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디어를 활용한 공연 예술의 표현 방법에 관한 연구 - 리얼타임 애니메이션 기법을 중심으로 -

        박세령,이재령,권태정 한국연기예술학회 2019 연기예술연구 Vol.15 No.2

        현대 공연에서 뉴 미디어의 출현으로 공연 예술의 환경 또한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변화된 환경으로 인해 그 표현 방법까지 다양해져 ‘기본 원칙이 새롭게 정의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는’(김형기, 2014) 뉴 미디어 예술의 시대가 도래 한 것이다. 표현방법에 따라 진화해 온 공연의 역사에서 뉴 미디어의 활용은 지금의 공연 문화는 물론 미래의 공연 문화까지도 주도할 것이라는 예측이 지배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뉴 미디어의 기술을 활용한 공연 예술의 표현방법은 그 대중화를 이루지 못하고 있다. 여러 가지 이유를 들 수 있겠지만 우선적으로 정형화되고 싶지 않은 예술의 분야와 정형화되기를 원하는 IT기술 분야 간의 충돌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각 기술 간의 이해가 부족하고 그 기술 간의 융합 모델도 많지 않으며 각 기술 간의 융합적인 시도와 그 구체적인 사례연구도 부족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선행학습으로 뉴 미디어의 개념과 공연 예술에 표현된 뉴 미디어의 활용사례를 연구하고 뉴 미디어의 한 분야라 할 수 있는 리얼타임 애니메이션 기법을 기반으로 새로운 공연 예술 표현의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그 제안의 내용으로는 첫째 공연의 구체적인 모델을 제시하고, 둘째 그 모델의 구현 방법에 관해 이론적으로 설명하며, 셋째 그 모델로 구현된 공연의 활용방법에 대해 이야기 하고자 한다. 특히 활용방법에서는 본 저자가 직접 기획하고 연출한 공연 사례를 중심으로 리얼타임 애니매이션 기법을 이용한 구체적인 공연 모델을 소개하고 향 후 활용 계획을 이야기 한다. With the advent of new media in contemporary performances, the environment of performing arts has also changed a lot. The new media arts have come to the age when ‘the basic principles need to be newly defined' (Kim, 2014). The use of new media in the history of performances that have evolved according to the way of expression is predominantly predicted that it will lead not only the present performance culture but also future performance culture. Nevertheless, the way of expressing the performing arts using the new media technology has not been popularized. There are many reasons for this, but it can be said that it is a conflict between the field of art that does not want to be stereotyped first and the field of IT technology that wants to be stereotyped. The lack of understanding between technologies and the lack of convergence models among the technologies make it difficult to integrate each technology and its specific case studies.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method of expressing new performing arts based on real - time animation technique which can be considered as a field of new media by studying the concept of new media and the use cases of new media expressed in performing arts by prior learning I want to. The contents of the proposal are to present a concrete model of the first performance, secondly to explain the method of implementation of the model theoretically, and thirdly to talk about how to use the performance implemented in the model. In particular, we will introduce concrete performance models using real-time animation techniques, focusing on performances produced and directed by the author, and discuss future plans for use.

