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반맹에서 반시야 문양 시유발전위와 빛간섭단층촬영과의 일치성

        박성용,박상혁,하승주,박성희,Sung Yong Park,Sang Hyouk Park,Seung Joo Ha,Song Hee Park 대한안과학회 2008 대한안과학회지 Vol.49 No.11

        Purpose: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RNFL thickness changes measured by OCT and hemifield pattern VEP in hemianopic visual field loss. Methods: Twelve eyes of six patients with hemianopia were studied. Two patients had bitemporal hemianopia caused by chiasmal tumor, one patient had inferior hemianopia caused by traumatic optic neuropathy, and three patients had homonymous hemianopia caused by occipital lobe lesions. The retinal nerve fiber layer thickness around the optic disc was measured by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 and visual pattern evoked potentials were measured using hemifield stimulations. Results: Normal eyes of traumatic optic neuropathy patients were excluded from the analysis. The retinal nerve fiber layer thickness as measured by OCT corresponded to the visual field defect in 9 of 11 eyes (81.8%) and the hemifield pattern VEP response corresponded to visual field defect in 7 of 11 eyes (63.6%). Conclusions: RNFL thickness measurement by OCT and hemifield PVEP are useful in evaluation of patients with hemianopia. However, they should be performed with caution, and compared with various clinical examinations because of their incomplete correlation with visual field defects. J Korean Ophthalmol Soc 2008;49(11):1819-1828

      • KCI등재

        Bacillus subtilis BC-P1 균주를 이용하여 제조한 청국장의 발효 및 품질 특성분석

        박성용,방미애,오병준,박정훈,송원섭,최경민,정의수,부희옥,조승식,Park, Sung-Yong,Bang, Mi-Ae,Oh, Boung-Jun,Park, Jeong-Hoon,Song, Won-Seob,Choi, Kyung-Min,Choung, Eui-Su,Boo, Hee-Ock,Cho, Seung-Sik 한국미생물학회 2013 미생물학회지 Vol.49 No.3

        본 연구진은 청국장에서 수종의 미생물을 분리하였으며, 이중 소화 효소능이 뛰어난 균주를 선별하였으며, 유전학적 분석결과를 통해 본 균주가 Bacillus 속 균주임을 확인하고 Bacillus subtilis BC-P1이라 명명하였다. Bacillus subtilis BC-P1을 starter로 사용하여 청국장을 제조하였으며, protease, xylanase, chitinase activity, 혈전 분해능, 영양성분 분석 및 아미노산 분석을 통하여 B. subtilis BC-P1를 starter로 활용한 청국장 제품의 개선 가능성을 타진하였다. Bacillus subtilis BC-P1를 starter로 제조한 청국장은 기존 제품에 비해 우수한 소화효소 생성능을 보였으며, 특히 혈전분해효소 생성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고, 대조군에 비해 증가된 환원당 및 총 아미노산 함량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균주를 starter로 하여 청국장을 제조할 경우 기능성분, 생리활성의 증가, 품질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대규모 생산시 균주, 제조 조건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quality of Cheonggukjang with new starter, Bacillus subtilis BC-P1. Twenty strains were isolated from the commercial cheonggukjang and 1 Bacillus strain (BC-P1) with protease activity was selected. The 16S rRNA gene sequence revealed that the BC-P1 was closely related to B. subtilis with 99% homology.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unggukjang fermented with B. subtilis BC-P1, Bacillus nato (PC) and commercial chunggukjang (NC) wer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fermentation were determined by protease, lipase, xylanase, chitinase, and fibrinolytic activities, reducing sugar, nutrient composition and amino acid contents of cheonggukjang sample. Cheonggukjang fermented with B. subtilis BC-P1 showed the strongest fibrinolytic, xylanase, and chitinase activities. Reducung sugar contents of Cheonggukjang samples were $30.16{\pm}2.11$ mg/g (NC), $28.56{\pm}1.52$ mg/g (PC), $32.39{\pm}1.87$ mg/g (BC-P1). And their total amino acid contents were 338.99 mg% (NC), 445.19 mg% (PC), 741.35 mg% (BC-P1).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B. subtilis BC-P1 was suitable to be used as a starter to enhance the quality and effects of cheonggukjang.

