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자녀양육비 지원을 위한 재정 및 조세정책이 가구의 소득수준에 미치는 영향

        박연서,조형태 한국세무학회 2023 세무학 연구 Vol.40 No.4

        This research aims to empirically analyze the impact of government support policies related to childcare expenses on household income and taxation. In order to examine how taxation and financial support policies have affected household income levels after their implementation, household income was disaggregated into market income, total income (income after accounting for the effects of fiscal policies), disposable income (income after deducting taxes and social security contributions), and net income (income after deducting total consumption expenses). The analysis utilized data from the Fiscal Panel for the years 12 to 14, and households with children were compared to households without children. To investigate whether government support policies differ based on the age range of children (school-age or not), the analysis categorized households according to the age group of their children. Additionally,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with net income and other variables as dependent variables to analyze how government childcare support policies impact household income across different age groups of children. The analysis results indicate that financial support related to childcare primarily focuses on households with children under the age of 6, with relatively small variations in the support amount based on income quintiles. However, tax support, such as child tax deductions, had the most significant impact on households with school-age children (6-18 years old), although the magnitude of this support was around 15% compared to financial support, and it increased with income. These characteristics of financial and tax support were also reflected in the analysis of household income. For households with preschool-age children (0-6 years old), additional income from government support resulted in reduced income disparities compared to households without children, and there was little difference or higher income in net income compared to households without children. On the other hand, for households with school-age childre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otal income and disposable income compared to households without children, but a significant decrease was observed in net income after deducting total consumption expenses. In other words, households with school-age children had the lowest net income among income quintiles, which may be attributed to education expenses. This study makes contributions to the literature in that it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government financial support policies and tax policies for households with children, focusing on income quintiles and examining how government policies affect household income changes. Moreover, it distinguishes itself from previous research by analyzing whether government support policies for childbirth and childcare differ based on the age group of children and how these differences manifest in actual household income. 본 연구는 정부의 자녀양육비 지원과 관련된 재정 및 조세정책이 가구소득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당 분석을 위해 가구소득을 시장소득, 가구총소득(재정정책 효과 반영 후 소득), 가처분소득(세금 및 사회보장기여금 차감 후 소득), 가구순소득(가구 총소비액차감 후 소득)으로 세분화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 자료로 재정패널 12차년도에서 14차년도까지의자료를 활용하였고, 가구는 자녀가 있는 가구와 자녀가 없는 가구를 나누어 비교하는 방식으로 분석하였는데, 자녀가 있는 가구의 경우 자녀의 연령대(학령기 여부)에 따라 정부의 지원 정책에 차이가 있는지확인하기 위해 연령대를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아울러서 정부의 자녀양육비 지원정책이 자녀의 연령대별로 가구 소득수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가구순소득 등을종속변수로 하는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자녀양육과 관련된 재정지원은 0~6세 미만 자녀 가구에 집중되어 있었고, 소득분위에 따른지원 규모의 편차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조세지원의 경우 자녀세액공제 등의 영향으로학령기(6~18세 미만) 자녀 가구의 지원액이 가장 컸으나, 재정지원에 비해 그 규모가 15% 수준인것으로 나타났고, 소득이 증가할수록 혜택도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와 같은 재정 및 조세지원의특성은 가구의 소득을 분석하는 과정에서도 나타났다. 비학령기(0~6세 미만) 자녀 가구는 정부의 지원을 받음에 따라 소득이 추가되어 자녀가 없는 가구와의 소득 차이가 낮아졌으며, 가구순소득에서도자녀가 없는 가구에 비해 차이가 없거나 소득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학령기(6~18세 미만) 자녀 가구는 가구총소득, 가처분소득 단계에서는 자녀가 없는 가구와 유의미한 차이가 없으나, 가처분소득에서 총소비를 차감한 가구순소득 단계에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녀가 있는 가구중 학령기(6~18세 미만) 자녀 가구가 자녀가 없는 가구에 비해 소득분위별로 보면 순소득이 가장 낮은집단으로 나타났고, 이것은 교육비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번 연구는 그동안 정부의 재정지원 정책, 세제지원 정책 등이 자녀가 있는 가구에 있어서 어떤양상을 보이는지를 분석하되 이를 소득분위별로 분리하여 분석하고, 정부의 정책이 자녀가 있는 가구의소득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가구소득의 변화를 중심으로 본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정부의 출산 및 자녀양육 지원 정책이 자녀의 연령대(학령기 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와 이러한 차이가 실질적으로 가구소득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분석하였다는 점에 있어서 선행연구와 차별성이 있다.