      • KCI등재

        디지털 융합 공연 모델에 관한 연구

        박세령,이재령,기홍석,신용태 한국연기예술학회 2019 연기예술연구 Vol.16 No.3

        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우리 경제, 문화, 산업, 예술 등 사회 전 분야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공연 예술 분야에서도 디지털 기술을 활용함에 따라 다양한 예술적 표현이 가능하게 되었다(정현이·김형기, 2013). 또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함과 동시에 기존의 전통적인 방식을 혼합한 형태의 공연에 대한 필요성도 가지 게 되었다. 본 논문은 현대에 디지털기술을 접목한 공연들에 대한 선행 연구 사례를 바탕으로 새롭게 시 도될 수 있는 공연에 관한 모델을 제시하는 것으로 특히 불특정 다수가 아닌 특정인을 대상으로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하는, 즉 양자의 서비스가 혼재된 서비스 융합 모델을(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2019)중심으 로 제안한다. 이 연구는 디지털 융합공연의 개념 및 구성요소를 정의하고 디지털 융합공연 적용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한다. 선행 연구로 뉴 미디어 예술 분야와 디지털기술을 활용한 공연의 사례를 살 펴보고 이를 통해 정의되지 않은 구성요소에 대한 용어 정립과 함께 융합된 형태를 정의하는 기준을 연 구한다. 본 논문의 목적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공연의 시도는 증가하지만 높은 도입 비용과 전문기술 인력의 부족 등을 이유로 적극적인 수용이 어렵다는 판단 아래 그 원인이 구체적인 방법과 형태를 정의 내리지 못 함에 있음을 인지하여 새로운 모델의 형태를 제안함으로 다양한 공연 선택의 기회를 얻도록 한다.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공연의 요구를 마냥 외면할 수 없는 현실이다. 이러한 제안을 통해 디지털 융합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틀을 정립하고 다양한 공연에 대한 시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공연 예술의 장점과 디지털 기술의 장점을 융합하여 만들 수 있는 새로운 공연 모델을 제시할 필요성을 가짐에 따라 이에 따르는 실용적인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is affecting all aspects of society such as our economy, culture, industry and art. In the field of performing arts, the use of digital technology has enabled various artistic expressions. At the same time, there is a need for performances that combine the traditional methods with digital technology. This paper presents a model of performances that can be newly attempted based on previous researches on performances incorporating digital technology in modern times. In particular, it provides bidirectional services to specific persons rather than unspecified majority. We propose a service convergence model with mixed services. This study defines the concepts and components of digital convergence performances and presents specific methods for applying them. As a preceding study, this course examines the case of new media arts and performances using digital technology, and studies the criteria for defining fused forms along with the definition of undefined component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crease the number of attempts using the digital technology, but it is not possible to define the specific method and form under the judgment that it is difficult to actively accept due to the high introduction cost and the lack of professional manpower. By suggesting new model types, various performance choices are offered. In addition, this proposal is expected to establish a framework for utilizing digital convergence technology and contribute to various performance attempts.

      • KCI등재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학습’에 대한 개념화

        박세령(Park, Se Lyoung)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1 교육과학연구 Vol.5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학습’에 대한 개념화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유아기 자녀를 양육 중인 어머니 30명을 대상으로 단어의미연상을 활용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학습에 대한 어머니의 주관적 개념화는 첫 째, 유아기 이후에 가르치는 것, 둘 째, 교재를 순서대로 가르치는 것, 셋 째, 시간표대로 앉혀서 가르치는 것, 넷 째, 국·영·수 지식을 가르치는 것, 다섯 째, 1:1피드백 제공하며 가르치는 것, 여섯 째, 성인 주도적으로 가르치는 것, 일곱 째, 조용히 재미없게 가르치는 것, 여덟 째, 가성비를 고려하여 가르치는 것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었다. 그리고 유아교육기관에의 배움에 대하여 학습이 아닌 것으로 개념화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학습과 배움이 가진 풍부한 해석의 가능성을 바탕으로, 어머니가 유아기 자녀를 양육하며 체험적으로 형성해온 학습의 의미를 알아봄으로써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배움에 대한 어머니의 관점을 제공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ceptualization of studying by mothers with young children. In-depth interviews using word associations were conducted to find out the subjective and experiential meanings associated with ‘studying as distinguished from learning’. Participants were 30 mothers raising young children in Seoul and Gyeonggi, Korea.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Mothers with young children conceptualized studying as first, teaching after early childhood; second, teaching textbooks in sequence; third, following the class schedule; fourth, teaching Korean, English, and math; fifth, teaching and providing feedback; sixth, adult-directed teaching; seventh, silent and uninteresting teaching; and eighth, teaching cost-effectively. In addition, based on the versatility of the concept of studying and the possibility of multiple interpretations, it is suggested that teachers and mothers of young learners identify and share each other"s understanding of learning in kindergarten. The study provides implications for early childhood curricula created by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families.

      • KCI등재

        폐경기 여성의 건강증진행위와 인지기능과의 관계: 수면의 질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세령 ( Seryoung Park ),오복자 ( Pokja Oh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6

        본 연구는 폐경기 여성의 인지기능에 건강증진행위, 수면의 질 영향과 수면의 질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2021년 9월 8일부터 10일까지 서울 및 수도권지역 폐경기 여성 178명 대상으로 통계분석 방법은 t-test, ANOVA,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건강증진행위와 수면의 질은 폐경기 여성의 인지기능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고 둘째, 수면의 질은 폐경기 여성의 건강증진행위와 인지기능 간 부분매개효과를 확인되었다. 연구결과, 폐경기 여성의 건강증진행위는 수면의 질을 향상시켜 결국 인지지능을 증진할 수 있기에, 본 연구는 건강증진행위와 수면의 질 관리의 중요성을 밝혔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갖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health promotion behaviors, quality of sleep, and quality of sleep mediating effects on cognitive function in menopausal women. Data from 178 menopause women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were collected from Sept. 8, 2021 to Sept. 10, 2021, and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were t-test,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Results of the study first, health promotion behaviors and quality of sleep effected cognitive function.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sleep quality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health promotion behaviors and cognitive function in menopausal women.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menopause women can improve sleep of quality and eventually improve cognitive function, so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revealed the importance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sleep of quality management.

