘날에는 세계와 로컬 간, 지역 간, 국가 간, 개인 간, 시민사회 간 등 다양한 층위에서 상호작용으로 이뤄지고 있다는 특징을 지닌다. 이에 의거하여 글로컬 시민성을 지닌 인간육성에 교육의 목적을 두었다. 둘째, 국제이해교육은 지구시민으로서 세계의 다양한 문화를 포용하고 다양성을 인정, 존중하는 태도, 자연환경과의 상호관계를 인식하여 공존하려는 적극적인 태도와 실천을 강조하는 교육원리를 토대로 삼는다. 이러한 교육을 이끌어내기 위한 방안으로 홀리스틱 교육과 유네스코의 학습 근간 4기둥을 활용하였다. 셋째, 교육영역에서는 세부적인 교육목표와 교육내용을 제시하였다. 세부적인 교육목표는 지식, 기능, 태도와 가치, 행동 영역의 4개 영역으로 설정하였으며, 교육 내용에는 글로컬 기반구축, 글로컬 의식화, 글로컬 이슈의 3개 주제를 설정, 제시하였다. 이러한 3개의 대 주제들을 4개의 학습근간과 연결하여 지역적 상황, 시대적 상황, 학습자 상황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세부주제를 설정하여 교육할 수 있게 유연성과 개방성을 고려한 학습모형을 제시하였다. 넷째, 교수방법에서는 글로컬 시민성 함양에 필요한 능력을 길러내기 위한 전략으로 비판적 사고, 적극적 참여/포용, 협력적 태도, 변혁적 접근 등을 제시하였다. 국제이해교육의 재개념화에 기반한 21세기에 적합한 국제이해교육 실천적 모형 개발은 학교, 평생교육기관 등에서 향후 진전될 국제교류나 글로벌 연대 및 지원활동 및 국제이해교육 자원인사연수를 보다 혁신적으로 접근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nceptualize EIU as a framework having global spirit of the 21st century and to develop a new holistic pedagogy applicable to various education fields.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an extensive literature review, Delphi survey, focus group interview with domestic and foreign EIU experts, and field participation study were implemented. Through this study, we developed a holistic pedagogy for EIU in the 21st century. The followings are the findings and conclusions of this study. First, the aim of EIU in the 21st century is ‘to cultivate glocal citizenship’. Today, globalization is being achieved through interactions on various levels; that is, between world and local, between regions, countries, individuals, and civil societies. Because of this periodical change, EIU in the holistic model employs both global and local (glocal) perspectives in its aim. Second, EIU ultimately aims at cultivating ‘citizens’ who can embrace various cultures of the world, acknowledge diversity, try to coexist with the natural environment through recognizing a mutual relationship. Holistic education and UNESCO s four learning pillars are used for a new practice of EIU. Third, specific educational objectives and contents are presented for the holistic pedagogy of EIU. The educational objectives are set in four areas: knowledge, skill, attitude/value, and action. And the contents of education are developed to include three topics: glocal provision, glocal conscientization, global issues. In addition, a new learning model is presented connecting the three main contents with four learning pillars, and this learning model is designed to have flexibility and openness depending regional situation, time situation and learner s situation. Fourth, as for the teaching approach to cultivate glocal citizenship, critical thinking, active participation/ inclusion, cooperative attitude, transformational approaches are suggested. It is expected that the development of a holistic model for EIU based on the re-conceptualization of EIU in the 21st century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 more innovative approach for international exchange, global solidarity, global supporting activities, and EIU training programs as well as for formal and non-formal school curriculum for EIU.

