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반맹에서 반시야 문양 시유발전위와 빛간섭단층촬영과의 일치성

        박성용,박상혁,하승주,박성희,Sung Yong Park,Sang Hyouk Park,Seung Joo Ha,Song Hee Park 대한안과학회 2008 대한안과학회지 Vol.49 No.11

        Purpose: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RNFL thickness changes measured by OCT and hemifield pattern VEP in hemianopic visual field loss. Methods: Twelve eyes of six patients with hemianopia were studied. Two patients had bitemporal hemianopia caused by chiasmal tumor, one patient had inferior hemianopia caused by traumatic optic neuropathy, and three patients had homonymous hemianopia caused by occipital lobe lesions. The retinal nerve fiber layer thickness around the optic disc was measured by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 and visual pattern evoked potentials were measured using hemifield stimulations. Results: Normal eyes of traumatic optic neuropathy patients were excluded from the analysis. The retinal nerve fiber layer thickness as measured by OCT corresponded to the visual field defect in 9 of 11 eyes (81.8%) and the hemifield pattern VEP response corresponded to visual field defect in 7 of 11 eyes (63.6%). Conclusions: RNFL thickness measurement by OCT and hemifield PVEP are useful in evaluation of patients with hemianopia. However, they should be performed with caution, and compared with various clinical examinations because of their incomplete correlation with visual field defects. J Korean Ophthalmol Soc 2008;49(11):1819-1828

      • 전립선암에 대한 초음파 영상유도 방사선치료의 Setup 오차 분석을 통한 재현성 평가

        박성용,임승규,시명근,이지해,김종열,조은주,Park, Sung Yong,Lim, Seung Kyu,Si, Myoung Geun,Lee, Ji Hae,Kim, Jong Yeol,Cho, Eun Joo 대한방사선치료학회 2017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Vol.29 No.2

        목 적: 전립선암 환자에 대한 비침습적이고 피폭선량에 대한 부담이 없는 초음파를 이용한 영상유도방사선치료의 Setup 오차 분석을 통해 치료의 재현성을 평가해 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치료가 종료된 전립선암 환자 26명의 1,105영상에 대하여 앞-뒤(anterior-posterior, AP), 좌-우(right-left, RL), 위-아래(superior-inferior, SI) 방향의 Setup 오차에 대해 평균, 표준편차와 3D-error을 분석하였다. 또한 오차범위 0-1 mm, 1-3 mm, 3-5 mm, 5 mm 이상에 대한 각 오차 빈도수(frequency, %) 분석을 통하여 AP, RL, SI 방향에 대한 방향성을 확인 하였다. 결 과: Setup 오차는 AP, RL, SI 방향에 대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는 $1.87{\pm}1.36mm$, $1.73{\pm}1.22mm$, $2.01{\pm}1.40mm$였다. 3D-error는 평균 $3.63{\pm}1.63mm$였다. 각 방향에 대한 Setup 오차값의 빈도(frequency, %)는 AP 방향에 대한 오차범위 0-1 mm에서 29 %, 1-3 mm에서 50.2 %, 3-5 mm에서 19.6 %, 5 mm 이상에서 1.3 %였다. RL 방향에 대하여 오차범위 0-1 mm에서 31.3 %, 1-3 mm에서는 52.5 %, 3-5 mm에서는 15.8 %, 5 mm 이상에서 0.5 %였다. 마지막으로 SI 방향에 대한 오차범위 0-1 mm에서 26.3 %, 1-3 mm에서 50.2 %, 3-5 mm에서 22.4 %, 5 mm 이상에서 1.1 %였다. 결 론: Setup error는 SI 방향에서 $2.01{\pm}1.40mm$로 가장 컸으며 오차 빈도는 모든 방향에서 50 % 이상 오차 범위 1-3 mm에 들어온 것으로 확인되었다. $Clarity^{TM}$ Auto scan을 이용한 초음파영상유도 방사선치료는 치료 전에 방광의 전처치 상태, target의 구조 등을 관찰이 가능하고, 치료 중 target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monitoring하여 빠른 repositioning이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초음파를 이용한 실시간 영상유도방사선치료는 치료의 재현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reproducibility of image-guided radiotherapy using ultrasonography which is non-invasive, without radiation exposure for prostate cancer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We analyzed the setup variation of 1,105 images for 26 prostate cancer patients and the mean, standard deviation and 3D-error in AP, RL and SI directions. Setup variations were classified 0-1 mm, 1-3 mm, 3-5 mm, 5 mm and more. Results: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setup variation in AP, RL and SI directions was $1.87{\pm}1.36mm$, $1.73{\pm}1.22mm$ and $2.01{\pm}1.40mm$. The 3D-error in AP, RL and SI directions was $3.63{\pm}1.63mm$. The frequency of setup variation in AP direction was 29 % in the range from 0 mm to 1 mm, 50.2 % in the range from 1 mm to 3 mm, 19.6 % in the range from 3 mm to 5 mm and 1.3 % in the range of 5 mm or more. In RL direction, the frequency was 31.3 % in the range from 0 mm to 1 mm, 52.5 % in the range from 1 mm to 3 mm, 15.8 % in the range from 3 mm to 5 mm and 0.5 % in the range of 5 mm or more. SI direction, the frequency of errors in the range from 0 mm to 1 mm was 26.3 %, 50.2 % in the range from 1 mm to 3 mm, 22.4 % in the range from 3 mm to 5 mm, and 1.1 % in the range of 5 mm or more. Conclusion: The setup error was highest in the SI direction of $2.01{\pm}1.40mm$. The frequency in each direction was the highest in more than 50 % in the range from 1 mm to 3 mm. $Clarity^{TM}$ Auto scan is possible to monitoring the motion of the prostate during the treatment and to repositioning the patient. In conclusion real-time image-guided radiotherapy using ultrasonography will be increase the reproducibility of radiation therapy.