      • KCI등재

        사회공간적 범주화와 ‘양반다움’의 문화정치적 구성: 현대 청도 종족에 대한 민족지적 연구

        박성용 ( Park Song-yong ) 한국문화인류학회 2021 韓國文化人類學 Vol.54 No.1

        이 논문의 목적은 오늘날 청도 양반 종족원이 문화적 정체성을 두고 경합하면서 어떻게 행정경계와 다르게 사회공간적 범주화를 실천하였는지를 이해하는 데 있다. 아울러서 필자는 집과 마을, 군의 하위지역, 도의 접경 지역에서 그들이 창출한 여러 가지 사회적 공간의제 형태와 문화적 경계를 해석하고자 하였다. 먼저, 양반 가문의 후손이 청도를 분획한 ‘산동’과 ‘산서’ 지역에 대한 사회공간적 표상은 문화적 맥락에서 ‘양반다움’을 드러내는 정치적 행동과 관련될 뿐만 아니라 사회적 거리가 공간적 거리로 전환됨을 보여준다. 청도의 지리적 상이성을 토대로 한 종족집단의 정치적 지배력에 대한 경합은 산동과 산서의 분절된 사회적 공간을 생산하는 데 영향을 주었다. 특히 산서 지역에서는 서원이나 재실의 수가 놀랄 만하게 증가하는데 이것은 신양반이 정치적 권력과 경제적 능력을 확보하여 지역 엘리트로서 사회적 우위를 유지하기 위한 문화적 실천을 하는 데서 비롯한다. 이러한 연구결과와 더불어서 종족촌의 사회공간적 범주의 제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영토적 장소로서 중심된 마을은 ‘큰집’과 ‘작은 집’의 관계로 배열되어 있다. 사회적 범주로서의 집은 종족으로 영속되고 있다. 분파된 종족집단은 군 경계를 넘어 위치하고 있다. 특히 양가와 생가 사이에 재산상속 문제와 관련된 파양(罷養)이나 재양자 지정, 입양 이후 형성된 파(派) 갈림으로 인해 마을의 사회적 공간도 구분된다. 둘째, 입가자에게는 사회적 구심력이, 출가자에게는 사회적 원심력이 작용하였다. 1970년대 이후 마을 사람들의 통혼권은 산서 지역에서 전국적으로 확대되었다. 셋째, 묘소공간은 가까운 친척과 먼 친척의 관계망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 묘소공간은 산록 아래에서 위로 올라가면서 입촌한 선조로부터 아랫세대의 후손을 매장하는 역장의 방식으로 조성되어 있다. 두 문중이 한 산소를 두고 벌인 묘시비로 인해 마을과 미시 지역, 그리고 접경 지역을 넘어서 사회적 위계를 두고 다투는 권력장이 형성되었다.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how today’s descendants of the Yangban lineages in Cheongdo practice socio-spatial categorization which differs from that of official administrative boundaries when contesting for cultural identity. By looking more closely at the diverse forms of social spaces they created through established cultural boundaries in villages, county subregions, and provincial border regions,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on these descendants' cultural identity. Initially, the socio-spatial representation of the Sandong and Sanseo regions, which were separated by the descendants of the yangban lineages, is one example of how the cultural influence of yangbanness has manifested in a political manner, resulting in the transformation of a social distance into a spatial distance in Cheongdo. The contestation between lineage groups over the political domination of physical territory has continued to influence the production of divided social spaces between Sandong and Sanseo. Particularly in the case of the Sanseo region, the number of Confucian academies, shrines has increased remarkably; which came about as a result of new elites’ social practices which focused on the maintenance of their social superiority through the enforcement of political and economic power during the era. In addition to these finding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cio-spatial categories in Sinchon as a lineage village are as follows. Firstly, their main village consisted of a territorial place that included both a big house and a little house, which reveals how the house society, as a social unit, continued to perpetuate the concept of lineage. The segmented lineage groups are located across county boundaries, and the residents’ social space has been divided between the adoptive family and the adopted family, in accordance with the dissolution of adoption in relation to the succession of property, the designation of the re-adopter, and the division of family branch formed after adoption. Secondly, the social centripetal force which acts on women who marry into family, and the social centrifugal force’s effects on the women who marry out of the family. Since the 1970s, the marriage spheres of villagers have enlarged from the Sanseo region to across the country. Thirdly, the tomb spaces are arranged by networks of near kin and distant kin, and they are constructed in the manner of an upside-down burial, in which the descendants of the lower generation from the ancestors who entered the village are arranged from the bottom of the mountain to the top. The tomb lawsuits between the two lineages over the same graveyard created power fields which resulted in the quarreling over social hierarchy beyond their village, micro-region and border region.