      • 살바도르 달리의 작품에 나타난 무의식에 관한 연구

        박세령(Park, Se-roung), 서동석(Seo, Dong-seok ) 조선대학교 조형미술연구소 2009 조형미술논문집 Vol.9 No.2

        This study is a objective which tries to know the unconsciousness which appears from SalvadorDali's works. For this studying it analyzed 16 in Dali's works of art. The work of art analysis the father, The Angelus, was under classifying with loves and appetite 4 subjects and it analyzed the work of art rightly in each subjects and it analyzed Dali's unconsciousnesses. All work of art analysis comparison analyzed DAP prosecuting attorneys and Freud and Carl Gustav Jung psychoanalysis theories with character. First, Father analyzes five work and Oedipus complex where it adheres from relationship formation with arbor it leads Dali's repeater time and impotence complex the insecurity which is caused by and fear and, simultaneously it identifies the father with the possibility of knowing duplex unconsciousnesses it was. Second, to The Angelus in Miele's The Angelus it analyzed parody one Dali's The Angelus series five works of art and his impotence complex and the fire the love which is safe Oedipus complex insecurity and was the unconsciousness which is started from suppression and the possibility of knowing it was. Third, from love Gala where it is a delay and before meeting, with the work of art after meeting, the result Dali which compares the work of art sexual act Gala and before meeting until, thinks with shameful act. Last, in greed (appetite) it disappears some day from appetite it will be insecure and it will be caused by simultaneously with impotence of Dali oneself and the insecurity which means Gala will leave a confidence and being an unconsciousness of fear, the possibility of knowing it was. This study is Dali oneself and identifies the father from work inside and like the mother as the fear will leave and insecure element the possibility of knowing duplex unconsciousnesses there was Gala where it is solved, with the father the identification loves impotence complex of oneself. Keywords 살바도르 달리, The unconscious, 무의식

      • KCI등재

        영유아기 부모의 놀이에 대한 단어의미연상 분석

        박세령(Park, Se Lyoung)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1 교육논총 Vol.4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놀이에 대한 영유아기 부모의 주관적 의미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영유아기 자녀를 양육중인 부모 150명을 대상으로 단어의미연상 반응어를 수집하고 빈도 분석, 연상 강도 분석, 의미범주화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놀이에 대한 영유아기 부모의 주관적 의미는 첫째, 놀이의 보편적 의미와 함께 반응어간 의미관계(유의관계, 반의관계, 모순관계)로부터 발생하는 확장된 의미를 포괄하고 있었다. 둘째, 놀이주체 및 맥락에 따른 의미차이를 포괄하고 있었다. 셋째, 현대사회를 살아가며 영유아기 자녀를 양육중인 개인적 특성에 따른 의미차이를 포괄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놀이가 가진 다의성을 바탕으로 놀이에 대한 학계, 기관, 부모 간 상호이해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놀이에 대한 부모의 관점을 제공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ord association of play by parents with young children. Word associations were conducted to find out the subjective and experiential meaning associated with play. The subjects in this study include 150 parents raising young children in South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eaning of play included universal and extended meaning from semantic relationships such as a synonym, an antonym, and a contronym. Second, the meaning of play included differences in meaning according to play subjects and context. Third, the meaning of play included differences in meaning according to personal characteristics of raising infants and children in modern society. The present study provides a new perspective and multi-faceted understanding of play. In addition, based on the versatility of play and the possibility of abundant interpretation, it is suggested that academia, educational institutions, parents identify and share each other s understanding of the same.

