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점용접부 최적설계를 위한 적응적 유한요소망의 구성

        박장원,채수원,이태수,Park, Jang-Won,Chae, Su-Won,Lee, Tae-Su 대한기계학회 2000 大韓機械學會論文集A Vol.24 No.7

        A finite element interface system for the design of optimal spot welding locations has been developed. In order to find out the optimal locations of spot welding points, iterative finite element an alyses are necessary, and thus automatic generation of finite element model for the structures with spot welded pointsis required. In this interface system, quadrilateral shell elements are automatically generated for finite element analysis of spot welded structured, which employs a domain decomposition methodand adaptive mesh(h-method).

      • 심근관류 SPECT에서 움직임 보정 방법들의 비교

        박장원,남기표,이동훈,김성환,Park, Jang-Won,Nam, Ki-Pyo,Lee, Hoon-Dong,Kim, Sung-Hwan 대한핵의학기술학회 2014 핵의학 기술 Vol.18 No.2

        심근 관류 SPECT 검사 중 환자의 움직임은 관류 결손과 인공물을 발생시켜 정확한 진단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인자이다. 움직임으로 왜곡된 데이터를 보정하는 방법으로 움직임 보정방법이 개발되었고 각 방법마다 사용된 알고리즘이 다르기에 상황에 비교하고자 한다. 실험에 사용된 장비는 GE Ventri Gamma Camera와 Anthropomorphic Torso Phantom을 이용하였다. 팬텀을 환자 조건과 동일하게 하기 위하여 심근에 74 kBq/mL, 연부조직 1.1 kBq/mL, 폐 2.6 kBq/mL, 간 9.6 kBq/mL의 Tl-201을 주입하여 제작하고, 움직이는 상황에서 결손의 변화 관찰 목적으로 심근의 Anterior wall에 임의로 결손을 삽입하였다. 움직이지 않는 정상군과 일정간격(2 cm, 3 pixel) 상하 1회 이동, 상하 반복 이동, 좌우 1회 이동, 좌우 반복 이동한 데이터에 나누어 영상 획득하고 MDC, Hopkins, Stasis 방법을 적용하여 Polar map과 정량분석 Score로 비교 하였다. 환자와 동일한 조건으로 회전각 $6^{\circ}$, 50sec/frame으로 영상 획득하고, OSEM (2 iterations, 10 subsets), Butterworth filter (order 10; cutoff frequency; 0.32 cycle per pixel)를 적용, scatter correction, 감쇠보정은 적용하지 않았다. 팬텀 실험에서 세 가지 방법들에서 MDC 방법이 Visual 인공물 없이 잘 보정하였으나, 환자의 데이터에 이를 적용 하였을 때, 환자마다 움직임 보정방법 적용 결과들이 일정하지 않았다. 이는, 환자의 움직임이 일정하지 않고, 장기내의 동위원소의 비율도 다르기에 발생한다고 생각되며 추가적인 연구와 상황에 맞는 움직임 보정방법의 유동적인 사용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Purpose Patient motion during myocardial perfusion SPECT can produce images that show visual artifacts and perfusion defects. This artifacts and defects remain a significant source of unsatisfactory myocardial perfusion SPECT. Motion correction has been developed as a way to correct and detect the patient motion for reducing artifacts and defects, and each motion correction uses different algorithm. We corrected simulated motion patterns with several motion correction methods and compared those images. Materials and Methods Phantom study was performed. The anthropomorphic torso phantom was made with equal counts from patient's body and simulated defect was added in myocardium phantom for to observe the change in defect. Vertical motion was intentionally generated by moving phantom downward in a returning pattern and in a non-returning pattern throughout the acquisition. In addition, Lateral motion was generated by moving phantom upward in a returning pattern and in a non-returning pattern. The simulated motion patterns were detected and corrected similarly to no-motion pattern image and QPS score, after Motion Detection and Correction Method (MDC), stasis, Hopkins method were applied. Results In phantom study, Changes of perfusion defect were shown in the anterior wall by the simulated phantom motions, and inferior wall's defect was found in some situations. The changes derived from motion were corrected by motion correction methods, but Hopkins and Stasis method showed visual artifact, and this visual artifact did not affect to perfusion score.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motion correction method is possible to reduce the motion artifact and artifactual perfusion defect, through the apply on the phantom tests. Motion Detection and Correction Method (MDC) performed better than other method with polar map image and perfusion score result.