      • KCI등재

        연구논문 : 옹기장들의 제작기술과 다양한 신체적 실천: 흙가래와 판장 제작 과정에 대한 사례

        박성용 ( Song Yong Park ) 한국문화인류학회 2015 韓國文化人類學 Vol.48 No.2

        이 연구는 옹기장들이 흙가래나 판장을 제작하는 과정에 있어서 그들의 기술행동이 지역 기술집단의 제작기술에 영향을 받는 가운데 어떻게 개인별 신체적 실천을 다양하게 하는지를 이해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 연구를 통해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옹기장들의 기술이행단계는 부분연쇄들로 구성되고 여기에는 왼쪽과 오른쪽이라는 대립이 동형적으로 배열된다. 그리고 이러한 기술동작은 중간 작업 과정 이후에도 동일하게 반복하면서 전체연쇄를 이루게 된다. 특히 판장을 만드는 옹기장들의 기술 과정에는 왼쪽에서 오른쪽, 혹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흙판을 당기면서 내려치는 기술동작과 중간에 공중회전시키는 신체기술 간의 연쇄질서가 있다. 둘째, 옹기장들은 일정한 기술동작을 단락마다 교대로 반복한다. 여기에는 하위 제작과정별로 기술행동의 규칙이 있다. 그들은 흙가래나 판장을 제작하기 위해 일정한 간격의 호흡, 개인별 상이한 박자들을 기술화한 신체적 율동성을 실천한다. 율동은 지역별 옹기장에 따라 다양하다. 그들은 주기적 연쇄질서와 신체적 율동을 체화하고 있다. 셋째, 옹기장들은 기술 상황에 따라 손과 팔을 이용하여 쥐고 굽히거나 회전시키는 기본된 신체동작을 다양하게 변형·복합시킨다. 복합적 기술동작은 기본된 손동작을 조합·변형시켜 흙덩어리를 당기면서 치거나, 치면서 당기는 동작 등과 같은 기술동작들이다. 그들은 손·팔의 관절과 근육을 이용하여 쥐고 굽히며 회전시키는 기술동작을 다양하게 절합·작용하도록 하여 흙가래나 판장의 길이·폭·두께 등을 적합하게 만든다. 넷째, 흙가래나 판장을 제작하는 옹기장들의 신체기술에는 지역 기술집단이 전승한 제작기술과 점토에 대한 개인별 근육운동·감각적 지각·기술동작 등이 합체되어 있다. 점토의 가소성 및 점성을 변형시키는 그들의 신체동작과 감관적 지각, 기술동작은 동시발생적으로 상응·교류하도록 한다. 점토의 상태를 손으로 만져 보거나 색상을 보고 적당한 흙인지 아닌지를 파악하는 그들의 기술행동들은 그들의 촉각과 시각 등의 제 감각들이 기술 과정에서 공감각(synaesthesia)함을 나타내 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how potters’ individual corporal practices have influenced the techniques of the local community in the process of making coils and slab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otters’ technical transitional steps are carried out through isomorphic arrangements of left and right side oppositional movements which together form a chain. The potters’ repeat these technical gestures and the total chain is completed after an intermediate working process. In particular, the potter must follow the order of the technical chains when forming and shaping slabs, as the potter moves the clay templates from the right to the left. Second, the potters alternatively repeat certain technical acts in short circuits as they move through every sub-step in processing the clay. Each circuit has a different rhythmic quality and their breathing corresponds to the beats. This rhythm varies by locality and ties together the entire chain of corporal practices. Third, potters transform and multiply the basic corporal gestures such holding, bending, and rotating according to the technical circumstance. These expanded gestures are complex movements such as pulling and beating down, or reversing actions that are combined with and transform the basic hand gestures. These gestures are used to properly form the length, breadth, and thickness of the coils and slabs through a combination of technical motions and muscle memory in the hand and arm. Fourth, the potters’ coiling and slab techniques come from individual muscle, sensory perception, and technical gestures. Their gestures and the sensory perceptions used in transforming the plasticity and viscosity of the clay spontaneously correspond to, and are circulated in, their particular technical processes. These actions represent a kind of technical synesthesia used in processing clay-by touching the clay or seeing its color the potters can infer its level of readiness.

