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색상에 의한 한국인 피부색의 상세한 분류

        박다은(Park, DaEun),홍해령(Hong, HaeRyung),박영경(Park, YungKyung) 한국색채학회 2019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33 No.3

        Personalized makeup is preferred based on individual skin color diagnosis. In accordance, the need to diagnose skin color accurately is required. Skin color varies across different body locations and therefore inaccurate to measure skin color. For these reasons, human skin color is hard measure as a single color value.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o classify the tone and brightness of human skin by hue than to measure the skin color. Hue is easier for non-professionals to answer and has a wider choice than warm and cool based skin color. In this study, detailed classification of skin colors was attempted using skin color specimens and actual facial images. Based on the PANTONE SkinToneTM Guide, and real skin images, the skin was classified in terms of six hues of Reddish / Yellowish / Orangish / Greenish / Bluish / Purplish. Considering that skin color can be explained by relative values, the measurement data was converted to a difference (delta) from the average value. In skin colors, Redness (a*) and Yellowess (b*) were calculated by classifying each of them into two large categories and to clearly distinguish Lightness (L*) and Chroma (C*) from the tone graph. Δa*(Redness) and ΔL*(Lightness) are calculated as differences from average value. In the same way, Δb*(Yellowness)-ΔC*(Chroma) was also calculated to explain the hue classification. We also identified that Korean skin color is divided into yellow, reddish, and orangish and the relationship with Δb* and ΔC* values of CIELAB.

      • 벽부형 색채조명에 따른 감정(긴장, 안정) 연구

        박다은(DaEun Park),박영경(YungKyung Park) 한국색채학회 2014 한국색채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5

        색은 인간의 감정에 영향을 미치며 색광 또한 인간의 감정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직접 바라볼 수 있는 벽부형 조명의 색채는 외부 요인에 영향을 받지 않는 단일색으로서 보다 직접적으로 인간의 감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논문은 색광을 피험자에게 직접 노출시킨 후 얻어지는 감정의 정도를 파악하여 직부형 조명으로부터 공간에 조사된 색채와 외부 요인에 영향을 받는 물체색과 구별되는 색광 고유의 감정분포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Red, Magenta 색광이 긴장·불안을 가장 크게 유발시키고 Orange와 Yellow가 평온·안정 감정을 가장 크게 유발한다는 결과를 얻었으며 Green 색광의 경우 긴장·불안 평온·안정 감정과 연관성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 장면 이미지의 기억색 특징

        박다은(DaEun Park),박영경(Yungkyung Park) 한국색채학회 2018 한국색채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5

        기억색 연구의 연구 대상은 친숙한 자연물에서 출발해 브랜드 로고와 같은 인공물과 자연풍경으로까지 확장되었다. 기억색은 장기기억에 저장된 원형(prototype)으로 재현된 색채 또는 이미지의 선호에 영향을 미친다. 이미지를 활용한 커뮤니케이션이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다양한 complex 이미지가 소비되는 지금, 일상의 모습을 재현한 complex이미지의 기억색 특성을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자연 풍경과 인물, 인공물이 혼재하는 장면 이미지를 활용한 기억색 재인 실험을 시행했다. 실험 결과 장면 이미지의 색채는 brightness, contrast, saturation이 상승한 상태로 장기 기억에 저장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장면 이미지의 기억색은 saturation 감소에 민감한 것으로 확인되어 기존 자연물 단일 대상을 활용한 기억색 연구 결과와 유사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 KCI등재

        승급교육에 참가한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실제 이직 간의 관계: 그릿의 조절효과

