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박연우,손영아,최지은 한국의료QA학회 1998 가을학술대회 Vol.1998 No.-
음식물쓰레기 처리문제는 단체급식소에서는 오래전부터 중요한 문제가 되어 왔다. 최근 정부통계자료에 의하면 전국에서 하루에 발생되는 생활쓰레기는 58,118톤이며, 이 중 31%에 해당되는 18,055톤이 음식물쓰레기라고 한다. 95년 1월 1일부터 전국적으로 실시된 쓰레기종량제 시행결과 생활쓰레기의 배출량은 크게 감소하였으나 생활폐기물발생량중 음식물쓰레기가 차지하는 비율은 31.6%로서 여전히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이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大埜 柳健休『東儒四書解集評』 「孟子」 <仁義禮智> 章 註釋의 특징 分析
박연우 영남퇴계학연구원 2023 퇴계학논집 Vol.- No.33
본고의 목적은 大埜 柳健休(1768-1834)가 東儒四書解集評 「孟子」 중 <인의예지> 장에서 大山 李象靖(1711-1781)의 四端七情說을 위주로 주석한 것에 대한 특징을 밝히는 데 있다. 四端은 맹자 「공손추」장구 상 6장에 나오는 惻隱之心·羞惡之心·辭讓之心·是非之心을 말하고, 七情은 喜怒哀懼愛惡欲의 일곱 가지 감정을 말한다. 동유사서해집평 중 제6권이 「맹자」이다. 본고는 이후 동유맹자집평 이라고 할 것이다. 동유사서해집평 은 조선 유학사에서 최초로 東儒의 學說만으로 구성된 주석서이며, 동유맹자집평 은 퇴계학파의 맹자 에 대한 이해를 알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될 가치가 있다. 류건휴는 동유맹자집평 에서 맹자 260장 중 51장만을 선별하여 98개의 제목과 22개의 小제목을 두어, 조선의 유학자 37명의 학설 214건의 서간문에서 발췌하여 답변자 37명과 질문자 50인의 기록을 인용하여 주석하였다. <인의예지> 장은 ‘사단칠정’에 대한 주석으로 분량이 전체의 40%에 해당할 만큼 서책 구성에 있어 의도적인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류건휴는 이장에서 이상정의 학설을 위주로 선별하여 기록하고 있었다. 또한 구성 체제에서 사단칠정에 대한 쟁점을 제목으로 구성한 것과 서간문의 문답 형식을 통한 논제를 구성한 것과 한 주제에 여러 번 권점을 사용한 특이점이 있었다. 주석 내용상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류건휴는 이상정의 사단칠정설을 맥락으로 삼아 주석했다. 둘째, 류건휴는 이상정의 설에 퇴계학파의 普說과 인식의 이완이 담겨있는 설을 선택했다. 보설은 이상정이 大山集 40권에서 한 말이다. 이상정은 율곡이 “사단은 리만 말한 것이고, 칠정은 리와 기를 합하여 말한 것이다. 두 가지 정이 있는 것은 아니다.”라고 한 말이 옳으며 퇴계도 이러한 뜻으로 한 말이 많다고 했다. 또한 ‘각기 주장하는 바가 있어 말이 다르기도 하다.’라고 하여 학파를 벗어나 보편적 설과 근본을 생각할 것을 주장했다. 셋째, 류건휴는 ‘혼윤’과 ‘분배’를 주석하면서 이상정의 사단칠정 독자설 중 ‘理主氣資說’은 주석에서 배제했다. 본고는 그 이유에 대해서 ‘리주기자설’이 율곡의 설과 같았기 때문이라고 보았다. 류건휴가 <인의예지>장에서 이상정의 설을 맥락으로 삼아 주석한 것은 퇴계 학설을 정리하고 이상정을 드러내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무엇보다 17세기의 이현일이 율곡학파를 강하게 비판했다면, 18세기의 이상정은 퇴율 학파 간 보편적 입장이었다. 조선 후기 퇴계학파인 류건휴는 이상정의 주석을 통해 학파 간 분쟁에 초점을 두기보다는 퇴계 학설을 정리하여 퇴계학파와 이상정을 드러내려는 목적이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이것은 조선 후기 퇴계학파의 맹자사상이 반영된 것이라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차전자피 분말을 지방 대체 첨가한 바로미2 파운드케이크의 품질특성
박연우,윤혜현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24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40 No.4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aromi2 pound cake made using psyllium husk powder as a fat substitute. Methods: A mixture of psyllium husk powder and water was added at five different proportions: 0%(CON), 25%(PHP25), 50%(PHP50), 75%(PHP75), and 100%(PHP100) as a fat replacer. Results: The specific gravity, baking loss rate, and moisture content increased as the fat substitution ratio with psyllium husk increased. The volume, specific volume, pH, and Hunter’s color value of both the crust and crumbs decreased as the amount of psyllium husk increased. The analysis of the texture profiles showed that, all the values of texture attributes increased when a higher amount of psyllium husk replaced margarine. The sensory attribute difference test revealed that the bitterness, red bean, raw grain, and roasted grain flavors, hardness, springiness, chewiness, sandy texture, and gritty after taste showed higher scores with increased quantities of psyllium husk. Conversely, the volume, crust, and crumb brightness, cell uniformity, sweetness, caramel, butter, and egg flavors, and moistness decreased with increased psyllium husk content. The consumer acceptance analysis showed that the CON scored the highest in appearance, odor, taste, and overall acceptance, while the CON and PHP25 scored the highest in texture acceptance.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the overall quality characteristics of Baromi2 pound cake when fat is substituted with psyllium husk. This data lays the foundation for further research on developing Baromi2 bakery products with the aim of substituting fat with psyllium husk.
