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동 객체 궤적의 최소경계사각형 영역을 효율적으로 분할하는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박주현,조우현,Park, Ju-Hyun,Cho, Woo-Hyun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7 No.1

        최근, 무선 네트워크의 발달로 인해 이동 객체에 대한 위치 정보를 수집하여 실생활에 활용하는 다양한 위치 기반 서비스의 증가하고 있다. 그에 따라서, 이동 객체의 연속적인 위치를 효율적으로 검색하는 새로운 색인 구조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동 객체의 좌표 사이의 거리가 긴 경우 탐색 공간을 줄이기 위해 효율적으로 분할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궤적의 적절한 분할 위치를 찾아서 평균적인 질의의 크기를 고려하여 형성되는 확장된 최소 경계 사각형(EMBR)의 영역을 이용한다. 추정 분할 방법은 최소경계 사각형을 최소화하게끔 고안되었고 이를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 제안하는 추정 분할 방법이 기존의 방법에 비해서 EMBR의 면적을 더 효율적으로 줄여줌을 알 수 있었다.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wireless network technologies, there have been increasing usage of variouse position base servies. Position based services basically collect position information of moving object for the utilization of them in real life. Accordingly, new index structures are required to efficiently retrieve the consecutive positions of moving objects. In the paper, we consider volume of Extended Minimum Bounding Rectangles(EMBR) to be determined by average size of range queries. We proposed the methode that split efficiently moving object with long distance between location, and split moving object for decrease searching space an Estimated-Split algorithm that minimizes the volume of MBRs is designed and simulated. Our experimental evaluation confirms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our proposed splitting policy.

      • KCI등재

        몽골 버러지역 토양의 중금속 오염 현황 조사

        박주현,박제현,김탁현,연규훈,Park, Juhyun,Park, Jayhyun,Kim, Takhyun,Yeon, Gyuhun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18 지하수토양환경 Vol.23 No.5

        The Boroo area in Mongolia is known to have been contaminated with heavy metals due to irregular gold mining activities and the release of mercury from gold extraction process. Soil and mine tailings were collected to analyze contamination patterns of heavy metals in the Boroo area. Analyses revealed that mercury, arsenic and cadmium concentrations exceeded the regulatory standard of the nation (Mongolia National Standard). In case of mercury, about 80% of the survey area was over the limit and the concentration distribution heavily influenced by influx of mercury through water transport. Soil contamination by arsenic was most severe that the concentration exceeded the regulatory limit in almost entire survey area, showing peak concentrations at nearby streams and river along with ore processing facilities. For cadmium, about 20% of the survey area was over the limit with the concentration distribution similar to that of arsenic.

      • KCI등재

        독서·정보·ICT·디지털 리터러시의 개념화 모델 개발 연구

        박주현,Park, Juhyeon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8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리터러시 및 독서 정보 ICT 디지털 리터러시의 개념을 고찰하고 정의하여 이들 리터러시의 개념적 차이를 통한 독서 정보 ICT 디지털 리터러시의 개념화 모델을 개발하는 데 있다. 동시대의 사회적이고 문화적이며 정보기술의 발전에 따른 현상을 설명하는 개념으로 컴퓨터 리터러시가 등장하였으며, 이후 컴퓨터 리터러시는 IT와 ICT 리터러시로 그리고 디지털 리터러시로 변화되어 왔다. 연구결과로, 매체의 기술적 변화에 따라 용어가 변화되어 온 이들 리터러시를 매체 중심적 리터러시로 분류하였고, 텍스트나 정보를 이해하고 활용하고 평가하는 인지적 과정에 초점을 둔 독서 리터러시와 정보 리터러시를 과정 중심적 리터러시로 분류하여 독서 정보 ICT 디지털 리터러시의 개념화 모델을 개발하였다. 디지털 환경에서도 독서나 정보 리터러시는 매체에서 드러난 텍스트를 비판적으로 사고하고 평가하는 핵심적인 역량으로 독자들의 독서 및 정보 격차를 줄일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더욱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onceptualization models of reading, information, ICT, and digital literacy through conceptual differences of these literacy by reviewing and defining the concepts of literacy as well as reading, information, ICT, and digital literacy. Computer literacy has emerged as a concept that explains the phenomenon of contemporary social, cultural, and information technology development, and since then, computer literacy has since changed to IT, ICT literacy, and digital literacy. As a result of the study, a conceptualization model of the reading, information, ICT, and digital literacy was developed. In this model, these literacy whose terms have changed according to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of media, have been classified as medium-centered literacy. And reading and information literacy that focuses on the cognitive process of understanding, utilizing, and evaluating texts and information is categorized as process-oriented literacy. In the digital environment, reading and information literacy is a core competence to critically think and evaluate the texts that are on media, and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reduce the reading and the information gap among readers.