      • KCI등재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놀이’에 대한 개념화

        박세령 ( Park Se Lyoung ) 열린부모교육학회 2021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놀이에 대한 개념화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경기지역에서 유아기 자녀를 양육중인 어머니 30명을 대상으로 단어의미연상을 활용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놀이에 대한 어머니의 개념화는 첫째, 재미(재미가 있어야, 재미가 없으면, 각자의 재미는), 둘째, 친구(친구와 더불어, 관계를 위해서, 외로워 보여서), 셋째, 힐링(에너지를 충전, 스트레스 해소, 나만의 힐링은), 넷째, 시간(시간이 없어서, 시간이 있다면, 시간이 있어도), 다섯째, 변화(연령에 따라서, 시대에 따라서, 입장에 따라서, 불변의 진리는)를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었다. 본 연구는 놀이가 가진 풍부한 해석의 가능성을 바탕으로, 놀이개념을 중심으로 소통하는 가정과 기관의 협력관계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nceptualization of play by mothers with young children. In-depth interviews using word associations were conducted to find out the subjective and experiential meaning associated with play. The subject used in this study includes 30 mothers raising young childre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Mothers with young children formed a general conceptualization of play from fun, friends, healing, time, and change. Mothers formed a unique meaning based on the mutual dynamic meaning relations of ‘play’, ‘fun’, ‘friend’, ‘healing’, ‘time’ and ‘change’ and their own subjective perspective. First of all, mothers have formed a conceptualization of play from fun. Second, mothers formed a conceptualization of play from friend. Third, mothers formed a conceptualization of play from healing. Fourth, mothers formed a conceptualization of play from time. Fifth, mothers formed a conceptualization of play from change.

      • KCI등재

        유아기 지속가능발전교육 학습모형을 활용한 생물다양성교육의 과정과 의미

        박은혜,박세령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4 교과교육학연구 Vol.18 No.1

        본 연구는 유아기 지속가능발전교육 학습모형을 활용한 생물다양성교육의 단계별 과정을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유아가 갖는 경험을 고찰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영유아교육기관의 만5세 종일제 두 학급에서 유아 38명과 담임교사 4명을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기 지속가능발전교육 학습모형을 활용한 생물다양성교육의 과정은 지속가능발전의 원칙과 원리가 반영된 총 여섯 단계의 모형(문제발현 및 주제선정 단계, 문제인식 단계, 문제탐색 및 대안적용 단계, 경제·환경·사회계의 순환관계 이해단계, 현황파악 및 해결책 제시 단계, 보전노력과 국제적 책임인식 단계)에 따라 전개되었다. 각 단계마다 생물다양성교육의 주요 내용 및 생물다양성과 관련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핵심주제들이 연계되었으며 기존의 유아교육 교수전략과 교수원리가 그대로 적용되었다. 둘째, 유아기 지속가능발전교육 학습모형을 활용한 생물다양성교육에서 유아가 갖는 의미 있는 경험은 정보수집, 홍보, 의사소통의 도구로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기, 의사결정을 위해 다수의 의견과 다양한 관점 반영하기, 전체를 살피며 개인의 역할 찾아 수행하기, 지구적 관점에 기반한 주도적 실천과 공동의 변화 촉진하기 등으로 나타났다. 멸종위기동물을 위한 실천노력은 개인으로부터 가정, 기관, 지역사회, 세계로 확대 되었는데, 그 과정에서 관찰된 유아의 자발적인 태도는 기관의 철학, 교사의 태도,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사전경험과 관련이 있었다. 이러한 유아의 경험은 지속가능발전을 가능하게 하는 역량과 부합되는 것으로 지속 가능성을 지향하는 교육과정을 통해 발현되었다. This study analyzed biodiversity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using the ES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learning model and examined the children's meaningful experiences during the proces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a case study. The subjects were 38 students and 4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First, a process of biodiversity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using the ESD learning model was developed through a model of six stages supporting the principles of sustainable development. In each stage, the teaching strategies and principles that child education teachers use were applied to the lessons. Each stage included the core content of the biodiversity education curriculum and was connected to the main subjects of ESD. Second, the meaningful experiences of the children during the biodiversity education using the ESD learning model included actions such as collecting information, utilizing various communication media, reflecting on others' opinions for decision making, performing one's own role in a group, leading actions, and pursuing common goals. These are all connected to competencies in ESD.