      • 지역난방 급탕공급 부하균등화를 위한 잠열축열조의 현장 적용

        박성용,유호선,Park, Sung Yong,Yoo, Hoseon 한국플랜트학회 2021 플랜트 저널 Vol.17 No.2

        지역난방의 운영적 측면에서 특정시간의 피크부하 완화를 통한 효율적인 열생산과 공급 및 지역난방 공급 중단 시 급탕 공급은 난방 대비 대체가 어려워 사용자 측면의 불편함과 공급자 측면의 애로사항을 해결할 수 있는 적용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 중 열저장 능력과 급탕공급에 적합한 78℃급 수화물계 잠열축열조를 제작하여 지역난방 사용자 아파트 급탕공급설비에 현장 적용하였다. 본 시스템의 적용 결과 기존 공급방식 대비 급탕온도의 변화가 거의 없이 일정하게 사용자에게 공급됨을 확인하였으며, 피크 열부하는 평균 35% 감소와 비상열원으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부하균등화에 따른 피크부하 감소로 기존 열 공급시설에서 10%의 열공급 여유와 신규 열공급시설 건설비용 및 열사용자의 공사비부담금이 각 5%와 10%가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In terms of district heating operation, efficient production and supply of heat by alleviating the peak load at a specific time require an application technology that can solve the inconvenience of the user and the difficulties of the supplier. In this study, a 78 ℃ class PCM heat storage tank suitable among the technologies that can solve these problems was manufactured and applied to the hot water supply facility for apartments in district heating users. As a result of the application of this system, it was confirmed that the supply temperature was constant to the user compared to the existing supply method.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reduction of the peak load due to load equalization reduced the heat supply margin of 10% in the existing heat supply facility. And the construction cost of the new heat supply facility and the construction cost of heat users is decreased by 5% and 10%, respectively.