      • KCI등재후보

        여성에 의해 여성에 의해 재구성된 일본 헤이안(平安) 문학 -닫혀진 일본, 닫혀진 여성, 그 안에서 열린 일본문학-

        박연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2011 여성학연구 Vol.21 No.1

        본 논문은 일본 헤이안 시대의 문학을 이끌어나갔던 동인으로 시선을 돌려 문학과 사회, 문화를 아우르며 고찰한 것이다. 헤이안 시대는 문학을 통해 사고할 것을 습관화하고 문화 일반의 가치를 중요하게 여긴 시기로서 세계의 어떤 문학사보다 이른 시기에 고유한 문학을 형상화하고 완성시켰다. 그 동인의 중심에는 바로 여성이라는 존재가 있다. 정해진 신분이 세습되고 모든 것이 남성 관료를 중심으로 돌아가는 폐쇄사회, 헤이안 시대에 여성은 정략결혼의 희생자인 동시에 남성을 통해 세상과 소통하는 수동적인 입장에 놓여 있었다.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사회의 중심에서 벗어난 그들의 닫혀진 사회와 닫혀진 신분이 거꾸로 그들로 하여금 문학이라는 소통의 장을 열어주었다. 닫혀 있는 신분구조 속에서의 억눌림은 문학으로의 표출이라는 방식으로 재구성되었으며 그들의 삶의 질곡은 자신의 삶 자체를 세계의 전체로서 파악하도록 했다. 그 표출의 국면에서 고유한 표기 수단을 가질 수 있었고 그로 인해 자유로운 글쓰기와 자기서사화가 가능했던 것이다. 결국 일본의 헤이안 문학은 닫혀진 사회 구조 속에 닫혀진 신분으로서의 여성의 안에서 재구성됨으로써 여성적 글쓰기라는 양상으로 만개할 수 있었다. This paper examines the driving force of the flourishing of literature during the Japanese Heian period, with consideration given to the literature, society, and culture at large. The Heian period was when thinking through literature was a norm and the value of culture in general was emphasized. Heian literature shaped and completed its distinct characteristics earlier than any other literary period throughout the world history, and at the center of its driving force were the women writers. In the Heian period, when people were subject to hereditary social classes and male bureaucrats held control over the closed society, women were victims of arranged marriages and had to passively depend on men in order to communicate with outside world. Ironically, however, such a closed society and class system which put women on the periphery opened up a new way of communication for women in the form of women's literature. The suppression felt by women under the rigid class system came to be reconstructed by way of literary expression, and their lives' ordeals were expanded to their views of the external world in its entirety. These were embodied through unique and straightforward ways of expression that could be found in female writings and allowed freedom in their literary activities. It can be said that Heian literature was reconstructed by women writers who couldbloom out of the closed social structure and class system.

      • KCI등재

        열린어린이집 운영 실천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업무과중도와의 관계 탐색

        박연정(Park, Yeonjeong),마수미(Ma, Sumi),채영란(Chae, Youngran)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20 유아교육학논집 Vol.24 No.1

        본 연구는 열린어린이집 보육교사들이 인식한 운영실천과 업무과중도간의 관계를 탐색함으로써 열린어린이집 운영의 개선방향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보건복지부가 제공한 열린어린이집 가이드라인 내 체크리스트를 활용하여, G시 소재 열린어린이집 근무 보육교사 151명을 대상으로 열린어린이집의 운영 실천도와 업무과중도를 조사·분석하였다. 그 결과 전반적으로 열린어린이집 운영 실천이 잘 이루어지고 있고, 이에 따라 업무과중도가 약간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집 공간 개방성’의 실천이 가장 높게 나타나고, ‘참여활동의 일상성’에서 업무과중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 가운데, 반복측정 ANOVA분석 결과 실천도에서 5개 요소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부모 참여의 자발성’, ‘참여수준 다양성’, ‘운영 융통성’ 측면에서 실천도와 업무과중도간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 부모 참여가 적극적이고, 참여수준이 다양할수록, 운영을 융통적으로 할수록 교사의 업무 과중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나아가, 운영실천도를 X축, 업무과중도를 Y축에 놓았을 때 만들어지는 항목들을 매트릭스의 네 가지 영역(중점개선, 업무개선, 실천개선, 유지관리)별로 분류하여, 교사의 업무과중도를 고려한 열린어린이집 운영의 개선 방향을 제시·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operational practices and workload perceived by teachers employed in an open child-care center and to derive the improvement directions for the center. In this study, a checklist of guidelines for open child-care centers provid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was use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51 teachers working at open child-care centers in G city. Survey results indicated that the overall practice of operating the open child-care center was well performed, and the degree of work overload was moderate. The practice of "space openness of center" was the highest and the task overload was relatively high in the "routine of parents’ participation". As a result of repeated measures of ANOVA analysi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five factors in the degree of practice. Also, the "spontaneity of parents’ participation", "variety of participants’ level" and "flexibility of operation" revealed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centers’ operational practice and teachers’ workloads. This implies that as parents actively participated, where such participation involves various activities, and the operation becomes flexible, the centers’ teachers feel more burdened. Finally, a matrix positioning the level of operation practice in the X axis and workload in the Y axis suggests four-categorized directions including 1)items to focus on for the improvement, 2)items to consider regarding teachers’ workload, 3)items to rearrange the work process, and 4)items to keep working on for the effective operation of open child-care cent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