      • KCI등재

        전통과 사회적 실천윤리 : 박재형의 『해동속소학』에 대한 언설 분석

        박성용(PARK Song-Yong)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22 민족문화논총 Vol.80 No.-

        이 논문은 우리의 비물질적・물질적 전통과 사회적 실천윤리가 어떻게 관련 되는지를 이해하기 위해 1894년 발간된 해동속소학에 대한 언설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통적 윤리서라 할 수 있는 이 책은 당시 동아시아의 문 화 정치적 질서가 급변한 역사적 과정에서 기존의 소학과 다른 한국식 유교문 화적 윤리규범을 재구축하려는 저자의 사고를 잘 나타내준다. 이 책은 기존의 소학의 구성체제를 따르지만, 이와 다른 점은 윤리적 언설이 한국 유학자의 도통(道統)과 가문의 전통을 고려한 명현과 이들과 다른 사회계급의 선인들을 중심으로 그들의 도덕률과 가치관, 믿음에 대한 것으로 구성되어있다는 것이 다. 한국인의 우주관과 인간관을 기반한 사회적 실천윤리는 한문의 문자적 전 통을 중시한 식자층과 구비전승의 사회주체인 민들 사이에 서로 긴장과 갈등 을 야기시키는 것이 아니라 상호교류된다는 점에서 수용적 개방성이 존재한 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사회적 주체의 사회공간적 윤리는 그들의 생애과정과 사환기(仕宦期)와 관련될 뿐만 아니라 개인・집・마을・지역・국가, 동아시아의 윤리적 주체들 사이에 형성된 50여가지 사회적 관계에 대한 도덕적 규범과 행동으로 구체화 된다. 이 가운데서 가장 많은 빈도수를 보이는 것은 수신해야 할 자신에 관한 것이다, 그 이유는 지고한 덕의 완성을 지향하는 한 개인의 도덕적 수행 행동 은 자아완성을 위해 그 무엇보다 중요하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많은 언설에서 보이는 사회적 관계는 군신관계이다. 그가 이러한 이원적 관계를 기반한 국가 적 윤리를 강조한 것은 당시 외세침략과 급격한 사회변동를 극복하기 위한 정 치체는 왕권에 대한 도덕적 적법성에 기반을 두어야 한다는 사고가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문무겸전의 가문 전통도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이 어서 세번째로 높은 빈도수를 보인 사회적 관계는 부자관계이다. 효도와 같은 사회적 윤리는 유교문화적 인륜과 도덕을 실천하는 문화적 핵심이다. 비록 그 는 서구의 문화적 상대주의를 알지 못하였지만 한국의 윤리전통에는 중국과 다른 상이성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 책에서 보여준다는 점에서 ‘부분적 윤리상 대주의(部分的 倫理相對主義)’의 시각을 어느 정도 견지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scourse on Haedong Soksohak published in 1894 in order to understand how our immaterial and material traditions and social practice ethics are related. This book, which can be said to be a traditional book of ethics, well expresses the author s thinking to reconstruct the Korean-style Confucian cultural ethical norms that are different from the existing Confucianism in the historical process of rapid change in the cultural and political order of East Asia at the time. This book follows the existing structure of Sohak, but the difference is that the ethical discourse is centered on Myeong- hyeon, who considered the traditions and family traditions of Korean Confucian scholars, and their moral laws, values, and beliefs, centered on them and the ancestors of other social classes that it is composed of. The social practice ethic based on Koreans view of the universe and human beings does not cause tension or conflict between the literate who emphasizes the literal tradition of Chinese characters and the people who are social subjects of oral tradition, but rather receptive openness exists in that they are mutually exchanged. In particular, the social and spatial ethics of social subjects are not only related to their life process and social events, but also moral norms for over 50 social relationships formed between individuals, houses, villages, regions, countries, and ethical subjects in East Asia embodied in action. Among them, the most frequent one is about the self to be received, because the moral performance behavior of an individual aiming for the perfection of the supreme virtue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for self-fulfillment. Next, the social relationship seen in many discourses is the military-to-military relationship. His emphasis on national ethics based on this dual relationship seems to have been influenced by the idea that the political body to overcome foreign aggression and rapid social changes at the time should be based on the moral legitimacy of the kingship. It seems that the family tradition of literary and military Accomplishments also had an influence. The social relationship with the third highest frequency is the father-son relationship. Social ethics such as filial piety are the cultural core of practicing Confucian culture s humanity and morality. Although he was unaware of Western cultural relativism, he maintained the view of partial ethical relativism in that this book showed that Korean ethical traditions might differ from those of China.