      • KCI등재

        태국 가구 규모에 따른 가정간편식 소비행동

        박주현,최승균,홍완수,Park, Ju Hyun,Choi, Seung Gyun,Hong, Wan Soo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22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Vol.37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product development and marketing strategies for the Thai home meal replacement (HMR) market, to reflect the changing trends in household sizes in Thailand.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of HMR consumption behavior between single-person households and multi-person households in Thailand were as follows: It was found that single-person households use HMR to save money and for the convenience in cooking and preparation. In the preference by HMR type, multi-person households showed a higher preference for all types of products than single-person households. Thai consumers, regardless of their household size, mainly use department stores and large shopping malls to purchase HMR, and they most prefer to get information through Internet advertisements. The shelf life, quality, taste, hygiene, and freshness of HMR were the main considerations for their sele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Thai market requires the development of HMR products that are reasonable in terms of cost and preparation tim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oducts that can satisfy consumer needs, such as nutritional enhancement and therapeutic foods, products that are organic, eco-friendly, cater to various menus, and address the premium segment.

      • KCI등재

        형우(螢右) 함유(含有) 슬래그 노이(盧理)를 통한 PCB 스크랩으로부터 Au, Ag, Ni의 회수(回收)에 관한 연구(班究)

        박주현,Park, Joo-Hyun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11 資源 리싸이클링 Vol.20 No.4

        고온에서 PCB 처리를 통한 Au, Ag와 같은 귀금속뿐 아니라 Ni과 같은 주요 회유금속을 회수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CaO-$Al_2O_3$(-$SiO_2$) 및 CaO-$SiO_2$-$CaF_2$ 슬래그를 이용하여 Au, Ag, Ni의 회수거동올 관찰하였다. 슬래그 투입 없이 PCB만으로 용융실험을 수행한 결과 PCB는 거의 용융되지 않았으며, 이로부터 유도전류를 이용한 용융을 촉진할 뿐 아니라 유가금속의 회수를 위해서는 Cu와 갇은 적절한 base metal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 PCB/Cu ratio는 1 이하가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CaO-$Al_2O_3$(-$SiO_2$) 및 CaO-$SiO_2$-$CaF_2$ 슬래그를 투입한 결과, $CaF_2$를 함유하는 fluorosilicate계 슬래그가 calcium aluminate계 슬래그보다 융점과 점도가 낮게 제어되었으며, 이로부터 Au, Ag, Ni의 높은 분배비를 얻을 수 있었다. 점도가 낮은 $CaF_2$ 함유 슬래그 적용 시 높은 유가금속 회수율은 슬래그 내에서 각 금속입자의 등속침강속도가 상승하기 때문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Recovery of novel metals such as Au, Ag and Ni from wastes PCB was investigated by slag treatments. The CaO-$Al_2O_3$(-$SiO_2$) and CaO-$SiO_2$-$CaF_2$ slags were employed in the present study. The PCB/Cu ratio is recommended to be lower than unity. The use of CaO-$SiO_2$-$CaF_2$ slag provided the more higher yield of Au, Ag and Ni than the CaO-$Al_2O_3$(-$SiO_2$) slag did, which was mainly due to the lower melting point and the viscosity of $CaF_2$-containing slag. The terminal descending velocity of metal droplets in the slag phase increased with decreasing slag viscosity.

