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바로미 2(현미 분질미)를 첨가한 파운드케이크의 품질 특성

        박연우,윤혜현 (사)한국조리학회 2024 한국조리학회지 Vol.30 No.5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pastry products using Baromi 2 (brown rice flour), an improved dry milling variety, to increase the consumption power of ri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nufacture pound cakes using Baromi 2 and investigate its quality characteristics. Samples were made with various ratios of Baromi 2 (0%, 25%, 50%, 75%, 100%). The volume and specific volume increased as the amount of Baromi 2 increased, while moisture content showed the opposite result. The Hunter's color value revealed that the control had the highest values for L, a, and b. On the texture profile analysis, springiness, adhesiveness, gumminess, and chewiness decreased as Baromi 2 content increased. In the sensory attribute difference test, volume, crust brownness, brittleness, graininess, nurungji odor, and baksulki flavor, and remaining particle increased, while the crumb brightness, moistness, caramel odor, egg flavor, and butter flavor decreased with the increase of Baromi 2 content. In the consumer acceptance test, the control had the highest score in appearance and odor acceptance. However, except for the sample replaced 100%, most of the samples showed high overall preference. In conclusion, the study aimed to provide a comprehensive insight into the overall characteristics changes of the product when Baromi 2 was added. However, further research is deemed necessary, including investigations into the aging property of products and subsequent studies on utilizing Baromi 2 in a broader range of products for product development.

      • KCI등재

        Share Repurchases and Insider Trading Behavior: Evidence from Korea

        박연우,김경순,이진훤,김유진 한국증권학회 2023 한국증권학회지 Vol.52 No.3

        Using the context of open-market share repurchases in Korea, we examine insider trading behavior around share repurchase disclosures. In particular, we investigate managerial opportunism as a motivation for share repurchases by analyzing how insider trading behavior differs between direct share repurchases with a strong signal effect and indirect share repurchases with a weak signal effect. We obtained the following research findings. First, in direct share repurchases, insiders become net sellers after share repurchase disclosure. Second, insider net selling is the highest when a company’s stock is overvalued rather than when its liquidity is the highest. Third, insider buy trades are followed by insider sell trades in direct share repurchases. Fourth, this negative relationship is more pronounced in firms with low ownership concentration. Finally, in direct share repurchases, opportunistic firms experience inferior stock performance compared with non-opportunistic firms. Overall, our findings support the managerial opportunism hypothesis, that is, in direct share repurchases, managers engage in informed trades based on the market confirmation bias that a share repurchase is a signal of undervaluation.

      • KCI등재후보

        가계부채 결정요인과 부채부담취약계층의 재무곤경 및 신용위험 분석

        박연우,허석균 한국금융정보학회 2018 금융정보연구 Vol.7 No.1

        The objective of the paper is to investigate the determinants of household debt and identify the vulnerable socio-economic groups of overindebted households in Korea. Using the 2014 Household Finance and Welfare Survey of National Statistics Office of Korea, we estimate models of household debt and assess the financial distress of household debt vulnerable groups. We also estimate the proportion of households which will face deficiency judgement after the liquidation of housing collaterals as well as loss rates of lenders both with and without macro shocks. We find that old age, low income, and self-employed segments of the population are vulnerable groups that are exposed to greater financial distress due to household debt than comparison groups; and the financial distress due to macro shocks increases more for the vulnerable groups than the comparison groups. However, we find that the credit loss of lenders from the vulnerable groups is relatively limited both with and without macro shocks suggesting a policy approach that emphasizes the strengthening of the social safety net for the household debt vulnerable groups in Korea. 본 연구는 통계청의 『가계금융복지조사(2014)』를 이용하여 가계부채의 결정요인을 추정하고 주요 취약계층을식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론적으로 재무적 위험요인에 취약한 계층이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을지는비교적 명확하다. 하지만 현재의 우리 경제에서 어떤 특성의 그룹이 가계부채부담으로 얼마나 큰 재무적곤경에 빠져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은 또 다른 차원의 문제이다. 이런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소득, 자산, 부채를 포함하는 가계수준의 미시자료에 근거하여 이들 취약계층의 특성을 파악하고자한다. 구체적으로 본연구에서는 우선 가계부채 결정모형을 추정한 후 주요 취약계층이 가계부채로 인해 겪고 있는 재무적 어려움을평가한다. 이와 함께 거시 경제적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 취약계층의 채권추심노출비율과 금융기관의 손실률을추정한다. 그 결과 고령층, 저소득층, 자영업자로 식별되는 취약계층의 재무곤경 정도가 비교적 심각할 뿐아니라, 거시 경제적 충격 발생 시 다른 계층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크게 악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취약계층으로 인한 금융기관의 잠재적 손실은 상대적으로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바, 이는 가계부채문제에대해 사회안전망 강화차원의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大埜 柳健休『東儒四書解集評』 「孟子」 <仁義禮智> 章 註釋의 특징 分析