      • KCI등재후보

        세계시민교육(Global citizenship education)에서 ‘여행’의 교육적 의미 탐색

        김다원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2015 국제이해교육연구 Vol.10 No.2

        Entering the 21st century, the need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has increased according to changes in the global environment. For the better world,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s recognized as an education fostering both attitudes and abilities of living together through the respect for other’s life and culture. So,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should be an education with regard to various geographic environments, the culture of a variety of lives within the environments, and social phenomena. This Study purposes to evaluate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travel’ that makes you experience various geographical environments, social phenomena and cultures of people. ‘Travel’ can lead to the significant educational effectiveness including geographical awareness about place as well as sympathetic communication with other people and the ethical behavior in the fields. The travel can be one activity to look for the inner diversity and lead to positive effect on ‘Think’, ‘Communicate’, ‘Act’ by making specific place-based, issue-based special experience. To make the travel more effective so that we can acquire geographical knowledge, sympathy on society or a cue to solve various problems, the pre-planning for detailed observations, delicate interviews, in-depth research, etc should be prepared in advance 21세기 접어들면서 국제사회의 변화로 세계시민교육의 필요성이 증가하였다. 세계시민교육은 세계의 다양한 사람들의 삶의 문화를 인정하고 존중하면서 공생하며, 더나은 세계를 만들어갈 수 있는 태도와 능력 함양에 목적을 둔다. 그러한 면에서 볼때, 세계시민교육은 세계에 내재한 다양한 지리적 환경과 다양한 삶의 문화, 그리고사회적 현상들에 대한 인식과 이러한 문화와 현상들에 대한 이해, 그리고 궁극적으로더 나은 세계 만들기에의 적극적 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는 태도를 함양하는 교육이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오늘날 시공간을 넘나들면서 다양한 지리적 환경과사회적 현상, 삶의 문화를 접하고 체험할 수 있는 ‘여행’의 세계시민교육적 의의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여행은 여행지에 대한 지리적 인식 뿐 아니라 현지인들과의 의사소통과 교류, 현지 문화에의 감정이입, 그리고 윤리적 행동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영역에서 교육적 효과를 이끌어낼 수 있다. 그리고 여행은 외현적 그리고 일반화된 특성이외에 내적 다양성을 찾아보게 하는 활동일 수 있으며, 특정 장소 기반, 특정 사안기반 특별한 경험을 하게 함으로써 ‘생각하기’, ‘소통하기’, ‘실행하기’를 이끌어내는데 긍정적 효과를 지닌다. 이러한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여행지에 대한 탐색을 통해지역에 대한 지식, 사회와의 공감, 문제해결을 위한 실마리를 얻을 수 있는 여행이되도록 미리 여행계획하기, 여행지에서 세부적인 관찰하기와 같은 활동이 포함되도록해야 한다.

      • KCI등재

        '사실'과 '재현'의 관점에서 아프리카 다시 보기 : 초·중학교 사회 교과서 아프리카 서술 내용을 중심으로

        김다원,한건수 대한지리학회 2012 대한지리학회지 Vol.47 No.3

        This study analyzed the ignorance and prejudice with regard to African culture, which can be seen at the textbook and class course centering the geography class from 1990's to the present, and reviewed critically the related education and learning effects for mutual understanding. This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geographic environment contents, the image regarding huge continent, the local image regarding the various physical environments and the geographical importance as the ancient civilization birthplace were not included in the description. Second, the description regarding the African culture and history was focused to the singular African image, so the fixed concept and distorted image has been rooted into the formation of cultural meta-knowledge. Third, the negative sides rather than positive development and the past backward facts rather than changed status have been emphasized in the description regarding African resources and industry as well, so only the region surrounded with the various problems including poverty and the image as underdeveloped country have been rooted inw the description. Now, real Africa view, an image for a variety of attractive and vibrant Africa rather than the same culture and characteristics of African must be learned in text books. 본 연구는 문화 간 이해, 인종주의적 편견 해소 등과 같은 문제의식에 대해 '사실과 재현'의 관점에서 세계지역 내용 구성 및 내용 서술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초·중학교 사회교과서 아프리카 교육 내용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 자연환경 서술 영역에서는 지리적으로 다양한 장점을 지닌 지역으로서의 이미지를 부각시키지 못하고 있었다. 문화·역사 서술 영역에서는 다양한 민족과 국가로 이루어진 다양성의 아프리카로서의 재현보다는 과도한 일반화와 단순화로 인해 아프리카 문화와 역사에 대한 고정관념과 왜곡된 이미지를 심어주고 있었다. 자원·산업 서술 영역에서는 긍정적인 발전의 모습 보다는 부정적인 측면이 강조되어 재현되었고, 변화의 모습 보다는 정체적이고 낙후된 지역으로서의 이미지를 심어주고 있었다. 이제는 '동일한 문화와 특성을 지닌 아프리카'에 대한 이 미지 보다는 그 안에 살아 숨쉬고 있는 '다양하고 다층적이며 역동적인 아프리카'의 실제 모습을 보거나 떠올릴 수 있는 교육으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지역사회 개선활동을 통해서 본 학습공동체 참여에 대한 질적연구 - 대학생을 중심으로