      • 비골에 발생한 원발성 골 종양

        박장원,이승환,신규호,Park, Jang-Won,Lee, Seung-Hwan,Shin, Kyoo-Ho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6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2 No.2

        목적: 본 연구에서는 골 종양의 발생 부위 중 비교적 드문 부위인 비골에서 원발하는 골 종양의 종류와 그 치료 후 경과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3년 1월 1일부터 2005년 12월 31일까지 하지의 골종양을 진단 받고 수술적 치료를 받은 환자 중 비골의 원발성 골종양 환자에 대하여 조사하여 그 임상적 결과를 조사하였다. 결과: 상기 기간에 비골의 원발성 골종양을 진단 받고 수술적 치료를 받은 환자는 총 17명(남자 10명, 여자 7명)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22세, 평균 추시는 18개월이었다. 병리조직 검사 결과 골연골종이 8예로 가장 흔한 진단이었으며 그 외에 골육종, 섬유성 골이형성증이 2예씩 진단되었다. 악성 골 종양의 빈도는 10.5%였다. 그 부위별로는 근위부, 간부, 원위부가 각각 12예, 4예, 1예였다. 최종 추시 시의 임상적인 만족도는 우수 혹은 양호의 결과가 14명으로 나타났다. 결론: 비골은 골 이식 시에 가장 흔한 공여부 중의 하나로 병변이 경골까지 침범되거나 원위부에 위치하지 지 않는 이상 절제 후에 재건술이 특별히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적극적인 수술적인 치료가 가능하며 특히 간부의 경우에는 충분한 절제 경계를 확보하기 용이하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그 빈도가 낮은 편이며 증상이 명확하지 않고 병변이 진행될 경우에 절단술이 필요할 수 있어 진단에 주의를 요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on primary bone tumors of fibula. Materials and Methods: Patients who received operative treatment from January 1993 to December 2005 for primary bone tumors of fibula were analyzed for clinical outcomes. Results: There were 17 patients(10 males, 7 females) who were diagnosed for primary bone tumors of fibula. Osteochondroma was the most common diagnosis and others were osteosarcoma, fibrous dysplasia. The malignant bone tumors were 10.5% of all fibula tumors. There were 12 cases on proximal, 4 cases on mid shaft, and 1 cases on distal part of fibula. At the final follow up, 14 patients reported patient satisfaction of either excellent or good. Conclusion: Bone tumor of fibula doesn't need reconstruction after the resection unless it invades tibia or its site distal, which enables easy surgical resection. However, generally it is rare and accompany with vague symptoms, so careful approach to diagnosis is necessary because late diagnosis can mean the needs for amputation.