      • KCI등재
      • KCI등재

        옹기생산의 기술체계와 사회체계 변화 : 경북의 옹기제작자를 중심으로

        박성용(Park Song Yong) 역사문화학회 2009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12 No.1

        경북 지역 옹기 제작자들의 기술체계와 사회체계를 검토하기 위해서는 거시적 차원의 국가경제사 변화와 미시적 차원의 옹기생산의 기술사회체계를 포괄적으로 관련시켜 볼 필요가 있다. 이 논문은 1960대 이후의 경제체계 변화와 옹기를 제작하는데 관련된 재료, 생산도구, 노동조직, 기술과정과 기술행동 등의 관계체계 변화를 이해하기 위해 대장, 건아, 뒷일꾼 등을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이를 통해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960년대 이전의 옹기제작과정에는 대장과 건아, 뒷일꾼의 분화된 역할이 이루어졌다. 기술과정에 관련된 기술요소들의 구성논리는 제작자가 재료와 노동수단을 전유하기 위한 기술적 실천, 전통기술지식과 긴밀하게 관련되고 있었다. 둘째, 1960년대 이후 옹기제작자들이 옹기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진 기술선택은 그들이 사용한 재료나 도구의 물성(物性, materiality)과 더불어서 변화하는 경제적 상황에 대응하기 위한 기술·사회적 전략을 행하였다. 제작자들은 옹기의 완성을 위해 전통적인 기술과 현대 생산기술을 관련시키며 이것을 대립적으로 생각하기보다 실패율을 감소시키기 위해 유용하다고 판단된 기술을 절충·선택하였다. 셋째, 생산의 사회체계는 전통적 생산방식을 기반한 옹기산업이 시장경제의 불충분한 적응으로 점진적으로 해체되는 과정에 처하게 되었다. 일부의 옹기제작자들은 공방제 운영방식에서 대량생산체제로 전환함으로 써 임금비의 절약과 기술과정의 효율성을 추구하는 현대적 생산방식을 선택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노동력과 자본의 한계에 직면한 제작자들이 전통적인 제작과 운영방식을 버리고 이윤을 추구하기 위해 새로운 경제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전략을 실천하는 과정에서 비롯되었다. 거시적, 미시적 기술 사회체계의 변화는 제작자의 역할과 위계, 생산단위의 변화를 야기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the changing aspects of the integrated relationship among the technical process, the technical behavior of the artisan, social relationship of production, and the raw material in the earthenware production from immediately before the 1960s to today. By closely relating the interconnected relationship concerning raw material, the production tools and labor organization needed for earthenware production, and external economic changes, it also aim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shown in the way the artisan chooses, excludes, and borrows techniques. First, the technical elements that constitute both the technical and social systems form an organic relationship. Introduction of new techniques, gradual changes in the tools from traditional to modern, external and internal changes in the socioeconomic environment such as the moving of the rural population to cities, as well as the increasing importance placed on technical efficiency from the mid-to-late 1960s brought about various changes to the social and technical systems. Traditional production organization has almost been dissolved due to the switch from traditional kilns to modified ones, the introduction of pug mills and vacuum deairing machines, and the usage of electric iron spinning wheels. Second, the social relationship of earthenware production had to face various processes, including deterioration, termination, and reconstruction as it encountered the economic system of late industrialization from an agriculture-based, subsistence economy. As a response to the new social and technical environment, families and kinship organizations are producing earthenware in order to minimize expenditures, maximize efficiency, and pursue economic rationality. Some local factories have restructured the family unit into one of production and are attempting to transmit traditional techniques from grandfathers to fathers and on to grandchildren, while developing goods that appeal to the period, in addition to recreating production technology. Third, though the mechanization of production tools to increase energy efficiency and labor productivity is under way, traditional spinning wheels are still being used in some cases. This is because using electric spinning wheels do not increase the artistic authenticity or creativity of the artisan’s earthenware formation technique. Also, it would not change the social relationship of production engaged in the work. However, as electric spinning wheels allow more practical and efficient operation, there could be a slight increase in the amount of earthenware production.