        민분홍 ( Min Boonhong ),박다은 ( Park Daeu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1 유아교육연구 Vol.41 No.4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실제 이직에 미치는 영향성에서 그릿의 조절효과를 6개월간의 단기 종단연구를 통해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보육교사 1급 승급교육에 참가한 보육교사 86명을 대상으로 학년 중반에 그릿과 직무스트레스를 설문조사 하였으며, 학년 말에 실제 이직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그릿이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실제 이직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그릿이 낮은 교사는 직무스트레스가 높아질수록 이직을 하는 경향이 있으나, 그릿이 높은 교사는 직무스트레스가 높아진다 할지라도 이직을 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그릿이 보육교사의 실제 이직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함으로써, 보육교사의 그릿이 심리 내적인 요인을 넘어 보육교사를 계속할 것인지 중단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진로 결정과 관련이 있음을 밝혔다는 점에서 실질적, 이론적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grit on the link between job stress and job turnover in childcare teachers. A prospective 6-month longitudinal study was conducted, involving 86 childcare teachers. In the middle of school year,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complete job stress and grit questionnaires, and at the end of school year, their actual turnover rate was measured. The results showed that grit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job stress and actual job turnover. As their job stress increased, teachers with the lower levels of grit were more likely to leave their jobs than those with higher levels of grit. Furthermore, the grit significantly reduced the teachers’ turnover rate, but only under high levels of job stres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우수등재

        유아 교사의 지적 겸손성향이 전문적 지식에 미치는 영향: 자기개발욕구와 동료교사 협력의 이중매개효과

        김유미(Yumi Kim),박다은(Daeun Park) 한국아동학회 2021 아동학회지 Vol.42 No.2

        Objectives: Intellectual humility refers to a tendency to recognize and accept that one’s personal beliefs or knowledge may be fallible and limi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preschool teachers’ intellectual humility predicts self-development needs and teamwork, which in turn, predict professional knowledge. In other words,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s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self-development needs and teamwork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llectual humility and professional knowledge in preschool teachers. Methods: A total of 206 teachers across 32 preschool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participating teachers completed questionnaires on intellectual humility, self-development needs, teamwork, and professional knowledge. SPSS 25.0 was use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of self-development needs and teamwork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llectual humility and professional knowledge in teachers. In addition, PROCESS macro version 3.4 (Hayes, 2017) was used to confirm the indirect effect. Results: The teachers’ intellectual humility predicts professional knowledge via self-development needs and teamwork. In other words, teachers who acknowledge their own intellectual limits and are open to new experiences and learning opportunities have a higher level of professional knowledge in teaching, and this relation is mediated by both self-development needs and teamwork. The bootstrapping results also suggest that the indirect effec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This study is the first to introduce and apply a new concept of intellectual humility in a Korean sample. By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llectual humility, self-development needs, teacher teamwork, and professional knowledge, the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intellectual virtue in preschool teachers.

      • KCI등재

        지능에 대한 암묵적 신념과 학업성취의 관계에서 투지의 매개효과

        김진구(Jingu Kim),박다은(Daeun Park) 한국교육심리학회 2017 敎育心理硏究 Vol.31 No.1

        본 연구는 지능에 대한 암묵적 신념(성장신념, 고정신념)이 투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투지가 지능의 암묵적 신념과 학업성취의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뉴욕 공립중학교에 재학 중인 중학생 216명을 대상으로, 학생보고를 통해 지능의 암묵적 신념을, 교사보고를 통해 투지를 측정하였으며, 학업성취도는 학생부 자료를 활용하였다. SPSS 22.0와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1학기 초 성장신념이 높을수록 2학기 초 투지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1학기 초 지능의 암묵적 신념과 2학기 말 학업성취도의 종단적 관계에서 투지의 완전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더불어 이러한 결과는 1학기 초 투지와 학업성취도를 통제하고 유의하게 나타나 성장신념은 투지에 정적인 영향을 주며, 이는 학업성취도의 향상으로 이어진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학교교육의 패러다임이 학생의 성장에 대한 정의적 태도를 지원하는 방식으로 변화할 필요성에 대해 시사하고 있다. Grit, defined as passion and perseverance for long-term goals, predicts success across domains. The current investigation examined the association between theory of intelligence, grit, and achievement. In a prospective longitudinal study, middle school students (N=216) completed a theory of intelligence questionnaire and teachers rated their students on grit. At the end of the school year, we collected final grades from school records. As expected, theory of intelligence predicted grit, which in turn predicted final grades. Adolescents who believed in malleability of one’s ability were more likely to pursue long-term goals with sustained interest and effort over time.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the current educational system, focusing primarily on cognitive abilities, should put more weights on non-cognitive abilities, such as theory of intelligence and gr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