        박연우 영남퇴계학연구원 2023 퇴계학논집 Vol.- No.33

        본고의 목적은 大埜 柳健休(1768-1834)가 東儒四書解集評 「孟子」 중 <인의예지> 장에서 大山 李象靖(1711-1781)의 四端七情說을 위주로 주석한 것에 대한 특징을 밝히는 데 있다. 四端은 맹자 「공손추」장구 상 6장에 나오는 惻隱之心·羞惡之心·辭讓之心·是非之心을 말하고, 七情은 喜怒哀懼愛惡欲의 일곱 가지 감정을 말한다. 동유사서해집평 중 제6권이 「맹자」이다. 본고는 이후 동유맹자집평 이라고 할 것이다. 동유사서해집평 은 조선 유학사에서 최초로 東儒의 學說만으로 구성된 주석서이며, 동유맹자집평 은 퇴계학파의 맹자 에 대한 이해를 알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될 가치가 있다. 류건휴는 동유맹자집평 에서 맹자 260장 중 51장만을 선별하여 98개의 제목과 22개의 小제목을 두어, 조선의 유학자 37명의 학설 214건의 서간문에서 발췌하여 답변자 37명과 질문자 50인의 기록을 인용하여 주석하였다. <인의예지> 장은 ‘사단칠정’에 대한 주석으로 분량이 전체의 40%에 해당할 만큼 서책 구성에 있어 의도적인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류건휴는 이장에서 이상정의 학설을 위주로 선별하여 기록하고 있었다. 또한 구성 체제에서 사단칠정에 대한 쟁점을 제목으로 구성한 것과 서간문의 문답 형식을 통한 논제를 구성한 것과 한 주제에 여러 번 권점을 사용한 특이점이 있었다. 주석 내용상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류건휴는 이상정의 사단칠정설을 맥락으로 삼아 주석했다. 둘째, 류건휴는 이상정의 설에 퇴계학파의 普說과 인식의 이완이 담겨있는 설을 선택했다. 보설은 이상정이 大山集 40권에서 한 말이다. 이상정은 율곡이 “사단은 리만 말한 것이고, 칠정은 리와 기를 합하여 말한 것이다. 두 가지 정이 있는 것은 아니다.”라고 한 말이 옳으며 퇴계도 이러한 뜻으로 한 말이 많다고 했다. 또한 ‘각기 주장하는 바가 있어 말이 다르기도 하다.’라고 하여 학파를 벗어나 보편적 설과 근본을 생각할 것을 주장했다. 셋째, 류건휴는 ‘혼윤’과 ‘분배’를 주석하면서 이상정의 사단칠정 독자설 중 ‘理主氣資說’은 주석에서 배제했다. 본고는 그 이유에 대해서 ‘리주기자설’이 율곡의 설과 같았기 때문이라고 보았다. 류건휴가 <인의예지>장에서 이상정의 설을 맥락으로 삼아 주석한 것은 퇴계 학설을 정리하고 이상정을 드러내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무엇보다 17세기의 이현일이 율곡학파를 강하게 비판했다면, 18세기의 이상정은 퇴율 학파 간 보편적 입장이었다. 조선 후기 퇴계학파인 류건휴는 이상정의 주석을 통해 학파 간 분쟁에 초점을 두기보다는 퇴계 학설을 정리하여 퇴계학파와 이상정을 드러내려는 목적이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이것은 조선 후기 퇴계학파의 맹자사상이 반영된 것이라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 KCI등재

