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RS의 좌표 인식 오류 시 Retro recon을 이용한 수정 방법에 관한 평가

        문현석,정덕양,도경민,이영철,김선명,김영범,Moon, hyeon seok,Jeong, deok yang,Do, gyeong min,Lee, yeong cheol,Kim, sun myung,Kim, young bum 대한방사선치료학회 2016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Vol.28 No.2

        목 적 : Brain LAB을 이용한 뇌 정위적 방사선 수술 계획에서 Metal artifact로 인한 정위적 좌표의 오류 발생시 Retro recon을 이용하여 수정하는 방법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CT simulator(Bright Speed Elite, GE)를 이용하여 인체모형 팬텀(CIRS, PTW, USA)을 1.25 mm slice tickness로 촬영한 영상을 뇌정위적 방사선 수술계획 시스템(BrainLAB, Feldkirchen, Germany)을 사용하여 좌표인식의 유무와 선속경화 현상을 확인하였다. 또한 2.5 mm, 5 mm slice thickness로 촬영하여 Retro recon을 사용하여 1.25 mm slice로 재구성한 영상과 비교 분석 하였다. 위의 세 가지 영상의 질을 평가하기 위해서 특수의료장비 정도관리 중 표준팬텀검사 항목을 응용하여 확인하였다. 실제 오류가 발생했던 환자를 같은 방법으로 촬영하여 정위적 좌표의 오류 유무를 확인 하였다. 결 과 : 인체모형 팬텀을 스캔한 영상의 Brain LAB 좌표 인식 오류는 1.25 mm 획득한 영상 및 2,5 mm 획득 후 재구성한 영상과 5.0 mm 획득 후 재구성한 영상 모두 발생하지 않았다. 표준팬텀검사항목에 따른 대조도 분해능 검사에서는 세 가지 영상 모두 6.4 mm 이내로 식별 가능하였고, 공간분해능 검사에서도 1.0 mm 이하로 식별 가능하여 동일한 영상의 질을 나타냈다. 또한 노이즈는 모두 11 HU 이내였고, 균일도 검사에서도 모두 5 HU 이내로 나타났다. 오류가 발생했던 환자의 재구성 영상에서는 좌표인식이 가능하여 치료계획을 수립할 수 있었다. 결 론 : 본 연구를 통해 Brain LAB을 이용한 뇌 정위적 방사선 수술계획 수립 시 Retro recon 기능을 이용하여 선속경화현상에 의한 정위적 좌표인식의 오류를 수정할 수 있었다. 이 외에도 선속경화현상에 의한 영상의 질 저하 시 본 연구와 같은 영상 재구성 방법을 통해 개선함으로써 광범위한 치료계획에서의 적용도 가능할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른 다양한 연구를 통해 이상적인 치료계획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tro recon in SRS planning using BranLAB when stereotactic location error occurs by metal artifact. Materials and Methods : By CT simulator, image were acquired from head phantom(CIRS, PTW, USA). To observe stereotactic location recognizing and beam hardening, CT image were approved by SRS planning system(BrainLAB, Feldkirchen, Germany). In addition, we compared acquisition image(1.25mm slice thickness) and Retro recon image(using for 2.5 mm, 5mm slice thickness). To evaluate these three images quality, the test were performed by AAPM phantom study. In patient, it was verified stereotactic location error. Results : All the location recognizing error did not occur in scanned image of phantom. AAPM phantom scan images all showed the same trend. Contrast resolution and Spatial resolution are under 6.4 mm, 1.0 mm. In case of noise and uniformity, under 11, 5 of HU were measured. In patient, the stereotactic location error was not occurred at reconstructive image. Conclusion : For BrainLAB planning, using Retro recon were corrected stereotactic error at beam hardening. Retro recon may be the preferred modality for radiation treatment planning and approving image quality.