      • KCI등재

        PISA 2018 독서 리터러시 평가틀 분석을 통한 디지털 정보 서비스 방안 탐색

        박주현,Park, Juhyeon,Ranasinghe, W.M. Tharanga Dilruk 한국문헌정보학회 2021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5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PISA 2018 독서 리터러시 개념의 변화를 살펴보고 독서 리터러시 평가틀의 구성요인을 분석하여 학생과 시민들의 독서와 정보 리터러시 향상 및 정보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PISA의 독서 리터러시의 개념은 사회적 기술적 환경에 따라 변화되어 왔다. 둘째, PISA 독서 리터러시 개념과 평가틀에는 독서 전중후의 전 과정이 포함되어 있었다. 셋째, 평가틀은 Big6 Skills와 같은 정보 리터러시 모형의 인지적 과정과 유사한 요인을 다수 포함하였으나 차이점도 있었다. 넷째, 평가틀에는 디지털 독서가 반영되었다. PISA 2018 독서 리터러시 평가틀은 사서가 시민들의 독서와 정보 리터러시 향상을 위하여 독서나 정보 리터러시 모형과 평가틀을 개발하고 시민들에게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필요한 기준과 방법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해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implications needed to improve reading and information literacy and provide information services for students and citizens through changes in the concept of PISA 2018 Reading Literacy and its Assessment Framework analysi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meaning of PISA Reading Literacy concept has changed along with the changes of the social and technological environments. Second, concept and assessment framework included the whole process of reading. Third, the Assessment Framework included a number of factors similar to the cognitive process of the information literacy model like Big6 Skills, but also there were differences. Fourth, the digital reading is reflected in the Assessment Framework. The PISA 2018 Reading Literacy Assessment Framework provides implications for the standards and methods required for librarians to develop reading and information literacy models and assessment frameworks to improve citizens' reading and information literacy, and to provide information services to them.

      • KCI등재

        Metastatic Hepatocellular Carcinoma to the Distal Phalanx: a Case Report and Review of Literature

        박주현,이정권,정다은,안수민,이경민,김보경,Park, Joo-Hyun,Lee, Jung-Kwon,Jung, Da-Eun,Ahn, Soo-Min,Lee, Kyung-Min,Kim, Bo-Kyoung Korean Society for Hospice and Palliative Care 2012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5 No.2

        손으로의 전이성 암은 드문 질환으로 환자를 진료함에 있어 간과되기 쉽다. 간세포성 암종 환자에서 손으로의 전이는 지금까지 전세계적으로 5예가 보고되고 있으며, 이 논문에서는 간세포성 암종의 우측 4번째 손가락으로의 전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환자는 통증과 부종을 호소하였으며 보존적 치료에도 증상이 점차 악화되어 절단 수술을 받고 증상이 호전되었다. 이 보고는 진료의사들이 암환자의 손에 병변이 관찰될 때 전이성 암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접근하여 증상 조절을 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Metastatic tumors to the hand are rare and often overlooked by clinicians. Here, we report a rare case of phalangeal metastasis of right 4th finger in a patient with hepatocellular carcinoma. Treatment was given with right 4th finger disarticulation. This report suggests that physicians must take consideration into the possibility of metastatic tumors in patients with bone lesions on hands and a history of malignancy.

      • KCI등재

        정보활용교육을 위한 교과 내용 체계 개발 연구

        박주현,강봉숙,이병기,Park, Juhyeon,Kang, Bong-suk,Lee, Byeong-Kee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21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5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초·중등 교육의 정보활용교육에 포함될 내용을 구성하고 교과서를 개발하는 데 필요한 기초정보와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기존에 개발된 정보활용교육 교과서 3종과 2019-2020년에 개발한 '미디어와 정보 생활' 교과서 초안의 내용 체계 및 교과서 체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보활용교육 교과서는 정보문제 해결과정 모형이 적용되었고 인쇄 및 디지털 미디어의 내용과 민주시민에게 필요한 미디어 리터러시의 내용을 담고 있었으나 도서관과 미디어의 종류를 계열성 있게 추가할 필요가 있었다. 둘째, 도서관·미디어·정보·독서 리터러시는 정보활용능력 교과 내용을 구성하는 주요한 학습 요소였다. 셋째, '미디어와 정보 생활' 교과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체계에 맞게 교과역량, 일반화된 지식, 내용 체계 및 성취 기준 등을 제시할 필요가 있었다. 또한 정보활용능력 교과의 명칭 도출을 위한 사회적 논의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content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which will be included in the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and to obtain basic information and implications necessary for developing new textbooks. For this study, three types of previously developed textbooks for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were analyzed, and curriculum content structure, and textbook structure of the draft version of the textbook 'Media and Information Life' developed in 2019-2020 were analyze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the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textbook applied the information problem solving process model and contained the contents of print, and digital media and the media literacy necessary for democratic citizens, but it was necessary to add the types of libraries and media in sequence. Second, library, media, information, and reading literacy were major learning elements that made up the contents of the information literacy curriculum. Third, the "media and information life" textbook needed to present subject competencies, generalized knowledge, content system, and achievement standards in accordance with the system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 addition, social discussion was needed to derive the name of the information literacy curriculum.