      • KCI등재

        Bacillus subtilis BC-P1 균주를 이용하여 제조한 청국장의 발효 및 품질 특성분석

        박성용,방미애,오병준,박정훈,송원섭,최경민,정의수,부희옥,조승식,Park, Sung-Yong,Bang, Mi-Ae,Oh, Boung-Jun,Park, Jeong-Hoon,Song, Won-Seob,Choi, Kyung-Min,Choung, Eui-Su,Boo, Hee-Ock,Cho, Seung-Sik 한국미생물학회 2013 미생물학회지 Vol.49 No.3

        본 연구진은 청국장에서 수종의 미생물을 분리하였으며, 이중 소화 효소능이 뛰어난 균주를 선별하였으며, 유전학적 분석결과를 통해 본 균주가 Bacillus 속 균주임을 확인하고 Bacillus subtilis BC-P1이라 명명하였다. Bacillus subtilis BC-P1을 starter로 사용하여 청국장을 제조하였으며, protease, xylanase, chitinase activity, 혈전 분해능, 영양성분 분석 및 아미노산 분석을 통하여 B. subtilis BC-P1를 starter로 활용한 청국장 제품의 개선 가능성을 타진하였다. Bacillus subtilis BC-P1를 starter로 제조한 청국장은 기존 제품에 비해 우수한 소화효소 생성능을 보였으며, 특히 혈전분해효소 생성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고, 대조군에 비해 증가된 환원당 및 총 아미노산 함량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균주를 starter로 하여 청국장을 제조할 경우 기능성분, 생리활성의 증가, 품질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대규모 생산시 균주, 제조 조건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quality of Cheonggukjang with new starter, Bacillus subtilis BC-P1. Twenty strains were isolated from the commercial cheonggukjang and 1 Bacillus strain (BC-P1) with protease activity was selected. The 16S rRNA gene sequence revealed that the BC-P1 was closely related to B. subtilis with 99% homology.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unggukjang fermented with B. subtilis BC-P1, Bacillus nato (PC) and commercial chunggukjang (NC) wer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fermentation were determined by protease, lipase, xylanase, chitinase, and fibrinolytic activities, reducing sugar, nutrient composition and amino acid contents of cheonggukjang sample. Cheonggukjang fermented with B. subtilis BC-P1 showed the strongest fibrinolytic, xylanase, and chitinase activities. Reducung sugar contents of Cheonggukjang samples were $30.16{\pm}2.11$ mg/g (NC), $28.56{\pm}1.52$ mg/g (PC), $32.39{\pm}1.87$ mg/g (BC-P1). And their total amino acid contents were 338.99 mg% (NC), 445.19 mg% (PC), 741.35 mg% (BC-P1).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B. subtilis BC-P1 was suitable to be used as a starter to enhance the quality and effects of cheonggukjang.

      • SCOPUSKCI등재

        산화티타늄 피막의 광 전기분해 특성에 관한 연구

        박성용,조병원,주재백,윤경석,이응조 ( Seong Young Park,Byung Won Cho,Jeh Beck Ju,Kyung Suk Yun,Eung Cho Lee ) 한국공업화학회 1992 공업화학 Vol.3 No.1