        김다원 한국교양교육학회 2015 교양교육연구 Vol.9 No.1

        This study aims to look at the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activities that appear in a learning community. Theoretical approach based on Strauss &Clobin (1998),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ere utilized. The primary data for the study conducted in Qualitative Research Activities were obtained through students activities observation, students depth interviews, and 'collaborative learning epilogue' that students wrote after community learning. Through a systematic process of data categorization and data coding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core categories, causal factors, and the final phenomena were derived as a result. Core phenomena of students' community learning activities were active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ve activities between members. Causal factors were passion for solving problems, co-challenges, creative ideas of the team, and the need for collaboration. Students got positive results such as creative problem solving, self-confidence acquisition, and learning the problem solving methods. 본 연구는 우리사회에 늘 발생하는 문제들에 대한 해결능력을 키우는 데 있어서 협업활동과 의사소통능력이 중요하게 역할함을 전제로, 이를 활성화할 수 있는 방법으로 학습공동체 활동을 적용하였으며, 학습공동체 활동 안에서 나타나는 의사소통과 협업활동이 어떻게 전개되는지를 살펴 보았다. 연구 방법은 질적 연구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Strauss & Clobin(1998)의 근거이론적 접근 방법을 활용하였다. 질적 연구 방법에서 연구 진행을 위한 주된 자료 수집은 학생들의 학습공동체 활동 과정 관찰, 심층 면담, 그리고 학생들이 기록한 ‘협력학습 후기’를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은 일련의 체계적인 범주화와 코딩 과정(개방 코딩, 축 코딩, 선택적 코딩)을 통해서 학습공동체 활동에서 나타나는 핵심현상과 핵심현상을 이끌어낸 인과적 요인, 그리고 핵심 현상 이면에 나타난 상호작용 전략, 그리고 학습공동체 활동의 결과적 현상을 발견하여 조직화할 수 있었다. 학생들의 학습공동체 활동의 핵심 현상은 ‘활발한 의사소통’과 ‘구성원 간 협업 활동’이었다. 이러한 현상을 가져온 주된 요인은 ‘과제 해결에 대한 열망’, ‘공동 과제 해결’, ‘팀원의 창의적 아이디어’, ‘협업의 필요성’ 등 이었다. 그 외 공동 과제 수행, 자료 공유, 토의 토론, 역할 분담과 같은 상호작용이 있었다. 핵심 현상인 ‘활발한 의사소통’과 ‘구성원 간 협업 활동’의 결과 학생들은 창의적 과제해결, 자신감 획득, 과제해결 방법 터득과 같은 긍정적 결과를 얻었다. 무엇보다도 이러한 긍정적 결과를 도출하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공동과제해결이었다. 그러므로 학습공동체 활동 활성화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학생들이 공동과제해결에 대한 열망과 노력을 기울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 지리 지식이 타문화 이해 활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김다원,홍승진(토론자)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08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 No.2