박연우,윤혜현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022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Vol.32 No.3
This study investig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consumer acceptance of sponge cake supplemented with different amount of psyllium husk powder. Psyllium husk powder was incorporated into the batter at 5 different levels: 0% (CON), 5% (PSY5), 10% (PSY10), 15% (PSY15), and 20% (PSY20). The spreadability of cake batter, volume, and specific volume of cakes were determined to decrease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amounts of psyllium husk powder. The moisture content and pH were highest in the CON cakes as compared to the psyllium husk powder added groups. Hunter’s color scale L, a, and b values of both crust and crumb were decreased with increasing psyllium husk powder supplementation. Texture profile analysis showed that the CON group had the lowest values in hardness, adhesiveness, springiness, gumminess, and chewiness. The consumer acceptance result also revealed that the CON group had the highest appearance and flavor acceptance scores, while PSY10 had the highest scores in texture and overall acceptance.
박연우,오장균,이태용,심운택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지역사회의학연구소 1990 충남의대잡지 Vol.17 No.2
We studied through February 1989 to August 1989 to investigate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disease status and deformity of leprosy patients registered at Chungnam provincial area on December 31, 1988.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Older than 40 years of age occupied 83.3%, and most patients lived at his or her own home as farmer or stock breeder. 2. The infection source was more the extrafamilial than the intrafamilial source and the most common initial symptoms and signs by body site were sensory paralysis on extremities and infiltration on face and macule on trunk. 3. The deformity was higher in male than female, older the age and much more the deformity. 4. The deformity was higher in T type than L type, and more recent onset of disease and shorter the duration between the onset and the register of disease, more lighter the deformity. The settlement villiger than domiciliary and the group of patientnts being treated at health center than leprosy association, the deformity was heavier.
맹자의 논리(論理) 전환(轉換) 분석(分析) -맹자(孟子) 「양혜왕(梁惠王)」 상편(上篇)을 중심으로-
박연우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3 유학연구 Vol.64 No.-
This paper aims to analyze why Mencius presented ‘Zhimin zhi chan (制民之産)’ using an intentional logical narrative strategy that improves and develops the subject of discourse, when the values presented in the discourse between Mencius and King Hui of Liang in Chapters 1 to 5 of “King Hui of Liang, part 1” and in the discourse between Mencius and King Xuan of Qi in Chapter 7 collide. This paper considers that the social theme that Mencius lectured to King Hui of Liang and King Xuan of Qi in “King Hui of Liang, Part 1” is ‘Zhimin zhi chan (制民之産)’. It refers to an industry, through which the leader stabilizes the lives of the people in distress in an institutional way. The situation with conflicting values found in the discourse between Mencius and the two kings are captured with seven keywords and three aspects: ‘national prosperity, military power and benevolence’, ‘confrontation between ideals and reality’, and ‘desire and reformative tendencies’. Three peculiarities of Mencius’ narrative techniques were found when he dealt with conflicting values: Mencius induced benevolent politics and royal politics using intentional transition of logic and presented the method of ‘Zhimin zhi chan (制民之産)’ in every transition. In addition, he developed the discourse using counterpoint, which harmoniously added the theme of Mencius ideology to the independent situation of discourse. ‘Zhimin zhi chan (制民之産)’ policy, proposed by Mencius, was not to hinder the survival of the people and the State was to enact, support and expand the industry. The policy aimed to realize loyalty and filial piety through education, based on material abundance where the basics were satisfied and to create a culture in which people could take pride. After all, Mencius was trying to solve the urgent priority of stabilizing the survival of the people through ‘Zhimin zhi chan (制民之産)’. His intended symbol of the discourse was the message that the King must be like a King, which sounds an alarm to the King who was not aware of his responsibility as a leader. 본고의 목적은 맹자 「양혜왕 상」편에 보이는 맹자가 양 혜왕과 제 선왕의 담론에서 담론의 주제를 향상⸱발전시키는 의도된 논리 서술전략을 통해 왜 담론의 주제를 전환했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맹자와 두 임금 사이에서 논제가 불일치하거나 대립하는 상황은 일곱 가지 명제로추출되었고, 그 논제들은 ‘부국강병과 인의’, ‘이상과 현실의 대립’, ‘욕망과 개혁적성향’의 세 가지 양상을 보였다. 맹자와 두 왕의 담론에서 발견한 맹자의 논리 전환기법에 대한 세 가지 특이점은 의도적인 논리 전환을 통하여 仁政과 왕도정치를 유도하였고, 그때마다 ‘백성의 산업을 제정’해 주는 방법을 제시했으며, 담론의 독립된상황에서 맹자사상의 주제를 더하여 조화를 이루는 對位法을 통해 담론을 발전시키고 있었다. 맹자가 양 혜왕과 제 선왕에게 강론한 주제는 ‘齊民之産’으로 귀결되었다. ‘제민지산’은 지도자가 도탄에 빠진 백성의 생명을 제도적으로 안정되게 만들어 주는 것을말한다. 맹자가 제시한 ‘제민지산’ 정책은 국가가 백성의 생존을 방해하지 않아야 하며, 산업을 제정·지원·확산해 줄 것과 기본이 충족된 물질적 풍요 속에서 교육을통해 충효가 실행되고, 이에 따른 자부심을 가질 수 있는 문화를 형성해 나아갈 수있는 정책이었다. 결국 맹자가 두 왕의 대화에서 논리를 전환한 목적은 백성의 생존을 안정시키는 급선무를 해결하려는 ‘제민지산’에 있었으며 맹자의 의도된 담론의 상징은 무엇보다 왕이 왕다워야 한다는 메시지로써 지도자로서의 책임을 인지하지못하는 왕에게 경종을 울린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