      • KCI등재

        암호화폐 수익률 예측력 향상을 위한 요인 강화

        염예빈,박세령,한유진,이재현,이정우,백창룡 한국통계학회 2022 응용통계연구 Vol.35 No.2

        본 연구는 외부 요인을 모형에 강화시켜 암호화폐 수익률 예측력을 향상시키는 방법에 대해서다루고 있다. 고려한 요인으로는 크게 나누어 금융 경제적 요인 및 심리적 요인을 고려하였다. 먼저 금융 경제적 요인을 반용하기 위해서 주성분 요인을 사용하여 수 많은 변수를 차원축소를 통해서 모형에 반영하였다. 또한 심리적 요인을 위해서는 뉴스 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산출해낸 감성지수를 활용하였다. 이러한 요인들은 충격반응함수 분석을 통해서 요인들의 의미와 영향력을 시각화하였다. 또한 전통적인 ARIMAX 뿐 만 아니라 랜덤포레스트 및 딥러닝 모형을 활용하여 비선형성을 반영하였다. 그 결과 요인 강화가 암호화폐 수익률 예측력을 향상시킴을 실증분석을 통해 밝혔으며 그 중에서 딥러닝 모형인 GRU가 가장 좋은 예측 성능을 보임을 관찰하였다.

      • S-63 위암으로 오인된 위결핵 1례

        이성빈,박형열,박세령,박종익,민준식,제갈문,양민주,김윤수 대한내과학회 2016 대한내과학회 추계학술대회 Vol.2016 No.1

        서론: 복부 결핵은 폐외 결핵의 가장 흔한 형태중 하나로 복막 및 복부 장기의 mycobacterium tuberculosis (Mtb) 감염으로 정의된다. 그 중 위 결핵은 상대적으로 매우 드물며 특징적인 증상, 방사선학적, 내시경적 소견이 부족하여 진단에 어려움이 있어 악성종양으로 오인하여 수술 통한 위절제 후 결핵으로 진단되는 경우가 많다. 이에 저자 등은 위의 악성종양으로 오인되었으나 항결핵제 사용 후 호전된 1예를 경험하여보고하는 바이다. 증례: 79세 남자환자로 수개월 전부터 경구 식이섭취 감소하며 밤에 소화 잘되지 않으며 간헐적인 복부전반의 통증 호소로 본원 내원하였다. 신체 검진에서 의식은 명료하였으며 흉부 진찰 및 심폐음 청진에서 특이 소견은 없었으며 경부 림프절 종대, 간 비장종대도 없었다. 흉부 X-선 검사에서 양 상엽의 과거 결핵병소 관찰, 복부 전산화 단층촬영에서 위 분문부 및 체부를 따라 저음영의 위벽 비후가 관찰되었으며 총간동맥 및 이자 체부 주위에 최대 3.8 cm의 임파선들이 관찰되었다 상부소화관 내시경상 분문부 소만 측에 완만한 융기성 팽륜소견과 중심부 함몰및 궤양 변화 보이는 부위 있어 생검 시행하였으며 생검상 미란, 장화생, 화농 동반한 만성 활동성 위염 소견 있었으며 악성종양 및 결핵을 시사 하는 소견은 없었다. 내시경 생검 조직에서 암세포가 없었지만 복부 전산화 단층촬영 및 내시경 소견에서 악성종양을 배제할 수 없어 개복후 절제 수술 필요성 설명 하였으나 환자 고령으로 환자, 보호자 개복술 원하지 않으시며, 보전적 치료 원하였다. 6개월 뒤 식이 힘들어지며 간헐적 복부 통증 악화로 입원 하였으며 경과관찰 위해 시행한 상복부 내시경 소견에서 이전의 분문부 소만 측의 융기성 팽륜과 궤양 병변 호전되어 반흔성 변화 관찰되었다. 내시경적 소견 호전 양상으로 보아 악성 종양 가능성 떨어지며 결핵 가능성 배제할 수 없어 경험적 항결핵제 3제 요법 시행하였으며, 환자 투약 이후 빠르게 증상 호전되어 1개월 뒤 퇴원 후 외래 진료 지속중이다. 6개월 항결핵제 복용 종료 후 경과관찰 위해 시행한 복부 전산화 단층촬영에서 위벽의 비후소견 다소 호전되었으며 총 간 동맥 및 이자 체부 주위 임파선의 크기 감소 있었다(최대 3.8 cm->1 cm 미만). 고찰: 우리나라와 같이 결핵의 이환율이 높은 지역에서는 위의 궤양성 병변이 있는 경우 조직검사 에서 육아종이나 결핵균이 발견되지 않는다 해도 위결핵 가능성을 배제 할 수 없어 본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