        광 전기분해시 양극으로 사용되는 산화티타늄 반도체 전극의 안정성을 증대시키고 효율향상을 위해서 순수한 티타늄 전극을 양극 산화법, 전기로 산화법, 불꽃 산화법으로 산화 피막을 제조하였으며 In을 Ti와 TiO_2소지에 전기도금을 한 후 전기로 산화법으로 혼합 산화물을 제조하였다. 또한 Al_2O_3와 NiO는 진공증착 방법을 이용하여 Ti 소지위에 증착시킨 후 전기로 산화법을 이용하여 흔합 산화물을 제조하였다. 에너지변환 효율(η)은 인가전위에 따라서 다른 값을 갖는데 0.6V로 계산하여 보면 1200℃의 불꽃으로 2분간 산화시킨 전극이 0.98%로 가장 큰 값을 가졌으며 양극 산화법으로 제조한 전극의 η는 0.14%로 작은 값을 보여 주었다. 한편 800℃ 전기로에서 17분간 산화시킨 전극의 η는 0.57%로 띠간 에너지는 2.9eV로 나타났다. 한편 In을 Ti 및 TiO_2 소지위에 전기도금시킨 전극의 η는 0.8%였으며 인가전위가 증가함에 따라서 η는 증가하였다. 그러나 Al_2O_3와 NiO를 Ti소지위에 진공증착시킨 전극의 η는 다른 전극들에 비해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For the development of semiconducting photoelectrode to be more stable and efficient in the process of photoelectrolysis of the water, pure titanium rods were oxidized by anodic oxidation, furance oxidation and flame oxidation and used as electrodes. The Indium islands were formed by electrodeposition of In thin film on TiO_2 and Ti by electrodeposition. Also Al_2O_3 and NiO islands were coated on Ti by the electron-beam evaporation technique. The maximum photoelectrochemical conversion efficiency(η) was 0.98% for flame oxidized electrode(1200℃ for 2min in air). Anodically oxidized electrodes have photoelectrochemical conversion efficiency of 0.14%. Furnace oxidized electrode(800℃ for 10min in air) has 0.57% of photoelectrochemical efficiency and shows a band-gap energy of about 2.9eV. The In_2O_3 coated TiO_2 exhibits 0.8% of photoelectrochemical efficiency but much higher value of ηwas obtained with the increase of applied bias voltage. However, Al_2O_3 or NiO coated TiO_2 shows much low value of η. The efficiency was dependent on the presence of the metallic interstitial compound TiO_(O+X)(x<0.33) at the metal-semiconductor interface and the thickness of the suboxide layer and the external rutile scale.

      • KCI등재

        다약제내성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가지는 Bacillus subtilis MP56 균주의 분리 및 특성분석

        박성용,유진철,성치남,조승식,Park, Sungyong,Yoo, Jincheol,Seong, Chinam,Cho, Seungsik 한국미생물학회 2013 미생물학회지 Vol.49 No.1

        최근 국내외로 MRSA, VRE 등의 다약제 내성 균주의 분리빈도가 매년 급증하고 있고, 시판하고 있는 항생제 중 가장 효능이 강력한 제품들도 다약제 내성균 출현율이 증가함에 따라 이를 극복할 새로운 항생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다약제 내성균에 유효한 항생제의 예로 vancomycin, teicoplanin, linezolid가 다약제 내성균에 유효한 의약품으로 쓰이고 있으며 방선균이나 Bacillus 등의 배양액에서 다약제 내성균에 유효한 물질의 발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넓은 항균범위를 가지고, 체내 축척이 적은 항생물질에 개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진은 국내 서해안의 갯벌에서 Bacillus 속 미생물을 수종 분리하였으며, 다약제 내성균에 항균 활성을 지니는 MP56 균주를 선발하였고, 균주 동정 결과 Bacillus subtilis 와 99.93%의 16S rRNA 상동성을 나타냄을 본 연구에서 확인하였다. 국내외 연구진에 의하여 다수의 Bacillus 속 미생물이 분리된 바가 있으며, 항균 물질에 대한 연구도 보고된 바 있다. 그러나 국내 갯벌에서 분리된 Bacillus 속 균주 배양액의 임상균주에 대한 항균 효능 평가에 관한 연구는 보고된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 Bacillus 속 균주 MP56 배양액이 국내에서 분리한 임상 균주인 MRSA, IMP 균주에 대해 우수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어 최적 발효조건과 항균범위를 본 논문을 통해 보고하였으며, 추후 MP56 균주 배양액에서 항균물질의 분리, 정제 및 구조 규명을 위한 후속 연구를 수행 할 예정이다. A new Bacillus strain designated as MP56 producing antimicrobial substance has been isolated from the mud flat of Korea. The strain MP56 was found to exhibit broad spectrum of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Gram-positive pathogenic microorganisms and MDR (multi drug resistant) strains. The 16S rRNA sequence revealed that the MP56 was closely related to Bacillus subtilis with 99.93% homology. The optimal medium composition for production of antimicrobial substance in the B. subtilis MP56 were 1% mannitol, 1% oat meal, 0.01% $CaCl_2$.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culture broth against different pathogenic strains was assessed using the antimicrobial spectrum. The result suggests that Bacillus strain MP56 produces high quality antimicrobial substance that might be very useful to control varieties of pathogenic microbial grow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