      • KCI등재

        최신 기계번역 사후 교정 연구

        문현석,박찬준,어수경,서재형,임희석,Moon, Hyeonseok,Park, Chanjun,Eo, Sugyeong,Seo, Jaehyung,Lim, Heuiseok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1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9 No.7

        기계번역 사후교정이란, 기계번역 문장에 포함된 오류를 자동으로 교정하기 위해 제안된 연구 분야이다. 이는 번역 시스템과 관계없이 번역문의 품질을 높이는 오류 교정 모델을 생성하는 목적을 가진 연구로, 훈련을 위해 소스문장, 번역문, 그리고 이를 사람이 직접 교정한 문장이 활용된다. 특히, 최신 기계번역 사후교정 연구에서는 사후교정 데이터를 통한 학습을 진행하기 이전에, 사전학습된 다국어 언어모델을 활용하는 방법이 적용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최신 연구들에서 활용되고 있는 다국어 사전학습 언어모델들과 함께, 해당 모델을 도입한 각 연구에서의 구체적인 적용방법을 소개한다. 나아가 이를 기반으로, 번역 모델과 mBART모델을 활용하는 향후 연구 방향을 제안한다. Automatic Post Editing(APE) is the study that automatically correcting errors included in the machine translated sentences. The goal of APE task is to generate error correcting models that improve translation quality, regardless of the translation system. For training these models, source sentence, machine translation, and post edit, which is manually edited by human translator, are utilized. Especially in the recent APE research, multilingual pretrained language models are being adopted, prior to the training by APE data. This study deals with multilingual pretrained language models adopted to the latest APE researches, and the specific application method for each APE study. Furthermore, based on the current research trend, we propose future research directions utilizing translation model or mBART model.

      • KCI등재

        가상 시뮬레이션에 의한 도로설계정보 최적화 방법론 및 지원체계 개발

        문현석,강인석,Moon, Hyoun-Seok,Kang, Leen-Seok 한국건설관리학회 2009 건설관리 : 한국건설관리학회 학회지 Vol.4 No.1

        본 연구는 기존 시공단계 중심의 VR시뮬레이션 활용체계를 설계단계까지 확장하여 도로의 최적 설계정보 지원을 위한 시각화 분석 기능을 개발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에서는 설계지원을 위한 VR기능으로 도보 선형(alignment)에 의한 토공 시뮬레이션, 대안 노선 선정 시뮬레이션 구조물 타입 선정 시뮬레이션 및 지하시설물 분석 시뮬레이션 기능들을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VR시뮬레이션 기능을 통해 노선 및 토공 상태의 시각적 확인이 가능하고, 대안 노선의 가상적인 모의 배치를 수행함으로써 최적 설계노선을 선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도로설계정보 지원을 위한 VR시뮬레이션 기능 개발 방법론 및 시스템(VR Presenter)을 구현하며, VR기능을 적용한 개선된 도로설계 프로세스를 제안하고 있다. The current virtual reality(VR) simulation functions in construction project are focused on the construction phase. This study attempts to extend the application of VR functions to the design phase. This study suggests various VR functions such as earthwork simulation by road alignment, alternative route selection simulation, structure type selection simulation and underground structure visualization simulation. These functions can visualize road route and earthwork condition and select an optimal design route by simulating virtual placement of alternative route. This study configures systematic methodology for suggested VR simulation functions and develops VR system by the functions. Finally this study suggests an improved design process of road construction project by using the developed VR functions

      • KCI등재

        전이학습 기반 기계번역 사후교정 모델 검증

        문현석,박찬준,어수경,서재형,임희석,Moon, Hyeonseok,Park, Chanjun,Eo, Sugyeong,Seo, Jaehyung,Lim, Heuiseok 한국융합학회 2021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2 No.10

