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관절경을 이용한 반월상연골 낭종의 치료

        민병현,이원익,최승준,강신영,Min, Byoung-Hyun,Lee, Weon Ik,Choi, Seung Joon,Kang, Shin Young 대한관절경학회 1998 대한관절경학회지 Vol.2 No.2

        Recent studies suggest that most meniscal cysts can be treated surgically by arthroscopic management of the meniscal tear and arthroscopic cyst evacuation. But arthroscopic cyst decompression may sacrifice a substantial amount of meniscal tissue that is not torn in order to expose the "stalk" of the cyst. Nowadays, the trend is changing as preserving the involved meniscus to prevent from inevitable degenerative changes after meniscectomy. The purpose of this report is to describe a new surgical technique that minimizes loss of meniscal tissue in hopes of maximizing residual meniscal function. We experienced 10 patients with meniscal cysts that were consisted of four lateral cysts and six medial cysts. Menisci were torn in all cases. Arthroscopic partial meniscectomy and decompression of cysts were performed in 9 cases, and arthroscopic partial meniscectomy and open cystectomy in 1 case. The procedures were consisted of injection of the methylene blue into the cyst, partial meniscectomy of the meniscal tear until the dye was seen in orifice of the cyst, and decompression of cyst through cystic opening. This article serves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torn menisci and cysts, to re-evaluate the occurrence ratio of the meniscal cyst on the medial to lateral meniscus, and to assess the efficacy of arthroscopic partial meniscectomy and decompression of cyst as a potentially meniscal sparing procedure.

      • 내측 반월상 연골 후각의 비정상적 부착 - 1례 보고 -

        민병현,옥순종,Min Byoung-Hyun,Ok Soon-Jong 대한관절경학회 2001 대한관절경학회지 Vol.5 No.1

        내측 반월상연골의 전각부는 경골의 전면에 부착되어 있으며 횡인대에 의하여 외측 반월상연골 전각부와 연결되어 있다. 후각부는 후방 십자 인대 경골부착부 바로 전방에 견고하게 부착되어 있다. 관절경 검사상 반월상연골의 후각부가 경골의 정상적인 부위에 부착되어 종지되지 않고 전각부 하방까지 부착부위가 연장되는 반월상연골이 관찰되어 저자들은 이와같은 비정상적인 내측 반월상연골 1례 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The anterior horn of the medial meniscus is attached to the anterior surface of the tibia. The anterior horns of the medial and lateral menisci are connect with the transverse ligament. The posterior horn of the medial meniscus is firmly attached to the posterior aspect of the tibia just anterior to the insertion of the posterior cruciate ligament. The authors incidentally found an anomalous insertion of posterior horn of medial meniscus into the anterior horn area during arthroscopic examination in the symptomatic knee joint, which had been ruptured anterior cruciate ligament, and report with literature review.

      • 최소 절개술에 의한 반월상 연골 동종이식 수술기법

        민병현,김호성,장동욱,강신영,Min, Byoung-Hyun,Kim, Ho Sung,Jang, Dong Wok,Kang, Shin Young 대한관절경학회 1999 대한관절경학회지 Vol.3 No.1

        광범위한 반월상 연골 손상에 대한 최근의 치료는 수많은 연구와 임상적 접근을 통해 정상적인 반월상 연골의 기능을 회복하기에 이르렀다. 냉동 보관된 반월상 연골의 동종이식은 연골의 정상적인 회복을 위한 유용한 방법중 하나이다. 저자들의 첫 4례의 동종연골이식은 관절경의 도움으로 시행하였고, 이후 22 예에서는 최소한의 관절 절개를 이용하였다. 또한 모든 동종 연골 이식에서 반월상 연골의 안정성과 회복을 위해 반월상 연골에 골교를 부착하여 고정하였다.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은 반월상 연골 동종이식술시 동시에 시행하였다. 내측 반월상 연골은 일명 Key-hole technique을 사용하여 골터널에 의한 관절 연골의 침습을 최소화하려 하였다. 우선 반월상 연골의 골교를 원통형으로 만들고 수혜자의 슬관절의 전방 십자 인대의 내측연을 따라 골 터널을 만들어 반월상 연골의 골교를 press-fit하도록 한다. 삽입된 반월상 연골은 일반적인 반월상 연골 봉합술로 관절경을 이용하여 봉합한다. 외측 반월상 연골은 내측 반월상 연골과는 달리 반월상 연골의 골교를 반원통 모앙으로 만들고 수혜자의 슬관절의 전방 십자 인대의 외측연을 따라 반원통 모양의 골 요지를 만든다. 반월상 연골을 골 요지에 얻고 인도 봉합사를 경골의 전면으로 뽑아내 이를 묶음으로써 고정을 한다. 삽입된 반월상 연골은 내측 반월상 연골이식술과 같은 방법으로 봉합한다. 저자들은 이와 같은 방법으로 관절 연골의 침습을 최소화하고 비교적 정확한 위치에 반월상 연골을 이식할 수 있었다. The current treatment of extensive meniscal injuries has resulted in numerous investigations and clinical trials to restore normal meniscal functions. A cryopreserved meniscal allograft transplantation is one of the successful methods available to restore the meniscus. All the procedures of 26 cases were performed in an minimal open fashion, though initial four cases were done with the aid of arthroscope. In all of the grafts, we used a bone bridge which was attached to meniscus for better stability and healing.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s were also performed simultaneously with the meniscal procedures. We attempted to minimize articular cartilage by employing so called the "Key-hole technique" for the medial meniscus transplantation. First, the meniscal cartilage bone bridge was shaped into a cylinder and a bone tunnel was made just beside the medial border of the anterior criciate ligament insertion of the recipient knee joint, and the bone bridge of the meniscal cartilage was push to press-fit. The inserted meniscal cartilage was sutured by the usually employed technique under arthroscopic control. The lateral meniscus was shaped different to the medial meniscus in that the bone bridge was semicylindrical and the bone trough was made beside the lateral border of the anterior criciate ligament insertion of the recipient knee joint. The meniscus was put into the bone trough and the leading suture was extracted anterior to the tibia and tied the knot. The inserted meniscus was sutured in the same manner as the medial meniscus transplantation. By the above described method, the authors were able to minimize the articular cartilage invasion and transplant the meniscus with relative accuracy.