      • KCI등재

        Doxorubicin-eluting beads를 이용한 TACE 후 추적관찰 전산화단층촬영에서 관찰된 비전형적인 1예

        박장원 ( Jang Won Park ),김강모 ( Gang Mo Kim,) 대한간암학회 2012 대한간암학회지 Vol.12 No.2

        Hepatocellular carcinoma is the sixth most common cancer and the third leading cause of cancer-ralated death. TACE is an effective option for patients with intermediate HCC. Although conventional TACE with administration of a Lipiodo-anticancer emulsion followed by embolic agents has been most popular technique, the recent introduction of embolic DEB has provided a valuable alternative. The DEB is a novel drug delivery embolization system that hea been designed to deliver a higher and more sustained release of drug directly into the tumor and a low release of drug into the systemic circulation, with the intention to maximize the drug effectiveness in terms of response, while significantly reducing its systemic toxicity. Obtaining a triple-phase CT or MRI imaging of the liver is required to integrate clinical and laboratory data to evaluate the indication to TACE with DEB and additional imaging to exclude extrahepatic disease should be performed as pretreatment imaging. Obtaining a CT or MRI imaging 2-4 weeks after TACE is recommend to assess tumor response and to decide the further plan. The use of modified Response Evaluation Criteria in Solid Tumors (mRECIST) for HCC is recommended for response Classification. We offer our experience of a patient with atypical finindg on follow-up CT after DEB TACE. Marginal recurrence or residual viable tumor was suspected on CT 4 weeks after DEB TACE but disappeared on CT 10 weeks after treatment. There was no evidence of recurrence or residual tumor in TACE site and its margin 12 weeks after TACE. We thought that it was attributed to the benign change as AV shunt or to the characteristics of DEB which has been designed to deliver slowly, higher and more sustained release of drug directly into the tumor. But further study is necessary on how long the drug delivery from DEB to tumor is sustained and when the appropriate tumor response is accomplished after treatment.

      • KCI등재

        상 하향식 플로팅 홀로그램 디바이스 영상 콘텐츠 구현

        박장원 ( Jang-won Park ),김태완 ( Tai-wan Kim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8 한국디자인포럼 Vol.23 No.1

        연구배경 현재 상용화 되어 있는 홀로그램 디바이스는 하나의 발현 패널을 통해 한 면 또는 최대 4면 하프미러를 이용하며 마치 영상이 허공에 뜬 것처럼 보이게 하는 단방향의 플로팅 홀로그램이다. 이는 하나의 발현 패널에서 출력되는 영상 콘텐츠의 크기가 한정되고 하프 미러의 개수가 늘어날수록 시청자가 볼 수 있는 영상 콘텐츠의 크기는 작아진다. 영상 콘텐츠를 더욱 크게 제작해야 할 경우 단방향 플로팅 홀로그램 디바이스의 크기는 커지기 때문에 단방향 플로팅 홀로그램의 공간적 한계성이 나타난다. 연구방법 이 연구는 현재 상용화 되어 있는 단방향 플로팅 홀로그램의 공간적 한계성을 줄이고자 상 하향식 플로팅 홀로그램 디바이스를 설계하고 상 하 부의 발현패널을 통해 각각 출력되는 영상 콘텐츠의 구현 여부와 이를 토대로 공간적 한계성을 극복 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상 하향식 플로팅 홀로그램 디바이스를 설계하기 위해 두 개의 발현 패널을 각각 상 하 에서 마주보게 배치한 뒤 영상 콘텐츠를 상 하 로 나누어 출력한다. 출력된 영상 콘텐츠는 단방향 플로팅 홀로그램 디바이스의 최대 4면의 하프 미러를 상 하 로 마주보는 형태인 8면 하프 미러에 반사되게 된다. 같은 크기의 발현 매체와 하프 미러를 각각 위, 아래 에 배치함으로써 반사된 상 하 의 영상 콘텐츠가 합쳐져 하나의 영상 콘텐츠로 인식될 수 있다. 결론 상 하향식 플로팅 홀로그램 디바이스는 영상 콘텐츠의 크기를 두 배 크게 출력해도 높이는 2배, 넓이는 유지가 된다. 상 하향식 플로팅 홀로그램 디바이스는 공간적 한계성을 줄일 수 있다. Background The commercially available hologram device is designed for a unidirectional floating hologram that makes the image appear to be floating in the air using one- or up to four-sided half mirrors through a single expression panel. It features a limited size of image content shown on an expression panel, and as the number of half mirrors increases, the size of video content visible to views decreases. If it is needed to create a larger image content, the unidirectional floating hologram device must be enlarged, consequently revealing the spatial limitation of the unidirectional floating hologram. Methods This study aims to design a top-down floating hologram device in a bid to reduce the spatial limitation of the currently commercially available unidirectional floating hologram, identify whether or not image content is properly implemented and to find ways to overcome the spatial limitation accordingly. Result To design a top-down floating hologram device, two expression panels have been placed on top and the bottom, making them face each other with image contents are divided into top and the bottom before they are shown. The image shown is reflected on the eight-sided half-mirror, which is created by arranging two half mirrors of unidirectional floating hologram device with up to four sides to face each other on top and the bottom. Arranging the expression media in identical size and half mirrors on top and the bottom combines the reflected images on top and the bottom and makes them appear to be a single image. Conclusion The top-down floating hologram device doubles the height and maintains the area when doubling the size of the image to be shown, thereby reducing the spatial limitation.