        기계번역 사후교정 (Automatic Post Editing, APE)이란 번역 시스템을 통해 생성한 번역문을 교정하는 연구 분야로, 영어-독일어와 같이 학습데이터가 풍부한 언어쌍을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최근 APE 연구는 전이학습 기반 연구가 주로 이루어지는데, 일반적으로 self supervised learning을 통해 생성된 사전학습 언어모델 혹은 번역모델이 주로 활용된다. 기존 연구에서는 번역모델에 전이학습 시킨 APE모델이 뛰어난 성과를 보였으나, 대용량 언어쌍에 대해서만 이루어진 해당 연구를 저 자원 언어쌍에 곧바로 적용하기는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언어 혹은 번역모델의 두 가지 전이학습 전략을 대표적인 저 자원 언어쌍인 한국어-영어 APE 연구에 적용하여 심층적인 모델 검증을 진행하였다. 실험결과 저 자원 언어쌍에서도 APE 학습 이전에 번역을 한차례 학습시키는 것이 유의미하게 APE 성능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utomatic post editing is a research field that aims to automatically correct errors in machine translation results. This research is mainly being focus on high resource language pairs, such as English-German. Recent APE studies are mainly adopting transfer learning based research, where pre-training language models, or translation models generated through self-supervised learning methodologies are utilized. While translation based APE model shows superior performance in recent researches, as such researches are conducted on the high resource languages, the same perspective cannot be directly applied to the low resource languages. In this work, we apply two transfer learning strategies to Korean-English APE studies and show that transfer learning with translation model can significantly improves APE performance.

      • KCI등재

        공동주택 건설공사의 발주방식 영향요인 분석

        문현석,홍태훈,구교진,현창택,Moon, Hyun-Seok,Hong, Tae-Hoon,Koo, Gyo-Jin,Hyun, Chang-Taek 한국건설관리학회 2008 건설관리 : 한국건설관리학회 학회지 Vol.9 No.3

        Recently, construction industry demands have been changed by domestic construction circumstances such as high-technology, mega-projects, and the complexity of construction. In order to deal with the change of such a domestic construction circumstances, the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MOCT) has introduced advanced delivery methods. However,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 advanced delivery methods have not been effectively applied for previous projects.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Reviewing Standard for the Large-scale Construction Bidding Method" has not reflected enough prcject characteristics when the delivery method is selected in the project planning phase.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the Analysis on the Impact Factors of Delivery Method for Multi-Family Housing Projects. 오늘날 건설수요는 고도화, 프로젝트의 대형화, 공사여건의 복잡화와 같은 외부환경에 의해 변하고 있다. 이에 정부에서는 외부환경의 변화에 적절히 대응하고자 선진화된 발주방식을 도입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의도와는 달리, 기 발주된 프로젝트에서는 발주방식별 장 단점 등이 효과적으로 나타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원인은 사업의 기획단계에서 발주방식을 선정할 때 사업의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는 현재의 "대형공사 입찰방법 심의기준"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프로젝트의 특성에 따른 적절한 발주방식을 적용하기 위하여 공동주택 건설공사의 발주방식에 영향을 주는 영향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 KCI등재

        도로 프로젝트의 BIM 사례모델 구축을 통한 호환성 검증

        문현석,김창윤,조근하,문진석,주기범,Moon, Hyoun-Seok,Kim, Chang-Yoon,Cho, Guen-Ha,Moon, Jin-Seok,Ju, Ki-Bum 한국BIM학회 2015 KIBIM Magazine Vol.5 No.1

        Recently, BIM has been widely applying in civil engineering projects centering on the private construction industry in order to establish self guidelines for spreading in practice. However, most BIM technologies and software are based on the architectural projects. In these environments, it is not easy to apply the BIM to a infrastructure field. Even BIM standards with IFC (Industry Foundation Classes) are also focusing on architectural projects. Especially, both private and public sectors do not know about how BIM delivery system should be performed, and how such deliverable should be submitted to the government yet. Thus, we need to analyze an application level of BIM S/W (Software) in real projects and verify their interoperability. Besides, since there are not any common standards that can exchange IFC models for civil engineering projects, we have many issues in converting as-built infrastructure models into IFC and delivering their design documents to the government.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perform a BIM process with commercial software for real road project after a detailed design process is finished and verify interoperability between diverse BIM software for securing BIM data reliability.