      • KCI등재
      • KCI등재

        젊은 성인 Osgood-Schlatter 씨 병의 분류 및 동위 원소 검사의 의의

        민병현 ( Byoung Hyun Min ),정남수 ( Nam Su Chung ),김상환 ( Sang Hwan Kim ),조재호 ( Jae Ho Cho ) 대한슬관절학회 2009 대한슬관절학회지 Vol.21 No.4

        Purpose: We retrospectively classified the young adult Osgood-Schlatter disease by plain radiography and acce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bone scan results and symptom duration. Materials and Methods: From 2004 to 2007, young adults with symptoms of Osgood-Schlatter disease were included in the study. The patients were classified into 3 groups, protrusion, cleft and ossicle, according to their radiographic results. All patients had bone scan exams, we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bone scan results and the duration of symptoms. Results: All patients were male with average age of 19.8 (18.5∼22.0) years old. Out of 59 patients, 27 were bilateral. Of 86 knee joints, 36 came out positive with bone scan. Positive bone scan rate was 11.1% in protrusion type, 40.0% in cleft type and 61.4% in ossicle type. The pain persisted longer in ossicle type than the others. The symptom duration correlated with the bone scan results. Conclusion: We classified young adult Osgood Schlatter disease as three types. The ossicle type of Osgood-Schlatter disease has longer symptom duration, which correlates with the bone scan results. The bone scan result can be one of reliable reference factors for the treatment of young adult Osgood-Schlatter disease.

      • SCOPUSKCI등재
      • 문화콘텐츠 개발을 통한 심화 연구 : 서유구의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 중심으로

        민병현 ( Byeong-hyun Min ) 산업진흥원 2018 산업진흥연구 Vol.3 No.1

        문화콘텐츠는‘창조의 결과물’이기도 하지만 창조와 실천, 그리고 차이의 이해가 이루어지는 ‘과정’이기도 하다. 따라서 콘텐츠는 융복합 지식의 콘텐츠 대중적이면서도 감성과 지식을 채워주는 질 좋은 콘텐츠를 선정해야 한다. 동아시아 인문주의 창제자인 공자는 의식주의 철학과 조선 후기 식생활에 영향을 끼쳤다. 공자는 조선시대 선비들에게 유학뿐만 아니라 음식관에서도 많은 영향을 끼쳤다.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 중 정조지(鼎祖志)」는 음식과 요리에 대한 백과사전으로 7권 4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음식의 재료, 조리법, 효능 및 금기 등을 다루고 있다. 여기에는 육류요리, 채소요리뿐만 아니라 청량음료、달인음료 등의 각종 음료나 꿀과자、설탕과자 등의 과자류, 그리고 술 빚는 방법까지 천 여 가지의 레시피를 자세하게 기록하고 있다.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 그가 72세까지 살아오면서 자기 인생을 되돌아보면서 무엇을 조심하고 어떻게 잘 해야 하는지 일반적으로 이야기할 수 있는 언급하고 있다. 공자의 일상에서 기록해 온 식문화가 조신시대까지 이어와 영향을 받은 풍석 서유구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를 통해 동양의 식문화에 대한 재미있는 이야기들을 대중적으로 접근하려 한다. Cultural content is also the result of 'creation', but it is also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creation, practice, and difference. Therefore, content should be selected as high-quality content that fills the contents of fusion and knowledge, while it is popular. Confucius, the founder of East Asian humanism, influenced the philosophy of food and shelter, and the dietary life in the late Joseon period. Confucius influenced not only Confucian scholars but also the food hall of the Joseon Dynasty, “mwon-kyungje” Jeongjo-ji is an encyclopedia of food and cuisine, which consists of four volumes of seven chapters and deals with ingredients, recipes and benefits of foods and the relevant taboos. Here the author compiled more than a thousand recipes not just for meat and vegetable dishes but for various kinds of beverage such as soft and boiled drink, for confectionery sweets such as honey cookies and sugar candies, and even for wine and liquor ”mwon-kyungje” As he lived to the age of 72, he looked back at his life and said that he should be careful about what to do and how to do well. The food culture of Confucius has been recorded in the daily life of the Josin period and is influenced by Suwon Seo-gu, ”mwon-kyungje”.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이용자 주도 매쉬업 콘텐츠에 대한 연구