      • KCI등재

        지명의 정치학

        박성용(Park, Song-Yong) 역사문화학회 2018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21 No.2

        지금까지 일제 식민주의 행정제도가 구한말의 조선왕조의 행정 지명체계를 해체하던 시기에 어떻게 명명된 지명이 종족집단의 기억사와 관련하였는지를 연구한 경우는 없다. 이 논문은 종족 구성원들이 청도에 대한 지역화된 다양한 역사적 기억을 지명 명명 과정에서 상호 연관시키는 방식을 이해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첫째, 1914년 청도면이라는 지명이 명명되는 과정에는 경상남북도의 접경지라는 지리공간적 위치, 일제 강점기라는 정치적 상황과 지배와 피지배의 사회관계, 종족집단의 집단기억을 근간으로 한 역사적 장소에 대한 실천 등이 관련하였다. 종족집단은 이러한 요소를 토대로 하면서 과거에 대한 역사적 경험과 지역적 기억을 반영하는 지명을 명명하였다. 둘째, 면 명칭이 명명되는 과정에는 지역 종족집단이 고려시대부터 일제 강점기 이전까지 청도와 관련한 시조와 명조, 입향조와 관련한 사료, 족보, 기념비적 장소 등에 나타난 그들의 인물됨·사건·행적·사회적 지위 등에 대한 일화, 그리고 그 의미에 대한 장기적인 역사적 기억을 지속시키기 위한 전략을 실천하였다. 이러한 역사적 기억은 종족집단의 시원부터 연속된 의식이 누적된 것이라기보다 어떠한 시기에 한정된 기억의 단층을 상황에 따라 그들이 선택하여 조합시킴으로써 이루어진 것이다. 셋째, 그들의 기억사는 공간적 범주로 전환되어 결합되었다. 그것은 종족집단이 이주·정착·분파하는 과정과 관련한 그 근원이 된 시조의 산소 영역, 마을, 미시지역(산동과 산서), 그리고 인접군 사이에 향권을 다투는 접경지역과 포괄적 관련성을 갖는다. This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lace names related to the memory of Kim lineage group when the Japanese colonial administrative system dismantled the place naming system of the Joseon Dynasty. It aims to understand how Kim lineage members correlate their various localized historical memories of Cheongdo(청도) during the naming process. First, the process of naming the territory “Cheongdo-myeon(청도면)” in 1914 was related to various factors such as the geographical and spatial location of the border areas between Gyeongsangbuk-do and Gyeongsangnam-do(경상북도-경상남도), the political situation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social relations of dominance and subordinance, and the verification of historical places based on collective memory of Kim lineage group. Based on these factors, Kim lineage group designated places that reflected the historical experiences and local memories of the past. Second, in the process of naming the territory “Cheongdo-myeon(청도면),” Kim lineage group pursued strategies to explore the narratives and long-term historical memories about their ancestors’ virtues and social status from the founder of Kim lineage, one of the Korean verse forms, and several statements from the Goryeo(고려) period before Japanese colonization. Moreover, they examined documentation about early generation immigrants, their pedigrees, and monumental places to keep names significant and meaningful. These historical memories are not accumulations of consciousness consecrated from the origin of Kim lineage group, but they are made by combining the selected dislocation of memory limited during certain periods and contexts. Third, the historical memory of Kim lineage group was transformed into a growing spatial class. It has a comprehensive relevance to the process of their immigration –settlement– dispersal, ancestral cemeteries, towns, and the bordering territory with intertwined authority with neighboring areas.