      • 도로 BIM 라이브러리 기반의 실적공사비 산정체계 구축

        문현석(HyounSeok Moon),김봉근(BongGuen Kim),김창윤(ChangYoon Kim),주기범(KiBum Ju) (사)한국CDE학회 2014 한국 CAD/CAM 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4 No.2

        Currently, a BIM-based takeoff quantity system is mainly focused on architectural projects. To perform this, diverse takeoff quantity methods such as an object-based automatic takeoff quantity, manual quantity and base functions of calculation have been utilizing. However, since BIM library for road projects include structural elements associated with alignmen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cost estimation system interlocked with historical cost using 3D library by each length. Accordingl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ost estimation model with using a historical cost approach so that it can be utilized in construction planning based on the BIM library for road project. For this, based on the BIM library for road, the standardized quantity is estimated, and a process for calculating historical cost and a verification model with a 5D simulation was developed by mapping a WBS code with each BIM library object. This can be applied during the approximate cost estimation process in a project planning and an initial design phase for road projects. Besides, it is expected that these results will be utilized in constructing an optimal historical cost estimation process for project libraries.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흉부 교감 신경절 차단에 의한 다한증 치료 경험 - 증례보고 -

        문현석(Hyun Seok Moon) 대한통증학회 1995 The Korean Journal of Pain Vol.8 No.1

        Hyperhidrosis is the state of abnormal sweating on the palm, sole and axillary region. The main treatment of hyperhidrosis are surgical sympathectomy and a thoracic sympathetic gan- glion block with neurolytics. Among them, a thoracic sympathetic ganglion block is used in pain clinic for the treatment of hyperhidrosis. I have successfully performed a thoracic sympathetic ganglion block on a 2lyear old female patient with pure alcohol. I concluded that the thoracic sympathetic gangli- on block was one of the most effective treatment of hyperhidrosis.

      • KCI등재

        최적 무선통신 기술을 활용한 붕괴지형 매몰자의 2차원 매몰위치 결정 모델

        문현석(Moon, Hyoun-Seok),이우식(Lee, Woo-Sik),이건우(Lee, Gun-Woo),한동수(Han, Do-Soo) 한국산학기술학회 2015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6 No.12

        도심지에 지진과 같은 재난 발생시 건물이나 기타 지하부를 갖는 지하철, 터널 공간 등의 붕괴사고로 인해 수많은 인명 및 재산피해가 발생된다. 특히 붕괴 잔해에 매몰된 인명의 생존 상태를 파악하거나 매몰자의 매몰위치를 정확하게 파악 하는 것이 곤란하여 구호에 상당한 시간과 인력이 투입되는 실정이며, 추가 붕괴에 따라 2차 피해가 발생될 수 있다. 본 연구 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무선통신 기술을 활용하여 2차원 평면에서 매몰자의 휴대기기 위치를 측위하여 구호 정보를 제공 할 수 있도록 하는 확률적 방법론을 제안하는 것이 목적이다. 즉, Wi-Fi 무선신호 기반의 매몰자 탐지 방식을 선정하여, 거리 별 신호 강도 특성을 확인하였으며, 2차원 평면에서의 확률적 기반 위치 탐지 모델을 제안하였다. 이는 향후 국가 재난발생시 신속한 매몰자 구호를 위한 단서를 제공함으로써, 국민의 안전과 인명을 보호 할 수 있는 핵심기술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When the disaster like earthquake in urban area occur, due to the collapse accidents for subway, tunnel space with buildings or underground area, enormous property and human damage are happened. Specially, since it is difficult to identify survived status of humans within collapsed debris and accurately buried locations of the humans, inputs of considerable time and manpower for rescuing them are required. Besides, secondary damage can be occurred by additional collaps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stochastic location positioning method that enables to provide aid information by determining locations of mobile devices for buried persons in 2-D plan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This study selected a detection method for buried persons based on Wi-Fi signal, and identified characteristics of signal strengths by distance unit. Using these methods, a stochastic location detection model in 2-D plane was built. It is expected that this technology will be utilized as a core technology that can protects safety and human life of the public by providing data for rescuing quickly buried persons in cases of national disasters for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