        민병현(Min, Byung Hyun),김미경(Kim, Mi Kyung),이민규(Lee, Min Kyu) 청운대학교 방송예술연구소 2013 미디어와 공연예술연구 Vol.8 No.3

        본연구는 변형되거나 재창조된 콘텐츠인 매쉬업 콘텐츠를 중심으로 제작자의 수용자 능동성 혹은 개혁성을 탐색하고 수용자 인식을 조사하고 확산 과정을 점검하고자 하였다. 검토결과 매쉬업 콘텐츠 제작자는 주도적으로 콘텐츠를 선택하고 , 필요에 따라 유용하며 , 적극적으로 공유하고 선호하는 콘텐츠를 완고하게 받아들이고 있었다. 또한 이들은 개혁적인 성향으로 주도적으로 콘텐츠를 만드는 실천적 활동을하고 있었다. 매쉬업 콘텐츠에 대한 수용자 인식을 살펴보면 , 기술적 매쉬업 수준은 대체로 높다고 생각하였으며 편집 이음새 , 영상 결합의 통일성 , 원본 영상의 보전에서 품질이 좋았다고 평가하였다 . 스토리 매쉬업 부분에서 영상 발췌, 캐릭터 선정, 스토리구조 부분에서 좋은 평가를 하였고 재미의 부분에서는 몰입도가 높고 편집 기술에 호기심이 생겼다고 답하였다 . 마지막으로 영상 매쉬업 수준에서는 스토리 전개를 결정짓는 요소가 내용 그 자체도 있지만, 영상의 배경이나 색감, 배경음악 등이 스토리의 전개의 연결성을 보완한다고 답변하였다 . 또한, 영상콘텐츠의 확산 방법은 ‘직접 업로드 ’,‘구독하기 ’,‘좋아요 ’,‘공유’‘포스팅 등으로 나타났다 . 이러한 결과의 함의를 살펴보면 , 매 쉬업 콘텐츠는 이용자 주도적 편집 교육의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자기 주도적 확산은 콘텐츠 유통의 전략 방안으로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search the active and innovative traits of audience, the perception on the user driven mash up content and the diffusion situation focusing on the modified and recreative contents(mashup contents). As the result of research, we have found that the creators of mashup contents are definitely picking the favorite samples according to their need and perceived usefulness, and they positively share their favorite contents, accept it obstinately and have an innovative and active trait. In addition, in the aspect of audience perception after viewing of mashup video, respondents evaluate that technological mashup level is generally high such as the rated as good character, storytelling and footage. Also, respondents suggest that this mashup contents is immersed in fun and holds respondent’s interest of editing technology. Finally, respondents answer that the color, music and location help to understand story easily. The diffusion of mashup contents is described as uploading, subscribing, ‘like’ button and posting. In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mashup contents make use of visual editing education and the tool for contents diffusion for network value and global distribution of contents.

      • WiMedia 기반의 WUSB Device 개발 및 구현

        민병현(Byung-Hyun Min),박용진(Youg-Jin Park)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6 한국멀티미디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06 No.2

        본 논문에서는 WiMedia UWB Radio Platform 기반의 WUSB 응용에 있어서 Device를 개발하고 동작을 구현한다. 기존의 Wired USB를 Wireless 환경에서 구현함에 있어 현재 WPAN 환경에서 가장 고속의 데이터 전송을 보장하는 UWB 기술을 이용하여 WUSB Host-Device 동작에 있어서 Device를 구현한다. 무선환경은 MBOA-WiMedia 기반으로 이용하고 이를 지원하는 RF, MAC/BB 칩으로 구성된 보드를 구동시키는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리녹스 환경에서 개발한다. WUSB Device에 Mass Storage Class Function을 를 구현하는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개발한다. 구현한 Device와 Host Controller와의 데이터 전송률을 측정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