      • KCI등재

        상 하향식 플로팅 홀로그램 디바이스 영상 콘텐츠 구현

        박장원 ( Jang-won Park ),김태완 ( Tai-wan Kim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8 한국디자인포럼 Vol.23 No.3

        연구배경 현재 상용화 되어 있는 홀로그램 디바이스는 하나의 발현 패널을 통해 한 면 또는 최대 4면 하프미러를 이용하며 마치 영상이 허공에 뜬 것처럼 보이게 하는 단방향의 플로팅 홀로그램이다. 이는 하나의 발현패널에서 출력되는 영상 콘텐츠의 크기가 한정되고 하프 미러의 개수가 늘어날수록 시청자가 볼 수 있는 영상 콘텐츠의 크기는 작아진다. 영상 콘텐츠를 더욱 크게 제작해야 할 경우 단방향 플로팅 홀로그램 디바이스의 크기는 커지기 때문에 단방향 플로팅 홀로그램의 공간적 한계성이 나타난다. 연구방법 이 연구는 현재 상용화 되어 있는 단방향 플로팅 홀로그램의 공간적 한계성을 줄이고자 상 하향식 플로팅 홀로그램 디바이스를 설계하고 상 하 부의 발현패널을 통해 각각 출력되는 영상 콘텐츠의 구현 여부와 이를 토대로 공간적 한계성을 극복 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상 하향식 플로팅 홀로그램 디바이스를 설계하기 위해 두 개의 발현 패널을 각각 상 하 에서 마주보게 배치한 뒤 영상 콘텐츠를 상 하 로 나누어 출력한다. 출력된 영상 콘텐츠는 단방향 플로팅 홀로그램 디바이스의 최대 4면의 하프 미러를 상 하 로 마주보는 형태인 8면 하프 미러에 반사되게 된다. 같은 크기의 발현매체와 하프 미러를 각각 위, 아래 에 배치함으로써 반사된 상 하 의 영상 콘텐츠가 합쳐져 하나의 영상 콘텐츠로 인식될 수 있다. 결론 상 하향식 플로팅 홀로그램 디바이스는 영상 콘텐츠의 크기를 두 배 크게 출력해도 높이는 2배, 넓이는 유지가 된다. 상 하향식 플로팅 홀로그램 디바이스는 공간적 한계성을 줄일 수 있다. Background The commercially available hologram device is designed for a unidirectional floating hologram that makes the image appear to be floating in the air using one- or up to four-sided half mirrors through a single expression panel. It features a limited size of image content shown on an expression panel, and as the number of half mirrors increases, the size of video content visible to views decreases. If it is needed to create a larger image content, the unidirectional floating hologram device must be enlarged, consequently revealing the spatial limitation of the unidirectional floating hologram. Methods This study aims to design a top-down floating hologram device in a bid to reduce the spatial limitation of the currently commercially available unidirectional floating hologram, identify whether or not image content is properly implemented and to find ways to overcome the spatial limitation accordingly. Result To design a top-down floating hologram device, two expression panels have been placed on top and the bottom, making them face each other with image contents are divided into top and the bottom before they are shown. The image shown is reflected on the eight-sided half-mirror, which is created by arranging two half mirrors of unidirectional floating hologram device with up to four sides to face each other on top and the bottom. Arranging the expression media in identical size and half mirrors on top and the bottom combines the reflected images on top and the bottom and makes them appear to be a single image. Conclusion The top-down floating hologram device doubles the height and maintains the area when doubling the size of the image to be shown, thereby reducing the spatial limitation.