      • KCI등재

        사회적 공간의 개념과 공간성 : 사회행위자들의 역사적 실천과 공간적 관계의 구성

        박성용(PARK Song-Yong)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21 민족문화논총 Vol.77 No.-

        지금까지 한국 문화인류학 분야에서 사회적 공간의 연구동향에 대한 검토가 괄목할만하게 이루어진 바는 없다. 이 연구에서는 이와 관련된 국내외의 민족지적 연구들을 다루면서 사회적 공간의 개념과 이론적 시각, 그 구성과정 및 공간성을 고찰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첫째, 1940년대 이후 문화인류학자들은 사회적 공간이란 개념을 통해 사회・문화적 현실을 연구해왔다. 그들의 개념 속에 보이는 공통된 정의에는 세 가지가 있다. 먼저 사회적 공간이란 사회행위자가 의미재현적・실천적 행동을 통해 물리적 공간을 경험된 공간으로 전환하는 가운데 사회・문화적 현실이 공간적 제 요소와 상호작용하면서 배열・구성된 사회관계와 공간적 관계의 체계이다. 다음으로 사회적 공간은 사회구성원들의 무의식적 활동에 내재하는 규칙이 공간적 사회관계의 구조로 변형되어 나타난 반영체로 정의하기도 한다. 그밖에 사회행위자들이 어떠한 위치에서 자리매김한 집단의 특정한 역사 속에서 다양한 사회・문화적 현실들이 공간적 제 요소와 상호작용하는 가운데 생산된 공간적 구성체라는 정의가 있다. 둘째, 사회적 공간은 사회행위자의 의도적 실천과 공간적 수행능력, 그리고 집단의 공간적 역사가 상호지지하는 가운데 구성된다. 공간적 수행능력은 역사와 문화를 통해 중재된 사회주체의 실천능력이다. 행위자들의 공간적 수행능력은 그들의 삶의 역사, 사회적 위치, 이해를 추구하기 위한 상황별 실천전략과 행동의 선택 등과 관련하면서 공간적 관계를 다양하게 구조화하는(구조화된) 데 영향을 준다. 셋째, 사회적 공간의 공간적 성질에는 크게 세 가지가 있다. 먼저 사회적 행위자들은 자신이 속한 집단의 시간성을 바탕으로 의도적 실천을 하며 구성원들이 역사를 선택하고 기억할 때 역사성을 부여한다. 사회구성원들은 인식할만한 집단적 사건을 경험하는 과정에서 비로소 중층적 역사성을 구성한다. 다음으로 사회적 공간은 포괄적 관계성을 가진다. 이것은 사회주체들이 마을과 지역, 국가, 세계사회 차원에서 장소, 경관, 생활공간 등의 분야에서 사회범주들 간의 문화정치적 상호관계와 힘들이 역사과정을 통해 복합적으로 실천됨으로써 생산된 공간성이다. 마지막으로 행위주체들은 오랜 기간을 거치면서 어느 집단에 대해 포함과 배제의 전략을 행하면서 통합 혹은 분리된 사회적 공간을 생산한다. 그들은 이에 대한 역사적 기억이나 이데올로기를 통해 상이한 소속감을 실천하면서 영토적 장소로서의 공간성을 생산한다. So far, a comprehensive review of research trends on social space has been lacking in the field of Korean cultural anthropolog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concepts and theoretical perspectives of spatiality and the constitutive process of the social space that anthropologists have discussed mainly through ethnographic studies of Korea and foreign countries. First, since the 1940s, some anthropologists have studied social and cultural reality through the concept of social space. Generally, in anthropology, social space can be defined by the constituted systems between social relationships and spatial relationships as social actors build an experience of space based on physical characteristics interpreted through cultural representations and practices. Social space reflects the structure of socio-spatial relationships that represent rules of unconscious activities among social members. In addition, spatial formations are produced through mutual interaction between diverse societies, cultural realities, and spatial elements in specific historical processes. Second, social space is constituted by mutual interaction between the intentional practices of social actors, spatial agency, and collective history. Spatial agency is the performance capability enabled through the history and culture of social subjects. The spatial agency of social actors could influence the structuring or structured relationships associated with their life history, social position, situational practice strategies, and choices of action for the purposes of pursuing their interests. Third, there are three spatial characteristics. Social actors practice intentional actions based on the temporality of their groups. When they select and perceive a history of experience based on signified collective events, a multi-layered historicity of social space is constituted. Next, social space has an encompassed relatedness. This is produced spatiality through the complex social practices of the social actors that relate to the cultural and political interrelationships and forces that exist between social categories (i.e. gender, social class, ethnic group, lineage group, etc) based on historical process at the dimensions of the village, region, nation-state, and world. Finally, active subjects exercise inclusive and exclusive strategies over time, and produce either divided or integrated social spaces. As they practice their different sense of belonging-ness through historical memories or ideologies, they create spatiality of territorial pl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