        맹자의 논리(論理) 전환(轉換) 분석(分析) -맹자(孟子) 「양혜왕(梁惠王)」 상편(上篇)을 중심으로-

        박연우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3 儒學硏究 Vol.64 No.-

        This paper aims to analyze why Mencius presented ‘Zhimin zhi chan (制民之産)’ using an intentional logical narrative strategy that improves and develops the subject of discourse, when the values presented in the discourse between Mencius and King Hui of Liang in Chapters 1 to 5 of “King Hui of Liang, part 1” and in the discourse between Mencius and King Xuan of Qi in Chapter 7 collide. This paper considers that the social theme that Mencius lectured to King Hui of Liang and King Xuan of Qi in “King Hui of Liang, Part 1” is ‘Zhimin zhi chan (制民之産)’. It refers to an industry, through which the leader stabilizes the lives of the people in distress in an institutional way. The situation with conflicting values found in the discourse between Mencius and the two kings are captured with seven keywords and three aspects: ‘national prosperity, military power and benevolence’, ‘confrontation between ideals and reality’, and ‘desire and reformative tendencies’. Three peculiarities of Mencius’ narrative techniques were found when he dealt with conflicting values: Mencius induced benevolent politics and royal politics using intentional transition of logic and presented the method of ‘Zhimin zhi chan (制民之産)’ in every transition. In addition, he developed the discourse using counterpoint, which harmoniously added the theme of Mencius ideology to the independent situation of discourse. ‘Zhimin zhi chan (制民之産)’ policy, proposed by Mencius, was not to hinder the survival of the people and the State was to enact, support and expand the industry. The policy aimed to realize loyalty and filial piety through education, based on material abundance where the basics were satisfied and to create a culture in which people could take pride. After all, Mencius was trying to solve the urgent priority of stabilizing the survival of the people through ‘Zhimin zhi chan (制民之産)’. His intended symbol of the discourse was the message that the King must be like a King, which sounds an alarm to the King who was not aware of his responsibility as a leader. 본고의 목적은 맹자 「양혜왕 상」편에 보이는 맹자가 양 혜왕과 제 선왕의 담론에서 담론의 주제를 향상⸱발전시키는 의도된 논리 서술전략을 통해 왜 담론의 주제를 전환했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맹자와 두 임금 사이에서 논제가 불일치하거나 대립하는 상황은 일곱 가지 명제로추출되었고, 그 논제들은 ‘부국강병과 인의’, ‘이상과 현실의 대립’, ‘욕망과 개혁적성향’의 세 가지 양상을 보였다. 맹자와 두 왕의 담론에서 발견한 맹자의 논리 전환기법에 대한 세 가지 특이점은 의도적인 논리 전환을 통하여 仁政과 왕도정치를 유도하였고, 그때마다 ‘백성의 산업을 제정’해 주는 방법을 제시했으며, 담론의 독립된상황에서 맹자사상의 주제를 더하여 조화를 이루는 對位法을 통해 담론을 발전시키고 있었다. 맹자가 양 혜왕과 제 선왕에게 강론한 주제는 ‘齊民之産’으로 귀결되었다. ‘제민지산’은 지도자가 도탄에 빠진 백성의 생명을 제도적으로 안정되게 만들어 주는 것을말한다. 맹자가 제시한 ‘제민지산’ 정책은 국가가 백성의 생존을 방해하지 않아야 하며, 산업을 제정·지원·확산해 줄 것과 기본이 충족된 물질적 풍요 속에서 교육을통해 충효가 실행되고, 이에 따른 자부심을 가질 수 있는 문화를 형성해 나아갈 수있는 정책이었다. 결국 맹자가 두 왕의 대화에서 논리를 전환한 목적은 백성의 생존을 안정시키는 급선무를 해결하려는 ‘제민지산’에 있었으며 맹자의 의도된 담론의 상징은 무엇보다 왕이 왕다워야 한다는 메시지로써 지도자로서의 책임을 인지하지못하는 왕에게 경종을 울린 것이다.