      • KCI등재

        전시 기반 상-하향식 플로팅 홀로그램 시청 구간별 영상 콘텐츠의 현존감 분석

        박장원 ( Jang-won Park ),김태완 ( Tai-wan Kim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9 한국디자인포럼 Vol.24 No.1

        연구배경 플로팅 홀로그램 영상 콘텐츠를 통하여 현존감을 고려한 홀로그램 영상 콘텐츠 표현 연구가 이루어졌고 결과가 도출이 되었다. 하지만 실제로 시청자는 플로팅 홀로그램과 먼 거리부터 가까운 거리까지 시청하는 거리가 각기 다를 수가 있다. 본 논문을 통해서 거리에 따른 현존감을 고려한 홀로그램 입체영상 표현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현존감을 고려한 홀로그램 입체영상 표현 연구는 정보통신단체표준에서 규정된 영상품질평가 목록에 명시되어있는 영상 콘텐츠의 밝기, 채도, 대비, 선명도, 노이즈 5가지를 기준으로 각각 다른 7가지의 변환 계수를 시청자의 설문에 따라 가장 현존감이 있는 영상 콘텐츠의 정도가 결과로 도출이 되었다. 이를 기반으로 전시용으로 개발된 상, 하향식 플로팅 홀로그램의 시청자의 적정 시청 거리에 해당하는 총 6 구간을 중심으로 설문을 통한 현존감을 고려한 홀로그램 입체영상 표현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시청자의 시청 거리가 가까울수록 밝기, 채도, 대비, 선명도, 노이즈의 수치가 전반적으로 높은 수치가 측정이 되었다. 이는 기존 현존감을 고려한 홀로그램 입체영상 표현 연구와 유사한 수치임을 알 수 있고 시청자의 시청 거리가 멀어질수록 해당 수치는 점차 낮게 측정이 되었다. 결론 전시 기반 상-하향식 플로팅 홀로그램의 시청 구간별 영상 콘텐츠의 현존감 분석을 통하여 전시관마다 다른 시청 구간에 본 논문을 통해 도출된 거리에 따른 영상 콘텐츠의 밝기, 채도, 대비, 선명도, 노이즈 5가지의 수치를 대입할 수 있고 해당 시청 구간에 적합한 가장 현존감이 높은 수치를 제시할 수 있다. Background A previous study was conducted on the expression of hologram video contents considering a sense of presence though floating hologram video contents and yielded results. However, viewers’ distance from floating hologram can differ, from long to short. This study aims to express 3D hologram video considering a sense of presence according to distance. Methods 3D hologram video considering a sense of presence, viewers with 7 different conversion factors were surveyed based on the 5 items listed on the video quality evaluation list provided by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tandards: brightness, chroma, contrast, resolution, and noise. As a result, the degree of video content with the greatest sense of presence was derived. Based on this, the study on the expression of 3D hologram video considering a sense of presence proceeded through a survey focusing on 6 sections that correspond to appropriate viewing distance for the top-down floating hologram developed for exhibition. Result As the viewer’s viewing distance is shorter, high values of brightness, chroma, contrast, resolution, and noise were measured overall. These values are similar to the previous study on the expression of 3D hologram video considering a sense of presence. The longer the viewers’ viewing distance, the lower the measured values. Conclusion the values of video contents’ brightness, chroma, contrast, resolution, and noise derived from this study can be put into viewing sections that differ for each exhibition hall and suggest a value with the greatest sense of presence appropriate for the relevant viewing section.

      • KCI등재

        기부 관여도, 메시지 소구방식, 자아효능감의 기부 의사 제고 효과에 관한 연구

        박장원 ( Jang Won Park ),박현순 ( Hyun Soon Park ) 한국PR학회 2007 PR연구 Vol.11 No.1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involvement, message appeals(rational vs. emotional), and self-efficacy on nonprofit organization`s fundraising campaign. Two quasi-experimental studies were conducted on April 26 and 27, 2007. According to the results, those who with high involvement about fundraising showed more intention to give money to NGOs than those who with low involvement. Those who exposed to the message of emotional appeals were more likely to donate rather than those who exposed to the message of rational appeals. In addition, messages motivating self-efficacy were more effective to make people have high intention to donate rather than message without self-efficacy ele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