        세계 문화에 대한 지식은 여행 관련 엔터테인먼트 전문가로 하여금 고객을 안내하고 고객을 유치하는 데 있어서 아주 효과적인 방법을 제공해 줄 수 있다. 그러므로 사람들이 갖는 여행에 대한 매력과 여행에서 접하게 되는 문화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여행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그리고 사회적 요소들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여행자에게 무엇을 제공해야 하는지에 대한 지리적 분석이 필요하다. 기대되는 여행자의 심리를 잘 이해하고 상품과 서비스를 준비하는 것이 성공적인 여행 엔터테인먼트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세계의 다양한 문화를 올바로 이해하고 긍정적인 태도를 갖도록 하기 위한 한방안으로 지리적 지식의 적실성을 논의해 보고자 하였다. 세계의 다양한 문화를 올바로 이해하고 그 문화가 갖는 의미를 제대로 표현하기 위해서는 해당 문화 발달의 맥락적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맥락적 이해는 문화 발생의 배경과 문화 발달의 과정을 인식하게 하고 문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그 지역 사람들에 대한 이해를 수반하게 된다. 해당 지역의 문화와 인간에 대한 이해는 해당 지역 문화와 사람들에 대한 긍적적인 태도를 형성하게 한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에 의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반응을 중심으로 그간 단순한 여행을 통해서 갖는 해당 지역 문화에 대한 태도와 지리 지식에 의거하여 해당 지역의 문화에 대한 이해와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대상 지역은 중국을 선택하였다. 조사 결과 중국에 대한 단순한 여행이 학생들에게 그 지역 문화의 올바른 이해에 큰 의미를 주지 못했다. 대신 지리적 지식의 인식이 중국 문화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중국 문화에 대한 긍정적 태도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 교통 통신의 발달로 해외 여행이 증가하고 있다. 여행은 여행자에게 뭔가 욕구를 충족해 주어야 한다. 이러한 욕구 충족을 위해서는 여행 전문가나 전문 엔터테인먼트 제작자에 의한 여행자에 맞는 여행 계획, 여행 전 해당지역 문화에 대한 선행 지식, 그리고 여행과 관련한 엔터테인먼트 활동이 마련되어야 한다. 많은 사람들에게 좋은 삶의 질을 상징해 주는 여행이 그 지역 문화를 올바로 이해하고 긍정적 태도를 마련해 주기 위해서는 사람들의 여행 심리를 제대로 파악하고 이에 의거한 여행 엔터테인먼트 활동이 함께 이루어졌을 때 여행의 효과를 극대화하면서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활성화도 기대해 볼 수 있다.

      • KCI등재

        초등 사회과 지리영역 교육과정 변화에 따른 세계지리 내용의 변화 고찰

        김다원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20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8 No.3

        This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ntents of the world geography in the whole geography have increased as the contents of ‘peace and development of the global village’ and ‘sustainable global village’ appeared as independent units. Second, The contents of the world's physical geography were reduced to the topography and climate contents of some national units selected from the topography and climate contents that can be seen at the earth level. Third, In the early days of the curriculum, the whole world was included in the world geography contents, but recently it was limited to countries close to Korea. Fourth, the contents related to global citizenship and global issues were diversified and increased from the international efforts for international peace and our attitude to the international society to global village problems and solutions, sustainable development issues, and efforts for global peace. In this change, we need to discuss the future approach to global citizenship and global challenges based on geographical context. 1차 교육과정에서부터 현행 2015개정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초등사회과 지리영역에서 세계지리의 비중 그리고 세계지리 내용의 변화상을 분석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지리영역에서 세계지리 단원은 현행 교육과정으로 오면서 ‘지구촌의 평화와 발전’, ‘지속가능한 지구촌’ 등이 독립적인 단원으로 등장하면서 전체적인 내용은 증가하였다. 둘째, 세계 자연지리내용에서는 지구차원에서 살펴볼 수 있는 지형 내용은 선정된 일부 국가 단위의 지형 내용으로 변화되었다. 셋째, 교육과정 초기에는 전체 세계지역이 세계지리 내용에 포함되었으나 최근에 들어서면서 우리나라와 가까운 국가들에 한정되었다. 넷째, 글로벌시민성 및 글로벌 이슈 관련 내용은 국제평화를 위한 국제 사회의 노력과 우리의 자세 중심에서 지구촌 문제 및 해결, 지속가능발전과제, 지구촌 평화를 위한 노력에 이르기까지 관련 내용의 다양화와 증가가 있었다. 이러한 변화에서 향후 지리적 정체성 확보와지리적 맥락에 기반한 글로벌 시민성 및 글로벌 과제해결에의 접근 방법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