      • KCI등재

        Big6 모델 및 수정 모델 분석 연구

        박주현,Park, Juhyeon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8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9 No.3

        이 연구의 목적은 Big6 모델과 Big6 수정 모델을 분석하여 Big6 모델의 특징을 찾고 현장에서 Big6 모델을 적용하는데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AASL과 ACRL의 정보 리터러시 기준과 Big6 모델을 비교하였으며, 교육목표분류학에 영향을 받은 Big6 모델과 Big6+3 모델, Big8 모델 및 LG사이언스랜드에서 제공하는 Big6 모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Big6 모델은 정보 문제 해결 모델과 메타인지 활성화 전략 및 학생들의 정보 리터러시를 향상시키는 발판으로 활용이 가능하였으며 구성주의, 탐구기반 학습, 교육과정 통합, 협력교육, ICT기술 모델로 활용이 가능하였다. 비판적 사고능력 향상은 Big6 모델보다 사서교사나 사서의 Big6 모델의 적용방법과 관련이 있었다. 사서교사와 사서는 Big6 모델을 적용하기 위하여 교육과정을 체계적이고 구체적으로 계획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Big6 model and the Big6 modification model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Big6 model and to derive implications for applying the Big6 model in the field. For this purpose, the information literacy standards of the AASL and the ACRL were compared with the Big6 model. The Big6 model, influenced by Bloom's taxonomy was analyzed alongside the Big6+3 model, the Big8 model and the modified Big6 model, provided by LG Science Land. As a result, the Big6 model could be used as an information problem-solving model, metacognitive activation strategy, and scaffolding to improve students' information literacy. In addition, it could be used as a model for constructivism, inquiry-based learning, the integration of curriculum, collaborative education, and ICT technology. How teacher-librarians or librarians apply the Big6 model is related to the improvement of critical thinking skills. Teacher-librarians and librarians need to plan situations, subjects, topics, and methods in a systematic and specific way when applying the Big6 model to the information literacy curriculum.

      • KCI등재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개념과 교육내용 개발

        박주현,강봉숙,Park, Juhyeon,Kang, Bong-suk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20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5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개념을 규정하고 교육내용을 개발하는 데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 분석과 현장 전문가 대상 인터뷰, 사서교사 대상 설문조사가 수행되었다. 분석 결과, 현장 전문가들은 미디어를 정보를 활용하는 도구로 인식하였으며 정보문제해결능력과 독해능력, 미디어의 기능, 사례 활동, 정의적 영역을 미디어정보 리터러시의 교육의 영역으로 인식하였다. 사서교사들은 미디어정보 리터러시의 역량과 교육내용에 있어서 정보 리터러시와 미디어 리터러시의 역량과 교육내용을 디지털 리터러시의 역량과 교육내용에 비해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연구 결과로 미디어정보 리터러시의 개념을 리터러시와 미디어 리터러시, 정보 리터러시, 디지털 리터러시가 중복된 영역으로 지식, 기능, 태도가 포함된 개념으로 정의하였다. 그리고 민주사회에 참여, 미디어 도구와 콘텐츠의 종류, 인간의 기본권, 기능, 디지털 도구 조작, 정보 문제 해결 과정이 맥락에 따라 결합되어 응용될 수 있도록 미디어정보 리터러시의 교육내용을 개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concept of media information literacy and to develop educational content.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literature analysis, interviews with field experts, and surveys with teacher librarians were conducted. The field experts recognized the media as a tool to use information and recognized information problem-solving skills,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media functions, case activities, and affective domain as the areas of media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The teacher-librarians thought that information and media literacy which include its competency and educational content are more important than the digital literacy.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oncept of media information literacy was defined as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including the concepts of literacy, media literacy, information literacy, and digital literacy. In addition, educational contents of media information literacy were developed so that 'participation in democratic society', 'classification of media tools and contents', 'basic human rights', 'skills', 'digital tool manipulation' and 'information problem solving process' can be combined and applied in contex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