      • KCI등재

        『讀書劄錄-孟子』에 보이는 창계 임영의 『맹자』 解釋

        박연우 한국공자학회 2023 공자학 Vol.51 No.-

        본고의 목적은 창계 임영의 『독서차록-맹자』에서 창계의 『맹자』에 대한 독창적인 해석과 ‘退栗 절충’적 해석 양상을 분석하는 것이다. 『독서차록-맹자』는 「양혜왕」 장구, 「공손추」 장구, 「진심」 장구 上만을 텍스트로 삼아, 먼저 의문 사항을 작성한 뒤에 해석을 달아 놓았다. 본고는 창계의 의문 사항을 30개의 논제로 추출하였고, 그것을 분석하여 창계의 독창적 해석의 특징을 독창적인 재해석과 평가, 주자 주석에 대한 의견, 다른 관점을 통한 해석으로 재구성하였다. 또한 ‘사단칠정’에 대한 창계의 맹자해석은 곧 창계의 철학사상이므로, ‘심과 리와 기’를 강조한 철학적 해석’을 탐구하였다. 창계의 『맹자』 해석 양상은 17세기 후반이라는 사회환경에서 주자학보다는 독창적인 해석을 중시할 수 있었고, 註疏의 오류분석 현상은 율곡이 명나라 『大全』 본의 小註 개정작업을 맡게 된 학맥의 영향이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부동심’과 ‘호연장’에 대한 주석에서 ‘사단칠정’에 대한 해석은 스승인 ‘박세채’의 영향을 받아 절충적인 철학사상을 주장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단칠정에 대한 주석에서 창계가 氣에 집중한 것, 사람이 배워야 할 것은 ‘心과 理뿐’이라고 한 것, 마음이 하는 대로 두지 말라고 한 해석은, 인심을 형기로 구분하여 심이 리에 말미암아 발할 때만 선이 된다고 여겨서, 사단의 선한 도심은 리에 근거해서 발한다고 주장한 것이었다. 창계가 기를 강조한 이유는 기가 부족하면 道義를 기르지 못하고 형기에 동요된다고 보아서였다. 또한 창계가 氣에 집중한 이유는 율곡학파가 氣를 중시했던 영향과 氣를 善과 연결하여 ‘덕성 윤리의 실천’을 강조한 것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창계의 ‘사단칠정’을 통한 맹자해석은 인간이 心을 제어하고 경계해야 도심, 즉 인간의 도덕성이 발휘된다고 여긴 것이다. 이에 따라 心을 절제대상으로 삼아 당위성을 부여했다. 이러한 창계의 철학사상은 인간의 선과 도심, 덕성 윤리를 강조한 것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창계의 『독서차록-맹자』는 주자학에 얽매이지 않고 독창적 해석을 시도하였는데 이것은 17세기의 시대 상황이 반영된 것이었다. 또한 율곡학파이면서 퇴계 이황의 ‘리기호발설’을 수용하여 절충적 해석을 가미한 『맹자』 해석으로 창계의 철학사상이 담겨있는 기록물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how Changgye interprets 『Mencius』 in 『Dokseocharok-Mencius』. This paper takes the perspective that 『Dokseocharok-Mencius』 is a 17th century hermeneutics of 『Mencius』. I added a comment after writing the problem here. In this paper, the questions written by Changgye were extracted into 30 problems. By analyzing it ‘Original reinterpretation and evaluation’ Independent opinion on Juja(朱子)'s commentary see it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the interpretation was reorganized like this. Changgye’s interpretation of Mencius’ ‘four-seven(四端七情)’ is Changgye’s philosophical thought. therefore it was explored by dividing it into two paragraphs. Changgye’s interpretation of 『Mencius』, in the social environment of the late 17th century. he was able to freely focus on my own interpretation beyond Juja(朱子). This was due to the influence of the Yulgok study of thought. In a commentary on unchanging mind(不動心) and hoyeonjang Chang-gye’s philosophical thoughts on the ‘four-seven(四端七情)’ are eclectic interpretation was made along with the influence of Park Se-chae(朴世采). In Changgye’s interpretation of Mencius on the Four and Seven Jeongs, Changgye focused on energy, All one has to learn is the mind and reason. He interpreted it as saying not to let your heart do what it does, The human heart was divided into 形氣 and energies. It is said that goodness becomes good only when the mind is guided by ri. The mind becomes good only when it is guided by ri. It was believed that path and heart of the (四端) was guided based on Li. Also, the reason why Changgye emphasized energy is If you lack energy, Unable to cultivate morality and It is believed that it is shake by 形氣. Like this Mencius’ interpretation of Changgye’s ‘four-seven(四端七情)’ is the human heart that comes 形氣. Humans must control their minds and be alert, I realized that the 道心 comes out. He believe that human morality is exercised By making the mind an object of ablation, justification was given. It was thought that justification could be achieved by making the mind the object of self-control. he thought her had to control my mind. It was confirmed that Changgye's philosophical thought was a Neo-Confucian interpretation that pursued universality by emphasizing Li in Confucianism, emphasizing human goodness, the heart, and virtuous ethics. Changgye's 『Dokseocharok-Mencius』 was Changgye's hermeneutics of Mencius that contained the situation of the 17th century, free from Confucianism, and the philosophical thoughts of the Yulgok school and eclectic school.

      • KCI등재

        Voluntary Disclosure of Externally Sourced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Managerial Opportunism: Evidence from the Korean Stock Market

        박연우,김경순,이진훤 한국증권학회 2018 Asia-Pacific Journal of Financial Studies Vol.47 No.1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nformation effect of voluntary disclosure of externally sourced technological innovation by type of technological innovation, namely, in-bound technology transfer, out-bound technology transfer, and technological alliance. Long-term performance is lower for firms with lower quality accounting information and this effect is most evident in the disclosure of an in-bound technology transfer. Further, low disclosure quality firms undergo a greater decline in long-term performance after a seasoned equity offering following the disclosure of an in-bound technology transfer than high disclosure quality firms. This relationship is more pronounced during a bear market than during a bull mark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