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Blue와 Yellow에서의 형광색채 인식

        홍해령(HaeRyung Hong),박영경(YungKyung Park) 한국색채학회 2018 한국색채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5

        형광은 자외선과 같은 빛의 파장을 흡수하여 가시광선 영역으로 색을 발산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일반적으로 우리가 경험하는 시각 환경에서 더욱 선명하고 발광(emitting)하는 느낌을 준다. 이러한 강렬한 색의 감지는 색채를 지각할 때 색상, 명도, 채도 중에서 명도인 밝기를 먼저 지각한다는 것과 연결지어 생각해 볼 수 있으며 형광색채를 인식할 때도 형광색채의 밝고 선명한 빛이 색상보다 명도로서 먼저 지각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종이색편에서의 형광색채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과정으로 형광색채 개념 인식에 대한 5가지 문항의 1차 설문 조사를 20대에서 30대의 여성 피험자 2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1차 설문조사인 5가지 문항의 설문 응답자 중에서 본 연구의 형광색채개념과 동일하게 인식한 피험자 4명을 대상으로 형광색채 시각적 인식에 관한 2차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형광색채 개념 인식을 알아 본 결과 설문 응답자가 형광색으로 익숙한 특정 색채 연상을 포함하여 특정한 색상이나 높은 명도와 채도로 인해 선명하고 마치 색에서 빛을 발산하는 듯한 느낌을 받는 색채를 형광색채로 규정하며 이는 형광색채가 형광색과는 다르다는 형광색채의 개념을 인지하고 있었다. 형광색채 시각적 인식 결과에서는 Blue와 Yellow의 명도(Lightness)와 채도(Chroma)의 분포가 다르게 나타났다. Yellow에서 일반적인 형광색채 특징인 높은 명도와 높은 채도의 경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Blue에서 명도가 적어지더라도 채도가 증가하면 형광색채로 인식되는 형광색채의 시각적 특징을 알 수 있었다.

      • 연령별 초록과 녹색의 색이름을 통한 색채분포 연구

        홍해령(Haeryung Hong),박영경(Yungkyung Park) 한국색채학회 2016 한국색채학회 학술대회 Vol.2016 No.11

        초록과 녹색의 각각의 색이름을 연령별로 어떻게 인지하고 있는지 설문을 통해 알아보고 색채공간분포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먼셀색채계를 기초로 한 종이나라 200색종이의 색상 중 GY_G_BG 영역의 색종이 56색을 설문을 위한 색시편으로 사용하여 하나의 색시편을 보고 초록과 녹색을 구별하는지를 설문을 통해 알아보았다. 41명의 피험자들을 대상으로 초록과 녹색의 색채인지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피험자 전체는 G_GY영역의 채도가 높은 영역분포로 초록을, Y_GY 영역의 채도가 낮은 영역분포로 녹색으로 구분하여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표준규격(KS) 기본색이름 개정 후 기본 유채색 12가지 색이름에 명시된 초록으로 교육과정을 배워온 10대 그룹의 초록과 녹색의 색채인지 차이점이 있는지 10대 그룹과 20-40대 그룹으로 나누어 알아본 결과 10대는 20-40대 보다 Y_G계열의 넓은 색상분포로 초록을, GY_G계열의 좁은 색상분포로 녹색을 인식하여 10대는 다른 연령에 비해 녹색의 색이름 보다 ‘초록’의 색이름에 대한 색채인지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개정된 초록의 색이름이 20-40대 연령에서는 초록과 녹색을 구별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10대에서 ‘초록’ 색이름이 혼용되지 않고 주로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종이와 디스플레이에서의 형광색채 지각

        홍해령(Hong, HaeRyung),박영경(Park, YungKyung) 한국색채학회 2019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33 No.3

        Fluorescence generally gives us a more clear and brighter feeling in the visual environment we experience. Given the increasing use of fluorescent colors in various digital environments, it is necessary to look at whether the fluorescent color on the display is similar to the color feature seen on the paper. The fluorescent color on the display appears as if it would be visually perceived brighter or darker than paper. The first survey was conducted with 20 female subjects using five questions about the concept of fluorescent The second survey was about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fluorescent color. Five subjects from the first survey participated, as they correctly answered in the first survey. Then the concept and visual characteristics of fluorescent color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and the characteristics of color intensity and saturation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visual perception of fluorescent color indicated that the distribution of brightness and saturation by color of paper and display is different. The paper"s yellow color showed that its brightness and saturation were perceived to be higher than the display yellow color. The paper"s green color showed that it was perceived to have a somewhat lower brightness and saturation than the display green color. The red color of paper tended to be higher in brightness and lower in saturation than the red color of the display. The visual features of fluorescent colors on paper and display colors showed that the color stimulus of the highest saturation by color is perceived as fluorescent. The high intensity and high saturation of fluorescent colors are well represented in the yellow color on paper and in the green color on the display. For the blue of paper, fluorescent was received in the largest region compared to other hues. However, display could not show fluorescent blue visually which indicates the need improvement for higher saturation.

      • KCI등재

        색상에 의한 한국인 피부색의 상세한 분류

        박다은(Park, DaEun),홍해령(Hong, HaeRyung),박영경(Park, YungKyung) 한국색채학회 2019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33 No.3

        Personalized makeup is preferred based on individual skin color diagnosis. In accordance, the need to diagnose skin color accurately is required. Skin color varies across different body locations and therefore inaccurate to measure skin color. For these reasons, human skin color is hard measure as a single color value.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o classify the tone and brightness of human skin by hue than to measure the skin color. Hue is easier for non-professionals to answer and has a wider choice than warm and cool based skin color. In this study, detailed classification of skin colors was attempted using skin color specimens and actual facial images. Based on the PANTONE SkinToneTM Guide, and real skin images, the skin was classified in terms of six hues of Reddish / Yellowish / Orangish / Greenish / Bluish / Purplish. Considering that skin color can be explained by relative values, the measurement data was converted to a difference (delta) from the average value. In skin colors, Redness (a*) and Yellowess (b*) were calculated by classifying each of them into two large categories and to clearly distinguish Lightness (L*) and Chroma (C*) from the tone graph. Δa*(Redness) and ΔL*(Lightness) are calculated as differences from average value. In the same way, Δb*(Yellowness)-ΔC*(Chroma) was also calculated to explain the hue classification. We also identified that Korean skin color is divided into yellow, reddish, and orangish and the relationship with Δb* and ΔC* values of CIELAB.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